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선미 창작발표회 "백화"에 대한 고찰

        강선미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79

        This study analyzed the melody used in traditional and creative rhythms put on the stage as an abstraction of the work, and focused on the meaning and analysis of the original work. First, he made his first work using the rhythm of the Gyeonggi Danggut, and the name of the work was Cheonwoo Cheonwoo (天雨). Chun-u means 'rain from the sky'. Janggu instrument means rain, and as it spreads widely, it fills the sky with rain, wets the earth, and expresses new vitality. Cheondungchae - Lee Dongryu Olimchae - Unjeongnori - Jinso - Olimchae - Olimchaemori - Balgeukdae - Jajingutgeori - The characteristic of this song is that the rhythm is played for each chapter. The second song was made using the beats of many sounds, Geumsanjwadorak, and Utdari Nongak, and was named Pungnipung (雷). Windmill means "wind and lightning" using wind and lightning. Among the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s, it is composed of kwaenggwari, gong, and jeongju. Based on the Yeongsan melody of Jwado Nongak and the three melodies of Utdari, it was attempted to express the melody and strokes of Jwado Nongak composed only of metal instruments with the melody and performance of many notes. The third work is Samdo Nongak Music. Samdo Nongak Garak, called the flower of Samulnori, is a song made by collecting only the melodies of nongak songs from the three provinces of Honam, Yeongnam, and Chungcheong, Gyeonggi Province. The melodies of Honam Nongak, the intense melody of Yeongnam Nongak, and the refined melody of Chungcheong, Gyeonggi are in harmony. The fourth song is a guest's Gyeonggi folk song. Departure while singing the melody of Gyeonggi folk songs. The song is a folk song representing Gyeonggi-do, and it is the sound of a Seoul samurai transformed into a folk song. This song was originally sung by shamans in Gyeonggi-do during ancestral rites and after Cheongbae (Ask God) and Karate (Conversation with God). 'Boat Floating' in the form of a new folk song was composed by composer Park Beom-hoon based on a poem by Gu Hee-seo. Starti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esire to float on a ship that symbolically expresses our nation, it consists of the second half of the ship fluttering in the waves and advancing. The fifth work is a solo exhibition with Pangut. Pangut is a comprehensive art performed by good men and women to show off her skills and talents by organizing various games and unraveling Jin in order. Individual games such as Sangmo, Sangso, Seoljanggu, and Sogo, and Jang Sangmo, in which the Jang Sangmo rotates 12 times, present powerful melodies and cheerful Jinpuri. As for the work, he plays 4 songs, and invited guests make a total of 5 songs. To summarize from Part 1, at first, only the Janggu instrument that makes the sound of rain is played, Part 2 is played with metal jing and Kwaenggwa-ri, and Part 3 is played with all four instruments in an ensemble, and then gradually increases. . It is composed of works that add excitement to the guest's Gyeonggi folk song, and the last Pangut shows various skills and talents enough to be called a comprehensive art. We prepared this performance by sharing and feeling and presenting creative works along with excellent works of existing traditional rhythms. This performance tried to create a new creation by changing the rhythm centering on traditional crafts and traditional melodies. Kang Seon-mi prepares and announces 'Hundreds of Flowers', and when she sees all kinds of beautiful flowers, she seems to enjoy 'Hundreds of Flowers' with a bright smile. 본 연구는 작품초록으로써 무대에 올려진 전통장단과 창작 장단에 사용되는 가락들을 분석하고 창작 작품의 의미와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첫 번째 작품은 경기도당굿 장단을 사용하여 만든 작품으로 작품 이름을 천우天雨라 지었다. 천우는 하늘천(天), 비우(雨),를 사용해 “하늘에서 내리는 비”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장구 악기는 비를 뜻하며 넓게 퍼지니 하늘이 비로 채워 땅을 적시고 새로운 생명력을 표현 하고자 했다. 천둥채 – 이동안류올림채 – 부정놀이 – 진쇠 – 올림채 – 올림채모리 – 발뻐드래 – 자진굿거리 – 터벌림 순으로 연주하며 각 장마다 특유의 변형장단을 연주하는 것이 이 곡의 특징이다. 두 번째 작품은 다스름과 금산좌도가락과 웃다리농악 가락을 사용하여 만든 작품으로 이름을 풍뇌風雷라 지었다. 풍뇌는 바람풍(風), 벼락뇌(雷)를 사용해 “바람과 벼락”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전통 타악기중 쇠 악기인 꽹과리와 징 그리고 정주를 가지고 구성하였다. 다스름 장단을 기본으로 한 연주와 좌도농악에서 나오는 영산가락과 웃다리에서 나오는 삼채가락을 쇠 악기로만 구성하여 서로 주고받으며 좌도농악 특유의 막음새와 웃다리 특유의 타법을 표현하고자 한다. 세 번째 작품은 삼도농악가락이다. 사물놀이 연주의 꽃이라 일컫는 삼도농악가락은 호남, 영남, 경기충청 등 세 지방의 농악가락 중에서 멋드러진 가락만을 모아 만든 곡으로 사물놀이 네 가지 악기로 연주한다. 호남농악의 맺고 푸는 쇠가락과 영남농악의 힘 있는 가락 그리고 경기충청지방의 세련된 가락들이 조화를 이룬다. 네 번째 작품은 초대손님 작품의 경기민요이다. 경기민요 중 노랫가락과 배 띄워라를 부른다. 노랫가락은 대표적인 경기 통속 민요로써 서울지방 무가가 민요로 변한 소리이다. 이 노래는 본래 경기지방에서 무당이 굿을 하면서 청배(신을 청함)할 때와 공수(신과 대화) 다음에 불렀다. 신민요 형식의 ’배 띄워라‘는 구희서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가 박범훈 선생님이 쓴 곡이다. 우리민족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배에 희망을 담아 띄우고자 하는 내용의 도입부를 시작으로 파도에 넘실대며 앞으로 향해 나아가는 배의 모습을 동살풀이장단으로 표현한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 번째 작품은 판굿과 개인놀이이다. 판굿은 굿패들이 여러 가지 놀이와 진 풀이를 순서대로 싸서 갖은 기예와 재주를 보여주기 위해 벌이는 것으로 종합예술 작품이다. 힘 있는 가락과 생동감 있는 진 풀이를 선보이며 긴 상모를 돌리는 열두발 상모와 상쇠놀이, 설장구놀이, 소고놀이 등 개인놀음을 진행한다. 작품은 이렇게 본인이 네 가지 작품을 연주하고 초대 손님이 한 작품, 총 다섯 작품을 구성하여 연주한다. 첫 번째 작품부터 한번 더 정리하면 처음엔 비 소리의 장구악기로만 연주하고, 두 번째는 쇠 악기인 징과 꽹과리 악기로 두 악기로 연주하고, 세 번째는 네 가지 악기 모두를 사용하여 점점 고조 되어가는 작품으로 구성하였고 초대 손님의 경기민요로 흥겨움을 더하고 마지막 판굿 으로 종합예술로 불릴 만큼 다양한 기예와 재주를 보여주며 개인놀음의 볼거리와 점점 고조되어가는 우리 전통 타악 연주에서 나오는 신명을 연주자와 관객이 함께 나누고 느끼며 전통 연희 장단의 기존의 우수한 작품과 더불어 창작 작품을 선보이며 이 공연을 준비 하였다. 본 공연은 전통 작품과 전통장단에 중심을 두고 장단을 변화 시키며 새롭게 만든 창작 작품을 선보인다. 강선미 창작 발표회 “백화”를 준비하고 발표하며 온갖 아름다운 꽃들을 보면 환하게 웃음 짓고 즐거워 하듯 “백화”를 감상하며 공연자와 관객들이 하나가 되어 우리의 신명을 나누며 함께 웃으며 함께 즐거운 공연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알레르기성 비염 면역 반응에서 Interleukin-12 작용 효과

        姜善美 忠南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mice were sensitized and challanged with ovalbumin as an allergen to study the effect of IL-12 on the immune responses and the pathologic finding in allergic rhinitis mouse model. The animal models were divided i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point of IL-12 treatment. Group one is allergic rhinitis mice as control without IL-12 treatment, which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were increased in the nasal mucosa and the concentration of IL-4 and IL-5 were high and IFN-γ was low in splenic mononuclear cells culture supernatant. Group two is mice treated with IL-12 in early sensitizing phase and group three is mice treated with IL-12 in tate sensitizing phase.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in the nasal mucos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of IL-4 and IL-5 were significantly tower, but the concentration of IFN-γ was higher in both IL-12 treated groups than the allergic rhinitis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oth early and late IL-12 treatment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eosinophils and inflammation in nasal mucosa. Early IL-12 treatment could enhace the allergen specific Thl immunc rcactions irnd tiite IL-12 teatment could convert Th2 cells to Th1 cells. Finally IL-12 could be applied as an allergen specific immune therapy for allergic rhinitis.

      • 초등학생의 그룹 창의성 증진을 위한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슐로모샤란과 예일샤란의 '집단탐구 모형'을 중심으로

        강선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reativity is a keyword of the 21st century that the whole world is focusing. As studies on creativity are steadily intensified and diversified, a collective and interactive aspect of creativity was focused and then it led to attention on creativity of a group over creativity of an individual. Culture and environment are very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group creativity and the education in school is the most direct environment a child can encounter. Many researchers say creativity is the potential that everyone is born with and revelation degree differs from what kind of experiences a person has. An education for creativity in school is mostly done through art classes and partly a design education is fulfilled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hard to see the difference as a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considered as the part of an art class. Hereupon, it was judged that a definit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at is separated from an art in design education for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was needed so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definite process that can increase group creativity focusing on the fact that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declining communal ability of children in this digital generation. This study named it as ‘Collaboration Design Process’ and tried to define improvement effect through the approved creativity examination after directly applying it to a design class of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the study was largely processed with theory research and examination research. For the method of theory research, a concept, a component, and an influence factor of group creativity through reference research of domestic and overseas and previous studies, provided an example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after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school's design education then its need and direction were suggested. In addition, the approved collaboration models that many researchers have presented were analyzed and used in order to increase credibility of process design. Among these collaboration models,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of Shlomo Sharan & Yael Sharan, 1976 seemed to b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s design education, and the collaboration design process was mapped out by selecting the range that is applicable to a design education based on its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plan, and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Before conducting a test, the test targets was divided into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increase credibility of the result, and test design was done by setting 7 steps as ‘variable(X)' among the total 14 steps of ‘Collaboration Design Process’ to find out the effects variable(x) has on group creativity. Two groups all composed of 34 students of 5th grade and it was progressed by dividing them into each 6 teams of small groups. The test group performed all 14 steps of ‘Collaboration Design Process’ over 10 times,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7 steps of process excluding the range set as variable(x) over 6 times. ‘K-FCTES(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that was issued by Hakjisa Psychology Examination Research Institute in 2008 and was standardized by Jeon Kyung-Won and Jeon Kyung-Nam was used as a tool for testing group creativity. The test group performed before-after test at the time of 3th and 10th round and the control group also performed it on 2nd and the last 6th round. Creativity test was analyzed after being separated into four sections of fluency, originality, openness, and susceptibility. To look at percentile score about that total score of group creativity result, small groups of 6 teams of the test group's scores were all increased but 2 teams of the control group had decreased score. For the total average of each group, the test group had a large increase in three sections with each 16.17 point, 33.13 point, and 35.91 point except fluency and the total score increased by 11.87. On the other hand, fluency and originality had decreased by 0.87 point and 1.06 point for the control group, and openness and susceptibility increased a little by 6.85 point and 8.1 point but as the total score increased only by 1.91 poin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before and after test. With this test results, it is shown that variable(x) had effect on group creativity. The study tried to define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group creativity through analyzing variable(X), and it was analyzed by dividing largely into an internal factor and an external factor. First, a method of composing small group had an effect on group creativity as the inner factor of group. When forming small groups, composing them with the most different in kind helped for improving creativity according to creativity level, learning ability, specialty, tendency, and gender of students. Second, existence status of responsibility and its reinforcement had an effect on group creativity as the internal factor of group. Formulation of opinions and objectives through role sharing and presentation within small groups had increased cohesion of a team and it became an accelerator of making the group to perform tasks more easily. It was analyzed that if this responsibility factor is removed then motive for performing tasks weakens and it has bad effects on the group as conflict deepens. Third, contact to the diverse related data had an effect on group creativity as the external factor of group. Providing diverse data that are related to the given subject will be an opportunity to break the existing stereotype and to think variously. The test group could have drew many ideas that accord with the subject through diverse data that were collected through various methods of data collection method, however, the control group had hard times or was being bored with unfamiliarity and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subject as they had no change to encounter any data. Therefore, the result that the mapped out ‘Collaboration Design Process’ is helpful for improving group creativity was deducted, and especially all 14 steps must be conduc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reativity. The Limit of study was that research target was limited to 68 people and more in depth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credibility and validity. Moreover, there was some hardships in collecting and analyzing reference data or previous studies as a study on group creativity has not been accomplished much. As there is no examination form for a creativity examination or a group that has been developed, the results are from directing and supervising a group to use the individual creativity examination form through discussion. The ‘Collaboration Design Process’ suggested in this study shall be helpful in increasing group creativity and enhancing collaboration ability by aptly using it on desig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창의성은 전 세계가 집중하는 21세기의 키워드다.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점차 심화되고 다양화되면서 창의성이 가진 집단적, 상호작용적 측면에 주목하게 되었고, 비로소 개인의 창의성을 넘어 집단의 창의성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집단 창의성의 신장을 위해서는 문화와 환경이 매우 중요한데, 학생이 접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환경이 바로 학교에서의 교육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창의성은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는 잠재성이라고 밝히며, 어떠한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창의성의 발현 정도가 달라진다고 말한다. 보통 학교에서의 창의성을 위한 교육은 미술과목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디자인 교육도 함께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의 디자인 교육은 미술교과의 일부분으로 여겨져 그 차이를 알기 어렵다. 이에 초등학생의 창의성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서 미술과는 구분되는 디자인 교육만의 구체적인 방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특히 주목해야 할 집단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명칭을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라 명명하였으며, 직접 초등학교의 디자인 수업에 적용해보고 검증된 창의성 검사를 통해 집단 창의성의 증진 효과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이론연구와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이론연구의 방법으로 국내외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들을 통해 집단창의성의 개념과 구성요소,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사례를 들어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파악한 후에 그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세스 설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연구자들이 내놓은 검증된 협동모형들을 분석·활용하였는데, 여러 협동모형 중 슐로모 샤란과 예일 샤란의 ‘집단탐구 모형’이 초등학생의 디자인 교육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그 구조와 시행 방안을 토대로 디자인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추려내고 부분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계하였다. 실험에 앞서,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험 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총 14단계의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 중 7단계를 ‘변인(X)'으로 설정하여 실험설계를 하여 변인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두 집단은 모두 5학년 학생 3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각 6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의 14단계를 10차시에 걸쳐 모두 시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변인(X)으로 설정된 범위를 제외한 7단계의 프로세스를 6차시에 걸쳐 시행하였다. 집단 창의성의 검사를 위한 도구로는 전경원, 전경남이 표준화하고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에서 2008년 발행한 ‘초등 도형 창의성 검사(K-FCTES)’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3차시와 마지막 10차시에 각각 사전-사후검사를 하였으며, 통제집단도 마찬가지로 2차시와 마지막 6차시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검사는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의 네 영역으로 구분되어 결과가 분석되었다. 집단 창의성 결과의 총점에 대한 백분위 점수를 보면 실험집단의 소집단 6팀은 모두 상승되었으나, 통제집단의 소집단 중 2팀은 오히려 점수가 하락되었다. 집단 간 총 평균을 보면 실험집단의 경우 유창성을 제외한 세 영역 각각 16.17점, 33.13점, 35.91점이 크게 상승되었으며, 총점은 11.87점 상승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는 유창성과 독창성은 오히려 0.87점, 1.06점이 하락하였고, 개방성과 민감성 부분은 6.85점, 8.1점 소폭 상승하였지만 총점은 1.91점 상승으로 사전과 사후가 큰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변인(X)가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인(X)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밝히고자 하였는데 크게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집단의 내부 요인으로 소그룹 구성 방법이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미쳤다. 소그룹을 구성할 때 무작위 구성 보다는 학생의 창의성 수준, 학습 능력, 특기, 성향, 성별을 고려하여 최대한 이질적으로 구성된 집단이 창의성 증진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의 내부 요인으로 책임감의 유무·강화가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미쳤다. 소집단 내에서의 역할 분담과 발표를 통한 의견과 목표의 공식화는 팀의 결속력을 높였으며 개인별 책임감을 강화되어 집단의 과제 수행을 수월하게 하는 촉매제가 되었다. 이러한 책임감의 요소가 제거될 경우 과제 이행의 동기가 약화되고 갈등이 심화되어 집단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집단의 외부 요인으로 다양한 관련 자료의 접촉 유무가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미쳤다. 주어진 주제에 대한 다양한 관련 자료의 제공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게 하는 기회가 된다. 실험집단은 제시된 여러 가지 자료수집 방법을 통해 수집한 다양한 자료를 통해 주제에 부합된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었던 반면, 통제집단은 자료를 접할 기회가 전혀 없었기에, 주제 자체에 대한 생소함이나 이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거나 지루해 하였다. 따라서 설계된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는 집단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특히 14단계의 전 단계가 시행되어야 집단 창의성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한계로는 실험 대상이 68명으로 제한되어 있었다는 점이며,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후 더 많은 실험 집단을 상대로 심층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집단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문헌자료나 선행연구의 수집과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창의성 검사지 또한 집단을 위한 검사지는 아직 개발이 되지 않았기에, 개인별 창의성 검사지를 최대한 집단에서 협의를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지시·감독한 결과임을 밝힌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가 초등학생의 디자인 교육에 적절히 활용되어 집단의 창의성을 높이고, 협업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암석의 지화학적 시간의존성 풍화열화 특성과 환경적 영향

        강선미 안동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urbid-water problems of water reservoirs due to soil weathering, soil erosion and landslides at the natural slopes around dam areas cause a major issue in dam operation in recently. This study presents a methodology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occurrence possibility of turbid-water in four hydrologic basins (Sayeon, Degok, Gwangdong, and Imha Dams), quantifying the weighting value of turbid-water occurrence in reservoirs. Based on analysis of the turbid-water for the soil sampled at the investigated areas, this study conducted indoor tests, including laser-assisted particle size analysis, X-ray powder diffraction method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pectively. These are to give the geolog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soil particle size, settlement time, landslide, and existing sediment yield. The study also used RUSLE models to calculate sediment yield on the basis of soil maps, DEMs, and landcover maps as auxiliary dat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ssification of factors for evaluating the possibility of turbid-water occurrence based on the geological and geophysical parameters such as geology, sediment yield, landslide and soil components. These evaluation items can be offer to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turbid-water using weighting and score calculated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The suggested method can be provide a geotechnical information of the risk factor of turbid-water occurrence in basins and a guideline to estimate the turbid-water occurrence of reservoir around dam area.

      • 사회적 지원이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선미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적 지원서비스와 사적 지지를 파악하여 관리함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회적 지원을 확충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대학병원 1곳과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혈액투석 전문병원 3곳에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혈액투석환자 156명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9년 10월 19일부터 11월 14일까지 4주 동안 질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고,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공적 지원서비스 측정도구, 조성희(1999)가 수정 보완한 사회적 지지척도, 김옥수(1993)가 수정 보완하여 만들어진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액투석환자의 1인 평균 서비스 이용 총수는 3.17개였고, 전체적인 만족도는 전체평균 2.51(±.70)이었다. 혈액투석환자들이 이용하는 공적 지원서비스 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희귀성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활동보조서비스, 의료보호, 가사도우미 서비스, 신장장애인 세금감면 및 할인, 기초생활보호 서비스 순이었으며, 장애연금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2) 혈액투석환자의 사적 지지는 5점 척도에서 평균평점 2.84(±.92)점이었다. 사적 지지 하위 영역별로 보면 정서적 지지가 가장 높은 지지를 보였고,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순으로 지지를 나타냈다. 사적 지지 출처별로는 가족(친척 포함)이 가장 높은 지지를 보였으며, 의료인, 주위사람(친구, 이웃, 종교인), 투석실 동료 순으로 지지를 나타냈다. 3)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 정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평점 2.48(±.864)점이었다. 하위 영역별에서 삶에 대한 태도가 삶의 질이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증상, 건강에 대한 인식, 가족관계 및 경제상태, 정서상태 순이었고, 가장 낮은 삶의 질은 사회적 활동이었다. 4)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결혼상태(t/F 14.757, p<.001), 직업(t/F-4.372, p<.001), 월수입(t/F 7.929, p<.001), 주소득원(t/F 4.104p,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공적 서비스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공적 서비스의 이용총수(r=.312, p<.001)와 만족도(r=.701, p<.001)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사적 지지의 하위영역별 형태와 삶의 질의 관계 모두 정서적 지지(r=.617, p<.001), 정보적 지지(r=.562, p<.001), 물질적 지지(r=.494, p<.001) 순으로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적 지지의 출처별 삶의 질과의 관계도 의료인(r=.629, p<.001), 친구나 이웃(r=.625, p<.001), 투석실 동료(r=.621, p<.001), 가족(r=.289, p<.001) 순으로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적 지지 전체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는 r=.650, p<.001으로 나타났다. 7) 사회적 지원이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소로써는 혈액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대한 독립변수인 혈액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의 전체 설명변량은 26.9%였으며, 회귀모형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10.856, p<.001). 결혼형태(-.385)와 소득수준(-.193)이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혼형태가 이혼이나 사별상태인 경우 기혼이나 미혼 등의 결혼형태에 비해 삶의 질이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소득수준이 200만원 이하의 저소득일 경우 201만원 이상의 집단에 비해 삶의 질을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투석환자들이 경험한 사회적 지원서비스 요인이 추가된 모델 2의 설명력은 62.3%로 전 단계 모델 1에 비해 설명력이 35.4% 크게 증가하였다. 공적 서비스의 만족도(.457, p<.001), 사적 지지 정도(.241, p<.01), 결혼형태(-.152, p<.001) 순으로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사회적 지원서비스가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큼을 확인하였다. 즉, 공적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며, 결혼형태가 이혼이나 사별의 경우 삶의 질이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공적 지원서비스의 만족도와 사적 지지 정도가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혈액투석환자의 욕구 변화 및 실제적인 필요들을 파악하여 공적 지원서비스가 만족스럽게 제공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사회적 지원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며, 혈액투석환자의 사적 지지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사회복지 서비스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혼이나 사별 등 가족의 기능 및 구조의 변화를 경험하는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차별화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 의료사회복지사의 연개가 필요할 것이며, 혈액투석환자의 경제적 부담감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의료지원 또는 경제적 지원의 확대 및 경제적 자활 프로그램의 확대 등 사회적 지원을 확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ried to prepare basic materials that establish social supports for improving lives of hemodialysis patients by understanding and managing public services and private suppor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6 hemodialysis pati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o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and three hospitals specialized in hemodialysis in Seoul or Gyeonggi-do in Korea. Collecting data was accomplished by questionnaire method for four weeks, from 19 Oct. to 14 Nov. 2009. The research tools were measurement method of public support service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a scale of social supports modified by SH Cho(1999), and a scale of the quality of life modified by OS Kim(1993).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1) The average number of service utilization per a hemodialysis patient was 3.17, and overall satisfaction factors were 2.51(.70). Among the satisfaction factors of public support service manipulated by hemodialysis patients in 5-point scale, medical expenses supports to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 has the best factor, and personal assistance service with scale, medial aid, domestic worker service, the disabled with kidney failure tax cut and discount, basic life security service were followed in order of satisfaction factors. Also, national pension plan disability benefits has the lowest factors. 2) The average grade of the private supports of hemodialysis patients in 5-point scale was 2.84(±.92). Looking into their subdivisions, emotional support showed, the highest support, informational suppor, material support were followed in order. In terms of the source of the private supports, family members(contained relatives) showed with the highest support, from the physican, from those around one (friends, neighborhood, religious), from companion in dialysis units were followed in order. 3) The average grade of quality of life on hemodialysis patients in 5-point scale was 2.48(±.864)점. Attitude toward life has the highest in subdivisions of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 recognition for health , family relationship and economic situation, emotion state, and social activities was the lowest quality of life. 4) The quality of life considering demographic features was marital status (t/F 14.757, p<.001), occupation (t/F-4.372, p<.001), monthly income (t/F 7.929, p<.001), main income (t/F 4.104p, <.001), having significant differences. 5)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service and quality of life, the total number of public service (r=.312, p<.001) and satisfaction (r=.701, p<.001)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 to quality of life. 6) Both each form of private support's subdivisions and 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 in order of emotional support (r=.617, p<.001), informational support (r=.562, p<.001), material support (r=.494, p<.001). The relation between sources of private supports and quality of life also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 in order of physican (r=.629, p<.001), friends or neighborhood (r=.625, p<.001), companion in dialysis units (r=.621, p<.001), family (r=.289, p<.001).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private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r=.650, p<.001. 7) Among the factors of social supports that affect quality of hemodialysis patients' life, looking into the general features' influences that affect their quaility of life, the total variance of hemodialysis patients' general feature, a dependent variable, the quality of life about an independnet variable, was 26.9% and regression model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F=10.856, p<.001). It was revealed that the marital form (-.385) and income level (-.193) had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divorce and dereavement, quality of life was lower recognized than the married and never married. In the case of low income, less than two million won, recognition of quality of life was lower than groups with more than two million won income. The descriptive power of model 2 added social support service that had been experienced by hemodialysis patients largely increased from 35.4% to 62.3% comparing prior stage model 1. It could be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service had greatly meaningfully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in order of the satisfaction of the social support service (.457, p<.001), a degree of private support (.241, p<.01), a form of marriage (-.152, p<.001) Thus, the higher satisfaction about public service and degree of private support are, the better the quality of life is. Also, if a form of marriage is the divorced or spouse died, the quality of life become low. In conclusion, as the satisfaction of the public support service and the scale of private support have grea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effective social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properly public support service considering moving and realistic needs of hemodialysis patients and development program and social welfare service that can reinforce the private support system of hemodialysis patients should be practiced.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differentiated social welfare service to hemodialysis patients who experienced the changes of family function and structure, such as a divorce or separation by death, the connections with professional medical social workers are needed and social supports, such as increasing medical, economical supports and self-support program, that are able to reduce the economical burden of hemodialysis patients, should be expanded.

      • 아산만의 조하대 환경과 대형저서동물 군집 변화

        강선미 군산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산만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을 분석하기 위해 2014년 2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조하대 10개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해수의 수온, pH, 용존산소(DO),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PM)과 퇴적물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와 강열감량(IL),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적분포, 우점종, 저서오염지수를 분석하였다. 해양 수질 중 수온은 전형적인 온대 수역으로 여름철에 높았고, 겨울철에 낮았다. 해수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총질소(TN) 및 총인(TP)은 담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공간적인 변화양상을 보였다.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총 종수는 392종, 서식밀도는 1,755 ind./㎡, 36.34 gWWt./㎡생체량은 로 환형동물이 143종, 1,248 ind./㎡으로 출현해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상위 5% 이상 우점종은 총 5종이었으며, 환형동물이 4종, 연체동물이 1종이 출현하였다. 최우점종은 길쭉둥근울타리갯지렁이(S. ishikawai, 15.26%)가 출현하였으며, 작은사슴갯지렁이(A. arctica, 14.28%)가 차우점하였으며, 종밋(M. senhousia, 14.08%), 버들갯지렁이류(M. californiensis, 8.29%), 버들갯지렁이류(H. filiformis, 7.39%) 순으로 나타났다. 종 풍부도지수는 평균 3.22, 종 균등도지수 평균 0.74, 그리고 종 다양도 지수는 평균 2.14로 산출되었으며, 종 풍부도지수와 다양도지수는 봄이나 여름철 그리고 만의 내측보다 만의 외측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사도(Bray-Curtis 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방조제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정점에서 풍부한 생물상을 보였고, 이에 반해 만의 외측정점에서 빈약한 생물상을 보였다. 만의 외측정점에 기여한 종은 버들갯지렁이류(H. filiformis, M. californiensis)로 주로 세립질 퇴적물에서 유기물 오염이 진행된 지역에서 출현하고, 만의 내측정점에 기여한 종은 작은사슴갯지렁이(A. arctica)와 버들갯지렁이류(H. filiformis, M. californiensis) 그리고 종밋(M. senhousia)으로 이질적인 퇴적상을 선호하고, 환경교란이 내제되어 있는 곳에서 대량 출현하는 특징을 갖는다. 저서오염지수(BPI) 분석결과, 평균 BPI 값은 39로 보통오염된(Moderately polluted) 상태를 나타냈다. 여름철에 가장 많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의 외측 보다 만의 내측에서 상대적으로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community structure, dominant species and polluted condi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at 10 stations in Asan Bay from February, 2014 to November, 2018. The sea water temperature was high in summer and low in winter.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of seawater has changed spatially due to inflow of freshwater. The total species number of macrobenthic community was 392, the mean density was 1,755 ind./㎡, the mean biomass was 36.34 gWWt./㎡. The annelida were highest occured with 143, 1,248 ind./㎡. The dominant species occurred 5 species. The first dominant species was Sabellaria ishikawai (15.26%) and followed by Ampherete arctica (14.28%), Musculista senhousia (14.08%), Mediomastus californiensis (8.29%), and Heteromastus filiformis (7.39%). A result of ecological index analysis, mean richness was 3.22 evenness 0.74, and diversity 2.14 in total. The richness and diversity were occurred highest in Spring or Summer and higher in the outer bay than near the dike(Asan dike and Sapkyo dike). A result of the Bray-Curtis similarity macrobenthic communit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a(station 4), group b(station 6), group c(in the outer bay), and group d(near the Asan and Sapkyo dike). Number of species and mean diversity were higher in group c than group d, but mean density was higher group d than group c. Mean Benthic Polluction Index (BPI) was 39 and moderately polluted. From the perspective, the most polluted summer and polluted near the di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