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 -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

        강대중(Kang, Dae Joong),김의태(Kim, Euitae),박지숙(Park, Jisuk),최선주(Choi, Seonjoo),최일선(Choi, Ilse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7 평생교육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주로 거대담론으로 다루어진 평생학습을 미시 혹은 중시적 접근으로 이론화하는데 필요한 중심 개념을 탐색하는 것이다. 평생학습의 시간축, 공간축, 의미축을 포착하기 위해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을 평생학습이론의 중심 개념으로 제시하였다. 학습 자자세는 학습활동을 사회문화역사적 현상으로 파악하기 위한 개념으로, 조건화된 학습자가 학습 사건을 경험하며 성취하는 행위자성이다. 학습관리장치는 인간의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학습활동에 개입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집합체이자 요소들(담론, 제도, 조직, 도구 등) 사이의 네트워크이며 학습자와 연결된 권력/지식과의 관계 속에서 작동한다. 맥락지식은 과학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의 이분법을 넘어 학습활동이라는 맥락에서 의미를 갖는 지식이다. 세개념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학습관리장치는 맥락지식의 유통을 통해 학습자를 (재)생산한다. 학습자자세는 맥락지식의 변형과 창출 및 유통을 위한 새로운 학습관리장치의 생성을 가능케 한다. 맥락지식의 유통은 학습활동의 발생 조건이다. 세 개의 중심 개념에 대한 후속 작업을 통한 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해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전개되어 온 평생학습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를 향후 과제로 제안하였다. Lifelong learning has so far been studied mainly within a macro discourse, being more of a policy rhetoric than a concept to figure out human learning activities. While adult learning theories have given plausible explanations for the learning phenomena within certain phases or stages of life in adulthood, it does not succeed in exploring lifelong learning activity and its impact on the formation of one’s life itself.  In addition to the given macro discourse, this paper proposes a lifelong learning theory from the micro- and/or meso-level approach. To account for life stages (the progressive lifespan angle), domains of life (the horizontal life-wide angle), and life meanings (the axial life-deep angle), we introduce three core concepts and discuss their interrelationship. (1) Learner positions show what learners exhibit when experiencing learning events. (2)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es represent all factors such as discourses, institutions and learning tools as well as the network among the factors, which engage in one s learning activities. (3) Contextual knowledge reveals what learners read into their learning activities. As to the interrelationship,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es (re)produce learner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contextual knowledge. Learner positions enable learners to create new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to distribute, modify, and create contextual knowledge. Contextual knowledge lays the groundwork for learning activities. These core concepts require being substantiated and embodied by a empirical case studies to derive a lifelong learning theory that can tell more about our learning lives. 

      • KCI등재

        평생학습 연구 방법으로 학습생애사의 의의와 가능성 탐색

        강대중(Kang, Dae Jo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1

        한국 사회의 상황 맥락 속에서 학습자의 평생에 걸친 학습이 어떻게 전개되며, 학습의 결과로 학습자 자신과 그 상황 맥락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라는 질문은 평생학습에 대한 자생이론 구축에 매우 중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학습생애사가 평생학습 연구에 갖는 의의와 연구 방법으로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학습자인 제보자에게 학습생애사는 자신의 평생에 걸친 학습과 삶의 경험을 성찰하는 일종의 학습경험이자 과정이라는 의의가 있다. 연구자에게 학습생애사는 학문적 맥락 속에서 학습자의 삶과 학습을 재해석해 평생학습에 관한 이론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기능한다. 이 글은 연구 방법으로 학습생애사를 검토하여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평생학습에 대한 논리적인 개념 망의 필요성을, 분석단위로는 학습조건, 학습사건, 학습자 자세, 조건화된 학습자를 제시하였다. 해석의 구체적인 한 방법으로 포스트모던 내용분석을 제안하고, 학습생애사 쓰기와 관련된 쟁점을 검토했다. Exploring the lifelong process of learning and its resultant construction of the learner and his/her life contex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 of research to build an authentic Korean lifelong educa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life history as a lifelong learning research method. Life history is what people reflect on and interpret their past lives. Therefore, it naturally reveals how people manage their learning. As a research method life history enables researchers to construct lifelong learning theory by re-interpreting the learner's interpretation. The author discusses the need of theoretical lens to look at lifelong learning phenomena and suggests four different units of analysis-learning condition, learning event, subject-position, and conditioned subject. The author proposes the postmodern content analysis as a way of interpreting the data. The author also discusses issues in writing up life history.

      • KCI등재

        평생학습 이론의 확장 - 두뇌과학의 시사점

        강대중(Kang Dae Jo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1

          평생학습에 대한 정교한 개념과 이론의 구축은 학교를 중심으로 한 기존 교육학의 대안 담론으로서 평생교육학의 위상 정립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최근 두뇌 과학의 발전은 평생학습에 대한 이론 구성에 중대한 도전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두뇌 과학 연구로부터 평생학습의 이론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경험과 학습과정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두뇌 과학의 성과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두뇌과학이 학습자, 학습경험, 학습과정, 학습의 상황 맥락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며, 학습경험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를 어떻게 창조하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평생학습 경험조직론’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평생학습 경험조직론’은 두뇌지도와 같이 평생학습의 지도를 고유한 개념 창조를 통해 만들어야 하며 이는 학습경험의 상황 맥락을 탐구하는 ‘평생학습 문화론’과 동시에 추구 되어야 함을 제시했다.   Lifelong education research requires elaborated concepts and theory on lifelong learning in order to position itself as an alternative discourse to the given school-oriented educational research. Recent development of brain sciences challenges lifelong learning theory-building. This study aims to find implications of neurobiological insights into the lifelong learning research. The author reviews various brain researches in terms of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the author argues that brain sciences open a new perspective on the learner,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context. Also the author argues that a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lifelong learning experiences is required in order to explore how learners are creating themselves through constructing their own learning experiences. This research topic needs to map lifelong learning with new concepts. It also requires a study on the lifelong learning culture in which learning experiences are embedded.

      • KCI등재

        사회적기업과 평생교육학

        강대중(Dae Joong Ka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이 글은 최근 시민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상황 맥락 검토, 사회적기업의 교육장치에 대한 현상적 탐구, 미래 제언을 통해 평생교육학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사회적기업의 현황 및 개별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평생교육학의 맥락에서 논의했다. 사회적기업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교육활동에 주목하여 사회적기업 내의 교육장치를 토대 만들기와 도제식 전수 교육장치, 사회적기업 내부의 획득형 교육장치, 외부 전문 교육기관과의 연계형 교육장치, 조직정체성과 참여형 교육장치 등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후속 연구과제로 사회적기업을 인큐베이팅하는 교육 프로그램과 경로 연구, 사회적기업의 독특한 조직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장치의 형태와 그 작동과정 연구, 사회적기업을 통해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소비와 소비자 학습공동체 연구를 제안했다. 평생교육 연구 영역으로 사회적기업의 탐색은 평생교육학의 이론을 창출하는 터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its social context, educational phenomenon and the future directions to expand lifelong education research. The author reviews current status and related issues of social enterprise based on the data from latest reports and various case articles. The author discusses four types of educational apparatus in social enterprise: apprenticeship type, acquisition type, networking type, and participation type. Three research area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are suggested. First, many programs are specifically designed to incubate social enterprises and entrepeneurs but evaluation of their content and effect have not been conducted. Also incubating courses of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explored. Second, it is needed to study educational apparatus in constructing organizational identity in social enterprise. Third, some social enterprises work hard to create and sustain communities of consumers, which may shed light on understanding new citizenship i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Exploring social enterprise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may contribute to building new theories in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학습하는 부모: 평생학습시대의 학부모 담론 재구성

        강대중(Kang, Dae Joong)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고령화, 지능정보화와 더불어 한국 사회를 해독하는 중요한 기표로 등장한 평생학습 관점에서 학부모 담론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저자는 평생학습이 한 개인의 생애 동안 지속적으로 학습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미를 넘어 교육시스템의 재구조화를 추동하는 정책적 관점과 개개인의 생애경로를 형성 변모시켜나가는 전기적 학습의 관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Alheit와 Dausien(2002)의 논의를 빌어 주장한다. 후자의 관점에서 평생학습은 각 사람이 생애 전개 과정에서 경험하는 이행의 국면을 파악하는 안목을 제시한다. 이 안목에서 학부모는 단순히 학교에 포섭된 존재에 부여하는 정체성이 아니다. 자녀의 출생과 더불어 부여되는 일종의 생물학적, 자연적 존재인 부모로부터 학부모라는 사회적 존재로의 이행이 평생학습으로 가능하다면, 그에 대한 심화된 연구 기획이 필요하다. 저자는 부모와 학부모의 담론적 지위를 구분하고, 학부모를 ‘부모 됨을 학습하는 존재’로 재개념화하고 ‘학습하는 부모’로 그 의미를 확장할 것을 요청한다. 이를 통해 저자는 학부모 연구의 새로운 영역과 주제를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school-parents dis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The author argues that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is more than an individual should participate in learning throughout one s life. Using Alheit and Dausien, the author argues that lifelong learning is, first and foremost, raising a policy perspective to reorganize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and second, providing a perspective to understand various transitions throughout one’s life progression in terms of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latter perspective, school-parents are not a given identity of who is subjected to school. If the transition from parents to school-parents is possible through lifelong learning, more research on this process is needed. The author argues that we should divide the discourse position of school-parents from parents, and asks for recognizing those who learn to become school-parents. The author discusses new research topics in the study of school-parents.

      • KCI등재

        자력학습 인터넷 논객들의 학습생활 연구

        강대중(Kang, Dae Joong),최선주(Choi, Seon Joo),이승협(Lee, Seung Hyeop)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4

        인터넷과 디지털기기의 발전은 사람들의 학습 방식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키며 전통적인 지식인과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지식세력인 인터넷 논객의 출현을 가져왔다. 실제로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전후에 포털사이트 다음(Daum)의 토론방 아고라(Agora)에는 ‘미네르바’를 비롯한 많은 인터넷 논객들이 등장하였고, 이들이 올리는 글은 사회적으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흥미로운 점은, 다수의 논객들이 제도권 교육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배워나간 자력학습자라는 것이다. 이 연구는 제도적 교육기관이나 시험제도와 같은 타율적 학습관리 시스템 밖에서 자기 관리 하에 진행되는 학습활동을 이론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자력학습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자력학습자인 인터넷 논객의 학습생활 양상과 사회경제적 맥락 및 인터넷 환경과 학습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결과, 자력학습 인터넷 논객들은 경제위기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기인한 공유된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학습을 관리하는 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논객들은 아고라 경제토론방이라는 맥락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학습의 결과를 책으로 출판함으로써 온라인을 넘어 사회에서도 인정을 받게 되었다. 인터넷 기술과 문화, 사회경제적 조건들은 자력학습을 통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터넷 논객의 등장과 성장을 추동 및 촉진하고, 한편으로 일정한 제약을 가하는 등 학습생활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이 연구는 오늘날 제도적 교육관리 시스템 밖에서 학습동기, 학습과정, 학습결과의 사회적 인증까지 형식교육의 장면과는 다르게 구성된 자력학습생활의 양상을 포착하고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advent of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has rendered the emergence of internet disputants who can be referred as a new kind of intellectual. As a typical example, in 2008 many internet disputants appeared at a bulletin board called Agora Economy Room which is housed in the Korean portal site Daum in response to global economic crisis. What is interesting is that majority of disputants were autodidacts who learned expert knowledge without formal higher education. Research into autodidact is meaningful to adult and lifelong learning field because it follows the tradition of paying attention to learning practices which occurs beyond formal education. In this sens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learning life of internet disputants who educated themselves. Internet disputants shared similar learning motivation which stems from social context of economic crisis. Also, as autodidacts, they were equipped with great self-management skills for their learning. Although they were autodidacts, their learning were influenced highly from the internet bulletin board contexts. Their learning outcomes were not limited to online contexts. They even published books as a result of their learning life. By exploring the learning life of internet disputants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autodidacticism which means ‘self-learning’ is not independent from technolog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 KCI등재

        노동운동 출신 지역활동가의 정체성 이행과 학습활동 연구

        신민선(Shin, Min Sun),강대중(Kang, Dae Jo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 생애의 관점에서 1980년대와 90년대 학생운동과 노동운동 경험을 가진 지역활동가들의 정체성 이행과 학습활동을 탐색하는 것이다. 정체성 이행을 경험한 연구참여자 네 명을 선정하여 생애사 연구 방법으로 그들의 학습활동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정체성 이행과 학습활동은 상호 관계적 맥락으로 파악되었다. 정체성 이행은 시대적 상황에 대한 저항과 약자와의 관계 속에서 ‘타자 인식’, ‘타자 동일시’, ‘타자 수용’의 양상을 보였고 자신의 정체성과 ‘저항’, ‘균열’, ‘수용’하는 ’동일시‘의 관계를 나타냈다. 학습활동은 정체성 이행에 따라 ① 같이 의식을 키워가는 학습활동, ② 앎을 실천하는 학습활동, ③ 삶에서 배우는 학습활동으로 변화되었다. 학습활동은 타자성에 기반한 실천 학습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는 정체성 이행을 평생학습 연구의 한 영역으로 확장하고 학습활동을 사회적 실천과 균형적 관점에서 탐색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and learning life of local activists with experiences of student and labor movement in the 1980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life. For this, four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implementation of students, workers, and local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their lives were examined us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identity implement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are identified as inseparable relationships in the inter-relational context. The identity transition displays the patterns of others recognition, identification, others acceptance based on othernes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weak and resistance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shows an identification relationship with resistance, crack, and acceptance. According to the identity implementation, learning activitie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reality of the times into ① learning activities to raise awareness together, ② learning activities to practice knowledge, and ③ learning activities in life.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living life have been proposed and embodied in concrete stages as social practical learning that drives social change. This study attempts to advance the empirical discussion of adult learning one step further by expanding the meaning and location of identity to a study of lifelong learning by exploring learning activities and social practices from a balanced perspective.

      • KCI등재

        노숙인 자립을 위한 인문교양교육의 가능성

        김의태(Eui Tae Kim),강대중(Dae Joong Ka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3

        노숙인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기회를 얻기가 어렵다. 이런 점에서 평생교육의 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노숙인 대상 인문교양교육은 응급 구호와 물질적 차원의 일시적 지원과 달리 자존감 회복과 자기성찰을 통해 자립할 수 있는 근원적인 힘을 확보하는 통로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노숙인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가치를 회복하고 장기적으로 삶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계기로서 인문교양교육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한성공회 노숙인다시서기지원센터가 운영하고 있는 〈성프란시스대학 인문학과정〉을 사례로 삼았다. 이 사례를 통해 노숙인을 성인 학습자로 간주하는 프로그램의 구조와 특성을 제시하고, 실제 프로그램 참여 노숙인의 학습경험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제시했다. 노숙인은 참여과정에서 ‘경계’에 서있는 학습자로서 경제적 어려움과 현실과의 괴리감 등으로 내적 갈등을 겪기도 했지만, 대화와 토론, 글쓰기 경험을 통해 자신의 생애경험과 맞물려 인문학적 질문들에 대한 성찰과 실존적 대화를 경험했다. 또 교육프로그램이 하나의 생활세계로 자리 잡으면서 타인과의 갈등을 해소하며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학습하기도 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노숙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평생교육적 접근의 필요성과 의의를 논의했다. Disconnected from the previous life, homeless people seem to live only for survival. Especially, because the homeless are disadvantaged groups, they are socially excluded from educational programs that provide chances to change their lives.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non-formal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aiming to empower them so as to stand by themselves. This study examined a Korean Clement course for the homeless in terms of its program content and principles of management. The participating homeless people learned how to practice self-respect and self-reflection.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is different from providing food and shelter. Educational intervention assumes the homeless as active learners. As successful case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are reported continuously, it proves that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educational program can give adult homeless learners a transformative opportunity for life. We should provide the homeless wit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at aim to recover human dignity and find a better way of life.

      • KCI등재

        섬유상 담체를 이용한 영양염류 제거 및 조류 증식 억제에 관한 연구

        박신해(Sin-Hae Park),강대종(Dae-Jong Kang),양경순(Kyeong-Soon Yang),전수빈(Soo-Bin Jeon),오광(Kwang-Joong Oh) 한국청정기술학회 2015 청정기술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물리·화학적 조류 증식 억제 방법의 문제점이 보완되어진 자연친화적인 생물학적 억제방법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섬유상 담체들의 생물막 형성 두께와 물리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폴리에스터 담체가 가장 적절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부영양화 호소에서의 영양염류 제거와 조류증식 억제 효율을 분석하였다. 질소, 인 제거율은 14.59%, 6.36%, 그리고 조류증식 억제효율 비교를 위한 식물플랑크톤 성장 억제률은 77%로 영양염류와 식물플랑크톤 수치가 증가한 대조군에 비해서 높은 효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터 섬유상 담체를 적용하여 호소에서 자연친화적인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ventional physicochemical technologies for algae growth inhibition have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This study attempted to overcome the problems by nature-friendly biological inhibition technology using fibrous carri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effective carrier material, polyester, exhibited the highest biofilm thickness. The removal efficiency for nutrient sal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ous, and algae growth inhibition of polyester carrier was 14.59%, 6.36%, and 77%, respectively, which is higher than for control group. These result indicate that the polyester carrier is available in eutrophic lake.

      • KCI등재

        부산수영하수처리장 하수와 음식물쓰레기 병합처리 시 공정별 악취특성 및 후처리시설 효율평가

        이형돈(Hyung-Don Lee),강대종(Dae-Jong Kang),이민호(Min-Ho Lee),강동효(Dong-Hyo Kang),오광(Kwang-Joong Oh) 한국청정기술학회 2012 청정기술 Vol.18 No.4

        우리나라는 소득증가, 도시집중화, 인구증가로 인해 환경적인 문제에 대해 점점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환경문제 중 악취로 인한 피해는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이다. 부산시 수영하수처리장 내 음식물처리장은 음식물과 하수를 병합처리하는 시설로 주거지역 인근에 위치해 있어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악취물질분석과 기여도를 악취지수(odor quotient, OQ)와 총악취지수(sum of odor quotient, SOQ)를 평가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후처리시설인 바이오필터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공기희석관능법에 의한 복합악취 측정결과, 7월과 8월에 분쇄기, 투입호퍼, 침출수 순으로 복합악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기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메틸메르캅탄의 경우, 최소감지농도를 3,571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악취기여도평가에서 메틸메르캅탄(49.95~59.08%), 황화수소(20.43~29.27%), 트리메틸아민(8.82~13.42%), 아세트알데히드(9.17~11.35%)순으로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시설과의 기여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황화합물(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의 OQ가 가장 높았으며, 분쇄기에서 SOQ가 7,06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황화합물과 아세트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의 악취기여도가 분쇄공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시설의 후처리시설에 대한 처리효율을 평가한 결과, 암모니아, 아민류는 90.00% 이상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나, 황화합물류의 처리효율은 평균 53.51%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시설은 기타 처리시설에 비해 아세트알데히드와 트리메틸아민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식물처리장의 후처리시설은 복합적인 악취성분 처리 시 분해효율이 감소할 수 있어 적절한 용량 및 운전조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Environmental issues are being paid more attention due to income growth, urban overcrowding, and population growth in Korea.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odor damage is the one of the serious factors. To take example for food waste combination treatment in Su-you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Busan, many complaints occurred because this plant locate around residential area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not only to analyze odorous elements and their contributions but also to evaluate odor quotient (OQ), sum of odor quotient (SOQ), and treatment efficiency of bio-filter. The results of dilution sensory test of complex odor, grinder, leachate, hopper indicated higher order complex odors happen in July and August. The main odorous elements consisted of hydrogen sulfide, ammonia, methly mercaptan and acetaldehyde, which were analyzed by instrumental detection method, and methyl mercaptan was exceeded over 3,571 times of threshold. In addition, result of contribution of odor was methyl mercaptan (49.95 to 59.08%), hydrogen sulfide (20.43 to 29.27%), trimethylamine (8.82 to 13.42%) and acetaldehyde (9.17 to 11.35%). Other facilitie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ibution of the odor using OQ and SOQ during the process. Sulfur compounds, acetaldehyde, and trimethylamine are high contribution of odor using OQ as well as odor intensity of grinding process is highest. As a result, sulfur compounds (e.g., methyl mercaptan and hydrogen sulfide) are highest for OQ and SOQ of grinding process is highest as 7,067. The removal efficiency of deodorization equipment was more than 90.00% in ammonia and amines, but the average efficiency of sulfur compounds was 53.51%. Thus, this facility is more higher contribution of acetaldehyde and trimethylamine than other treatment facilities. And food waste treatment in environmental area needs to consider appropriate capacity and refers to other bio-filter operating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