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소영,Jeong, So-Yeong 대한에이즈예방협회 2007 레드리본 Vol.75 No.-
글을 시작하기 전에 본인은 <대한에이즈예방협회 대구경북지회 56일째 인턴사원 정소영>임을 밝히며, 지금부터 우리 지회가 잘 돌아가는 이유 3가지를 펴 놓고자 하니. 모두들 눈 쫑긋 가슴 쫑긋 하시길.
장애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필요도 차이 및 영향 요인-경기도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정소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Key competencies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rther, it also investigates basic influence factors on the key competencies. 132 community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Key competencies dealt in the study utilized the Key Competency evaluation items suggested 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the convenienc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online-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gender,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majo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key competencies. For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necessity for key competencies was in the order of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The factors influencing key competencies included the types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which may limit its nature of generalization of the study for the whole public. Still, the study carries a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key competencies, which is often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community college, using types of disabilities. Further, that the study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focused on the currently attending students with visual, hearing, and physical disability also carries importance. The study will hopefully become the basis for core development program operation or curriculum refor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필요도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경기도 소재전문대학 장애학생 132명이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항을 활용하였고, 장애학생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전문대학생의 성, 장애정도, 전공계열은 직업기초능력 필요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장애유형별로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학생 순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요도를 높게 나타냈다.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유형과 장애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기도 소재 전문대학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장애유형을 중심으로 전문대학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직업기초능력 분석을 최초로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고, 대학에 많이 재학하고 있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지체장애학생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실행,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가 대학에서 장애학생의 직무수행능력 강화 프로그램 운영이나 교육과정 개편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VR, AR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몰 체험마케팅 사례 분석
정소영,이하나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R, AR concepts and trends, characteristics of online shopping malls, present situation marketing, and experiential marketing in order to analyze online shopping mall virtual experience service using VR and AR. Based on this, we selected VR and AR experience service cases that are served in domestic mobile shopping malls. For analyzing case, analysis framework was constructed based on 5 Schmitt experience modules (Sense, Feel, Think, Act, Relate) VR STREET, a virtual store based on VR, was analyzed to be very strong in the sensory and behavioral modules and very weak in the related modules in the case of VR STREET, IKEA Place, and Makeup Plus. IKEA Place, a virtual furniture placement service based on AR, was analyzed to be very strong in emotional and cognitive modules and analyzed as very weak. Makeup Plus, a virtual makeup service based on AR, has been highly evaluated in all modules by analyzing it as strong in sens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and strong in relation. Therefore, technical reinforcement and improvement regarding relationship experience is needed.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is paper, we expect that the online shopping mall virtual experience service will help provide better service through technical enhancemen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VR, AR을 활용한 온라인쇼핑몰 가상체험 서비스를 분석하고자 VR, AR개념과 동향, 온라인쇼핑몰의 특성과 현황 분석, 체험 마케팅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해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모바일쇼핑몰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VR,AR체험 서비스 사례를 선정하였고 사례분석을 위해 슈미트의 체험 모듈 5 가지(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를 기준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선정된 사례는 VR STREET, IKEA Place, Makeup Plus로 분석결과 VR기반인 가상 스토어인 VR STREET는 감각, 행동 모듈에서 매우 강함으로 분석되었고 관계 모듈에서는 매우 약함으로 나타났다. AR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 가구 배치서비스인 IKEA Place는 감성, 인지 모듈에서 매우 강함으로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고 관계 모듈은 매우 약함으로 분석되었다. AR기반인 가상 메이크업 서비스인Makeup Plus는 감각, 감성, 인지, 행동에서 매우 강함이, 관계에서 강함으로 분석되어 전체 모듈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관계 체험에 관한 기술적보강과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사례 분석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 가상체험 서비스가 앞으로 기술적 보강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장애인을 포함한 취약계층의 대학중심 평생교육활성화 지원 사업 만족도 및 인식 - H대학을 중심으로 -
정소영,강민종 복지대학교 장애인능력개발원 2015 장애인고등교육연구 Vol.1 No.1
H대학교 대학중심 평생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비학위전문가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 참여자 87명을 대상으로 참여경로 및 기타 사항, 교육과정, 현장직무연수, 취?창업 효과성 및 종합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대다수의 참여자들이 교육과정, 현장직무연수, 취?창업 효과성 및 전반적인 운영에 대해 만족스러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장애인을 포함한 취약계층을 위한 평생학습 활성화 지 원 사업’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러한 사업이 대학 뿐 아니라 다양한 평생교육 시설에서도 확대, 보급될 필요가 있고, 다양한 대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이 사 업은 현재와 같이 취약계층을 위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였지만, 장애인만 을 대상으로 사업 대상을 명확하게 하거나 비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과정에 장애인이 참여하는 포함교육 형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정소영,김경현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고속도로는 관리주체에 따라 재정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재정고속도로 및 일부 민자고속도로의 경우 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를 하고 있으며, 이 중 재정고속도로의 운영수입은 이후 고속도로 건설투자에 예산이 활용되고 있다. 민자고속도로의 운영수입은 기존에 투입된 건설비 및 운영 중 소요되는 운영비용으로 충당되고 있으며, 일부 민자고속도로의 경우 실제 운영수입이 최초 협약 시 설정된 운영수입에 미치지 못할 경우 정부에서 재원을 보전하는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수익노선의 경우 민자고속도로로 건설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의 SOC 투자예산 감소 등으로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자고속도로 개통이 재정고속도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주요 검토사항은 민자고속도로 주변도로의 교통량 및 평균 주행거리 변화로 2017년에 기 개통한 인천∼김포, 상주∼영천, 구리∼포천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한국도로공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TCS 영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되, 개통시기가 유사한 상주∼영천, 구리∼포천의 경우 통행거리 분석 시 개별 노선에 대한 영향을 명확히 판단하기에 다소 한계가 있어,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를 함께 활용하였다. 2017년 개통노선 중 상주∼영천이 재정고속도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노선으로 판단되며, 특히 경부선, 중부내륙선, 대구포항선 교통량이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은 상주∼영천 개통 후 평일/주말의 교통량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경부선의 교통량 전환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인천∼김포, 구리∼포천도 내용을 함께 제시하였다.
중국 관련 보도의 어휘 사용과 반중 감정 - <중앙일보>와 <한겨레>의 사드 배치 보도를 중심으로
정소영,김희교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5
본고는 사드 배치를 기준으로, 2015년, 2016년, 2017년 중앙일보와 한겨레의 중국 보도에 대한 어휘 빈도수, 의미연결망분석, 감정분석을 이용하여 두 언론사의 보도 태도를 분석하였다. 중앙일보의 경우, 2015년에는 미국과의 안보적 동맹을 유지하는 선에서 중국과 경제적 협력의 필요성도 동시에 강조하는 보도 태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2016년 사드 배치 발표를 기점으로 중국에 대한 보도의 중심은 급속히 안보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이에 반해 한겨레의 보도 태도는 미국에 대해 안보의 지나친 의존도 문제지만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이 고도화되는 것 모두에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는 상태로 볼 수 있다.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현재 매체는 중국을 보도하는 데 있어서 그다지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다. 대중들은 언론의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보도가 늘어난 만큼 반중 감정을 가질 수밖에 없는 구조에 놓여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