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자의 배제

        의용(Bae, Ye-yong)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20 No.-

        보편의 문제는 동서양의 거의 모든 철학 문제들이 만났다가 엇갈리는 교차점이었다. 이 문제는 서양철학에서는 근원적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제기되었고 동양철학에서는 디그나가에 의해 비판적 맥락에서 제기되었다. G. 버그먼에 의하면, 두 가지 실재론이 조심스럽게 구별되지 않으면 안 된다. 유명론 대 실재론(1) 그리고 관념론 대 실재론(2). 후자는 인식론 문제에 속하고, 전자는 존재론 문제에 속한다. 프레게·후설의 실재론(2)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론(1)과 브렌타노의 실물주의 사이에 놓여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디그나가의 아포하 이론을 후설과 브렌타노 간에 벌어진 현대적인 보편 논쟁의 맥락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이 논문을 이끄는 주요 동기는 디그나가의 아포하 이론과 브렌타노의 부정적 실존판단 이론 간의 현저한 유사성에 기인한다. 이 두 이론은 비록 상이한 역사적 환경에서 확립되긴 했지만 논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또 이것들은 논리적 관점에서 동일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더 나아가 이것들은 같은 존재론적 입장, 즉 유명론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양자의 논쟁 상대가 실제로는 각기 실재론(1)과 실재론(2)으로서 달랐으며, 그래서 각자의 역할도 사실은 달랐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디그나가가 그의 유명한 이론으로 논박했던 니야야학파의 존재론적 입장은, 주지하다시피, 실재론(1)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런데 이제 이런 종류의 실재론은 문제 삼지 않으므로 당연히 일련의 의문들이 일어난다. 디그나가는 브렌타노의 실물 주의와 후설의 실재론(2) 사이에서 어떤 자세를 취할까? 그의 아포하 이론은 브렌타노의 극단적 유명론과 힘을 합쳐 후설의 실재론을 공격할 수밖에 없을까? 이 핵심 문제들에 대한 예상 해답은 그들의 존재론적 입장에 달려 있겠다. 후설에 관해서는, 특히 브렌타노 편에서 쏟아진 신랄한 비판을 충분히 고려할 때, 그를 ‘본질직관’의 이론으로 몰아간 동기가 무엇인지 충분히 조명할 필요가 있다. 『논리연구』에서 후설은 선천적 판단의 대상이 되는 보편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임을 명증하게 밝힌다. 그러면서도 그는 보편의 형이상학적 실체화를 배척한다. 우리는 개체의 ‘실재적 존재’와 함께 본질(형상)의 ‘이념적 존재’도 인정해야 한다. 보편에 관한 후설 사상의 발전을 최종 국면에 이르기까지 추적할 필요가 있다. 이 국면에서 획득되는 시야로부터 양자의 견해 차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렌타노에 대해 최대한 공정을 가하기 위해 나는 그가 모든 종류의 보편과 지칠 줄 모르고 대결하는 궁극 목적과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나는 현대 논리 철학에 미친 브렌타노의 영향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브렌타노는 후설의 해법을 거부하고 그 자신의 부정적 실존판단 이론을 최선의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이 방책으로 우리는 언어가 빚어내는 허구들 중에 가장 위험한 것들을 몰아낼 수 있겠지만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더 나아가서는 보편의 온갖 환상들을 일소하기 위해서 언어를 더욱 신중하게 분석하고 비판할 것을 그는 촉구한다. 디그나가의 아포하 이론은 이 논문에서, 자료의 현실적 빈곤에도 불구하고, 상세하게 밝히기에는 너무나 많은 면들과 층들을 함축하고 있다. 그래서 나는 그것이 앞으로 집중적인 연구를 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걸 확인하는 정도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의 유명론적인 입장은 가능한 그 어떤 반론에 대해서도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이점을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 이론이나 논리 이론의 기초를 다지기에는 아직 불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논리나 언어 문제에 관한 과학적 담론에 기여할 만한 사상적 잠재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기호 일반의 결정적 기능과 진여와 세속의 관계에 관한 심오한 통찰에 의해 J. 데리다의 해체주의를 넘어갈 수 있는 길을 예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problem of universals has been a crossing where almost all philosophical problems of the East and the West converge and diverge. In western philosophy it was raised originally by Plato and Aristotle and in eastern critically by Dignāga. According to G. Bergman, between two sorts of realism must be carefully distinguished: nominalism vs realism(1) and idealism vs realism(2). This belongs to epistemological and that to ontological problem. Frege-Husserlian realism(2) lies between Aristotelian realism(1) and the reism of Brentano. In this paper I want to explicate Dignāga’s Apoha Theory in the context of a modern controversy on universals between Brentano and Husserl. The main motive leading this work is given from the remarkable resemblances between Dignāga’s Apoha theory and Brentano’s theory of a negative existential judgement. Both of these theories, even though in different historical circumstances, played a prominent role in the dispute. And they have a identical structure from a logical point of view. Moreover, they seem to be founded on the same ontological position, that is, radical nominalism. But it is noteworthy that their opponents were actually different; respectively realism(1) and realism(2) and also their role in fact different. The ontological position of Nyāya school against which Dignāga debated with his famous theory, as we know, seems very close to Aristotelian realism(1). Now that this kind of realism is out of question, as a matter of facts, a chain of questions arise: - what posture would Dignāga assume between Husserlian realism(2) and Brentano’s reism? Could not his Apoha theory but attack realism(2) in alliance with the reism as a radical nominalism? Anticipated answers to these kernel questions may depend upon their ontological positions. In this respect, their ontological positions have to be exposed one after another in some detail. As for Husserl, especially with due regard to such a severe reproach from Brentano’s part, the motive that urged him to his theory of “Wesensschau”(intuition of essence) demands a sufficient illumination. Husserl makes it evident that universals as objects of judgements a priori are “wahrhaft seiend”, while he rejects the metaphysical hypostatization of universals. According to him, we have to accept “ideales Sein” of essence(Eidos; Wesen) beside “reales Sein” of individual things. And it is necessary to trace the development of Husserl’s thought of universals up to it’s final stage. From a perspective attainable on this stage we can take a correct measure of the gap between their views. To do Brentano my best justice, I will endeavor to understand his ultimate aim and reason from his inexhaustible struggle against all kind of universals. As a result I got to estimate about Brentano’s influence on the modern philosophy of logics. Brentano disapproves Husserl’s solution and contends that his own theory of negative existential proposition is the best alternative. With this device, Brentano insists, we can expel the most dangerous fictions of language. However it is not enough. Furthermore, in order to sweep away illusions of universals, he calls upon the more serious and careful analysis of our language. The Apoha theory of Dignāga implies too many facets and strata for me to investigate in great detail for this paper, notwithstanding the actual deficiency of materials. For all that I managed to confirm it worthy of more intensive research. Not only because it’s nominalistic stance preserves an advantage as well to defence itself against any possible refutation as thoughtful potency enough to contribute the scientific discourse on the logical and linguistic problems, despite of being yet insufficient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a theory of science or a logical theory. But also because it paves a way for a step over J. Derrida’s deconstructionism by means of it’s profound insight into a crucial function of signs in general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ultimate reality

      • KCI등재
      • 역사적, 학제적 배경에서 본 현상학적 방법

        의용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2000 東國論集 Vol.19 No.-

        Husserl's phenomenological method can be divided largely in two reflection-dimensions, i.e. that of substantial reflection and that of methodical reflection. Again to subdivide first dimension is four steps, i.e. ε˙ποχ??(abstention from judgement), transcendental reduction, eidetic reduction and description conforms to my basic intention in this paper. This lies in orderly consideration of these four steps in virtue of the second dimension. The concepts of epoche and reduction already have manifold adumbrations of ambiguous meanings which they got from their various usages in many disciplines. I consider first two concepts with these meanings for a historical and interdisciplinary background and provide a wider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m on the more whole. Especially I want to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linguistic aspect of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which has scarcely been paid adequate regards. As a result, a more complete picture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shall be drawn.

      • KCI우수등재
      • 유식론과 현상학에서 식의 존재 문제

        의용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8 철학·사상·문화 Vol.0 No.6

        As is generally known, the development of Husserlian phenomenology through Heideggerian thought of Being left behind the problem of existence of consciousness as a aporia. Started with this problem-consciousness, to understand Yogācāra’s standpoint about this matter from the 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obliges us to concentrate on the structural explication of the Tri-svabhāvavada(三性說) as its fundamental doctrine rather than on the historical explanation of it. In this paper we will point out some features of the Tri-svabhāvavada that are comparable with Husserlian Phenomenogy: Firstly, the Paratantra-svabhāva(依他起性) as the actuality of consciousness is contrasted with the intentionality as the essence of consciousness in Phenomenogy. Secondly, the process of conversion of the Para-tantra-svabhāva from the Parikalpita-svabhāva(遍計所執性) to the Parinispanna-svabhāva(圓成實性) is comparable to phenomenological reduction. However, from the Husserlian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e Parinispanna-svabhāva as the original mode of existence of consciousness - “Being of Nothingness”(無의 有) - should be enigmatic. In the last analysis, the reason must be found in the fact while intentionality is epistemologically oriented, Paratantra-svabhāva ontologically. 후설 현상학이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를 거치면서 의식의 존재 문제가 아포리로 남게 되었음은 주지하는 바이다. 이러한 서양 현대철학사상의 문제론에서 출발하여 이 문제에 대한 유가행파의 견지를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고의 논의는 당연히 불교사적인 고찰보다는 유가행파의 근본교설인 삼성설의 구조적인 이해에 주력하게 될 것이다. 심의식이 윤회와 해탈의 가능 근거라고 보는 유가행파의 견지는 삼성설에서 심의식의 본질을 의타기성으로 규정하는 데서 명확히 드러난다. 심의식의 의타기성은 의식의 존재 방식에 관한 유가행파의 입장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이에 따르면, 의식은 고정된 존재가 아니라 인간의 실존 방식에 따라 변계소집성과 원성실성으로 전환되는 가변적인 것이다. 우리가 자신을 망각하고 객관적 세계의 존재를 절대시할 때, 의식은 은폐되어 한낱 비유(非有)로 보인다. 그러나 유가행의 실천을 통해 유식성에 오입할 때, 은폐되어 있던 의식이 세계의 존재근거로서 존재함(有)을 알게 된다. 더 나아가 마침내 허망분별을 단멸하고, 원성실성을 성취하게 되면, 세계와 함께 의식도 없어져 무(無)가 된다. 그래서 유가행파에서는 식의 진정한 존재방식을 궁극적으로 “無의 有”라고 규정한다. 이상과 같은 유가행파의 교설에서 우리는 후설 현상학과 대비될만한 몇 가지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로, 삼성설에서 심의식의 현실성인 의타기성은 현상학에서 의식의 본질 규정인 지향성과 대조적이다. 둘째로, 의타기성이 변계소집성에서 원성실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은 확실히 현상학적인 환원과 대비된다. 하지만 의식의 본래적인 존재 방식으로서의 원성실성 - “無의 有” - 은 현상학적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불가해하게 여겨질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결국 지향성이 인식론적으로 방향 잡힌 데 반하여, 의타기성은 존재론적으로 방향 잡혀 있다는 데서 찾아야 할 것이다.

      • 現象學的 本質主義 : 그 意義와 問題性

        裵義勇 圓光大學校 1984 論文集 Vol.18 No.1

        1. Nowadays, in antimetaphysical epoch, the word "Wesen" is heard to us as ominous metaphysical phantom. Nontheless Husserlian Phenomenology searches for the essences so earnestly that they are determinant elements for it. Why Husserl must do make it so? He proposed the ideal of <Philosophie als strenge Wissenschaft> and <Die erste Philosophie> as his ultimate philosophical end. Now this ideal is the one of the system of the absolute and apodictic evidence. Husserl believes that this evidence can be acquired by the method of <eidetische Einsicht>, <Wesensanschauung>. Essences are nothing other than the necessary conditions which make the necessary truth possible. But does the way in which phenomenology searches for the ideal of apodictic absolute evidence lie in a singleline? Can we see the <eidetische Reduktion> and the <transzendentale Reduktion> are two lines to seek the dieal? Or must the transzendent essences necessarily be subjected to the transzendental reduction, and then, by this procedure, what sorts of dignity is given to the essences? This is the central problem which we intend to examine in this paper. 2. "Apoicticity" means the indubitable absolute certainty, which Descartes allowed to the cognition of one's own thinking act(cogito). It is the <Archimedian Point> upon which all necessarily true knowledge depends. For husserl the point is just the transcendental subjectivity (ego). That is, transcendental subjectivity is the origin of apodictic certainty. This allows that all of the modes of consciousness can now be understood as modifications of consciousness of the primordial dator intuition <originar gebende Anschauung> which is the original mode of consciousness. On this respect Husserl's most radical step is the extension of positivism to the realm of essences. He cont ends that eidetic intuition is directly parallel to empirical intuition since <Ideation> brings the essence to bodily presence. 3. Already in his Philosophy of Arithmetic of 1884 discovered husserl the concept of an act of higher oder, which afterwards developes to categorical act. According to his new conception of intentionality, every act has a correlate object. Now, to a normal sensory perceptive act corresponds a real object, while to the categorical act founded in sensory perception corresponds the categorical object. This categorical object Husserl calls the general object which is ideal, identical, iterable. Husserl's ideation is a process of free variation by which the individual and contingent characteristics of phenomena are bracketed out of considerations and are replaced by necessity and generality. 4. The generalized correlate of consciousness Husserl calls an eidos or "essence". The essence belongs to the realm of pure possibility. And pure possibility is, for Husserl, the realm of the "Phantasiable", the purely imaginable or conceivable. Through an <Denkexperiment> one is left with an ideal object which can be the set of conditions governing the possibility of a given object and ultimately any conceivable actualization of it. But our insight into essences may well be incomplete, that is, the set of conditions which we uncover for a given structure may be partial. And then, How can be reconcilated the possibility of deception inhernet in the evidence of essential intuition as experience with the claim to absolute apodictic evidence of it? Our living consciousness has "the all-pervasive teleological structure". The evidence of a new experience is what makes the previously uncontested experience undergo that modification of believing called "annulment" or "cancellation". Evidence of experience is therefore always presupposed by this process. When we proceed with reflective unquiry which always sticks to pure intuiting and is faithful to its pure contents, we have continuously anew the living truth from the living source, which is our absolut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