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우유 중 농약 성분 동시 분석법 개발 및 유효성 검증

        한유경(Yu Gyeong Han),최영내(Young Nae Choi),강경원(Gyeong Won Kang),김정년(Jung Nyen Kim),김정복(Jung B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8

        해마다 연간 우유 소비량이 증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유해물질 관리와 안전은 더욱 중요하다. 한국작물보호협회에서 자료에 의하면 2014~2018년 농약의 약제별 생산 및 출하 현황 중 살충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카바메이트계 농약은 생물학적 효과가 좋아 살충제, 살균제 및 구충제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카바메이트계 농약은 일부는 높은 급성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에 사용되는 것을 조심해야 하고, 일부 물질의 경우 발암물질을 발생시키고 돌연변이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카바메이트계 농약 중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의 3가지 농약을 선정하여 우유 원료 중 bendiocarb, carbaryl과 carbofuran 등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분석법을 개발하였고 유효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무수황산나트륨과 디클로로메탄을 넣고 진탕추출 후 탈수한 뒤 농축하였다. 이를 헥산과 헥산포화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지방을 제거하고 C18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 후 LCMS/MS에 주입하여 분석한 결과, bendiocarb, carbaryl 및 carbofuran의 표준원액을 blank를 이용하여 5~100 ng/mL 범위에서 결정계수(r2) 0.9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Bendiocarb의 일내 정밀성은 4.0% 이하, 정확성은 96.2~103.9%, carbaryl의 정밀성은 4.3% 이하, 정확성은 96.9~104.5%, carbofuran의 정밀성은 5.3% 이하, 정확성은 90.9~109.1%로 확인되었고, bendiocarb의 일간 정밀성은 6.5% 이하, 정확성은 90.1~103.7%, carbaryl의 정밀성은 10.5% 이하, 정확성은 95.3~103.3%, carbofuran의 정밀성은 14.8% 이하, 정확성은 94.2~108.5%로 확인되었다. Bendiocarb, carbaryl 및 carbofuran의 평균 회수율은 103.6~110.7%였다. 이때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4.9% 이하로 확인되었다. 3가지 성분 각각의 검출한계는 0.8~1.5 ng/mL, 정량한계는 3.0~6.0 ng/mL로 확인되었다. 측정불확도를 산출한 결과 bendiocarb는 14.17±0.82 ㎎/㎏, carbaryl은 14.34±0.91 ㎎/㎏, carbofuran은 14.28±0.79 ㎎/㎏(신뢰수준 95%, K=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유 중 bendiocarb, carbaryl 및 carbofuran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해 유효성이 검증된 동시 분석법을 확립함으로써 향후 우유 중 잔류물질 기준규격 설정 및 관리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Carbamate pesticides are compounds obtained by the reaction of carbamic acid and amine. These pesticides are often used as insecticides and herbicides. Especially, bendiocarb, carbaryl and carbofuran are popular carbamate pesticides LC-MS/MS using liquid-liquid extraction (LLE) and C18 cartridges was used to identify and quantity the levels of bendiocarb, carbaryl and carbofuran in raw material milk with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 calibration curve was obtained from 5 to 100 ng/mL with a satisfactory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for bendiocarb, carbaryl and carbofuran in the matrix were 0.8 ng/mL to 1.5 ng/mL and 3.0 ng/mL to 6.0 ng/mL, respectively. The recovery of the three pesticides from spiked samples at 15 ng/mL ranged from 103.6 to 110.7% with a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between 4.6 to 4.9%.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of the LC-MS/MS method developed for the three pesticides was based on the analytical process and quantification. Thus, the current study has established a fase and easy method for the analysis of bendiocarb, carbaryl and carbofuran in raw material milk by LC-MS/MS.

      • KCI등재후보

        홉 수 기반의 멀티캐스트 그룹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구명모(Myeong-Mo Gu),강경원(Gyeong-Won Kang),정원창(Won-Chang Jeong),심종채(Jong-Chae Shim) 융복합지식학회 2017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5 No.2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IP 멀티캐스트 효율성은 좋지만 멀티캐스트 그룹을 확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오버레이 멀티캐스트와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멀티캐스트가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었지만 여전히 고려할 사항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캐스트의 효율적인 그룹관리를 위하여 홉 수 기반의 멀티캐스트 그룹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에서는 노드의 가입과 탈퇴 시 전송경로 구성시간을 줄이고 송신자로 피드백 되는 패킷 수를 줄이기 위하여 SMN(Sub Multicast Node)을 선정한다. SMN는 홉 수를 이용하여 구성된 노드 그룹에서 선정된다. SMN은 지역 멀티캐스트 그룹들의 대표자인 MH(Multicast Host)로 구성된 SMG(Sub Multicast Group)를 관리하는 노드이다. 또한 다음 SMN까지 SMG를 확장한다. 노드 그룹에 있는 노드들의 변화가 발생될 때 제안한 관리방법으로 신속하게 전송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방법이 기존방법보다 더 효율적으로 그룹관리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IP multicast is very efficient transfer way for real time multimedia in the internet, but it has a difficult problem that expands the multicast group. To solve this problem, hybrid multicast has been studied using overlay multicast and IP multicast. However, there are many ways to configure and manage the multicast group, there is still parts for consider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cast group management method based on hop count for effective group management. Proposed method elect the SMN(Sub Multicast Node)s in control range to reduce configuration time for transmission path and to reduce the number of sending feedback packets to the sender. SMN is elected in the node group which configured by using the hop count. SMN is a node that manages SMG(Sub Multicast Group) composed of MH(Multicast Host)s which are a leader of native multicast groups. Also, it expands SMG to the next SMN. When nodes in node group are changed, the proposed method can construct the transmission path quickly.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manages multicast group more efficiently than the well known method.

      • KCI등재후보

        혈액투석 환자의 생존율 및 사망원인에 대한 연구

        김정호 ( Kim Jeong Ho ),강경원 ( Kang Gyeong Won ),김지훈 ( Kim Ji Hun ),김호중 ( Kim Ho Jung ),박찬현 ( Park Chan Hyeon ),강종명 ( Kang Jong Myeong ),박한철 ( Park Han Cheol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3

        연구배경 : 만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에 혈액투석이 사용되면서 혈액투석 환자의 생존율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에 저자들은 한양대학병원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 환자에 대해 생존율, 사망원인, 원인질환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및 대상 : 1982년부터 1991년까지 한양대학교병원인공신장실에서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은 만성 신부전 환자 548명에 대하여 후향적 방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1) 대상 환자는 총 548명 이었으며 연령은 17세부터 68세로 분포하였고 40~50대 환자가 전체의 55.8%로 가장 많았으며 남여의 비는 58 : 42로 남자가 많았다. 2) 만성 신부전 환자의 원인 질환은 만성 사구체신염이 전체의 23.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당뇨병성 신증이 15.9%, 고혈압성 신병증이 13.9%순 이였다. 또한 원인이 분명치 않은 경우도 36.9%나 되었다. 3) 관찰 기간중 사망한 108명에 대한 사망원인의 분석에서는 뇌졸중이 25.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심장질환이 19.4%, 감염 및 패혈증이 16.7%였으며 장출혈, 고칼륨증, 자살 순이었다. 원인이 분명치 않은 경우도 22.2%이었다. 4) 생존율은 혈액투석후 2년 생존율이 75.3%로 떨어졌으나 그 이후부터 거의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였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는 투석 시작후 1년에 급격한 감소(78.4%)를 보였고 2년 생존율은 59.2%로 비당뇨병성군 보다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고혈압성 신병증 환자의 생존율은 1년 생존율이 80.2%, 2년 생존율이 62.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를 보였고(p<0.001). 결론 : 혈액투석 환자의 사망에는 동맥경화증이 깊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투석후 1년 동안의 사망률이 높으므로 이 기간에 특히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Regular hemodialysis had been established as a way of treatment for end stage renal failure. There are many report on long term follow-up for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We analysed th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on hemodiaysis. Methods : In a retrospective study, the survival rate and the causes of death were analysed in 548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on hemodilysis during the period of 1982 to 1991, treated at th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were mostly dialysed 2 to 3 times a week for 4 to 5 hours. Results :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se patients, male to female ratio was 58 : 42 and the mean age was 47.2±13.7 years. Underlying disorders of chronic renal failure consisted of mainly chronic glomerulonephritis (23.5%), followed by diabetic nephropathy (15.9%), and hypertensive nephrosclerosis (13.9%). The causes of death were most frequedntly cerebrovascular accidents (25.9%), including hemorrage and infarction, followed by cardiac disorders (19.4%), infections (16.7%), and gastrointestinal bleedings (6.5%). The overall of survival rates in hemodialysis patients were 85.6% for 1 year, 75.3% for 2 years, 62.3% for 5 years, 33.7% for 10 years. Dividing into subgroups, renal failure due to diabetus and hypertensive nephrosclerosis carried significantly poor outcomes. The survial rate of the older patients were shorter than the younger patients (p<0.001). Conclusion :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hemodialysis patients during the first year because sur-vival rate of this period was shorter than other period.

      • SCOPUSKCI등재

        계절에 따른 혈액투석간 체중 증가의 변화 양상

        정성진 ( Jeong Seong Jin ),강경원 ( Kang Gyeong Won ),홍택원 ( Hong Taeg Won ),이창화 ( Lee Chang Hwa ),강종명 ( Kang Jong Myeong ),박찬현 ( Park Chan Hyeon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4

        목 적 : 혈액투석 중인 말기신질환 환자에서 투석간 체중 증가가 계절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에 대해 상이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한 지역에서 혈액투석 중인 환자들에서 혈액투석간 체중 증가와 계절 등 기후에 관련되는 인자들이 어떤 관계에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한양대학교병원에서 주 3회로 지속적인 혈액투석을 받았으며, 그 기간 동안 계속적인 검사 및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에서 투석시마다 투석 전후의 체중 및 혈압을 조사하였고 이 수치들의 월 평균값을 구하여 2002년 서울 지역의 월 평균 기온, 최고 기온, 최저 기온, 평균 습도, 그리고 일조량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남녀비는 2.3:1이었고 평균 연령은 48±12세였으며, 혈액투석 치료 기간은 평균 7.0±5.1년이었다. 만성신부전의 밝혀진 원인 질환별로 보면 당뇨병이 50명 중 10명 (20%)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 기간 동안 76%의 환자들이 항고혈압제를 복용하였다. 월 평균 혈액 투석간 체중 증가는 7월이 가장 낮고 (2.3±0.7 ㎏) 12월이 가장 높았으며 (2.6±0.6 ㎏), 월 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7월과 가장 낮은 1월의 투석간 체중 증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투석간 체중 증가는 월 평균 기온, 평균 최고 기온, 평균 최저 기온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721 with p=0.008, r=-0.714 with p=0.009, and r=-0.717 with p=0.009, respectively). 그러나 월 평균 상대 습도나 일조량과는 관련이 없었으며 월 평균 투석 전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역시 기후 요소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결 론 : 혈액투석 환자에서 투석간 체중 증가는 여름에 감소하고 겨울에는 증가하는 계절적인 주기성을 보이고 있고 혈액투석 환자의 체중 조절시 고려해야 할 한 요소가 될 수 있다. Purpose : Observational results on seasonal variation of interdialytic weight gain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treated with hemodialysis are controversial till now. There has been no report about it for Korean patients. The relation of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climatic factors was studied in one region of Korea. Methods : From Jan. 2002 to Dec. 2002, fifty patients receiving conventional and regular hemodialysis three times a week in Hanyang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where there is distinct seasonal variation in monthly temperature, relatively humidity, and duration of sunshine, were analyzed. For each patient,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ach dialysis treatment three times per week for one year. The monthly mean values for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blood pressure in relation to the monthly values for climatic factors were then analyzed. Results : The seasonal pattern of interdialytic weight gain was evident throughout the one-year period.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was highest in July and lowest in January and mean monthly interdialytic weight gain was lowest in July and highest in December. The difference of mean interdialytic weight gain between July and January was significant (p<0.05). Interdialytic weight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monthly mean temperature, mean maximal temperature, and mean minimal temperature(r=-0.721 with p=0.008, r=-0.714 with p=0.009, and r=-0.717 with p=0.009, respectively) but not with mean relatively humidity and duration of sunshine. Mean predialysi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ot related to changes i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duration of sunshine. Conclusion : Interdialytic weight gain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disease treated on hemodialysis was correlated with seasonal variation in temperature, with higher values in the winter and lower values in the summer. It would be better to consider this finding to treat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3;22(4):426-43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