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가-행전에 나타난 빌라도의 초상

        조재(Jaecheon Cho) 한국신약학회 2011 신약논단 Vol.18 No.4

        눅 3:1과 13:1에 단편적으로 언급된 유대총독 본디오 빌라도는 예수의 재판장면에서(눅 23장) 제국에 대한 반역죄로 고소당한 예수를 심문하고 재판하는 판관으로 등장한다. 산헤드린에서의 재판과 헤롯 안티파스가 주관한 재판에 대한 보도를 통해 누가는 상대적으로 빌라도 법정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다른 복음서 저자들의 묘사와 비교하여 빌라도를 좀 더 정의롭고 공평한 관리로 그린다. 이미 초도 심문에서 예수의 무죄를 선언한 빌라도는 고소인단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무죄판결과 훈계방면이라는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다가 마지막에 백성의 요구에 굽히고 만다. 무죄인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도록 방조한 빌라도의 초상은 행 4:27-28에 반영되어, 다른 유대인들과 함께 예수에 대적하는 공모에 가담한 일원으로 묘사되었다. 이는 빌라도 개인을 향한 반감이라기보다는 그레코-로마 세계에서 초기 기독교인들이 직면해야 했던 정치사회적 현실을 반영한다. 누가-행전에 나타난 빌라도의 초상은 1세기 기독교인들에게 제국의 권력이 절대 선도 절대 악도 아닌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실체로 인식되었음을 밝혀주는 하나의 스냅 사진과도 같다. This study explores Luke’s portrait of Pilate in light of the portraits found in Matthew, Mark and John. In Luke 13, Pilate is held responsible for brutal and sacrilegious treatment of Galileans who had come to Jerusalem to sacrifice. The text leaves the impression of a harsh governor prone to violence and without respect for religious scruple. The trial scene (Luke 22-23), on the other hand, characterizes Pilate to have moral scruples: he is reluctant to issue a death sentence without adequate cause. Pilate sees clearly from the beginning that the accusations against Jesus are groundless, and resists to the pressure to have Jesus crucified. The Lukan Pilate fares quite well in comparison with Jewish Sanhedrin and the tetrarch Herod, both of whom examined Jesus and acted unjustly. In the end, Luke could not but have Pilate grant the people their wish and allow the innocent Jesus to be crucified. Even then, Luke avoids saying directly that Pilate condemned Jesus to the cross and makes it clear that this is just a matter of giving the populace their way. All this imbues Pilate with a certain amount of concern for justice although Luke’s Pilate shows no particular respect for Jesus. In Acts 4:27-28, Pilate is cast as a conspirator, along with Herod, the people of Israel, and the gentiles in general. Here Pilate is assimilated to the type of the conspiratorial governor, plotting with others to bring about the demise of the righteous. This lack of consistency makes Pilate a round character, not a flat one. However, he is an impenetrable round character. Luke does not seem interested in explaining Pilate’s motives or providing a psychological portrait. Instead, Luke"s central concern for the salvation history behind the complex and round character like Pilate highlights possibilities and limites of the imperial power vis-a-vis the church.

      • KCI등재후보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의 성경 주해 저술들과 알레고리의 성격

        조재(Jaecheon Cho)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4 Canon&Culture Vol.8 No.1

        성경 해석은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의 사상적 토대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모세 오경에 그의 거의 모든 성경 해석 활동이 집중되었다. 필로의 성경 해석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질의와 응답』?, ‘알레고리적 주석,’ 그리고 ‘율법 해설.’ 이 세 종류의 성경 해석은 각자의 독특성을 띠고 있으며 서로 다른 독자층을 겨냥한 듯하다. 묻고 답하는 기본적인 교수법의 형태를 갖춘 ?『질의와 응답』은 창세기와 출애굽기의 일부만을 다루고 있지만 요점을 정리하면서 초보 단계의 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알레고리적 주석‘에 해당하는 20권의 저작들은 창세기 본문에 대한 비유적이고 우의적인 해석이 주를 이루며, 1차 렘마에 이은 부차적인 렘마들을 적극 활용하여 본격적이고 전문적인 성경 해석의 면모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율법 해설’은 창세기만이 아닌 오경 전체를 다룬다는 점, 그리고 부차적인 렘마들을 제한하는 대신 주어진 본문의 내용을 풀어 이야기해준다든지 문자적 해석을 먼저 제공하고 이어서 알레고리적 해석을 가미하는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넒은 독자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필로의 성경 해석을 알레고리로만 규정하는 것은 정당하지 못하다. 문자적 의미와 알레고리는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몸과 영혼처럼 어느 하나를 배제할 수 없으며, 알레고리로 나아가기 전 문자적 의미가 제시되고 음미되어야 하는 것이다. 필로에게 알레고리는 철학적, 신학적 의미, 더 나아가 하나님과의 영적 교제라는 신비적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도구였다. 알레고리의 정당성은 필로와 그의 독자들을 둘러싼 사상적 배경, 즉 헬레니즘 철학의 핵심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아울러 계시의 전달자였던 모세를 최고의 철학자요 예언자, 제사장로 묘사함으로써 이미 저자의 의도 속에 알레고리적 해석에 대한 요구가 담겨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필로에게 성경 해석은 공동체를 염두에 두고, 공동체가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가도록 이끌기 위해 필요한 일이었다. Biblical interpretation penetrates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houghts of Philo of Alexandria. His biblical interpretation is concentrated on the Pentateuch. Philo’s interpretive treatises a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Questions and Answers on Genesis and Exodus, the Allegorical Commentary, and the Exposition of the Law. These three groups represent unique selection of the text interpreted, modes of interpretation, which seem to designed to suit the needs of specific groups of audience. Questions and Answers covers only parts of Genesis and Exodus, but they are formulated with the basic pedagogical format as well as simple responses. These features would work well with students at the elementary level. Under the Allegorical Commentary we have 20 treatises, most of which deal with the text of Genesis. These writings are structured with four-fold format: the first lemma, basic explication of the text, and secondary lemmas followed by figurative and allegorical meanings. The structure is featured with thorough and wide-ranging treatment of the text and appropriate for the advanced students. Lastly, the Exposition of the Law deals with the entire Pentateuch, and while lacking in secondary lemmas it features retelling of the biblical stories as well as literal and allegorical explications. Thus it might serve the wider audience, probably beyond the Jewish community. It does no justice to Philo to call him an allegorist. With some exceptions, Philo usually presents both literal and allegorical meanings, and appreciates the value of the former. Allegory is an indispensable tool for reaching the religious, philosophical truth, and can be justified by the thought-world in which Philo and his readers lived and operated. the portrayal of Moses as the supreme philosopher, prophet and priest lends him more support for his use of allegorical methods. For Philo,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always a project for the benefit of the community which he belongs to and wants to serve.

      • KCI등재

        『개역개정』 신약에서 번역어로서 ‘말미암다’의 통사론적, 의미론적 적합성 검토(1)

        조재(Jaecheon Cho)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9 신약연구 Vol.18 No.3

        『개역개정』에 총 326회 사용된 동사 ‘말미암다’와 그것의 활용형태들은 번역어로서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표현하며 평균적인 현대국어 사용자가 그것이 들어 있는 문장의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적합한 표현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국어 어휘로서 ‘말미암다’를 역사언어학적, 의미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으로 고찰한다. 국립국어원에 축적된 자료를 십분 활용하여 그 어휘의 어원, 그것의 사용과 관계된 문법, 사용빈도 등을 밝힌다. 관찰된 사항을 토대로 현재 한국 개신교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개역개정』(1998)에 나타난 ‘말미암다’의 용례를 검토한다. 그 결과 ‘말미암다’의 현대 국어 일반에서의 용례와 다른 독특한 형태와 의미가 『개역개정』에 나타나며 그것은 한 편으로는 번역어로서 그 어휘에 상응하는 그리 스어 어휘와 어구, 다른 한 편으로는 『개역개정』의 모체라 할 수 있는『개역한글』(1961)에서 ‘말미암다’의 쓰임새를 분석함으로써 규명된다. 유난히 빈번하고 다의적으로 사용된 『개역개정』의 ‘말미암다’는 의미론적으로, 통사론적으로 몇 가지 문제를 노정하고 이후 개별 용례들의 분석과 대안적 번역 제시를 요구한다. In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one particular word creates various issues for an average user of modern Korean. Mal-mi-am-da, a verb which is inflected in limited forms and often used in conjunction with specific postpositional particles, is used as a translation of various Greek prepositions and phrases to convey several meanings. Cause, means, origin, reason, ground, agent, purpose can all be expressed with mal-mi-am-da. It appears 326 times in the New Testament of NKRV, of which about 62% stand as Korean phrase for διά. In the general usage of Korean, the word is quite rare and most often it signifies cause or reason. In NKRV, by contrast, mal-mi-am-da most frequently marks agency and means. It turns out, however, the main reason for the unusually frequent use of mal-mi-am-da is due not so much to the preference of the translators in choosing particular Korean vocabulary as to their heavy reliance upon the usage of the word in the previous Korean Bible, the Revised Korean Version.

      • KCI등재

        공동체, 미래, 그리고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위한 고난 : 마카비서, 요세푸스 그리고 신약성서의 고난 이해

        조재(Jaecheon Cho)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2

        신자는 왜 고난받는가? 신약저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의 의미와 효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자들의 고난의 문제를 설명한다. 대리적 속죄로서, 이어지는 승리와 완성으로서 그리스도의 고난의 의미는 곧 신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었다. 즉, 신자들은 공동체의 유익과 복음 증거를 위해서 고난받으며, 장차 완성될 하나님 나라에서 보상받을 것을 기대하면 고난받는다. 여기에 한 가지 덧붙이자면 고난을 통해 그리스도를 배우고 닮아가며 그 분과 연합할 수 있다. 신약 전체를 개관하기에 앞서 마카비서에 기록된 순교 이야기 두 편과 요세푸스가 기록한 마사다의 엘르아잘의 연설을 먼저 살피면서 제2성전기 유다이즘의 고난 이해의 일단을 규명하고 신약과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Why does a Christian suffer? NT authors address the problem of suffering of the disciples and believer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Christ s suffering. Christ suffered vicariously for the expiation of sins, and then was raised from the dead and exalted as victor. These meanings can be applied to the suffering of believers. They suffer for the sake of community as well as for the witness of the Gospel. Their suffering is also a vouch for heavenly prizes. An additional significance of believers suffering is its educational effect. They learn to know and love Christ more as they suffer. Union with Christ is also experienced when a believer shares in Christ s suffering. Before we get the NT, we analyze two Second-temple Jewish writings. One is the books of the Maccabees on the seven martyrs and their mother. The other is Josephus s treatment of Eleazar s speech in Masada.

      • KCI등재

        상호본문성을 반영하는 성서 번역

        조재(Jaecheon Cho) 대한성서공회 2016 성경원문연구 Vol.- No.39

        The use of the OT in the NT is such a widespread phenomenon that exegetes, for the last decades, have taken much care in identifying various patterns of the use and applying them in Biblical expos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translator of the Bible should examine carefully the ways in which the OT passages are used in the NT, and reflect on the actual translation whatever insights garnered from such studies. I approach this issue from two directions. First, the issue of proper signification of the OT passages that are used in the NT merits our attention. I find the signification of intertextuality in major printed Korean translations neither accurate nor adequate.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1998) is riddled with singular problems while other versions share common weaknesses. I suggest we employ the reference system of Novum Testamentum Graece together with its organization of inner and outer margins. Second, I take Hebrews 12:15b as a test case for examining intertextuality in the NT and for applying whatever observations in translating the Greek text into Korean. Again, NKRV and some other versions fall far short of presenting the unique nuances couched in intertextuality. The context of the original passage, Deuteronomy 29:17b (LXX) in this case is of prime importance in deciding how we should put Hebrews 12:15b in Korean. Other considerations such as lexical studies, syntax, textual criticism of the original passage are all in play as well. Every reader of the Bible is encouraged to grasp the meaning of the Biblical text as much and as deeply as possible. Korean Christians will be aided greatly in that regard by a translation that reflects intertextuality fully and provides accurate signification of it.

      • KCI등재

        성서를 렌즈로 삼아 바이러스 해석하기 - 월터 브루그만, 톰 라이트, 존 파이퍼의 성서적 코로나 신학 비교

        조재(Cho, Jaecheon) 한국신약학회 2021 신약논단 Vol.28 No.4

        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이 신학자들에게 던져준 과업은 그것의 원인과 그것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설명이었다. 이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성서학적 방법을 활용해서 해석한 세 편의 연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성서적 코로나 신학의 지평과 방향을 설정한다. 브루그만은 구약성서 여러 구절에서 전염병을 심판의 도구로 사용하시는 하나님을 발견하지만 반대로 사람들의 죄와 상관없이 다른 특수한 목적에 의해 전염병이 발발하는 사례도 있음을 확인한다. 이처럼 우리는 전염병 대유행 속에서도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믿으면서도 그 분의 섭리와 자비를 신뢰하며 기도할 수 있다. 라이트에 따르면 전염병은 인간의 특정한 행동에 대한 심판도, 임박한 종말을 경고하는 징조도 아니며, 인간의 구원에 관한 필수적 계시는 예수의 오심과 십자가 죽음을 통해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보고, 아울러 고통당하는 이웃들과 함께 탄식하는 공감과 연대의 영성을 주장한다. 파이퍼는 코로나바이러스 이면에 작용하는 하나님의 의도를 여섯가지로 설명한다. 그는 인간의 죄악에 대한 심판, 회개와 경성을 위한 경고로서 전염병의 기능을 인정하고 이웃을 섬기는 일과 선교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세 사람의 코로나 신학은 각자가 처한 사회적, 문화적, 사상적 위치를 일정 부분 반영한다. 미국 주류 개신교 신학과 영국 국교회의 공적 신학, 그리고 보수 칼빈주의 신학에서 세상과 교회, 신앙을 바라보는 관점이 세 사람의 코로나 신학에 작동한다. 한국 기독교의 정황에서 성서적 코로나를 정립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presented theologians a task. It includes explaining the causes and purposes of the pandemic in terms of biblical and theological terms. From a number of studies on this topic, I picked three which deal with two major questions—why the pandemic happened and how Christians should react to it—from exegetical and biblico-theological perspectives. Walter Brueggemann admits that a pandemic may be used by God as a means of judgment, although he adduces several major counter-examples from the Old Testament. After all, he suggests that we should trust in God’s mercy and providence and pray with hope. N. T. Wright keeps the biblico-theological focus of Jesus’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in his reflection on pandemic. He would reject the notion of the divine judgment materialized in the form of a global pandemic. Piper in contrast believes that God indeed judges the human sins through a pandemic and God even uses it as a warning sign for the impending eschaton. Each theologian shows his own social, cultural, and ecclesial context in his view of the pandemic. Korean theologians need to take up the same task of explaining the pandemic in the light of the Bible and theology and they should do so in a manner faithful to their soci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contexts.

      • KCI등재

        스데반의 연설(행 7:2-53)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이야기의 기능

        조재(Cho, Jaecheon) 한국신약학회 2013 신약논단 Vol.20 No.4

        거의 전체가 이스라엘의 이야기로 구성된 스데반의 연설(행 7:2-53)은 사도행전의 여타 연설 또는 설교들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형식과 주제, 그리고 문학적 기능을 갖는다. 먼저,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연설의 기본 소재라는 사실 자체로 인해 스데반이 율법을 거스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율법에 기초하여 더욱 온전하고 충실한 하나님 이해, 공동체 이해를 갖고 있음이 밝혀진다. 반면 스데반의 성전에 대한 견해는 좀 더 직설적이며 비판적이다. 그의 반-성전주의의 기본논리는 가시적 구조물로서의 성전에 대한 집착은 곧 “손으로 만든 것,” 즉 우상에 대한 이끌림의 발로하는 점이다. 다음으로 이스라엘의 이야기는 메시아 예수에 대한 변증과 선포를 전달한다. 모범적 신앙을 가졌던 여러 조상들 중에서도, 모세는 “나와 같은 선지자” 또는 “그 의인,” 즉 메시아에 대한 예언을 선포하였다. 모세는 메시아적 기능인 “지도자”와 “속량하는 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복음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 대상에 있어서도 이제는 예루살렘과 성전을 벗어나 유대, 사마리아, 땅 끝까지 확장되어야 한다는 당위가 담겨 있다. 이러한 신학적 주제와 문학적 구조를 전달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이야기가 취한 형식과 내용은 당대의 해석적 전통에 기댄 바가 크다. 칠십인경의 여섯 본문들에는 이스라엘의 과거를 다시 이야기하는데 사용되는 독특한 관점과 방식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전통에 뿌리를 둔 사도행전 7장의 이스라엘의 이야기는 스데반으로 대표되는 예루살렘 제자공동체의 신학적 정당성을 변호하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제시하며 이방인들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계획을 기대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Almost entire part of Stephen’s speech (Acts 7:2-53) is composed of the story of Israel, which shapes the speech in such a unique way that other speeches in Acts can hardly be assimilated with. Contents, form, theme and literary function of the speech are provided from the story of Israel as Luke re-interprets and retells it. Vague at first sight, the characteristic of the speech as self-defense (apologia) and evangelistic becomes manifest if read against the overall theological and literary nature of Acts. Stephen is said to be faithful rather than against the law of Moses, and his understanding of God and community is fundamentally anchored in the covenantal faithfulness of God. His understanding of the Temple, however, is a different story. Temple as a visible structure is criticized in similar way as the gold calf is criticized. Both are “made by hands.” Of the heroes in the story of Israel, only one person, Moses, is described in keeping with Christological notions. So, Moses prophesied about “a prophet like myself,” and performed the role of “ruler” and “redeemer,” both of which are often cited as Messianic in scriptures. The form and content of the historical survey in Stephen’s speech is dependent on interpretive traditions that were circulated and accepted by contemporary Jews. The septuagint offers passages that demonstrate specific understanding of Israel’s patriarchs, prophets and kings. More significantly, they supply the author of Luke-Acts with perspectives and frames of thought with which Israel’s long-term history is interpreted and retold. It is interesting that the Lukan audience is probably dominantly Greco-Roman ethnically, if not culturally. The author must have been so confident that the scripture and God’s covenantal faithfulness are integral parts of the gospel of Jesus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