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무순지역 한국어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정의(Zheng Yixiang)(鄭義香)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9 No.-

        This paper aims to use the machine of the experiment 4300B CSL to analyze the Korean monophthong in Phonetics. Until now, there are so many analysis on monophthong about the standard language of Korean in Phonetics, but less analysis about the Korean dialect. So this paper analyzes the monophthong of the musun Dialect through the informants. As the result, we can see the the old ages’ front vowel on [ㅣ], [ㅔ], [ㅐ] are stronger than the young ages. And the old ages’ mouth are bigger than the young ages when the speak the [ㅏ]. In the musun of Korea, all th people speak the [ㅚ]and [ㅟ]as a diphthong. The analysis of Study on the musun dialect may help to comprehend the monophthong system of the Korean musun dialect accurately.

      • 파생어의 사전 처리에 대한 연구 : 『표준국어대사전』을 중심으로

        정의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4 No.-

        파생어는 어기와 파생접사로 이루어지는 복합어이다. 어기는 하나의 단어일 때도 있고 의미상 그 단어의 중심 요소이지만 단어의 자격은 가지지 못한 어근일 때도 있다. 파생접사는 사전에 독립 항목으로 등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사전의 기술에서 파생어와 어기와 접사는 서로 단어형성론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는 항목들을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생접사와 파생어의 기술은 단순어나 합성어의 기술에서와는 달리 복잡한 고려 사항들을 가지게 되며 그만큼 더 체계적인 기술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편찬한『표준국어대사전』1)을 중심으로 파생어의 사전 처리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주로 파생어의 표제어 설정, 파생접사의 표제어 설정, 표제어의 표기, 파생접사의 뜻풀이, 파생어의 뜻풀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파생어와 표제어의 설정 문제에 대해서는『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일관성을 반영하려고 노력했음을 볼 수 있는데 파생접사의 뜻풀이 가령 ‘-거리다/-대다’, ‘-답다’의 뜻풀이 등에 대한 사전 처리는 더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의 한국어사전편찬에 반영이 되었으면 한다. The derivative is a compound word which is made from the base and the derivational affix. The base sometimes can be a word, or just plays an important part of a word in the meaning as a stem. Generally, the derivational affix is registered as a independent item in the dictionary. So in the description of the dictionary, the derivative, the base, and the affix intimates with each other in the theory of the word's formation. For this reason, the description of the derivational affix and the derivative is different from the the description of the simple word and the compound word. So it needs to be a systematic way to describe of the derivational affix and the derivative when we do it in a complicated way. This paper aims to adduce some problem drawbacks when I examine the dictionary processing of the『the standard of the Korean dictionary』which is made in 1999.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setting of the derivative's headword, the setting of the derivational affix's headword, the mark of the headword, the explanation of the derivational affix's meaning, and the explanation of the derivative meaning. we can find the consistency in the setting between the derivative and the headword, but the explanation of the derivational affix's meaning, just as the ‘-거리다/-대다’, ‘-답다’ is not enough. So I think it needs to be some more supplementation in this part.

      • KCI등재

        평북 철산지역어 어미의 공시형태론 - 어미의 기저형 설정을 중심으로

        정의(Zheng Yixiang)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5 No.-

          In this paper we discussed with synchronic morphology of endings of Pyeonganbuk-do cheolsan dialect, focused on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endings. The underlying of endings is divided into the underlying of declension endings and the underlying of conjugation endings. The underlying of declension endings is subdivided into unique underlying and complex underlying, and the underlying of conjugation endings also can be subdivided in the same way.<BR>  In Pyeonganbuk-do cheolsan, unique underlyings of declension endings, beginning by consonant, include /-마나/, /-꺼증/, /-토롬/, /-허구/, /-보담/, /-두/, /-과/etc. unique underlyings, beginning by vowel, include /-으루/, /-아/etc. Complex underlying of declension endings include /-{이, -에}/, /-{이, -에}서/, /-{이, -에}다/, /-이, -레/, /-{Ø, -ㄹ} etc. Unique underlying of conjugation endings, beginning by consonant, include /-간/, /-갓-/, /-구/, /-게/, /-네/, /-노/, /-나/, /-디/, /-다가/, /-더라/, /-두룩/etc. Unique underlyings, beginning by vowel, include /-으느꺼니/, /-으레/, /-으문/, /-으멘서/, /-을까/, /-을라구/, /-을수룩/, /-어두/, /-어서/etc. Complex underlying of declension endings include /-{{은, -는}-Ø}다/, /-{Ø, -ㅅ}우다레/, /-{Ø, -ㅅ}읍두다/, /-{으, 어}라/, /-{으, 어}야 / etc.

      • "ㅅ"계 합용병서의 음가에 대한 연구

        정의(??香)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중국조선어문 Vol.177 No.-

        "합용병서"는 음운사연구의 중요한 론제중 하나로, 그간 많은 연구자들이 그 본질의 규명을 위해 노력해온바 있다. 본 론문은 15세기 문헌자료에 나타나는 "ㅅ"계 초성합용병서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목적으로 함으로써 "ㅅ"계 합용병서의 표기가 진정으로 무엇을 나타낸것인지 다시 확인해보았다.

      • KCI등재후보

        서북방언의 어미 ‘-아/어(Y)’교체의 실현 양상에 대하여 -철산지역어 자료를 중심으로-

        정의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7

        이 글은 서북 철산지역어에서 어간형태소의 모음에 따라 ‘-어/어(Y)’의 교체양상이 어떻게 실현되고 나아가서 ‘-아/어’의 교체가 어간 모음과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대해서 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어미 ‘-아/어’의 교체 양상은 어간의 음절수, 어간말음절 모음의 음운론적 성격, 어간말음절의 구조 등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어간말음절 모음이 ‘아, 오, 애’인 경우에는 어미 ‘-아’가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어간말음절 모음이 ‘어, 이’인 경우에는 어미 ‘-어’가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간말음절 모음이 ‘으, 우’인 경우에는 1음절인 경우에는 ‘-어’가 선택되고 2음절인 경우에는 어두 음절 모음의 성격에 따라 어미 ‘-아’로 실현되기도 하고 ‘-어’로 실현되기도 하는데 어미 ‘-어’로 조금씩 바뀌어 가는 추세가 보이고 있다.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Alternation of the ending ‘-아/어(Y)’ in North-west cheolsan dialect is actualized according to the vowel of the base morpheme and further more examined how the alternation of the ending ‘-아/어(Y)’ is related with the vowel of the base in a synchronistic views. The alternation aspect of the ending ‘-아/어’ was examined with the number of syllable of the base, the nature of the last vowel of the base, the structure of the last syllable of the base etc. If the last vowel of the base is ‘아, 오, 애’ it will be usually actualized in ‘-아’, and if the last vowel of the base is ‘어, 우’ when being a monosyllabic word, it will be usually actualized in ‘-아’, but when being a disyllabic word, it will be actualized in ‘-아’, or ‘-어’ according to the vowel of aphesis syllable and it shows a general tendency of being actualized in ‘-어’.

      •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에서의 ‘바치-’의 의미 변화 연구

        鄭義香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논집 Vol.25 No.-

        본고는 ‘바치-’의 공기 관계를 통시적으로 검토하고 그 의미 변화 과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동사 ‘바치-’의 의미를 통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15세기 한국어사 자료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9세기부터 의미 영역이 확대되어 6가지의 의미로 사용된 용례가 많았다. 즉 ‘바치-’는 15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바티-, 밧티-, 밧치-, 바치-’등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되면서 대체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었다. (1) (신이나 받들어야 할 분에게) 어떤 물건을 가지도록 정중하게 내어 놓다. (2) 무엇을 위하여 몸과 마음 등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놓거나 쓰다. (3) 재물이나 세금 및 공납금 같은 것을 내다. (4) 공문이나 문서를 제출하다. (5) 어떤 물건을 도로 주거나 돌려보내다 (6) 다른 동사의 ‘-아(-어, -여)’아래에 붙어 윗사람에게 드린다. 하지만 그것이 21세기에 이르러서는 중국의 조선족들은 그 잔재형으로 다의적 용법으로 쓰이고 있지만 한국에는 ‘바치-’의 의미가 축소되어 지금은 ‘바치-’대신에 ‘내-, 제출하-’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occurrence of the ‘바치-’ in a diachronic way, and determine its process of the semantic change. Examining the signification of the ‘바치-’ in a diachronic way, we can know it has several signific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which is from 15th century. Especially, the signification of the ‘바치-’ expanded its meaning area, and we can see so many examples of its six kinds of significations from the 19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verb ‘바치-’ was uese in different of the forms as the ‘바티-, 밧티-, 밧치-, 바치-’ from the 15th to 20th century. The six kinds of significations are (1) offer a sacrifice to God (2) to dedicate something (3) pay the money for something (4) to submit the documents (5) to return something (6) to use behind the other verbs' ‘-아 (-어, -여)’ and give to one's elder. But these different kinds of significations are uesd by the Korena Chinese who live in China there days. In Soth Korea, the meaning of the ‘바치-’ are reduced, and now people use the ‘내-, 제출하-’to instead of the ‘바치-’.

      • 서북방언명사파생 접미사 ‘-이’에 대한 고찰

        정의 ( Zheng-yixia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2

        본고는 서북방언의 자연발화를 주된 대상으로 하여 서북방언에 나타나는 명사파생접미사 ‘-이’에 의한 파생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에서 명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명사를 파생시키는 접미사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이 접미사들에 의해 형성된 파생어도 매우 많을 것이다. 서북방언에서도 명사파생접미사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비교적 생산적인 접미사들로는 ‘-이’, ‘-음’, ‘-기’, ‘-개’, ‘-쟁이(-장이), -뱅이(-방이), -퉁이’, ‘-질, -노리/노릇’, ‘-앙/엉, -앙이/엉이, -악/억’ 등이 있다. 이들 명사파생접미사들은 주로 동사, 형용사, 명사, 어근, 의성ㆍ의태어 등을 어기로 취하여 명사를 파생시킨다. 그 중에서 서북방언의 파생접미사 ‘-이’는 가장 다양하고도 생산적인 파생 기능을 가지고 있다. 서북방언의 명사파생접미사 ‘-이’는 단일 형태소 동사어간 또는 복합동사어간에 결합하여 행위명사, 도구명사, 유정명사를 파생시키기도 하고 형용사어간에 결합하여 척도명사를 파생시키기도 하며 명사나 어근 그리고 의성ㆍ의태어에 결합하여 사람, 동물, 식물, 사물 등을 지칭하는 명사를 파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서북방언의 명사파생접미사'-이'는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뿐만 아니라 의성ㆍ의태어에도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는 단일형태소보다 주로 복합형태소에 결합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의미는 대상이나 단위를 나타내며 구체적 또는 추상적인 대상, 행동의 과정 자체 등을 나타내는 명사를 파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rivational patterns of word “-이” by suffixes in the northwestern dialect. As there are so many nouns in Korean language, the nouns which come from the derivational suffixes also exit in this language. In the northwestern dialect, we have many kinds of derivational suffixes. For example, ‘-이’, ‘-음’, ‘-기’, ‘-개’, ‘-쟁 이(-장이), -뱅이(-방이), -퉁이’, ‘-질, -노리/노릇’, ‘-앙/엉, -앙이/엉이, - 악/억’. Most of these derivational suffixes come from the verbs, adjectives, nouns, roots, and mimetic words, and the derivational suffix ‘-이’ can make so many new words. The derivational suffix ‘-이’ in the northwestern dialect combines the singular morpheme of the verb root or the complex morpheme of the verb root, derive the action nouns, tool nouns. And also, they combine the adjective root derive the criterion nouns. So, the suffix “-이” in the northwestern dialect not only can derive the suffixes from the verbs and adjectives, but also can derive the suffixes from the mimetic words. The suffix “-이” combine more complex morpheme than the singular morpheme.

      • KCI등재

        평안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정의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본고는 그동안 이루어진 평안도 방언 연구 성과를 음운, 문법, 어휘로 나누어 주제별로 살펴보고 향후에 이루어질 평안도 방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방언 연구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단으로 인하여 평안도 방언의 조사와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못했다. 분단 이후에는 평안도 출신의 연구자들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이후에는 평안도 출신의 실향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다. 한중 수교 이후 재중동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평안도 방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어느 정도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 평안도 방언에 대한 연구사를 살펴보면 주로 역사적 발전을 추적하기 위한 음운사적인 것에 대한 연구, 공시적인 체계나 구조를 밝히는 연구, 음운체계와 음운규칙에 대한 정밀한 분석, 그리고 음운과정에 대한 연구, 나아가 문법에서의 문법형태 특히 선어말 어미와 종결어미 형태들의 통사 기능과 의미 특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search result of the Pyeongan dialect,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from now on. Although the research of the Korean dialect has a long history, it is not animated because of the divided country Korean Peninsula. After the division, the native of the Pyeonganbecame to the main force of the research. Since then the native of the Pyeongan became to the object of study. After the establish diplomatic tieswith China, we can find some research result which aimed for the overseas Koreans in China. If we examine the history of literary research of the Pyeongan dialect, we can know most of the research are the phoneme, vocal sound system, phoneme process and the ending of the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