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韓表白色色彩詞認知域投射的對比硏究

        한송도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3

        The color words, as the description of natural colors, constitute one of the essential lexical systems in vocabulary. Not only do they contain the sense of colors, but also embody cultural norms of different countries. Based on the nature of the color, using the color words in a metaphorical way is able to proj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eople and objects, the psychological status and properties which are of abstract concept. This paper will first analyze how this projection works in white colors from Chinese and Korean point of view, and investigate the cognitive dimension between thei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of typological, contrastive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jective areas in terms of color are the same in both cultures, and hence the cognitive dimension. However, some of the details in each area exhibit a slight difference. The emotional projection, for instance, the Chinese projection is far more pejorative than Korean.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even the adjacent location has generated similar culture between two countries, however, as time went by new elements have been added to both cultures which were considered to bring influence to people’s cognition. As a result, the projection areas in terms of the use of white color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hinese and Korean culture.

      • KCI등재

        汉韩空间形容词“短”和“짧다”的跨域认知

        韓松濤,성윤숙 중국어문논역학회 2016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9

        The most fundamental sense in human beings’ cognition is the sense of space. The spatial dimension is divided into one dimensio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spatial features. We can perceive the size, length, volume and area of the space and use spatial adjectives to describe the result of our perception. This language performance of basic sense towards space is a common phenomenon in all languages. “短” in Chinese and “짧다” in Korean is the language performance of human’s cognition towards the length of an object in one dimension. We find that “短” and “짧다” have quite similar meaning in source domain, and they demonstrate the cross-domain projection from their source domains to such other target domains such as time and number.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we find though the target domains are basically the same, the specific semantic meanings after projection do not show one hundred percent equivalence. Based on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ories,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words in the course of projection and discuss their semantic characteristics in the cross-domain projection. 对空间特征的感知是人类最基本的认知,人们根据空间的特征将其分为一维、二维、三维,在不同的维度对空间的大小、长度、体积、面积等进行感知,并将所感知的结果用空间形容词进行表达,这种对空间基本感知的语言表现是各种语言共有的现象。 汉语“短”和韩语“짧다”是两种语言在一维空间内,对物体长度认知的语言表现。二者在始源域的表义非常相似,同时,“短”和“짧다”也分别从各自的始源域向时间域和数量域等目标域进行了词义的跨域投射。通过对比分析我们发现,虽然二者所投射的目标域基本相同,但投射后所呈现的具体表义却不是完全对应的。 本文以对比语言学和认知语言学为理论基础,旨在分析二者在词义投射过程中出现的异同,并对其词义跨域投射的特征进行探讨。

      • KCI등재후보

        On Teaching Method Of Korean & Chinese Coverb

        韓松濤,장태원 동아인문학회 2010 동아인문학 Vol.17 No.-

        본문은 외국인들에게 중국어를 가르치는 가운데 발생하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허사 교육의 방법에 관하여 연구 분석한 것이다. 허사의 수량이 비교적 많고, 용법이 다양하며 허사의 의미 또한 복잡 미묘해서 외국인 학생들의 입장에서 보면 중국어 학습의 어려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외국인에게 중국어의 허사를 가르치는 가운데에 올바른 방법을 찾는다면, 곧 교육적 효율과 교육의 수준을 높이게 된다. 한국학생들 입장에서 본다면,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두 한자권역에 속하여, 중국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라도 중국어에 대하여 처음 접하는 당혹감을 상대적으로 덜 하게 된다. 이는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를 학습하는 유리한 조건이 된다. 초급단계에서 교수는 이 점에서부터 출발하여 중국어를 잘 학습하려는 믿음을 증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르치는 중점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점에 두고 가르쳐야 학생들로 하여금 이 두 언어의 차이점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학생들이 최대한 모국어의 규율과 사용원칙의 집착에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한다. 즉, 한국어 지식으로부터 비롯된 오류의 영향에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허사 교학 중에서 대비법을 먼저 채택한 것이다. 대비법 가운데 중국어, 한국어 대비를 설명하는 것 이외에 중국어 허사 내부적 차이점에 대해서도 대비법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즉, 허사가 있는지 없는지의 대비와 허사 출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대비를 말한다. 허사 가운데의 비슷한 낱말에 대해서 우리는 종류귀납이라는 방법을 취한다. 이러한 방법의 사용의 중점은 허사종류를 귀납 정리하는데 있지 않고 종류귀납의 기초위에 한 개의 종류 중에 각 구성원 사이의 차이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학생에게 서로 다른 것을 찾아내게 할 때 우선 정확하고, 전면적으로 사고하게 하여 먼저 허사와 연결하는 명사나 명사구의 성질을 구별하게 할 뿐 아니라 위어의 성질까지 고려하도록 하여야 한다. 더욱 더 명확하게 분류하고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교수들에게 예문을 더욱 더 많이 사용하도록 하며, 아울러 도표의 형식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교학적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건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現代漢語"動賓式動詞+賓語"現象的硏究

        한송도(Song Tao Han),장태원(Tae Won Jang) 언어과학회 2008 언어과학연구 Vol.46 No.-

        This paper discusses the phenomenon of verb-object verbs taking an object in modern Chinese as the research object. The dissertation investigated verb-object verbs of so can take an object, revealed the factors behind the superficial phenomenon such as the verb morpheme factor, the object factor and the special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verb-object verbs and the syntactic object. After this, the paper illustrated the prior conditions of this anomalous type establishing that: verb morpheme was originally a trivalent verb which could take double objects, the morphologic object was a transitive verb, the morphologic object and the syntactic object had a semantic relation of anaphora or possession, the verb-object verbs and the syntactic object had special semantic relations such as concordant, causative and purposive. In general, this type can reasonably exist if one of the conditions is satisfied. In addition, we dug out more special types of verb-object verbs taking double objects and explored their cause from the perspective of character of the verb morpheme and the objects. Based on previous explications, this thesis further constructed the formula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verb-object verbs taking an object.

      • KCI등재

        論漢韓表黑色顔色詞的跨域認知

        한송도 ( Song Tao Han ),성윤숙 ( Yoon Suk Seo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0 No.-

        The color words, as the description of natural colors, constitute one of the essential lexical systems in vocabulary. Not only do they contain the sense of colors, but also embody cultural norms of different countries, making the language more vivid and meaningful. Based on the nature of the color, using the color words in a metaphorical way is able to proj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eople and objects including time, space and status which are of abstract concepts. This paper will first analyze how this projection works in black color from Chinese and Korean linguistic point of view, and investigate its cross-domain cognition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of typological, contrastive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erms of the color black, it can project the domains of concrete and abstract concepts in both Chinese and Korean. However, some of the details in each domain exhibit a slight difference. The emotional projection, for instance, the Chinese projection is far more pejorative than Korean.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even the adjacent location has generated similar culture between two countries, however, as time went by new elements have been added to both cultures which were considered to bring influence to people’s cognition. As a result, the projection domain in terms of using of black color ha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hinese and Korean culture.

      • KCI등재

        論漢韓空間維度詞 "高" 和 "높다" 的跨域認知

        한송도 ( Song Tao Han ),성윤숙 ( Yoon Suk Seo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6 No.-

        이 연구는 신문 사설의 이주민 담론을 논증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 사회의 이주민은 주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민으로 이루어지지만 이 글은 이주노동자에 초점을 두었다. 신문 사설은 주장과 논거로 이루어지는 논증구조를 지니며 그 이면에 특정한 가치나 이데올로기를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주장, 논거, 가치, 상황 등 주요한 의미 요소들을 통해 이주노동자의 담론이 담고 있는 경향을 이해하며 논리적으로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주노동자의 담론은 첫째, 상황으로서는 노동권과 인권이 유린된 현실을 충격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주장에서는 이와 같은 권리를 보호해야 함을 구체적 행위에서 포괄적인 주장까지 폭넓게 제시하고 있다. 셋째, 타산적 논거보다는 사람은 공간 범주에 있어 사물의 크기, 길이, 높이, 면적과 체적 등을 인지할수 있다. 이와 같은 인지는 공간 차원에서 1차원, 2차원과 3차원으로 구분될 수있다. 공간에 대한 인지는 사람의 기본적 인지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공간에 대한 인지 결과를 언어로 표현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방대한 공간감각어 체계를구성하게 되었다. 중국어 ``高``와 한국어 ``높다``는 각각 1차원 공간에서 사물의 높이에 대해 인지한 언어표현이다. 두 단어의 의미 구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수 있다. 두 단어는 각각 공간적 개념의 근원 영역에서 출발하여 은유를 통하여 다른 목표 영역으로 투사됨으로써 여러 확장 의미를 나타내게 되기 때문에 다의구조를 구성하게 되었다. 두 단어는 의미 투사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드러내게 되는데 시간, 소리, 감정, 수량 등과 같이 서로 같은 목표 영역도 나타난다. 그러나 두 단어가 투사하는 목표 영역은 비슷하지만 투사한 후 나타내는의미가 완전히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중국어 ``高``와 한국어 ``높다``가 의미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차이를 분석하고 각각의 교차영역 인지적 특징에 대해 논의하도록한다. In the spatial category, we perceive an object via its size, length, height, area and volume. They fall in to the category of one dimensio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The spatial perception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erceptions of human beings. We express our perceptions towards space through words, thus forming a relatively large system of spatial dimension words. "高" in Chinese and "높다" in Korean are linguistic performance in two languages to the perception of height in one dimension. However, we find that in the meaning construction, "高" and "높다" project from the respective source conceptual domain to other target domains. Through cognitive approach of metaphor, the two words generate many extended meanings and construct their polysemy structures respectively. Though distinctive features as shown in the respective cross-domain cognitions, many same target domains appear, such as time, sound, emotion and quantity. At the same time, we also find that though both project the same target domain, the semantic meaning after projection is not always equivalent. Based on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ories,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words in the course of projection and discuss their cross-domain cognitive characteristics.

      • KCI등재

        淺議對韓漢語虛詞敎學

        韓松濤(Han Song-Tao),張泰源(Jang Tae-Won) 동아인문학회 2010 동아인문학 Vol.17 No.-

        본문은 외국인들에게 중국어를 가르치는 가운데 발생하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허사 교육의 방법에 관하여 연구 분석한 것이다. 허사의 수량이 비교적 많고, 용법이 다양하며 허사의 의미 또한 복잡 미묘해서 외국인 학생들의 입장에서 보면 중국어 학습의 어려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외국인에게 중국어의 허사를 가르치는 가운데에 올바른 방법을 찾는다면, 곧 교육적 효율과 교육의 수준을 높이게 된다. 한국학생들 입장에서 본다면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두 한자권역에 속하여, 중국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라도 중국어에 대하여 처음 접하는 당혹감을 상대적으로 덜 하게 된다. 이는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를 학습하는 유리한 조건이 된다. 초급단계에서 교수는 이 점에서부터 출발하여 중국어를 잘 학습하려는 믿음을 증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르치는 중점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점에 두고 가르쳐야 학생들로 하여금 이 두 언어의 차이점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학생들이 최대한 모국어의 규율과 사용원칙의 집착에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한다. 즉 한국어 지식으로부터 비롯된 오류의 영향에서 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허사 교학 중에서 대비법을 먼저 채택한 것이다. 대비법 가운데 중국어, 한국어 대비를 설명하는 것 이외에 중국어 허사 내부적 차이점에 대해서도 대비법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즉, 허사가 있는지 없는지의 대비와 허사 출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대비를 말한다. 허사 가운데의 비슷한 낱말에 대해서 우리는 종류귀납이라는 방법을 취한다. 이러한 방법의 사용의 중점은 허사종류를 귀납 정리하는데 있지 않고 종류귀납의 기초위에 한 개의 종류 중에 각 구성원 사이의 차이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학생에게 서로 다른 것을 찾아내게 할 때 우선 정확하고, 전면적으로 사고하게 하여 먼저 허사와 연결하는 명사나 명사구의 성질을 구별하게 할 뿐 아니라 위어의 성질까지 고려하도록 하여야 한다. 더욱 더 명확하게 분류하고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교수들에게 예문을 더욱 더 많이 사용하도록 하며, 아울러 도표의 형식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교학적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건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