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아 급성 충수돌기염 진단에 지연을 일으키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명기,김경수,박유인,김정호,이정주,김봉성,강혜영,Han, Myung-Ki,Kim, Kyoung-Soo,Park, Yu-In,Kim, Jeong-Ho,Lee, Jung-Joo,Kim, Bong-Seong,Kang, Hye-Yo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2

        목 적: 급성 충수돌기염은 소아 환자에게 가장 흔한 외과적인 응급질환이며 최근의 그 발생 빈도가 감소된다는 보고에도 붙구하고 급성 충수돌기염의 천공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호전되고 있지 않고 있다. 소아 환아에서는 과거력과 진찰 소견이 매우 다양하고 비전형적인 경우가 흔해 급성 충수돌기염의 진단은 자주 지연될 수 있고 천공과 복막염, 복강 내 농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임상 경과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저자들은 후향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진단 지연의 발생과 진단 지연을 초래한 요인, 진단 지연이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6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강릉 아산병원에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되어 급성 충수돌기 제거술을 시행 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으며, 통상 증상을 호소한지 48시간 이상 경과되어 진단이 이루어진 경우를 진단 지연이라고 하고, 48시간 이내 진단이 이루어진 군,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 조사를 하였다. 대상 환아에 대해서 나이, 성별, 진단까지의 시간, 초기 증상, 최초 환자를 검진한 의사의 진료분야, 입원경로, 최초 진단명, 방사선 검사의 효용성, 합병증 유무, 입원 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는 설사 증상과 복부 X선 검사 상 분변 박힘 (fecalith impaction) 의 존재 여부가 진단 지연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처음 접한 의료진에 의해 집에 귀가하여 관찰한 소아에게서 진단 지연이 많았다. 진단 지연군의 절반이상에서, 초기 진단은 급성 충수돌기염이 아닌 위장관염이었다. 진단 지연군에서의 천공률은 87%로 그렇지 않은 군의 22%보다 높았다. 또한 진단지연군에서 더 많은 수술 합병증 발생과 입원 기간을 보였다. 결 론: 비특이적인 증상을 동반하며 복통을 호소하는 소아과 환자를 위장관염, 감기 등 흔한 질환으로 간단히 진단해선 안되며, 급성 충수돌기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세한 병력 청취와 철저한 진찰을 시행하여 급성 충수돌기염의 조기 진단에 노력을 해야 하며, 진단이 부정확한 경우 입원을 권고하고, 조기에 외과적인 의뢰를 시행함과 더불어 복부 초음파 검사, 귀가 후 추적 진찰을 조기에 함으로써 진단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고 하겠다. Purpose: We designed this retrospective study to establish the incidence of diagnosic delay in children diagnosed with acute appendicitis and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with delayed diagnosis and its impact on the clinical course. Methods: All cases of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ho underwent appendectomy from 1996 to 2001 at Gangneung Asan Hospital were reviewed. We reviewed signs and symptoms, type of health professional first contacted, the advice given by the health professional and a history of appendicitis in first degree relatives. Diagnostic period is the time elapsed between first complaints and definitive diagnosis. Delay was defined as diagnostic period exceeded the 48 hours. Postoperative course and complications were also reviewed. Results: Incidence of diagnostic delay differed by whether diarrhea and fecalith on X-ray were present. Also children whose parents were advised to observe them at home were more likely to have a diagnostic delay. In almost half of the cases in delayed group, initial diagnosis was not acute appendicitis but gastroenteritis. The perforation rate in non-delayed group was 22%, whereas 87% in delayed group. The delayed group showed a higher number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a longer hospitalization period. Conclusions: Diarrhea with abdominal pain and fever in children should not be dismissed as gastroenteritis, respiratory infections or other common disorders. Our study suggests that physicians have a responsibility to prevent diagnostic delay and resultant perforation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by having a high index of suspicion about acute appendicit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한중일(韓中日) 관계와 상호인식(相互認識)의 추이

        한명기 ( Han Myungg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원대 이전까지 중국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견당사 등으로 왔던 일본 관인, 승려들과의 접촉 경험을 통해 일본을 ‘예의지국’, ‘군자지국’으로 보았다. 하지만 왜구가 발호하면서 중국의 대일인식은 몹시 부정적으로 바뀐다. 조선도 14세기 중반 이후 극심한 왜구의 침략을 겪으면서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고조되었다. 15세기 회유책이 효과를 발휘하여 왜구가 잦아지면서 일본에 대한 인식은 바뀌는 조짐을 보인다. 그런데 조선은 大國으로 자처하면서 일본에 대해 문화적 우월감을 드러냈다. 조일 양국의 상호 인식과 태도를 규정하는 바탕에는 양국의 명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차이가 자리 잡고 있었다. 15~16세기 조선 지식인들은 명과의 빈번한 접촉과 친연성을 바탕으로 일본에 대한 우월의식을 드러냈다. 일본은 神國임을 내세우면서 명에 대해 맞서거나 사대를 거부하는 ‘자주적인’ 자세를 바탕으로 조선을 멸시하려고 덤볐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명관계에서는 전쟁 이전의 事大와 字小를 표방했던 ‘軟性的인 관계’가 사라졌다. 명은 왜란을 계기로 자신들의 안보가 위협받자 조선에 대해 거칠고 부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드러냈다. 왜란 이후 조선은 명을 ‘再造의 恩人’으로, 일본을 ‘萬世의 怨讐’로 규정했다. 또 전쟁 기간 일본의 武力과 잔학함을 목도하면서 일본에 대한 두려움도 확실히 지니게 되었다. 정묘, 병자호란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을 ‘원수’가 아니라 청에 맞서기 위해 협력해야 할 우방으로 여기는 인식이 싹텄다. 명 또한 청의 위협에 맞서 조선이 일본과 협력하여 청을 견제해 주기를 기대했다. 19세기 들어 일본에서는 정한론이 대두된다. 실제로 일본의 힘이 다시 커지고 조선에 대한 위협이 증대하면서 청의 위기의식도 고조된다. 운양호 사건, 임오군란을 겪으면서 청의 양무관료들은 조선을 구미 열강과 立約하도록 勸導하는 한편 조선을 직할령으로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와중에 흥선대원군을 납치하고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강압적으로 체결하고, 원세개의 독단적인 행보까지 더해지면서 19세기 후반 조선에서는 반청감정이 비등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명과 청은 조선을 ‘충순한 번국’이란 운운했지만 일본이 양국 관계에 끼어들 경우 조선에 대해 거칠고 강퍅한 태도와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15세기 명의 신료들이 조선과 일본의 접촉에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던 것, 임진왜란 시기 명군 지휘부가 조선에 대한 직할통치론을 주장했던 것, 임오군란 이후 청의 양무관료들이 조선을 속방으로 만들려고 했던 것 등이 그 생생한 실례였다. 1894년 청일전쟁을 계기로 조선에서는 排日, 斥日論이 확산되고 대다수 관료와 민인들이 청군의 승리를 전망하거나 희구했다. 청이 패하자 조선에서는 당혹감과 함께 청의 허약한 실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이 대두했다. 청의 지식인들도 패전을 계기로 일본을 배워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조선시대 한국인들의 중국 인식과 일본 인식은 ‘끼여 있는 존재’라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안보 상황 속에서 형성되었다. 나아가 그것은 한반도를 둘러싼 중일 양국의 역학 관계의 추이를 비롯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서로 길항하고 연동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Zone” and “Confucian Culture Zone” or “Sinosphere” to emphasize the cultural commonality of the three countries. However, in the past, the interactions and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of the three kingdoms were cut off. This was because all three countries strictly forbade the movement of their subjects between the respective countries. Under this restriction, it was impossible for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except for the envoys, interpreters, and some merchants, to contact people in other countries. The Chinese perception of Japan was positive before the advent of the Yuan Dynasty. Through contact with Japanese officials and monks who had been envoys, Japan was regarded as a “country of courtesy” and a “country of virtues”. However, Japanese pirates became a major problem for China by the end of the Yuan dynasty, China's perception of Japan became the opposite.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14 <sup>th</sup> century, also suffered heavily from frequent invasions of the Japanese pirates, started to regard the Japanese with contempt. This antagonistic sentiment is shown in the terms that were used to describe Japan such as “The Island Barbarians”, “The Japanese Enemy” and “The Wicked Scoundrels”.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5 <sup>th</sup> century, the ensuing success of the policy of appeasement with the Japanese pirates and the resulting decrease of the invasions, the Korean perception of the Japanese changed, this time for the better. However, Joseon's attitude that they were a Great country and Japan was a subordinate nation continued as before . Joseon Dynasty in the 15 <sup>th</sup> century, had frequent contacts with the Japanese nation while concealing them from the paternal Ming dynasty. The Ming Dynasty did in fact were opposed to Joseon having communication with Japan. 15<sup> th</sup> to 16 <sup>th</sup> century intellectuals of Joseon touted that Joseon was the “most loyal subjectnation” to the Ming Dynasty and the “honoured pupil of the Great Chinese Civilisation” therefore they treated Japan as “barbarians” and a “country yetto-be-reformed”. On the other hand, Japan asserted itself as a “God's nation”, and rejected being a tributary state to the Ming Dynasty and scorned the Joseon Dynasty. The geographical differenc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relation to China, that Joseon peninsula(the Korean peninsula) is attached to the Chinese continent and Japan is separated from the Asian mainland by ocean, caused the difference in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s China and this furthermore affected the mutual perceptions they had of each other. In the wake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mjin War 1592-1598) contacts between peoples of the three kingdoms increased explosively. First of all, after the war, the mutual perceptions of Joseon and Ming revealed a new face. As the military and geopolitical importance of Joseon emerged after the war, Ming recognised Joseon as their “front” and “defense base”. Ming pressured Joseon and even planned to colonise it. On the other hand, after the war, the Joseon Dynasty recognised the Ming Dynasty as “saviours” despite the serious havoc the military of Ming created in Joseon. But then, they perceived Japan as an “eternal enemy”.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experienced the formidable prowess of the armed forces of Japan through the war which raised fears. It was through the Imjin War that hostility and fear toward Japan were made to coexist. With the replacement of the Ming Dynasty with the Qing Dynasty, the mutual perceptions of Joseon and Ming, and Joseon's perception of Japan showed signs of change. In particular, through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Jeongmyo-Horan 1627) and the Qing invasion of Joseon (ByeongJa-Horan 1636-1637) their perception towards Japan showed sings of change. Some intellectuals began to perceive Japan as an ally to cooperate with in the fight against the “barbarian forces of Qing”, not “the eternal enemy” they once thought Japan was. In the 19th century, the approaching threat of the West gave impetus to Japan's national defence efforts and they were of the opinion that Korea had to be conquered. Indeed, as Japan's power grew again, Qing's sense of crisis toward Japan also grew. In particular, some of Qing's officials who believed that Japan conquering Joseon would prove to be dangerous for Qing, argued that Joseon should be ruled directly. In 1882, during the riots of Joseon soldiers, Qing militarily intervened in the country, established military rule and attempted to make Korea a colony. The situation changed after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1895). Anti-Japanese sentiment spread in Joseon as Japan occupied the Gyeongbokgung Palace, oppressed peasant forces and attempted to colonise Joseon. During the war, the Qing Dynasty was overwhelmed in the face of the superior force of Japan, but many intellectuals in Joseon hoped for the victory of the Qing. However, when Qing was defeated in the First Sino-Japanese War, Joseon through embarrassment was forced to recognise Qing's waning power over the East. Qing's intellectuals also recognised that through the loss of the war they were to learn from Japan. In conclusion, Korean perceptions of the Japanese and of the Chinese during the era of Joseon Dynasty were formed under the geopolitical conditions and security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y appeared to antagonise or facilitate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hanges of relationship and situations between Korea and the two countries of China and Japa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mutual perceptions, “country of courtesy”, “country of virtues”, Japanese pirates, the “most loyal subjectnation” to the Ming Dynasty, Imjin War, “defense base”, “the eternal enemy”,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the situation sandwiched between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임진왜란 직전 동아시아 정세

        한명기(Han Myunggi)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3 No.-

        16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대외인식을 형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것은 士林이었다. 이들은 세조대의 覇政과 연산군대의 亂政을 겪으며 修己治人의 가르침을 현실에서 실현해야 한다는 것, 임금ㆍ신하ㆍ백성을 堯舜 시대의 군신민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신념을 갖게되었다. 趙光祖 등의 道學政治는 이러한 배경에서 주창되었다. 그들은 세조대 이래 왕권의 자의성, 훈신들의 비리에 대한 비판의식을 바탕으로 善과 惡, 君子와 小人, 王道와 覇道, 倫理와 悖倫, 士林과 勳戚, 中華와 夷狄을 峻別하고자 했고 그 지향하는 16세기 중반 이후의 사림들에게 이어졌다. 중종대 이후 극단적인 尊明意識을 갖고 明에 공순히 事大하면서 여타 국가를 ‘오랑캐’로 하시하는 夷狄觀이 굳어졌던 것도 이 같은 배경과 맞물려 있었다. 16세기 중반은 銀을 둘러싼 상업적 경쟁과 갈등이 심화되었던 시대였다. 貢市를 요구하는 몽골의 침략과 海禁을 넘어 무역을 갈망했던 倭寇의 발호 속에서 중국 해역의 남과 북은 ‘펄펄 끓고’ 있었다. 조선도 그 같은 상황에서 시종 일관 ‘事大’와 ‘尊明’ 이라는 시각으로 외부 세계의 변화에 대응했다. 조선은 ‘유일한 예의의 나라’라고 자부하면서 명을 ‘一家’ 이자 ‘부모국’으로 존숭했다. ‘명이 특별하게 대우하는 藩國이 조선’이라는 것이야말로 조선이 다른 국가들을 얕보는 자존심의 기반이 되었다. 조선은 명의 눈을 통해 세계를 바라보려 했다. 16세기 중반은 또한 조선과 일본의 내부 정세가 크게 변했던 시기였다. 일본에 조총이 전래되었던 1543년 무렵 조선에서는 書院이 창립되었다. 조선은 철저한 文治의 길로, 일본은 철저한 武士의 길로 양국의 행로가 극적으로 갈라졌다. ‘명의 嫡子’라는 자부심 속에 尊明意識이 높아가고 있던 조선은 ‘오랑캐 국가’ 일본의 동향에 주목하지 않았다. ‘覇權國’ 명이 있는 한, 조선이 명과 ‘특별한 관계’를 유지하는 한 일본의 변화는 별로 문제될 것이 없었다. 그것은 당시 대다수 조선 지식인들의 생각이었다. 이 같은 배경을 고려하면,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인지했는지의 여부는 별로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또 논란의 중심에 있던 김성일에 대한 평가를 쉽게 내릴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왜냐하면 임진왜란이 일어나는 것을 개인적 차원에서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