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규장전운" ]을 통해서 본 정조조의 서적 반사와 그 규모

        신승,Shin, Seung-Wo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No.4

        조선시대의 서적의 출판과 그 유통은 국가가 중심이 되어 편찬하고 간행하여 제한된 신분의 신료에게 배포하는 소위 반사본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국왕이 반사하는 반사본이 그 숫자가 극히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당시의 관료$\cdot$학인들이 새로운 서적을 습득하게 되는 중요한 제도였기에 서적의 반사대상을 연구하는 것은 지식의 습득에서 책이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절대적이었던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서적 유통의 문제는 서지학의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임에 틀림없지만 이러한 유통에 관한 자료가 극히 희소한 관계로 종래에는 현존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류를 차지하였다. 반사본의 연구도 그 중의 일환이었다. 정조의 부단한 관심과 지원하에 이덕무가 중심이 되어 편찬하고 여러 신료들의 교정을 거쳐 정조 20년 (1796)에 반사된 $\ulcorner$규장전운$\lrcorner$ 의 반사기는 그 수사 대상자가 방대하고 또 그 대상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어서 조선후기의 서적 반사의 대상과 그 규모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글에서는 $\ulcorner$규장전운$\lrcorner$의 반사대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다루었으며, 특히 책을 반사 받은 사액서원의 분포를 자세하게 다루었다. The best way of getting knowledge is reading in the Cho-sun dynasty, so getting books is the most interesting thing to the scholars. The most important way of getting books for scholars in Cho-sun dynasty is taking Bansabon published and given to scholars by government. but there is few data and few concrete studies of it. This study deals with the object and the scale of distribution of books on the basis of Bansagi ; king Jeong-jo published 『Kyujangjeonun』 distributed about 1,500 volumes to scholars and govermment agencies.

      • KCI등재

        예경의 봉사조선창화시권에 대한 연구

        신승 한국서지학회 2004 서지학연구 Vol.28 No.-

        This study researches in Ye-kyeom(倪謙) envoyed from Ming(明) with Kyeongtaeje's(景泰帝) coronation note in 1450 < of the time of king Se-jong(世宗) of Chosun(朝鮮)> and the Bongsachosunchanghwasikweon(奉使朝鮮唱和詩卷) edited the poems written by Jeong-Inji(鄭麟趾), Shin-Sukju(申叔舟), Seong-Sammoon(成三問) and Ye-Kyeom ,and they exchanged their poems each other. This poetry has become a pattern for the Hwanghwajib(皇華集) collected of poems exchanged by literary scholars of Chosun and the envoys of Ming. The Bongsachosun- changhwasikweon(奉使朝鮮唱和詩卷) was inflowed into Korea in the mid twentieth century, it is a very valuable material for study on the diplomatic history and the academic exchanges between Chosun and Ming. This study deals with Ye-kyeom's entry, activity, Chosun's dealing with the envoys of Ming, the contents and the value of it. 이 글은 조선 세종 32년(1450)에 明나라 景泰帝의 登極詔書를 가지고 사신으로 왔던 倪謙(1415-1479)이 조선의 名流인 鄭麟趾․申叔舟․成三問과 唱和한 詩를 卷子로 成冊한 奉使朝鮮唱和詩卷을 연구한 것이다. 이 시권은 명나라 사신과 주고받은 시문을 엮은 皇華集의 첫머리에 수록된 것으로 후기 황화집의 모범이 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시권은 예겸의 후손에게 전해오다가 20세기 중엽에 한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韓中간의 외교사와 학술교류의 연구에 도움을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논문에서는 예겸의 입국과 활동, 조선의 응대 및 詩卷 全文의 對校 등을 다루었다.

      • KCI등재

        성삼문(成三問) 문집(文集)의 편찬과 간행에 대하여

        신승 ( Shin Seung-wo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3

        이 글은 成三問 문집의 편찬 始末과 그의 號 梅竹軒의 문제를 다룬 것이다. 성삼문 문집의 初刊本인 『成先生遺稿』는 尹珍의 아들인 尹裕後(1541~1606)가 1570년대 말에 간행하였다. 윤진은 남효온·김시습과 동문수학한 홍유손의 門人이다. 2차 편집은 沈熙世(1601~1645)가 初刊本을 바탕으로 사돈인 신익성의 서문을 받아 편집한 것인데, 그의 急逝로 간행되지 못하고, 朴崇古가 편집 간행한 3차 편집본(再刊本)인 『六先生遺稿』에 편입 간행되었다. 4차 편집본(三刊本)인 『成謹甫先生集』은 編刊者가 분명하지 않으나 영조 34년(1758) 경에 板刻한 것으로 추정된다. 5차 편집본(四刊本)인 『梅竹軒先生文集』은 成璣運이 奉祀孫 成周英 등의 협조로 순종 3년(1909)에 간행한 것이다. 또한 ‘梅竹軒’이라는 號는 성삼문 자신과 同時代人이 지칭했던 사례가 보이지 않으므로, 성삼문의 號라기 보다는 그와 각별한 관계였던 안평대군의 號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anthology of Seong, Sam-mun[成三問] and his pen name, Mae-jug-heon[梅竹軒]. The anthology of Seong, Sam-mun had been edited five times and published four times. The first edition, Seong-seon-saeng-yu-go[成先生遺稿] was published by Yun, Yu-hoo[尹裕後] who is Yun, Jin`s[尹珍] son at the end of 1570. Yun, Jin studied under the same teacher, Hong, Yu-son with Nam, Hyo-on[南孝溫] and Kim, Si-seub[金時習]. The second was edited by Sim, Hi-sae[沈熙世] founded on the first edition received the foreword of Sin, Ik-sung[申翊聖], a relative by marriage, but it was not published because of his sudden death. After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included in the third edition, Yuk-seon-saeng-yu-go[六先生遺稿] by Pack, Sung-go[朴崇古]. The fourth, Seong-geun-bo-jip[成謹甫集] was assumed that it was wood-block printed at about 1758, its editor and publisher are not obivious. The fifth, Mae-jug-heon-seon-saeng-mun-jip[梅竹軒先生文集] was edited and published with the helps of Seong, Ju-yeong[成周英] and others by Seong, Ki-un[成璣運] at 1909. Mae-jug-heon was not showed as instances of the using of Seong, Sam-mun's pen name by himself or the sametime's people. Judging from the fact, Maejugheon was the pen name of An-pyeong-dae-gun[安平大君] getting well with him, I understand it's not Seong, Sam-mun’s pen name.

      • KCI등재

        朝鮮初期의 醫學書 「食療纂要」에 對한 硏究

        신승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and basic topics in The Book of Dietary Treatment(食療纂要) which had been known be missing, but recently found. Cheon Soon-Ui(全循義), a royal physicia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rote this book in 1460. With much interest in dietary treatments, he collected the documents on the topic, and wrote this book. It is one of the rare books regarding dietary treatments writte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1) introduces Cheong Soon-Ui’s biography, 2) describes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this book, 3) compares the items and description of the Sangju(尙州) edition with those of the Yangyang(襄陽) edition, which are two existing editions, to identify their differences, and 4) translates the names of objec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Sangju edition(尙州板) into Korean and puts them in order. With many people interested in dietary treatment and health care in these days, it is very interesting to consult the content of this book written by the royal physician of the Joseon dynasty. This book is also valuable for research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medical history, because all of the Korean names of objects in the Sangju edition were still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more than forty years later since the announcement of Hoonminjungeum(訓民正音). 이 논문은 그간 없어진 책으로 알았던 「食療纂要」를 발굴하여 소개하고, 아울러 이 책에 관한 종합적이고 기초적인 문제를 다룬 것이다. 이 책은 조선왕조 초기인 世祖 시대의 어의(御醫)를 지낸 전순의(全循義)가 1460년에 저술한 것이다. 그는 음식을 통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다시 말하면 식이요법(食餌療法)에 관심을 갖고, 이와 관련된 문헌을 수집하여 「食療纂要」를 저술하였는데, 조선시대에 저술된 서적가운데 매우 드문 자료이다. 본 논문은 먼저 저자인 전순의의 생애와 이 책의 편찬 및 간행에 대하여 다루었고, 다음으로 현존하는 판본(板本)인 상주판(尙州板)과 양양판(襄陽板)의 항목과 기술체계를 비교하여 두 판본의 차이점을 밝혔으며, 끝으로 상주판에 보이는 한자(漢字)로 표기된 우리말 물명(物名)을 뽑아 정리하였다. 건강의 유지관리와 질병의 치료에서 음식요법이 주목받고 있는 현실에서 어의(御醫)가 편찬한 식의서(食醫書)인 이 책의 내용은 매우 흥미로운 것이다. 특히 상주판(尙州版)에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이 창제되고 40여 년이 지난 시기인데도 우리 말 물명(物名)을 한자어(漢字語)로 표기하고 있어서 의학사(醫學史) 연구와 함께 국어사(國語史) 연구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 麗刻本 「東人之文五七」殘本(卷7∼卷9)에 對하여

        辛承云 韓國圖書館學會 1991 圖書館學 Vol.20 No.1

        Summarizing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following this: 1. Donginjimun-ouchil(東人之文五七), published at the close of Koryo, is not only the oldest anthology but also the only one of the same kinds that we have in present. 2. Donginjimun-ouchil is consist of 9 Kweons. We can know the fact through comparing samhansiguegam(三韓詩龜鑑), because it seems to summerize Donginjimun-ouchil. 3. Donginjimun-ouchil is different from other books and espically has a special features which in cluding profils about the characters. 4. With additional punctuation marks in profile and critiism marks, we can know the rule of punctuation mark and at the same time it can give many assistances to the study of po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