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상으로서의 삶의 형식과 표현 : 김숙경 작품 해석

        김숙경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국내석사

        RANK : 1855

        Art is a mirror of the spirit and mode of the time. The Unique art view of artist is an essential element and precondision about what to draw and how to draw. The Exploration on work creation of an artist made artist fairly placed in socio-historical structure and investigated the biograph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element which made artist created work. This paper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se element was expressed in my works. In order to this purpose my works were analyzed and arranged with theme and content, expression style as follow: - Theme and Content · About the spirit of the time. · About the object of the work. - Expression style · The accidental effert controlled canvas. · Colors as a sensitive language. · The ichnographical effect piled up shape on background. · Expression of Dynamic sense. · Line alterated significance.

      • Be´la Barto´k《Violin Concerto No. 2》에 관한 主題 構造의 分析的 考察

        金淑卿 淑明女子大學校 1984 국내석사

        RANK : 1839

        Be´la Barto´k (1981-1945) is not only the one of the greatest distinguished creative artists that Hungary has ever had, in the music history of the 20th century, but the first musician who embodied the creative ideology of the tendency toward neo-nationalism. Becaus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appear in Barto´k's works do use the musical simplicity or tonality form and national materials, it makes an appearance as the groping for a newly structural principle in the tone world after disruption of tonality, and the national music style except Germany and France builds a fundamental breakwater against the atonality and 12-tone method, because of it, these musical characteristics is the one of the greatest influences on the modern music. Through his life, Barto´k created several immortal works such as orchestral, chamber and piano music. Among these works, "Violin Concerto NO. 2" in this study is included in his late ones which established the Barto´k's Style, and also is the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which showed his creative ideology. The analysis of this work is not only the investigation of the method being involved in Barto´k's music but the suggestion of the new method' to be able to express the traditional music of Korea by western method. Hence, the intention in this study is in the pursuit of musician’ s creative logicality by analysis of the subjective structure which is discovered in the "Violin Concerto NO. 2" of Barto´k. While showing a wonder and admiration for the romantic musicians, e. g. R. Strauss, Franz Liszt, Barto´k, who is wholly devoted to agrarian music, develops remarkably anti-romantic tendency. Barto´k who took his departure from musical impressionism, in his late style, occupies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principles of radical diatonic scale and of chromatic scale. From above research till now,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Be´la Barto´k’s "Violin Concerto NO. 2" is as follows; In the expression of this composition's construction, the First Movement and the Third Movement are, preferentially, divided into 14 Sectors respectively, and the Movements can be summarized again with larger 4 Sectors, remarkably in the First, on the contrary, roughly in the Third, and the Second Movement takes a variation form. The 4 larger Sectors in the First Movement can be interpreted as a coincidence with the sonata form, that is the First Sector is Exposition, the Second, Development, the Third, Recapitulation, the Fourth, Cadence and Coda. The Second Movement is situated in the center, and composed of subject with seven variation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h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expression as "extremity" or "equilibrium" of the "economy of materials" in the careful selection of folk music. This subject is the "Parlaudo-Rubato melody" which is always discovered in Barto´k's works, and this is, with most clear, internally connected with the remarkable folk music in Hungary and the ones in Eastern Europe. The Third Movement permits a diagrammatic attempt similar to the First, but in this Movement, the Development and Exposition are not clearly divided as such. In particular, judging from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bject in the sonata form, Barto´k treats as a transformation of subject through all the Movements, with no cease in the establishment, contrary to the classical sonata form, in addition, he shows a subjective characteristics in his own way by application of the same principle of transformation in the First and Third Movement as well as the Second in the variation form. Consequently, Barto´k's creative ideology is in the achievement of synthesis of the Oriental and Western music through the symbolic dialog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hich none has ever achieved, "Violin Concerto NO. 2" in this study is the very work which is sufficiently reflected with these factors.

      • 전통 솟대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연구

        김숙경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논 문 개 요 본 논문은 문화원형으로서 전통 솟대에 기반을 두고 문화산업 가운데 국내외적으로 솟대의 모습과 그 의미를 제시하는 전통 솟대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통 솟대에 관련된 문화콘텐츠를 전시문화콘텐츠, 공예문화콘텐츠, 교육문화콘텐츠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사례조사를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시문화콘텐츠의 사례조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대한민국솟대작가협회가 개최한 전시회 도록을 자료로 수집하여 전시 기간, 전시 장소, 전시 주최, 전시 제목을 제시하고 각 전시회에서 전통 솟대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공예문화콘텐츠에 대한 사례조사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대한민국기능전승자회, 대한민국솟대작가협회, 서울디자인재단, 아름솟대, 솟대가 있는 풍경 등의 다섯 곳에서 공예문화상품으로 제작된 장식용품과 생활용품의 사진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이 가운데 공간에 고정적으로 놓이게 되는 장식용품은 벽걸이용, 탁상용, 바닥용 등의 용도별로 세분하여 장식용품명, 소재, 제작자명(제작년도)을 정리하였다. 반면 생활 속에서 실제로 사용이 되는 생활용품은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등의 용도별로 세분하여 생활용품명, 소재, 제작자명(제작년도)을 정리하였다. 또한 전통솟대를 활용한 장식용품과 생활용품의 문화콘텐츠에 반영된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에듀테인먼트로서 솟대를 교육의 주제로 활용하는 교육문화콘텐츠에 대한 사례조사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경기공예협회, 대한민국솟대작가협회가 주관하여 유아 및 청소년, 일반 시민, 특수 대상 등에게 실시된 체험프로그램의 사진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이들 대상별로 전통 솟대를 활용한 교육주제, 교육년도, 교육장소, 주관처, 개최처를 구분해 정리하고 교육문화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 대한민국솟대작가협회는 광주시립민속박물관에서 <소망을 담고 나는 새, 솟대>라는 제목으로 처음으로 단체전을 시작하여, 매회 마다 다양한 솟대들을 전시하고 소개해왔다. 무엇보다 2011년의 전시는 공식적으로 실내 솟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본래 자연에서 산출된 소재로 제작된 신앙적 의미를 지녔던 솟대의 모습을 이제는 마을 어귀나 평야에서만 볼 수 있는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 솟대는 실외에서만이 아닌 실내에서도 보고 즐길 수 있는 전시문화콘텐츠가 된 것이다. 둘째, 공예문화콘텐츠로서의 전통 솟대는 장식용품과 생활용품이라는 두 가지의 측면에서 꾸준히 제작이 이루어짐으로써 대중들의 생활 속으로 친근하게 들어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IT 기술의 성장은 전통 솟대와 접목이 되어 전통문화에 대한 창의적인 재해석과 문화적 우수성에 대한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솟대의 이미지가 조형, 회화 또는 나전 등으로 표현이 됨으로써 창의적인 발전의 원동력이 커지고 있다. 이는 전통 솟대 문화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전통 솟대를 활용한 교육문화콘텐츠는 한국문화의 유용한 주제로 입체적, 평면적으로 다양한 대상에게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솟대는 나무 외에도 소재 선택의 자유로움을 갖고 있어 교육대상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솟대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직접 만들어 보는 과정에서 즐거움이 유발되는 오락적 체험성도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예술성과 창의성을 지닌 전통 솟대를 활용하는 문화콘텐츠는 그 영역을 더욱 확장해나가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여가성, 대중성, 오락성의 특성을 강화하여 일상 속에서 전통 솟대 문화에 대한 소통과 향유가 확산이 되는 생활문화로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 차 ABSTRACT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by Korea traditional ‘Sotdae’ Kim Sook Kyou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Major Graduate School of Cultural Industry Arts Sungshin University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traditional Sotdae as a culturally original form.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development trends of cultural contents utilizing the traditional Sotdae among the cultural industries in Korea by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presenting the image and meaning of Sotdae. For this objective the research analyzed examples of educational cultural contents operated by the hands-on programs of Sotdae and handcraft contents, which transfer the value of cultural goods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production of display cultural contents and Sotdae for decoration and daily life. The publications of Korea Sotdae Artists Association’s exhibitions in 2011 through 2020 were used to study display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compiled the period, location, organizer and title of the exhibition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ontents which use the traditional Sotdae in each exhibition. Handcraft cultural contents were studied with photos of materials for decoration and daily life presented in 2015 to 2020 by the following five sources; Korea Skills Transfer Association, Korea Sotdae Artists Association, Seoul Design Foundation, Arum sotdae, and The View with Sotdae. Among them decorational Sotdae to be fixed in space for wall hanging, table top and floor were compiled in detail with title, material and artist’s name (date of production). The Sotdae actually used in the living space were arranged in detail by its use in clothing, food, housing etc and listed for the name of household goods, material and name of the artist (date of production). Also analyzed wer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reflected by the materials used for decoration and daily life using the traditional Sotdae. Next study was the Edu-entertainment. It is about the Education-cultural contents presented in 2014 to 2020 where Sotdae was used as an educational subject, which were sponsored by the Gyunggi Industrial Association and Korea Sotdae artists Association for children, young people, general public, special group etc. Photos published in these hands-on programs were compiled for this study. Educational subject, year, location, sponsorship and venue using the traditional Sotdae were individually compil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ultural contents were analyzed. The primary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 Sotdae Artists Association held the first group exhibition entitled <Birds flying with Hope, Sotdae> at the Gwangju Falk Museum. Every exhibition displayed and introduced various Sotdae. Most of all the 2011 exhibition was a momentum to officially introduce indoor Sotdae. Originally Sotdae was created for outdoor display with traditional belief. But the time has passed to see Sotdae at the entrance of villages or in the field. Sotdae became a display cultural content to view and enjoy indoor as well as outdoor. Second, as a handcraft cultural content the traditional Sotdae engages with the general public in two ways through persistent creation for decoration and daily life. The traditional Sotdae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IT technology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nnected to evaluate the creative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its cultural superior. Also the expression of Sotdae in sculpture, painting, and lacquer provides a momentum for creative development. This comes from the pride and self-confidence of the traditional Sotdae culture. Third, the educational culture contents using the traditional Sotdae helps teaching various objects in two and three dimensions as a beneficial subject of Korean culture. Especially Sotdae has a freedom to select materials other than trees, which motivates creativity and artistics of the educational subjects. Recreational hands-on experiences are gained with fun through listening to the Sotdae story and hands-on experience of making Sotdae. In conclusion cultural contents using artistic and creative traditional Sotdae must further expand its territory. To achieve this expansion the Sotdae culture needs to strengthen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popularity, and recreation in our life and the dialogue and pleasure through the traditional Sotdae culture must spread to our daily life culture.

      • 인간중심교육 관점에서 본 초등영어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숙경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나라의 경우 영어교육은 100년이 넘는 긴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조기영어교육은 1971년 교육부에서 초등학교 영어교육 실시를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는 사회여론 및 학자들의 엇갈리는 찬반에 휘말려 이의 시행이 현실화 되지 못하고 말았다. 그러던 중 이제는 세계어,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중요도가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자, 영어 습득에 대한 필요성이 보다 절실해지면서 1997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부터 정규과목으로 영어를 가르치게 되어, 이제 그 시행 4년째를 맞고 있다. 그러나, 초등영어시행과 관련한 많은 부작용도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작성된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중심교육의 관점에서 본 현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데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소개하였다. 첫째, 인간중심 교육의 기본개념을 학문적, 철학적 측면에서 알아보았고, 인간중심교육의 근본목적이 자아실현인의 육성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초등영어교육에서도 인간중심교육의 도입 및 적용이 실시되어야 함을 언급하였다. 둘째, 초등영어교육의 기본원리와 교육과정을 알아보았다. 즉, 여기에서는 신경생리학적, 인지론적, 정의적 측면에서의 초등영어교육의 기본원리를 살펴보았고,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목표 그리고 내용을 알아보았다. 셋째, 인간중심 교육관점에서 본 현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과 초등영어교육 실태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영어교육 현장에서 적용, 시행할 수 있는 인간중심 영어지도기술을 소개하였으며, 동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초등영어 지도법의 종류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영어습득과 관련한 인간중심교육의 철학적 개념 정립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사회전반적 공감대 확대가 전제되어야만, 세계인, 국제인으로 양성될 수 있는 진정한 초등영어교육 시스템으로 정착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초등영어교육 관련 공교육의 확고하고 체계적인 기획 및 지원책이 실현되어야만 아동들에게 영어교육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등의 부작용을 해소 시킬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초등영어교육에 관한 국가적 차원의 관심과 이에 대한 올바르고 선진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이 현 우리나라 초등영어교육의 가장 큰 숙제로 남아 있음을 지적하였다.

      •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성ㆍ도덕성 발달 차이

        김숙경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중학생의 밥상머리 교육 실태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라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정에서 밥상머리 교육이 이루어지는 중학생의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이 밥상머리 교육 시간과 교육 횟수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도 의정부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t 검정,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밥상머리 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70%정도가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경우 교육 지속기간이 9년 이상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60% 정도로 나타났고, 절반 정도가 주 5회 이상, 한 번에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의 주제는 일상생활과 학교생활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성과 도덕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중학생이 사회성 전체는 물론 모든 하위영역 즉 안정성, 활동성, 사교성, 자율성, 지배성에서 밥상머리 교육을 받지 않은 중학생에 비해 발달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중학생이 도덕성 전체와 하위영역 중 준법성, 건전성, 친절성에서 밥상머리 교육을 받지 않은 중학생에 비해 발달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중학생 간에 교육 시간에 따른 사회성과 도덕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라 도덕성의 하위 영역 중 준법성과 책임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준법성과 책임성 모두 2시간 이상 교육을 받은 집단의 발달수준이 1시간 미만 교육을 받은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사회성과 도덕성의 발달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에서는 하위 영역 중 활동성만 주당 밥상머리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도덕성 발달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도덕성 전체와 하위영역 중 준법성, 책임성, 친절성에서 주 1~2회 교육을 받은 집단과 주 5회 이상 교육을 받은 집단이 주 3~4회 교육을 받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밥상머리 교육이 중학생의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가를 확인한 것으로 밥상머리 교육이 중학생들의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Bapsangmeori education (where parents educate their children over a family dinner), and explores whether it influences social and moral development among middle students. In particular,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ocial and mor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who receive Bapsangmeori educat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such education. For this, 420 middle schoolers living in Uijeongbu City,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a surve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post-hoc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70% of the participating middle schoolers were receiving Bapsangmeori education. Among them, 60% reported that such routine has been going on for more than 9 years, and about half said such education typically lasts about 30 minutes to 1 hour at one sitting, more than 5 times a week. Common themes of Bapsangmeori education appeared to be day-to-day life and school life. Second, students who have received Bapsangmeori educatio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total sociality score, as well as on all the subdomain scores (safety, activity, sociability, autonomy, and dominance,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such education. Also, students who have received Bapsangmeori educatio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total morality score, as well as on all the subdomain scores (law-abidingness, integrity, kindness)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such educatio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Bapsangmeori education. As for moral develop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domains of morality - law-abidingness and accountability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Bapsangmoeri education. Specifically, those who had received more than two hours of Bapsangmeori education had higher levels of law-abidingness and accountability those who received less than one hour of such education. As for the influence of the frequency of Bapsangmeori education, the more frequent such education is during the week, the significantly higher the activity (a subdomain of sociality) score. Those who received Bapsangmeori education once or twice per week or about more than five times a week seemed to have scored higher on the total morality score as well as law-abidingness, accountability, and kindness than those who received such education about 3-4 time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Basangmeori education produc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ddle schooler's social and mor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