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층 고속열차 운영 요구사항 검토

        강대현(DaeHyun Kang),김대식(DaeSik Kim),정형일(HyeongIl Jeong),소진섭(JinSub So),김진우(JinWoo Kim),정승택(SeungTaek Jung),이성준(SeoungJun Lee),김주원(JooWon Kim),김용한(YongHan Kim)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서울-오송 구간 수송수요 급증 등으로 인해 출퇴근 시간 및 금요일 수송수요가 폭발적 증가하여 선로용량이 포화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급증하는 수송량을 수용하는 방안으로 2층 고속열차 운행이 최적의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은 2층 고속열차 운영기술 개발에 따른 철도공사 내부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하며, 2층 고속차량 설계 시 적용 가능한 운영 요구사항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철도공사 내부의 전문가 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의 승강장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2P6T 편성이 63.3%로 나타났으며, 1,2층 고정식 좌석의 선호도가 59.4%로 나타났다. 승강장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기존 고속선을 활용하는 저상홈이 60.1%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이점을 줄 수 있는 관절 대차가 61.9%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The railway capacity is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saturated as the transportation demand during rush hour and Fridays rapidly increases due to the high demand of Seoul-Osong section. Accordingly, the double deck high speed train is considered as an ideal alternative to solve the fast-growing traffic volume of railroad. This study firstly analyzed the opinions of internal experts of KORAIL who are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double deck high speed train. Next, a survey was conducted to 36 internal experts to extract the requirements of operational application when designing the double deck high speed train. The results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2P6T type using current platform interface showed 63.3% of preference, while 1&2 layer fixed seats represented 59.4%. As regard to the platform interface, ground level loading pavement using existing high speed railway showed 60.1% of preference, and articulated bogie with various benefits represented 61.9% of preference.

      • KCI등재

        시민교육과 사회과 교육과정

        강대현(Kang Dae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3

        이 논문은 시민 교육을 위해 사회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와 관련해서 사회과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사회과 교육과정이 이론상의 표면적인 논쟁과 달리 현실적으로는 대부분 사회과학 지식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제 수업에서 실현되는 교육과정인 사회과 수업 역시 사회과학 지식의 전달과 수용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동시에 기존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상의 내용 구성 방식을 분석하여 사회과학 지식 중심과 사회문제(쟁점)나 활동 중심을 이분법적으로 접근해 왔던 것을 중요한 문제점으로 제기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식, 기능과 사고, 가치ㆍ태도, 의사결정 및 행동 능력을 골고루 길러줄 수 있는 시민 교육을 하기 위해서 이러한 이분법으로부터 탈피함과 동시에, 사회과학 지식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의 비율을 줄이고, 사회 문제나 쟁점 중심 교육 내용 구성과의 균형을 기할 뿐만 아니라 양자의 종합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 및 진단 결과를 토대로 지식 중심과 문제 중심을 종합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몇 가지 예시와 고려 사항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incipl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struction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about how the method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struction is appropriate to realize citizenship education that knowledge, skill and thinking, value and attitude, decision making and action are developed without omitting anything. First, this treatise is to criticize that the contempor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social science knowledge-center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at social issue or problem-centered curriculum is needed to realize citizenship education that knowledge, skill and thinking, value and attitude, decision making and action are developed without omitting anything. Second, this treatise is to analyze the contempor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o show the problems and limits of social science knowledge-centered curriculum and the necessities social issue and problem-centered curriculum supplementation. The third, in the base of this analysis, the sample and consideration for the synthesis of knowledge-centered curriculum and issue-centered curriculum are proposed.

      • 데이터 마이닝과 집단 지성 기법을 활용한 소셜 콘텐츠 추천 방법에 대한 연구

        강대현 ( Daehyun Kang ),박한샘 ( Hansaem Park ),이정민 ( Jeungmin Lee ),권경락 ( Kyunglag Kwon ),정인정 ( In-jeong Ch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웹 기반 서비스의 발전과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사용자들은 다양한 웹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소셜 웹과 같은 사람들 간의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에 접근하 여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 공유하기가 용이해졌다. 그러나 소셜 웹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지식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방대한 양의 지식들 중 필요한 정보만을 효율적으로 창줄해내고자 하는 연구 또한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다수의 서비스 사용자들의 공통적인 관심사가 반영된 결과를 도출해내기에는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집단 지성 알고리즘과 의사 결정 나무를 활용하여 소셜 웹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태그와 URL 정보를 토대로 트렌드를 분석,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하여 다수 사용자들의 기호가 반영된 다양한 정보들을 소셜 웹 사용자들에게 제공해줄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 분석 연구

        강대현(Kang, Dae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논의되어 온 교사 효과성, 교과 전문성, 반성적 실천가 논의 등 사회과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관련 논의들의 종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하여 사회과교사 전문성 발달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일반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교사 효과성, 교과 전문성, 반성적 실천가 논의 등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과 교사 전문성의 다양한 차원을 보여주는 것으로, 비록 일부 중첩되는 측면도 있지만 상호보완적이고 단계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실천적인 관점에서 충분히 종합 가능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과 교사 전문성 연구의 종합을 토대로 세 가지 논의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항목 및 요소를 사회과 교사 전문성 발달을 분석하는데 있어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차원으로 통합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사회과 교사 전문성 발달을 교사 효과성, 교과 전문성, 반성적 실천가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일반 틀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research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such as teacher effectiveness, subjec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reflective practitioner. And it is to seek a synthesis of those discussions. On the basis of synthesis, it is to make the general framework that the development degree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can be analyzed comprehensively. This study is saying that the discussions of teacher effectiveness, subjec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ism, reflective practitioner are not exclusive to one another and that they represent the various dimensions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although the each one is partially folded. Because they are generally complementary with one another and have step by step nature, it is possible to synthesize them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On the basis of that synthesis, this study brings the discussions of teacher effectiveness, subjec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reflective practitioner together as the dimensions and elements needed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general framework that the development degree of social studies teacher professionalism can be analyzed comprehensively in the three dimensions of teacher effectiveness, subjec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reflective practitioner.

      • 기후변화와 실내농업의 미래

        강대현(Daehyun Ka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전 세계 식량 공급 문제가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지난 40년간 전 세계 평균기온은 약 0.8°C 높아졌으며, 우리나라 역시 약 2.4°C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농업환경에서 1°C의 기온변화는 작물 생산량에 있어 매우 큰 의미를 가지며, 이미 국내ㆍ외 농작물 생산량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온이 5°C까지 상승하게 되면 해충 서식지 확대 및 고온에 의한 생육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쌀 생산량이 약 15% 감소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쌀을 주식으로 하는 국가에서는 큰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의 3대 키워드는 탄소저감 기술적용과 더불어 ①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 ② 후속 농업세대의 스마트한 노동, ③ 소비자 맞춤형 친환경 농업으로 정리할 수 있다. 실내농업은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이 최소화된 연중 생산체계 확립을 통한 수익 안정성 및 다단 재배를 통한 수량성이 동시에 확보된 지속 가능한 농업 시스템으로, 노동친화적 작업환경 제공을 통한 스마트한 농작업이 가능하며, 또한 無농약, 無GMO, 無오염 조건에서 생산된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농업’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팜은 기존의 노지농업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새로운 농업의 형태로서, 온실형(Greenhouse type)과 실내형(Indoor type)으로 분류된다. 온실형은 자연광을 활용하는 형태이며, 수직농장(Vertical Farm, 식물공장)이라 불리는 실내형은 LED를 이용한 인공광이 적용된 스마트팜이다. 스마트팜 개념은 1960년도에 우주선 내에서 채소를 재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어 현재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싱가포르의 경우, GDP 대비 농업 비중은 약 0.2%에 불과하고 식량의 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기후변화의 대응과 함께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인지한 싱가포르 정부는 생산기술 향상을 통해 2030년까지 식량자급률을 30%까지 확대하는 이른바 ‘30-by-30 PLAN’을 2019년부터 추진 중에 있고, 정책의 핵심에 바로 스마트팜이 있다. 이와 더불어 2030년까지 스마트팜에 대대적인 투자를 예고한 바 있다. 국내 기술로 남극 세종과학기지에 구축한 컨테이너형 스마트팜(Container Farm)은 남극의 혹독한 기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컨테이너에 보온ㆍ단열기능을 강화하고 내부에 작물 재배시스템을 설비한 것으로, 양상추 등의 잎채소뿐 아니라 토마토와 같은 과채류까지 동시에 재배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컨테이너팜이다. 시설 내부에는 통합관제시스템, 원격모니터링시스템 및 원격제어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서 작물재배 상태를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은 중동, 몽골, 러시아, 카자흐스탄, 동남아시아 등 해외 수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수입국의 특징은 아주 덥거나 추운 날씨로 인해 일반적인 농업체계로는 정상적인 농작물 생산이 힘든 지역이다. 컨테이너팜을 포함한 실내형 스마트팜은 기후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 농업이 가능하도록 개발, 적용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팜이 보급되고 있다. 대량생산을 위한 실내형 스마트팜은 수익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규모 기업형 스마트팜으로 강원 태백, 양양, 원주, 전남 무안, 충북 괴산, 전북 익산 등에 구축되어 매일 수백 kg씩 채소를 생산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다. 보급형 스마트팜은 주로 도시 외곽 농촌 지역의 수직농장으로 겉으로 보기에 비닐온실처럼 보이지만 내부는 밀폐형 수직농장이다. 6층 다겹 소재로 특수 제작된 비닐온실이며, 혹서기나 혹한기에도 외부 기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수직농장을 구축할 수 있는 보급형 스마트팜이다. 현재 F&B 연계로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는 수직농장도 많이 구축되고 있는데 서울 지하철 역사, 이케아, 부산 고래사 등 인테리어까지 겸하면서 직접 재배한 채소를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다. 교육용 수직농장으로 학교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농업 및 원격 제어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고 급식용 채소를 직접 재배하여 이용하기도 하며, 수직농장의 쾌적 환경에서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 창출도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아파트 유휴공간에 스마트팜 시설을 구축하여 입주민에 대한 공동복합시설로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며, 현재 여러 건설회사에서 스마트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플랜테리어(Planterior) 개념을 적용한 인테리어용 스마트팜 역시 활성화되고 있으며, 집에서 직접 식물을 재배하며 수확할 수 있는 가정용 소형 스마트팜도 활발히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팜은 기후변화에 적응한 지속 가능 미래농업의 최종 형태로 볼 수 있다. 지구온난화 예방을 위해서는 탄소가스 배출 감소가 필수적이며, 도시형 스마트팜은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한다는 점과 함께 생산자와 소비자간 직접 거래를 통한 유통비용 및 물류비용 절감을 통해 탄소 발생도 저감되는 간접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수소연료발전, 태양광 발전 등 청정에너지와 연계된 스마트팜 개발도 구체화되고 있어, 앞으로 스마트팜이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식량을 공급하는 미래농업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국외 도시철도차량 부품구성체계 조사 분석

        강대현(DaeHyun Kang),양정무(JungMoo Yang),김주원(JooWon Kim),정지은(JiEun Jung),정효순(HyoSoon Jung)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현재 운용 중인 도시철도 차량 부품은 물리적 형태 및 통신규격 인터페이스가 상이하여 부품 호환성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 해결책으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체계 및 부품군 모듈화 마련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도시철도 차량 부품 인터페이스 모듈화를 통해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유지보수 효율화와 도시철도 부품생산기업의 소품종 다량생산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국외 도시철도차량의 부품구성체계를 조사 분석하여 국내 도시철도차량의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Urban railway vehicle components currently being operated, to interface physical form and communication standards are different, causing the compatibility decrease in parts. As a soluti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interface systems and components group modularization is necessary, ongoing efficiency of the maintenance of urban rail vehicle parts city rail operator engine via an interface module of the urban railway parts production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mall species mass production of the company is needed. In this paper,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BOM of international urban rail vehicle, want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domestic urban railway vehicle.

      • 국내외 도시철도 차량 모듈화 사례 및 발전방향 고찰

        강대현(DaeHyun Kang),양정무(JungMoo Yang),김주원(JooWon Kim),정지은(JiEun Jung),정효순(HyoSoon Jung)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5

        현재 운용 중인 도시철도 차량 부품은 물리적 형태 및 통신규격 인터페이스가 상이하여 부품 호환성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 해결책으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체계 및 부품군 모듈화 마련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도시철도 차량 부품 인터페이스 모듈화를 통해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유지보수 효율화와 도시철도 부품생산기업의 소품종 다량생산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도시철도 차량 부품 인터페이스 모듈화 지원정책 및 추진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1990년대부터 해외 철도분야는 기능/성능에 대한 모듈화 기술을 확보하여 왔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 모듈화 기술에 20여년 이상 뒤쳐져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국내외 도시철도 차량의 모듈화 사례를 조사하고, 향후 도시철도 차량 부품 인터페이스 모듈화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Urban railway vehicle components currently being operated, to interface physical form and communication standards are different, causing the compatibility decrease in parts. As a soluti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interface systems and components group modularization is necessary, ongoing efficiency of the maintenance of urban rail vehicle parts city rail operator engine via an interface module of the urban railway parts production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mall species mass production of the company is need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rail vehicle parts for foray into overseas markets interface module of support policy and propulsion system. In the overseas railway sector since the 1990s it has been to ensure the module technology for function / performance, but, in the case of South Korea, is a situation that has been delayed for more than 20 years overseas module technolog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domestic and foreign modular case of urban rail vehicle, to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interface module in the future of urban railway vehicle parts.

      • KCI등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강대현(Kang, Dae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이 해방 직후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동안 사회과는 도입 이래 여러 차례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고, 특히 7차 이후 수시 개정 체제로 바뀌면서 2007, 2009 개정 시기에는 잦은 변화를 겪어서 이에 대한 종합적인 성찰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각 개정 시기별로 어떻게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졌고 교과목 체제와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변화를 다루고,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전반적인 양상에 대해서 논의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그동안의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살펴보면 크게 네 가지 양상이 나타난다. 첫째 국가 주도 하에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 항상 국가주의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 주요 개정 내용이 되어 왔다. 둘째 대체로 총론이 개정을 주도하는 상황이 전개되어 교과 편제 및 시수를 바꾸는 것이 우선되어 왔다. 셋째, 통합 대 분과의 대립 속에서 영역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분과 체제가 강화되어 왔다. 넷째, 현장과 괴리된 개정으로 초·중등 교육 및 대학 교원 양성 체제의 왜곡을 가져 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had been revised and changed from Syllabus period to the 2009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Until now,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had been revised from Syllabus period to Seventh curriculum as the periodic revision system and had been changed from 2007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the provisional revised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ystematically. First of all,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 of background and factors affected the relevant curriculum for each revision.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is study deals with the overall flow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specific chan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dalities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result, we have been looking over the revision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find the four modalities. First, curriculum was amended by the nation and to reflect the nationalist element was a major amendment. Second, educational theorists led the revision process and priority was to change the organization and hours of curriculum. Third, the conflict between the areas of social studies was intensified with the confro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vs. separated curriculum and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was weakened. The fourth, the revision was separated from field and the distor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teachers training system appeared.

      • KCI등재

        사회과 평가 문항 개발의 기본 방향 탐색

        강대현(Kang, Daehyun),이정우(Lee, Jungw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1

        이 연구는 지식과 기능 및 사고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사회과 평가 문항 개발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탐색한 연구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사회과 평가의 주요 방향으로 지식, 기능 및 사고, 가치ㆍ태도 영역의 균형적인 평가를 제시하고 있으며, 기존의 사회과 관련 문헌에서도 지식, 기능 및 사고, 가치ㆍ태도 영역의 균형과 조화를 통한 민주시민의 양성을 사회과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지식, 기능 및 사고, 가치ㆍ태도는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종합적으로 학습되어야 하는 것처럼 평가 국면에서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식 중심 측정 혹은 기능 및 사고 중심 측정 문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식과 기능 및 사고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문항이 사회과의 성격 및 목표에 비추어 바람직한 문항 유형인 동시에 다른 문항 유형에 비해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도 우수한 문항임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지식과 기능 및 사고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 사회과 평가 문항 개발 차원에서 강조되어야 할 기본 방향임을 주장하고 있다. In this study, researchers searched the necessity and serviceability of social studies question items which measure knowledge and skill & thinking comprehensively. The main principle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i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balanced evaluation which measure knowledge, skill & thinking and value & attitude comprehensively. Many social studies researches also present th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s making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 balanced education between knowledge, skill & thinking and value & attitude. Researchers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e items which measure knowledge, skill & thinking and value & attitude separately by analysing the question items of the Korean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emphasized that the comprehensive social studies question item is better than the separated ones.

      • KCI등재

        시민교육과 학교 개혁

        강대현(Daehyun K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2

        이 논문은 시민교육이 일정 부분 정규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기초한 교과교육을 넘어서는 영역이며, 특히 학교와 교실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잠재적 교육과정이 시민교육에 있어 중요하다는 것은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시민교육이라는 관점에서 학교의 위상 및 역할과 현행 학교와 교실의 특징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현재 국내외로 진행되고 있는 학교 개혁의 문제점과 그동안 지속적으로 운영되어 온 대안학교의 특징을 분석하여 시민교육을 위한 학교 개혁 방안에 대한 시사를 얻고 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시민교육 위한 학교 만들기’에 대한 제언을 통해서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우리의 학교 개혁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mention that citizenship education is above social studies education as a subject specific teaching in the formal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o point out that hidden curriculum in school and classroom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citizenship education. And in the viewpoint of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school and the problem of school and classroom. And in the process to analyze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school reformation and the attribute of alternative school, this study is to get the new vision of school reformation.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school reformation to rebuild school for citizenship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