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한어(漢語)와 모던 신어(新語), 개념으로 본 한중일 근대어의 재편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공유의 임계 혹은 시작

        황호덕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30 No.-

        The first revolution of Korean modern language can be illustr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that of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language and the discovery of western foreign languages. The revolution had its both sides as directly opposed features including mass distribution of translated Chinese and consolidate of ideology for national language. Since 1930s, the phenomenon of transliterate loan words has appeared, which was a fairly innovative occurrence designated as the second revolution of language. This article clarifies the meaning of cultural history that linguistic conversion which proceeds from translation based on Chinese characters to transliteration of English(sometimes Japanese) has, focusing on THE NEW DITIONARY OF FOREIGN WORDS IN MODERN KOREAN (1937) published by Lee, Jong Geuk(李鍾極) and other modern neologism dictionaries compiled in the same period. It is through incipient term of 1930s that worldness has been introduced and linguistic sphere has been newly formed; in addition, ‘recent’ and ‘modern’ have different meanings and inclinations in this period of 1930s. What is the meaning of the cultural conversion from ‘근대성[geundaesung], 近代性[kindaisei], 近代性[jindaixing]’ to ‘mod?n(모던)/modan(モダン)/mo deng(摩登)’? Assuming that ‘the same characters with different articulation’ had supported the fantasy of common written language until 1930s, since then, ‘comparable voice with dissimilar letters’ arrived from the exterior of Eastern Asia with new sources of culture have started to homogenize people's lives. Isn't it the most manifest event that shows the destroy of the unrivalled system of sinosphere and the supremacy of English (or the commence of global system)? 근대형성기의 제1차 언어혁명은 국어 의식과 외국의 발견으로 대변된다. 이는 번역 한자어의 대량 생산과 국어 이데올로기의 형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3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제2차 언어혁명이라 할 새로운 현상이 등장하는데 외래어의 음역(音譯) 현상이 바로 그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종극에 의해 편찬된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과 비슷한 시기에 발간된 일본의 모던신어사전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현상이 가지는 문화사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종극에게 언어는 근대화를 위한 매개라는 매우 기능주의적 성격을 가지는 한편, 그 자체로 한 사회를 그대로 반영하는 거울이다. 그는 조선어의 혼종성(hibridity)을 불가피한 자연 선택과 우승열패의 결과라 보았고, 사회진화를 위해 외래어를 적극적으로 수입하여 조선어의 내부로 귀화시켜야한다고 생각했다. 외래어의 증가는 그에게 사회진화와 지식의 대중화의 결과였다. 주지하다시피 근대 이후, 한문이라는 신성한 묵어(黙語)는 점차 언어권에서 사라져갔다. 그러나 번역어로서의 한자 개념어들이 보여주듯이, 한자 자체는 근대 이후에도 여전히 그 힘을 보존하여 왔다. 그런 의미에서 근대에 있어서도 한자는 여전히 동아시아 공유문화의 원천이었다. 한자로 훈역(訓譯)된 서구원천의 번역어들은 근대화의 실현과 전통의 맵핑(mapping)이라는 이중적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한자를 국어 안에 내재하는 독특한 방법들을 개발해 내었다. 그러나 외국어에 대한 음역 현상이 폭증하면서 한자에 의한 번역 및 개념 생산은 임계점에 이르게 된다. 번역은 이제 훈역에서 음역으로의 그 중심이 이동하게 되며, 이는 문화 간 번역이 생략되는 글로벌리제이션의 징후였다. 국제화의 진전과 지식의 전문화 및 대중화, 언어 포식의 본격화로 인해, 또 외래어를 통해 수행된 사회주의 및 자본주의의 경합으로 인해 영어 (및 러시아어)를 중심으로 한 서구어들이 국어 안에 음역되어 내재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애초에 소위 모던 외래어들은 일본어에 의한 언어 질서의 재편 과정에서 나타났다. 일본식 가타가나어의 대량 이입이라는 면에서, ‘모던조선외래어’는 식민지적 언어 포식 현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의 원천을 일본이 아니라 서구에 두려는 움직임과 관계 맺고 있다는 점에서는, 서구원천의 외래어들은 일본어=고쿠고(國語)에 대항하려는 문화적 충동과도 관련된다. 특히 프롤레타리아트 문학과 모더니즘 문학은 적극적으로 외래어의 이질성을 도입하면서, 언어 질서의 재편에 의한 사회 변혁을 꿈꾸게 된다. 요컨대 1930년대라는 세계성 도입의 시기를 거치면서, 이제 ‘근대’와 ‘모던’이 서로 다른 내포와 지향을 갖는 언어권이 형성되게 된 것이다. 한자 문화에 대한 투쟁으로 대변되는 국어 이데올로기는 근대화 및 민주화를 그 근간으로 하는데, 외래어 옹호자들은 그 중에서도 주로 특히 근대화주의와 호응하면서, 그 세력을 넓혀간다. 그리고 이는 차후 영어공용화론=고도근대화의 주장으로 급진화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지배 엘리트의 의식은 한자 지향이 아니라, 영어 지향 속에서 새로운 형태의 공유문화의 이데올로기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외래어/외국어 지향이 근대화나 근대성의 실현과 같은 사회 변혁에의 의지 뿐 아니라, 계층제의 고착과도 깊이 관련되게 된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가죽각반과 단독강화, 김우창의 미국문학론과 한국문학비평 -한 보편주의자의 신비평적 읽기, 수평적 초월론에서 내재적 초월론까지-

        황호덕 반교어문학회 2022 泮橋語文硏究 Vol.- No.62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Uchang's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and its influence on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articles on American civilization and literature in 『The Collected Works of Kim Uchang』 1-19. Kim's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and American civilization is based on the romance of the forest from the period of colonization to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e pragmatism that dominated America in the lat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its inherent conformism. Kim's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and American civilization mainly focuses on the romance of the forest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founding of the nation, the pragmatism that dominated America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20th century, and the conformism inherent in it. However, he has not only intervened in contemporary themes such as the experiences of the anti-war movement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minorities before and after 1968, the depletion of frontiers and the crisis of culture and history that the United States had to face after the 1980s, but also the Obama and Trump era. He has also written important critiques of the contradictions of liberalism and backlashes from the perspective of his own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He reinterprets American literature through close reading from new criticism, which is an attitude related to Kim's belief in the foundation of poetry, which focuses on the specificity of individual life and the immanence of experience. Kim's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is structured under the problematic framework of region rather than center, nature rather than civilization, and specific individual freedom rather than community. His demand for immanent transcendentalism is judged to have been conceived in the process of avoiding both the direct transcendence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horizontal transcendence of American literature. Kim points out the two symptom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direct transcendence, which implies withdrawal from overwhelming life, and resignation to daily life, which rejects totality and history. And as a way to overcome this tendency of a separate peace, he advocated immanent transcendentalism and concrete universality. This shows a significant logical relationship and circulation of evaluation words with criticism of American literature summarized as horizontal transcendence.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Uchang's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and its influence on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articles on American civilization and literature in 『The Collected Works of Kim Uchang』 1-19. Kim's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and American civilization is based on the romance of the forest from the period of colonization to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e pragmatism that dominated America in the lat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its inherent conformism. Kim's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and American civilization mainly focuses on the romance of the forest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founding of the nation, the pragmatism that dominated America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20th century, and the conformism inherent in it. However, he has not only intervened in contemporary themes such as the experiences of the anti-war movement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minorities before and after 1968, the depletion of frontiers and the crisis of culture and history that the United States had to face after the 1980s, but also the Obama and Trump era. He has also written important critiques of the contradictions of liberalism and backlashes from the perspective of his own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He reinterprets American literature through close reading from new criticism, which is an attitude related to Kim's belief in the foundation of poetry, which focuses on the specificity of individual life and the immanence of experience. Kim's theory of American literature is structured under the problematic framework of regio...

      • KCI등재

        피와 문체, 종이 위의 전쟁 - 중일전쟁에서 한국전쟁까지, 덧씌어진 일기장을 더듬어

        한국어문학연구학회(구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4 No.-

        <P>이 글은 1930년대 말 충청도 한 지방의 공립농업실수학교를 다녔던 R의 1939년의 근로일지와 NARA(미국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소재의 한국전쟁 관련 기록물들 중 몇 권의 일기를 대상으로 하여, 근대 한국에 있어서의 이중언어상황이 개인의 일상과 반성 언어 속에서 나타나는 방식을 검토한 것이다. 정화술(正話術)과 자기 교육으로 대변되는 일기 쓰기의 방법을 통해 지배의 테크놀로지가 자기의 테크놀로지로 전화되는 방식을 해명하려 하였다. 개인의 내면을 쓰는 것으로 알려진 일기를 주권 권력의 장소로서 재소환하여, 언어가 가진 반성과 명령의 이중 구조를 개인의 삶과 역사속에서 동시적으로 검토해가는 방법을 모색해보려 하였다.</P><P> 농업실수학교의 R의 일기는 당시의 고쿠고[國語]로 적혀 있다. 앎과 노동과 시국 언어가 일체화된 이 일기는 일기라는 양식 자체가 언제나 공개 가능성 아래 존재함을 잘 보여준다. R은 일종의 정화술이라는 방법을 통해 지배 언어의 체내화하고 있음을 계속 표시해야만 했다. R의 근미래라고 할 연초경작조합 기수 O의 일기는, 또한 한국전쟁에 UN군의 일원으로 참가한 미군에 의해 압수된 인민군 장교 L의 전투일지이기도 하다. 어떤 경로로, L은 O의 일본어 일기를 입수해, 그 위에 한글로 전투 일지를 써나갔다. O는 젊은 나이에 걸맞지 않는 어색한 국한혼용문으로 ‘국가적 삶’의 감격을 쓰다가는, 어설픈 일본어로 자연의 풍취를 말하기도 한다. O에게 조선어는 일상어이면서 표현에는 불편한 언어이며, 일본어는 시국 언어를 베끼는 받아쓰기 언어이다. 전쟁 상황에 대한 지식과 두려움이 구성했을 O의 내면은 오직 꿈작업 속에서만 출몰할 뿐이 충분히 언어화되지 못한다. 그가 언어화할 수 있는 것은 국가가 허용한 말에 국한된다. 한편 엉성한 조선어로 써나가며 외적 이데올로기를 전선 속에서 확립하는 L에게 언어는 정언 명령이자, 정신 교육을 위한 무기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명령을 수행하는 인민군 정훈병 K에게 언어는 교육어인 동시에 자기 구성의 언어이다. K과 L은 외적 언어와 신념 사이의 어떠한 분리도 알지 못하며, 여기서는 실천의 양과 강도만이 ‘반성’의대상이 된다. 이들 일기는 반성이라는 과정이 근본적으로는 지배 언어와 그에 따른 실천의 거리를 재는 과정에 다름 아님을 잘 보여주고 있다.</P><P> 개인 스스로가 외적 상황에 조응해 진실을 구성하도록 돕는 기술로서의 ‘일기쓰(도록 하)기’는 권력의 절약과 복종을 위한 자기 설득 둘 모두를 위해 이롭다. 또한 그 과정에서 개인은 쓸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별하며, 바르게 쓰는 기술을 통해 바르게 사는 삶을 체내화하게 된다. 물론 쓸 수 있는 것과 쓸 수 없는 것을 분절하는 과정 속에서, 진짜 내면화(the real innernalization)라는 게 아마 존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쓸 수 없는 것을 언어와 의식 너머로 봉인하는 결정의 과정 속에서, 앎의 주체, 복종하는 주체, 죄의식을 가진 양심이 하나의 개인안에서 창출된다. 이 덧씌어진 일기들이 말해주는 것은 한국의 이중 언어 상황이 근원적인 수준에서 국가이성과 지배 언어의 영토의 비대화를 초래했으며, 이러한 한계를 모르는 지배 언어의 범위 아래에서, 내면은 오직 ‘쓸 수 없는 것’이라는 한계 개념으로서만 존재가능했다는 사실이다.</P>

      • KCI등재

        큰 일본, 그런 일본, 어떤 일본 - ‘일본’이라는 일상 개념, 한국 소설과 일본(인), 대타자에서 교차성까지 -

        황호덕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2 개념과 소통 Vol.- No.30

        This article reviews the complexity of Korean discourse on Japan, following its transitions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novels. The concept of ‘Japan’ is still perceived an unforgettable Other, and is often represented as such in big stories or when describing historical trauma, but over the past 20 years, with the flourishing of Japanese popular culture since 1998, Japan has also become a concept encountered and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Bok Koh-ill’s Finding an Epitaph (1987) is the most recent work to portray Japan as the dominant Other, and refers back to traditional ideas. By contrast, Lee Ji-min’s Modern Boy: Can We Live Without Dying or Ruining (2000) sees Japan in the light of its modern popular culture. Both works take Japan as a preexisting ‘inherent object’ for Korea, but depict two different post-colonial concepts of Japan. Choi Eun-young’s Shoko’s Smile (2013) is a thoughtful friendship drama about inter-generational encounters with Japanese people in private life, and Park Min-jeong’s Cecil, Ju-hee (2017) depicts gender and racial troubl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by reference to Korean-Japanese historical issues which still permeate everyday life. Other authors have written of a role reversal between Korea and Japan, most notably in the short stories of Kim Yeon-soo and Kim Bong-g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s clearly undergoing changes mediated by increasing intimacy and a developing understanding of intersectionality. Through an allegorical analysis of these several works of Korean literature, this article traces and confirms how the concept of ‘Japan’ is transitioning from the great Other, which resists objectification, into another, which invites the exploration of objectification, with personal intimacy and elements of intersectionality resulting in smaller others. This article was written as a thought experiment to understand how ‘Japan’ is perceived in Korea as a concept relevant to everyday Korean life. 이 글은 현대 한국의 일본 담론의 이행과 복잡화를 한국 소설들을 통해 살펴보며, 이를 ‘일상 개념으로서의 일본’으로 의미화해 본 글이다. 여전히 일본은 종종 큰 이야기나 역사적 트라우마 속에서 출몰하는 잊을 수 없는 타자이지만, 동시에 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후 20여 년을 거치며 끝없는 일상에서 물어지고 체험되는 대상이 되었다. 우선 큰 타자 일본의 가장 육중한 모습이 새겨진 마지막 작품이자 대등 욕망에 관한 선조적 작품인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1987), 근대화와 식민화의 교착과 혼종성을 드러내며 경성 모던을 하나의 대중문화적 의장으로 만든 이지민=이지형의 『모던보이: 죽거나 망하지 않고 살 수 있겠니』(2000)까지를 하나의 단위로 해 내재하는 일본의 문제가 그려지는 후기 식민지적 방식들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일본 문화 개방 이후의 사인(私人)적 일본(인) 경험을 사려 깊은 ‘우정’의 드라마로 쓴 최은영의 「쇼코의 미소」(2013/2016), 지구화 시대의 젠더와 인종 이슈를 일상에 침투한 한일 역사 문제 속에서 그려낸 박민정의 「세실, 주희」(2017/2020)를 통해 한일 간의 관계가 역전되는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김연수와 김봉곤의 ‘일본’ 단편을 참고하며 사건 적인 교차성과 친밀성의 문제로 한일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련의 읽기를 통해 일본이 대상화를 거부하는 큰 타자에서 대상화의 모험을 요청하는 다른 타자에 이르는 과정, 또 작은 타자로서 교차성 속의 요소들로 이행하는 광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알레고리적 독해가 허용하는 길을 따라, 일상 개념으로서의 일본을 이해해 보는 하나의 사고 실험으로 작성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