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태아 피부의 면역조직화학 및 전자현미경적 연구

        김한욱 전남대학교 1993 국내박사

        RANK : 1839

        태령 12-24주의 인태아 피부에서 EGPR 및 CK의 발현을 관찰하고자 대퇴부 피부를 대상으로 EGFR Ab-4 (Oncogene Science) 및 monoclonal mouse anti-human CK (DAKO)를 항체로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 반응 실험을 행하였으며 태령에 따른 표피세포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태령 12주에 표피는 두층으로 되고 전층에서 CK와 EGFR 항체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시기의 모낭원기는 음성이었다. 태령 16-18주에는 표피는 3-4층으로 되었으며 CK 항체에 대한 반응은 기저층과 태아표피에서는 강한 반응을 보였으나 중간층에서는 약한 반응 또는 음성이었다. 한편 모낭원기에서는 강한 반응을 보였다. EGFR 항체에 대한 반응은 기저층은 비교적 약한 반응을 보였으나 중간층과 표층은 강한 반응을 보였다. 기저층에 형성된 모낭원기는 기저세포에 비해 반응이 약하거나 없었다. 태령 23-24주에는 표피는 6층 또는 그 이상의 세포층으로 되고 태아 표피는 얇은 편평세포였다. CK 항체에 대한 반응은 각질층을 제외한 전층에서 강한 반응을 보였으며 모낭원기 및 피지선에서도 강한 반응을 보였으며 모발의 경우는 내근초세포에서 특히 강한 반응을 보였다. EGFR 항체에 대한 반응은 기저층세포에서는 비교적 약한 반응을, 중간층과 표층세포는 강한 반응을 보였다. 한편 모발이나 피지선에서는 음성이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태령 12주 표피는 기제세포와 태아표피의 두층으로 되어 있었고 전배기 모낭원기가 기저세포층에서 관찰되었다. 태령 16-18주에는 2-3열의 중간층이 형성되었는데 주로 유극층이었고 드물게는 과립세포가 출현하였다. 태령 23-24주에는 표피는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의 내층이 완전히 형성되어 있었고 태아표피는 아직 존재하였으나 상당부분이 소실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인태아 표피에서 CK와 EGFR의 발현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태령 24주에는 성인에서와 유사한 표피구조가 형성될 것임을 암시하여 주었다.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fetal skin, the expressions of cytokeratin (CK) and epidermal growth factor (EGFR) in fetal skin (12-24 weeks of gestation)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and the ultrastructure of epidermis was also observed. The expressions of CB and EGFR were identified in labelled streptoavidine biotin immunohistochemical method. Primary antibodies used were monoclonal mouse anti-human CK (DAKO-CK, MNF 116) and EGFR Ab-4 which is a rabbit, affinity-purified polyclonal antibody raised against the amino acid residues 1005-1016 (Oncogene Science). At 12 weeks of gestation the epidermis was composed basal layer and periderm and the cells of both layers were positively stained for CK and EGPR. At 10-18 weeks of gestation. epidermis was composed basal, intermediate, and periderm. The cells of basal layer and periderm were strongly positive for CK, but the cells of intermediate layer showed weak or negative reaction for CK. EGPR immunoreactivity was noted in cells of all three layer, though cells of basal layer were stained relatively weak. At 23-24 weeks of gestation, the epidermis thickened and appeared 6 or more cell layers. Epidermal cells except horny layer were stained positively for CK and EGFR. EGFR immunoreactivity in basal layer, however, wa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at in intermediate layers. Periderm allays was reaction-positive for CK and EGPR. The hair follicles, mainly pre-germ stage, were negatively stained for CK and EGFR at 12 weeks of gestation. The hair follicles with various developing stages were positively stained at 16-18 weeks of gestation. At 24 weeks of gestation, inner sheath of hair shaft and sebaceous gland were strongly reacted for CK, but not reacted for EGFR. In electron microscopic study, epidermis was composed of two layers, basal layer and periderm at 12 weeks of gestation. The periderm was composed of basal, intermediate and periderm layers at 16-18 weeks of gestation. Intermediate cells consisted of 2-3 layers of spinous cells. The granular cells appeared rarely in superficial cells of intermediate layers. At 23-24 weeks of gestation, epidermis consisted of basal, prickle, granular, and horny layers, periderm cells were locally exfoliated from the horny lay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expression of CK and EGFR in skin of human fetus between 12 and 24 weeks of gestation, and suggest that full thickness of epidermis is formed by 24 weeks of gestation.

      • 저가의 A/D converter를 사용한 정현파 신호의 Peak Detection 기법

        김한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에서는 저가의 A/D converter를 사용 할 때에도 정현파 신호의 진 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는 면적추정법 기반의 언더샘플링과 위상 변이를 사용한 진폭 추정 기법을 제시한다. 이것은 면적추정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측정 노이즈와 신호 왜곡에 대해 상 대적으로 강인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어느 정도의 내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어 진 정현파 신호에 대하여 어떻게 샘플링 주파수와 sampled data의 개수를 정 해야 하는지 보일 것이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터로 수행한 모의실험 결과와 스캐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실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성능을 검증한다.

      • 독일어 주어 지시체 부재 표현 구문 NPNOM + seinFIN + [...] + VINF : seinFIN + VINF 부재성 논의

        김한욱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Es gibt ein linguistisches Phänomen, das im deutschsprachigen Raum im 21. Jahrhundert zum Gegenstand heftiger wissenschaftlicher Debatten geworden ist, beginnend mit den Arbeiten des Linguisten Casper de Groot. Es handelt sich um die sogenannte „Absentivkonstruktion“, die im morphosyntaktischen Rahmen „NPNOM + seinFIN + [...] + VINF“ realisiert wird. Eine wichtige semantische und pragmatische Eigenschaft der Konstruktion „NPNOM + seinFIN + [...] + VINF“ besteht darin, dass lexikalische Elemente wie weg, draußen, außer Haus, abwesend, gegangen, weggegangen usw. in der Konstruktion die Abwesenheit des Subjekts implizieren obwohl sie nicht extern realisiert werden. Mit anderen Worten, der Verbalkomplex „seinFIN + VINF“, der „NPNOM + seinFIN + [...] + VINF“ bildet, enthält selbst die Abwesenheit eines Subjekts. Linguisten betrachten die Konstruktion von „NPNOM + seinFIN + [...] + VINF“, einem kürzlich entdeckten sprachlichen Phänomen im Gegenwartsdeutschen, aus zwei unterschiedlichen Perspektiven. Einerseits sagen einige Wissenschaftler, dass der Verbalkomplex „seinFIN + VINF“, der das zentrale Element der entsprechenden Konstruktion darstellt, als eigenständige grammatische Kategorie angesehen werden sollte. Andererseits sagen einige Forscher, dass der Verbalkomplex „seinFIN + VINF“ nicht als spezifische grammatische Kategorie, sondern als „semantisches und pragmatisches Phänomen“ angesehen werden muss, das auf die „Abwesenheit eines Subjekts“ hindeutet. Es ist notwendig, den zweigleisigen Diskurs der Forscher zu untersuchen. Es gibt drei wesentliche Bestandteile, um die Konstruktion „NPNOM + seinFIN + [...] + VINF“ zu bilden. Dies sind eine Nominalphrase im Nominativ (NPNOM), das finite Verb sein (seinFIN) und ein infinitives Verb (VINF). Von den drei oben genannten Komponenten ist seinFIN der Faktor, der die Grammatikalität des Verbalkomplexes „seinFIN + VINF“, der die Konstruktion „NPNOM + seinFIN + [...] + VINF“ bildet, in die wissenschaftliche Diskussion eingebracht hat. Die Wissenschaftler betrachten seinFIN als Hilfsverb, Vollverb oder Kopulaverb, jeweils in Bezug auf den Status des finiten Verbs sein. Dementsprechend wird der Mechanismus zur Erklärung des sprachlichen Phänomens „NPNOM + seinFIN + [...] + VINF“ in die Ellipsehypothese, die Ableitungshypothese und die Finalitätshypothese unterteilt. Ich betrachte seinFIN des Verbalkomplexes „seinFIN + VINF“ als ein Kopulaverb und lege den Schwerpunkt auf die Gültigkeit der Finalitätshypothese. Wenn der Status des finiten Verbs sein ein Kopulaverb ist, ist es unvermeidlich, den Verbalkomplex „seinFIN + VINF“ als ein „semantisch-pragmatisches linguistisches Phänomen, das die Abwesenheit eines Subjekts anzeigt“ und nicht als grammatische Kategorie zu betrachten. In dieser Studie werden vier Hauptgründe dafür angeführt, warum es unmöglich ist, den Verbalkomplex „seinFIN + VINF“ als grammatische Kategorie zu betrachten. Erstens besitzt der Verbalkomplex semantische und pragmatische Besonderheiten. Die Fälle, in denen ein Sprecher die Konstruktion „NPNOM + seinFIN + [...] + VINF“ in einer Äußerungssituation verwenden kann, sind eher begrenzt und von der Situation abhängig. Zweitens gibt es einen Grund für Markiertheit und Unmarkiertheit. Auf der Grundlage der Markiertheitstheorie kann bei einem markierten „Absentiv“ ein ihm gegenüberstehender unmarkierter „Präsentiv“ angenommen werden. Die Voraussetzungen für einen Absentiv und einen Präsentiv weisen auf das numerische Ungleichgewicht zwischen der „markierten grammatischen Kategorie“ und der „unmarkierten grammatischen Kategorie“ hin. Drittens kann die „Abwesenheit des Subjekts“ durch verschiedene Phrasen ausgedrückt werden. Die „Abwesenheit des Subjekts“ wird neben dem Verbalkomplex „seinFIN + VINF“ auf verschiedene Weise realisiert. Als vierten Grund kann man die Mehrdeutigkeit des Verbalkomplexes „seinFIN + VINF“ anführen. Es gibt Fälle, in denen die Aussage durch die Konstruktion „NPNOM + seinFIN + [...] + VINF“ nicht der Schlüssel zur Abwesenheit des Subjekts ist, und es gibt Fälle, in denen sie nur „Beschreibung des Ereignisses“ oder „Aussage über den vergangenen Sachverhalt“ impliziert. 21세기 독어학 분야에서 언어학자 카스퍼 데 그로트(Casper de Groot)의 연구를 출발점으로 활발한 학술적 논의의 대상이 된 언어 현상이 있다. ‘NPNOM + seinFIN + [...] + VINF’의 형태·통사적 틀로 실현되는 소위 ‘부재형 구문’이다. ‘NPNOM + seinFIN + [...] + VINF’ 구문의 큰 의미·화용적 특성은 부재를 나타내는 어휘 요소 weg, draußen, außer Haus, abwesend, gegangen, weggegangen 등이 구문 내에서 외현적(overt)으로 실현되지 않는데도 주어의 부재를 함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NPNOM + seinFIN + [...] + VINF’을 구성하는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 자체가 주어의 부재를 내포한다. 현대 독일어에서 최근에 주목받은 언어 현상인 ‘NPNOM + seinFIN + [...] + VINF’ 구문을 언어학자들은 서로 다른 두 개의 관점으로 본다. 일면으로는 해당 구문을 구성하는 중심 요소인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를 ‘독자적인 문법 범주’로 보아야 한다는 학자가 있다. 그에 반해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는 고유한 문법 범주가 아니라 ‘주어의 부재’를 예상하게 하는 ‘의미·화용적 언어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학자도 있다. 학자들의 두 갈래의 담론을 학술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NPNOM + seinFIN + [...] + VINF’ 구문을 구성하기 위한 구문의 필수 구성 요소가 있다. 1격 명사구(NPNOM), 정형 동사 sein(seinFIN) 그리고 부정형 동사(VINF)다. 위 세 가지 구성 요소 중 ‘NPNOM + seinFIN + [...] + VINF’ 구문을 이루는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의 문법성을 학문적 논의의 장으로 이끄는 데에 기인한 요소는 seinFIN다. 학자들은 정형 동사 sein의 위상을 각각 조동사, 본동사, 연결동사로 본다. 이에 따라 ‘NPNOM + seinFIN + [...] + VINF’라는 언어 현상을 설명하는 기제가 생략가설, 파생가설, 목적가설로 나뉜다. 본 논문은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의 seinFIN를 연결동사로 보며, 목적가설의 타당성에 힘을 싣는다. 정형 동사 sein의 지위가 연결동사일 때,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를 문법 범주가 아닌 ‘주어의 부재를 나타내는 의미·화용적 언어 현상’으로 보는 것은 불가피하다. 본 연구는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를 문법 범주로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네 가지 핵심 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의미·화용적 근거다. 발화 상황에서 화자가 ‘NPNOM + seinFIN + [...] + VINF’ 구문을 활용할 수 있는 경우는 다소 한정적이며 상황 종속적이다. 둘째, 유/무표성 근거다. 유표성 이론에 근거하면 유표적인 ‘부재형’이 존재할 시, 그에 반대되는 무표적인 ‘실재형’을 가정할 수 있다. 부재형과 실재형 가정은 곧 ‘유표적 문법 범주’와 ‘무표적 문법 범주’의 수적 불균형을 초래한다. 셋째, ‘주어의 부재’는 다양한 구문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주어의 부재’는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 외에도 여러 방법으로 실현된다. 넷째, 동사 복합체 ‘seinFIN + VINF’의 다의성이다. ‘NPNOM + seinFIN + [...] + VINF’ 구문을 통한 진술이 주어의 부재가 핵심이 아닌 경우가 있으며, ‘해당 사건에 관한 설명’ 또는 ‘과거 사실에 관한 진술’만을 함의하는 사례가 존재한다.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음악대학 교육과정 연구 : 음대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한욱 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Students studying at the college of music enter the university after investing quite a lot of time, from 1 to 10 years in their major. Of course, the period of time invested in studying their major can vary from person to person, and students enter the college of music expecting more in-depth programs. However, the reality of music colleges in Korea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20 years ago, without any development of the courses from that tim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wherein music students cannot survive with only traditional classic music in the upcoming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mportant reference index to be used in the music industry and university music education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review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the music colleges in Korea; the goal is the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for music colleges in Korea so that music college students can create new career opportunities without losing their expertise and specialti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To achieve this purpose, study limitations and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have also been examined. First, this study summarizes the general discussions,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nd so forth,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become a major social issue these days. It also compares and studies the changes that have been made in the modes of music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s; it does so by referring to preceding research literature and data on the chronological and historical changes in music that have com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researcher the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mostly with experts who are working in Korea, regarding music and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in the future. Participants were chosen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studying music abroad, and the aim of the interviews was to identify their perceptions abou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cessity of the convergence of mus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and preparation methods and plans for the future. A survey of students who are currently studying at the college of music was then conducted on their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124 students from 7 universitie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yang University,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irty-six male and 78 female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10 students did not provide responses. An in-depth interview and a descriptive survey on perception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how the respondents are preparing for the upcom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of music colleges in Korea and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ways to develop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 for a new curriculum with a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music. Results show that the curriculum of music colleges has remained unchanged for long and students are still studying the same obsolete contents, so they are not prepared for the upcoming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f they leave the school like this and enter society unprepared, they will have to face the harsh reality; they will have few choices, for example, working at a choir or a symphony orchestra operated by a city government. Consequently, many students who cannot get a job in Korea go abroad to study, and even after they return to Korea, there is no place for them; these are only some of the many unexpected problems waiting for them. Music college students now feel heavy burdens and experience indescribable difficulties with such a reality. 음악대학에서 수학하는 학생들은 짧게는 1년에서 길게는 10년 이상 자신들의 전공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물론 사람에 따라 전공에 따라 투자하는 시간이 달라진다. 학생들은 좀 더 심화된 과정을 배우기 위해 음악대학에 진학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음악대학의 실정은 20년 전 과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통 클래식 음악 하나로는 살아남을 수 없는 현 상황을 지적하고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통해 음악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갖추고 있는 전문성을 졸업 이후에도 잃지 않고 새로운 활동 기회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음악대학에서 새로운 교육 과정 개발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음악대학의 현재 실정과 과제를 총체적 다각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음악전공자 같은 고급 인력들이 사회에 적응하며 음악 산업차원과 대학교육에서 중요한 준거 지표로 제시, 활용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로 첫째,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일반적인 논의, 개념, 특성 등을 정리하고 기술발전에 따른 시대적·역사적 음악의 변화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 문헌 및 자료 등을 참고함으로써 기술발전을 통한 음악의 양식 변화에 대해 비교하며 고찰하도록 하였다. 둘째, 실제 음악 전공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유학을 다녀와서 활동 중인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미래기술과 음악의 융합에 관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4차 산업에 대한 인식 기술발전과 음악의 융합 필요성 및 미래에 대한 준비 및 계획 방법을 파악하였다. 셋째, 현재 음악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에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톨릭대학교, 안양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한양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총 7개의 학교로 구성된 재학생 남자 36명 여자 78명 무응답10명 총 124명의 학생들에 대하여 4차 산업혁명의 인식조사를 통해 어떠한 준비를 심층면담과 서술적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음악대학커리큘럼을 조사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교육현황을 참고함으로써 기술과 음악의 융합된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활성화를 위한 교육개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음악대학의 커리큘럼은 오랫동안 변한 것이 없어서 배우는 것이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기 때문에 이는 현재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뿐 아니라 현대사회의 흐름에 대비를 못하고 있으며 이렇게 아무런 준비 없이 사회에 진출 하였을 때 극소수의 인원만 합창단이나 시립교향악단에 들어갈 뿐 나머지 학생들은 음악을 그만 두거나 유학을 떠난다. 하지만 유학에서 공부하고 귀국 후에도 시간강사 자리도 구하기 어려워 설 자리가 없다는 뜻하지 않는 문제들과 부딪치게 된다. 물론 시간강사로 현업에 있는 사람들 역시 인맥중심의 예체능의 관례적인 부분들이 작용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한 것들이 현재 음악대학 학생들에게 에로사항으로 다가오며 그 부담감은 이루 설명 할 수가 없다. 음악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 외에 다른 분야에 관심도는 굉장히 적은편이며 기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연습실에 있거나 레슨을 받는 등 다른 일을 함께 할 수 없는 스케쥴로 인한 시간적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재 다가오는 신기술에 있어서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으며 대학교육의 부재, 현장과 학교의 연계부족 등 환경적 개선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고정관념을 깨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렇듯 음악대학 재학생과 음악전공자들이 어린나이로부터 자신의 전공에 전념하다보니 폭 넓은 대인관계나 자신의 전공 외 다른 정보를 위한 시간적 할애를 못 하는 부분으로 애로사항이 분석된다. 즉 학교에서 예전 것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옛것을 배우고 새로운 것을 융합하는 새로운 융합형 교과목이 대학에 개설되어 활성화 한다면 음악전공자들의 전문성을 잃지 않는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들을 통하여 음악전공자들이 앞으로 빠르게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음악과 기술이 융합된 교과목의 논의와 개발이 필요하며 그 전문 능력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인식 개선과 사전 준비를 위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