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소방드론의 활성화에 대한 연구

        연수(Yeon Su Chu),주용휘(Yong Hwi Joo)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본 연구는 소방드론에 대해 이해하고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방드론의 운용사례를 통해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방드론이 활성화 되었을 시 소방공무원의 고령화, 초고층 건물에서의 고가사다리차 운용, 인명구조 상황에서의 문제점등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소방공무원 20, 30대가 4%이며, 50대 이상이 43%를 차지한다. 경력이 높을수록 소방공무원의 고령화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이때 드론운용부서를 신설 시 보직변경을 선택한 71% 중 40, 50대의 응답자가 60%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고가사다리차는 한 대당 약 1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예산상 측면 등의 이유로 모든 지역의 소방파출소에서 고가사다리차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고가사다리차를 대체할 장비로 드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은 인명구조 분야에서 뚜렷한 두각을 보이는데 호주의 해안에서 드론에 부양장치 장착 후, 넓은 시야로 익수자를 찾아 부양 장치를 떨어트려 인근 해변에서 구조하였는데, 이때 구조까지 사용된 시간은 70초밖에 소요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소방 업무에 드론을 활용한다면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언을 통해 예산, 인원 증축, 제도화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소방업무에 드론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분야를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재난재해 환경과 소방드론이 활성화되었을 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도로개발 사업이 외래식물 유입에 미치는 영향

        연수(Yunsoo Chu),김중권(Jung-Kwon Kim),이효혜미(Hyohyemi Lee) 응용생태공학회 2017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4 No.3

        도로 및 철도 건설과 같은 선형개발은 외래생물의 확산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는 도로사업 수행이 외래식물유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강유역환경청 관할 사업 (80개 사업) 중 현재 공사가 70% 이상 진행 중이거나 완공된 도로사업장을 대상으로 공정률에 따른 외래식물 변화를 연구하였다. 공정률은 공사 전 (P0)과 공사 중 (P25, P50, P75, P100)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귀화율, 도시화지수 및 외래식물 종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외래식물은 공사 초기에 급속히 유입되고 유입종은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도로사업장의 외래식물 관리를 위하여 공사 초기에 성토 공정과 식생복원 공정을 집중관리하여 외래식물 유입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Linear development such as road and railway construction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dipersion agent of alien spe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ad project implementation on the introduction of alien plants. We selected the roadworks that have been completed or completed by more than 70% of the projects in the Han River basin environment agency. The alien plant data were divided into five phases: pre-construction (P0) and construction (P25, P50, P75, P100) according to the annual process rate. As the construction progresses, the naturalization rate, the urbanization index and the tendency of the number of exotic plants increase. Especially, alien plants were introduced rapidly at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introduced species continued to appear until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ntroduction of ailen plants by concentrating management of embankment process and the vegetation restoration process at the beginning of roadworks.

      • KCI등재

        시·도보호 야생생물 조례 지정 현황 조사 및 분석

        연수,조영호,이태호,장은혜,김중권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9 환경영향평가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esignation status of the Local Wildlife Conservation Ordinanc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ild fauna and flora, and to elucidat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visions of the wildlife conservation ordinance of 17 regional local governments. After that, the designation status of Wildlife Protected by City/Do was investigated and the appropriateness was confirmed based on guidelines and laws. The ordinances related to wildlife were enacted in all municipalities, and provisions such as selection criteria, protection measures, and actlimitations were commonly reflected. The provisions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including details of flag species, the addition of species in the restoration promotion plan as criteria for selection and provision of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habitats. Since 2006, when the wildlife protected by City/Do designation and protection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the protected wildlife have increased sharply, and there has been newly designated regional local government within the past one or two years. However, in some local government, protected wildlife has been designated for more than 10 years, and there are many that do no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Therefor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selection criteria and methods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selection of specie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Wildlife protected by City/Do. 본 연구는 야생동·식물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제정된 지자체 야생동식물 보호 조례의 지정 현황 등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특별자치도)의 야생생물보호 관련 조례와 각 조항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고, 각 지자체의 보호야생생물의 지정현황을 파악 후 지침 및 법률을 바탕으로 적정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시·도보호 야생생물관련 조례는 모든 광역지자체에서 제정되어, 일반적으로 선정기준, 보호대책, 행위제한 등의 조항이 공통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깃대종, 복원 추진계획에 있는 생물을 선정기준으로 추가하거나, 서식지역에 대한 보호 및 복원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는 등 각지자체의 특성에 따라 조항이 상이하였다. 시·도보호 야생생물 지정 및 보호 지침이 마련된 2006년 이후로 시·도보호 야생생물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최근 1~2년 이내에 새로 지정한 광역지자체도 존재하였다. 일부 지자체의 경우 지정된 지 10년이 넘은 곳도 있었으며,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곳도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도보호 야생생물의 목적에 맞는 종 선정을 위한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선정기준 및 방법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국내 생태우수습지의 유형별 외래식물상 현황 및 특성

        연수(Yeounsu Chu),조광진(Kwang-Jin Cho),김미정(Mijeong Kim),이창수(Changsu Lee),윤정도(Jungdo Yoon),임정철(Jeoncheol Lim) 응용생태공학회 2020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7 No.3

        습지는 교란에 의해 주변 유역으로부터 과잉수, 퇴적물, 영양염, 기타 오염물 등이 축적되는 흡수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외래종에 의한 생물학적 침입에 취약하다. 본 연구는 내륙습지 유형에 따른 외래식물의 출현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태우수습지 24개소를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외래식물상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습지에서 발견된 외래식물은 총 130종으로 출현 식물 총 종수의 11%를 차지하였다. 이 중 국화과가 40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개망초와 달맞이꽃이었다. 습지 유형별로는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에서 평균 30종 내외로 평균 10종 미만인 산지형 습지보다 외래식물 종풍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인 간섭정도를 나타내는 귀화율, 도시화지수, 일·이년생 비율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군집분석에서는 하천형 습지와 호수형 습지가 혼재되었으며, 산지형 습지만 별도로 분리되었다. 산지형 습지는 외래종수가 현저하게 적은 것은 물론 다른 습지 유형에서 발견되지 않은 주걱개망초, 컴프리, 나도닭의덩굴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특히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생물은 하천형 습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인위적인 간섭강도가 높은 하천형 및 호수형 습지에서 외래식물 확산 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Wetlands are vulnerable to biological invasion by alien species, because they function as sinks that accumulate excess water, sediments, nutrients, and other contaminants from the surrounding watersheds by disturbance.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lien plants based on the type of wetlands, we classified 24 ecologically outstanding wetlands and analyzed the status of alien flora. A total of 130 alien plants were found in the wetlands, accounting for 11% of the total plant species. Among them, the Asteraceae species was the most diverse, with 40 species. Erigeron annuus and Oenothera ordorata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The species richness of alien plants in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average: 30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average: 10 specie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in the naturalization index, urbanization index, and ratio of annuals and biennials, which indicate the degree of artificial interference. In the cluster analysis,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ere combined, and only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were separated. The number of alien plants is remarkably low in the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influence of Erigeron strigosus, Symphytum officinale, and Bilderdykia convolvulus, not found in the other types of wetlands. In particular, invasive alien plants such as Aster pilosus, Ambrosia trifid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ere found intensively in the riverine wetland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methodical management is urgently required considering the dispersal of alien plants in the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ith high artificial interference.

      • KCI등재

        우리나라에서 도로 공사장의 성토사면과 절토사면에서 외래식물의 도입

        연수,진승남,손덕주,박신영,조형진,이효혜미 응용생태공학회 2019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6 No.4

        Road development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invasion and dispersion of ailen plants by damaging the natural ecosystems and connecting the detached landscapes into long tubular structures. In this study, vegetation surve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ut slope, fill slope, and flat land at the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road developemt on the change of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ailen plants. Road developement projects caused a lot of changes in annual and biennial alien plants because of continuous disturbances.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alien plants decreased in the cut slope. On the other hand, the ailen palnts of the fill slope increased. The increase or decrease alien plants on flat land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where it occurred, and no major trend was found. The cause of these change was driven by unintentionally introduced alien plants. In particular, the cut slope with a high occurence of unintentional ailen plants should not be used as a source of high-risk alien plants such as ecosystem disturbances. Since the transplanted species were intentionally planted by the landscape pla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colonies from early stages and spread to the nearby flat land.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f road slope vegetation on the surrounding ecosystem during and after road construction, it is suggested to plant high viability plants in the landscape design dur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ultation. 도로 공사는 자연 생태계를 훼손하고, 떨어진 경관들을 긴 통로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외래식물의 침입 및 확산에 중요한 요인으로고려된다. 본 연구는 도로 공사가 외래식물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사가 진행 중인 사업장에서 절토사면, 성토사면및 평탄지의 지형특성에 따라 외래식물상 조사를 수행하였다. 지속적인 교란이 발생하는 사업으로써 일·이년생 외래식물에서 주로 증감이발생하였다. 지형특성별 외래식물상 변화는 절토사면에서 감소하는 반면, 성토사면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탄지는 발생장소에따라 증감 특성이 달랐다. 이러한 외래식물상 변화의 원인은 비의도적으로 유입된 외래식물에 의해 주도되었다. 특히 성토사면에서비의도적으로 유입되는 외래식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성토사면이 생태계교란식물과 같은 위해성 높은 외래식물의 공급원으로이용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반면 의도적으로 도입된 식재종들은 파종 시부터 대량 살포하기 때문에 군집을 형성하기 쉬우며비식재지인 평탄지까지 확산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로공사 중이나 공사 후 도로사면 식생이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영향을 최소화되도록, 성토사면 조경계획에 지속성이 높은 고유종 식재를 환경영향평가 협의 시에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 KCI등재

        하천의 횡적 연결성 유무에 따른 홍수터 식생 구조의 비교

        연수,진승남,조현석,조강현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3

        하천의 수로-홍수터 생태계에서 주기적인 범람은 물, 영양염류, 하상재료 및 생물을 상호 교환시킴으로써 생물다양성 과 생태계 서비스를 증진시킨다. 그러나 치수와 토지이용의 목적으로 건설된 제방에 의하여 하천의 횡적 연결성이 훼 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횡적 연결성 유무에 따른 홍수터 식생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청미천, 섬강, 황구 지천, 만경강, 고막원천 및 보성강에서 본류와 수리적으로 연결된 홍수터와 제방에 의해 단절된 홍수터에서 지형, 토양 환경요인과 식생 구조와 분포를 조사하였다. 토양의 수분과 점토 함량은 횡적 연결성이 단절된 홍수터에서 연결된 홍 수터보다 많았다. 환경요인 자료를 이용한 주요인분석 (PCA)의 결과에서 단절된 홍수터와 연결된 홍수터의 환경은 수 분함량, 토성 및 식생 분포고도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식생 자료를 이용한 탈경향대응분석 (DCA)의 결과에 따르면 홍 수터의 식생은 다양한 생활형의 수생식물이 우점하는 단절된 홍수터와 교란에 강한 습생식물이 우점하는 연결된 홍수 터로 분리되었다. 결론적으로 제방에 의해 횡적 연결성이 단절된 홍수터에서는 정수성 습지 환경에서 수생식물이 우점 하는 습지 식생이 분포하여 수로와 연결된 홍수터의 식생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The flood pulse in streams enhances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of the channel-floodplain ecosystems by exchanging water, nutrients, sediments and organisms. However, the lateral connectivity in most streams of Korea has been disrupted by the levee constructions for the purpose of flood control and land use of floodplain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floodplain vegetation according to existence of lateral connectivity in streams, we investigated the geomorphological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and structures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the floodplains connected and isolated by levee to the channel in Cheongmi Stream, Seom River, Hwangguji Stream, Mangyeong River, Gomakwon Stream, and Boseong River, Korea. In comparison of soil environments, moisture and clay contents were higher in the isolated floodplain than in the connected floodpla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using environmental data, the environments of the connected floodplain and the isolated floodplain were separated by soil moisture contents, soil texture and distribution altitude of the vegetation. The results of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using vegetation data showed that the isolated floodplain was dominated by the hydropythic communities of diverse life form and that the connected floodplain was dominated by the hygrophytic communities that endure disturbance.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 vegetation of the floodplain changed to the lentic wetland vegetation dominated by diverse hydrophytes as the floodplain was isolated from the channel by artificial levees.

      • 家兎에 對한 實驗的 渗出性 中耳炎에 있어서 中耳粘膜의 經時的 變化에 關한 硏究 : 特히 電子顯微鏡的 所見에 關하여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秋淵秀,申洪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86 고려대 의대 잡지 Vol.23 No.1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serous otitis media remain a controversal issue, but there is no doubt that Eustachian tube obstruction is an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to the development of middle ear effusion. In an effort to observe the pathological changes of middle ear mucosa during the course of secretory otitis media, study was undertaken correlating the cytological and bacteriological findings with those of ultrastructural pathology in exprimentally induced secretory otitis media of rabbits. The obtained results were BS the following; 1. In cytological findings of the effusion comparing the ratio of PMN and lymphocyte, polymorphonuclear leukocyte was dominant for the first 14 days after Eustachian tube obstruction, but lymphocyte was dominant after 14 days. The alteration of the ratio between PMN and lymphocyte following the different experimental day after Eustachian tube obstruction was identical with that of cells infilterated in the middle ear mucose. 2. lifter 7 days of Eustachian tube obstruction, bacteria were begun to appeared in the middle ear effusion and thereafter the rate of bacterial findings were increased to 75%. 3. The pathological changes after Eustachian tube obstruction such as epithelial hyperplasia, number of secretory gland and inflammatory reaction were very prominant at the 14days after Eustachian tube obstruction and then diminished gradually. 4. Ciliated cells started to appear in transitional zone of middle ear mucosa after 30 days and mere mostly replaced after 60 days of Eustachian tube obstruction. 5. Secretory epithelium were mainly consisted of light granulated cells secreting mucus, these cells appeared in large numbers at the 14 days after Eustachian tube obstruction and then tend to be diminished gradu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