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家族計劃變數에 따른 小兒의 身體發育 및 營養狀態

        洪在雄,宋金順 대한보건협회 1976 대한보건연구 Vol.2 No.3

        To assess the physical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related to such variables as number of siblings, birth rank and birth interval until next sibling, a total of 327 children younger than 10 years of age, residing in Chunseong Gun, Kangwon Province, were examined. The examination includes physical measurement of height, weight, chest circumference, arm cir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 laboratory measurement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and physical examination. The values of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a standard and the proportions of physically undergrowth and of anemia were observed by the family planning variabies. The findings from this observations suggest the followings. 1. The larger the number of siblings, the later the birth rank and the shorter the birth interval until next sibling, the larger were the proportions of the children physically under-grown in height, weight and chest circumference. 2. The proportions of children whose arm circumferance, triceps skinfold thickness, hemoglohin and hematocrit were measured below standard values increased with a shorter birth interval until next sibling. But these indexes were not increased with smaller number of sibling or birth rank. The prevalence of angular stomatitis appeared to have similar trend with these index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Multicultural discourse in theatre : The study of Seonho Song's production of Jonas Hassen Khemiri's Invasion in Korea

        홍재웅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5

        본 연구는 2011년 10월 극단 유랑선의 송선호 연출가에 의해서 아르코예술 극장에서 공연된 케미리의 『침입』의 공연분석을 통하여 다문화민주주의 사회에서 연극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스웨덴을 대표하는 동시대 스웨덴 작가로, 최근 국제적으로도 명성을 얻기 시작한 요나스 하센 케미리 Jonas Hassen Khemiri는 스웨덴 연극계에 적잖은 파장을 가져온 희곡 『침입 Invasion』을 내놓았다. 케미리의 데뷔 희곡 『침입』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스톡홀름 시립극단의 연출가 파르나스 아르바비 Farnaz Arbabi에 의해서 무대에 선보였으며, 공연기간 내내 전석 매진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침입』은 '아불카셈 Abulkasem'이라고 불리는 미스터리한 캐릭터들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이야기다. 거리의 거친 현실에서 18세기에 존재했던 '아불카셈'이라는 해적의 이름이 중학생의 언어와 어휘 속에 스며들어 '쿨'한 것을 지칭하는 코드로 자라난다. 그 다음에는 바람둥이가 그 이름을 갖게 되고, 그 이름은 비범한 연출가로 둔갑하고, 심지어 바람둥이에게서 벗어나려고 건넸던 여자의 잘못된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남겨져서 정치 난민/사과 따는 사람의 정체성으로 옮겨진다. 관객들은 눈덩이처럼 불어난 정체성과 그것의 이야기를 보고 듣게 된다. '아불카셈'이라는 눈덩이는 아이의 단순한 상상에서 '공공의 적'으로 발전되어 경찰과 언론의 추적을 받게 되지만, 오해를 풀어줄 수 있는 통역사는 자신의 편견으로 인종에 대한 두려움을 표출시켜서 급기야 정치난민을 안티 테러 히스테리의 희생자로 둔갑시키고 만다. 본 연구는 송선호 연출가의 『침입』이 한국의 관객과 소통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무대에서 표현되고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지 고찰하며, 연극을 통해서 관객들이 부조리한 편견과 폭력에서 벗어나서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다문화적 포용을 선택할 수 있는 다문화민주주의에 어떻게 다다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본다. Multiculturalism in Korea is problematic for a number of reasons. Koreans tend to view their nation through the eyes of nationalism. Public discourse at all levels reinforces the idea of 'the Korean people'. The Korean society is still dominated by a strong sense of homogeneity and Confucian patriarchal traditions. Koreans continue to consider themselves as a unique folk group. Moreover, multiculturalism emerged as a topic for debate not too long ago. Integrating immigrants into a society is difficult everywhere, but even more so without experience. This article seeks to describe how contemporary Swedish play with themes of cultural diversity is understood within a powerful discourse about the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Swedish playwright Jonas Hassen Khemiri's inventive tragicomedy Invasion, premiering in South Korea at Arko Arts Theatre in 2011, this article explores the recent discourse on multicultural democracy in theatre. Koreans were deeply affected by Khemiri's Invasion as an explosive black comedy that assaults our deepest prejudices towards identity, race, and language. It deals with prejudice against other religions, cultures, legal contradictions facing immigrants, and thereby fears of the unknown or the non-familiar. The production of Invasion in South Korea takes the form of a play-within-a-play as a live show format and open broadcasting framework that reinforce the theatricality of this highly unique drama. It is of central importance to this paper to provide an outline on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ism connected to the role of theatre in the context of democracy.

      • KCI등재후보

        요나스 하센 케미리(Jonas Hassen Khemiri)의 소설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질과 그의 정체성

        홍재웅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2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was to identify the anarchic linguistic idiosyncrasies that occur in Jonas Hassen Khemiri’s Montecore - a unique tiger. Montecore – a unique tiger is not only funny, ambitious and inventive but Khemiri's wordplay and deliberately odd narrative clearly offers also a serious commentary on Swedish society. Khemiri gives us questions of culture and language, racism and violence, metafiction and postmodernity, formal conceit and constraint. Jonas Hassen Khemiri, the son of a Tunisian father and Swedish mother, was raised in the vicinity of Rinkeby. ‘Rinkeby Swedish(Rinkebysvenska)’ is any of a number of varieties of Swedish spoken mainly in suburbs with a high proportion of immigrants and immigrant descendants, which emerged as a linguistic phenomenon in the 1980s. ‘Rinkeby Swedish’ is used by urban toughs and middle-class youths eager for a little street credibility. Rinkeby Swedish is regarded as a sociolect, dialect, ethnolect, or maybe a "multiethnolect". Khemiri’s novel, Montecore narrates the life-story of the Jonas’ immigrant father, Abbas Khemiri in Rinkeby Swedish which is full of playful malapropisms, missing words and broken syntax. This study aims to the level of linguistic performance in Khemiri’s novel and analyse Khemiri’s linguistic creativity that amuse the reader.

      • KCI등재

        문자에서 영상으로 구현된 상호텍스트성 연구: 카렌 블릭센의 『바베트의 만찬(Babettes Gæstebud)』을 중심으로

        홍재웅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9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3 No.-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ntertextuality appeared when the novel of ‘Babettes Gæstebud (1958)’ of Karen Blixen, Danish female writer, was made into a film. Karen Blixen had been far well known with her pseudonym Isak Diesen, a combination of Isak, laughter in Hebrew and her maiden name Diesen. She is strangely not well known in Korea even though her works were highly appreciated as she had been candidate for Nobel Prize twice, in 1945 and in 1957 and she had heavily influenced the western literature world. Her upbringing was puritanical bourgeois one so that the main themes of her works are confrontation between God & Human, Destiny & Liberty and Aristocrat & Bourgeoise which is the remanence of her psychological conflict from the childhood. Babettes Gæstebud with which this paper deals had received more interests after it was made into a film, winning the Oscar’s best foreign film and Golden Globe in 1987. When a novel is produced as a film the public is often disappointed as it fails to satisfy its imagination, however, this case was quite opposite as the adaption to the movie drew enormous interests and the book became highly sought afterwards. The original text is inevitably extended, shrunken or transformed in accordance with surrounding conditions including those applied to film production, timeframe that the work presents and so on. In this paper, it is aimed to study what made the adaptation positive and its reasons. Furthermore, the intertextuality witnessed during the course of the adaption from the text to the film will be explored. 본고에서는 덴마크 여류작가, 카렌 블릭센(Karen Blixen)의 단편소설, 『바베트의 만찬(Babettes Gæstebud), 1958년』이 영화로 매체전환되면서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블릭센은 결혼하기 전에 사용하던 아버지의 성과 히브리어로 ‘웃음’이라는 뜻의 이자크(이삭)을 필명으로 사용해서 영미권에서는 이자크 디네센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있다. 1945년과 1957년 두 차례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를 정도로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서구 문학계에 끼친 영향력이 적지않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이상할 정도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작가이다. 전형적인 청교도적 부르주아 가문에서 자란 그녀의 작품에 나타나는 주된 테마는 신/인간, 운명/자유의지, 귀족/부르주아 등의 대립구도인데, 이는 어린 시절 그녀가 가지고 있었던 심적 갈등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소설『바베트의 만찬』은 소설보다 1987년에 가브리엘 악셀(Gabriel Axel) 감독이 영화로 제작하여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과 골든글로브상을 수상하며 영화로 더 잘 알려진 작품이기도 하다. 소설에서 영화로의 매체전환이 이루어진 경우에 독자의 상상력에 미치지 못해 영화가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 작품은 오히려 소설보다는 영화로의 매체전환에서 크게 주목을 받았고, 추후 영화를 통해 소설을 접하게 된 독자가 많은 작품이기도 하다. 영화라는 매체의 제작 특성과 시대상황, 다양한 관객들의 요구 등과 같은 제반환경에 따라 본래의 텍스트는 확장과 축소, 혹은 변용이 필수적으로 수반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단편소설『바베트의 만찬』이 영화로의 매체전환을 통해서 나타난 긍정적인 부분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떠한 이유에서 가능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원작인 소설『바베트의 만찬』이 문자에서 영상이라는 매체전환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스웨덴 문화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홍재웅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1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2 No.-

        In this study I discuss the cultural policy determined by the Swedish government and parliament. Sweden's parliament laid down the objectives and basic principles of Swedish cultural policy in 1974 and the Swedish Arts Council was founded in 1974. In order to view on the history of Swedish cultural policy, I introduce Peter Duelund's model on cultural policies in the Nordic countries. He divides the transition of the policies in four phases: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e(1960-1975), Cultural Democracy(1975-1985), Social and Economic Instrumentalisation(1985-1995), and Economic and Political Colonisation(1995-2007). Cultural policies always reflect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ruggles to establish a frame for artistic and aesthetic expression and other direct and indirect tools that governments and the state apparatus use to fund, stimulate and reguilate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rt. But after Riitta Heinämaa's report, “The Model of Four Moduler - New Nordic Program for mobility and residence" in 2006, the objectives and basic principles of the cultural policy in Sweden were revised.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globalisation, and growing competition had effected all art forms, which were also facing new challenges of cultural diversity, and interdiciplinary practices. For various reasons, Sweden's parliament and the Swedish Arts Council is seeking for new paradigm of cultural policy. In 2007 the new programs began and Nordic Culture point was founded to administrate them. In recent years the goal of the Swedish Arts Council is to renew and revitalize Nordic culture co-operation and art in the Nordic region and stimulate new impulses and initiatives from the local,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operator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establishing Nordic culture co-operation and art as an important element among cultural operators in the Nordic countries and autonomous areas and making this co-operation visible in a global context.

      • KCI등재

        스웨덴 소설『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에서 영화로 매체 전환된 두 편의 영화 비교 분석

        홍재웅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9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4 No.-

        The Millennium series written by Stieg Larsson have become one of the world’s best selling detective series. Unfortunately, the writer died abruptly in the middle of writing the whole series which were planned to be 10 stories leaving the series incomplete. With the high popularity of the stories, Män som hatar kvinnor, the first book was adapted to ba Swedish movie by Niels Arden Oplev in 2009. Two years after, in 2011 David Andrew Leo Fincher, an US film director made the same novel into a film. In 2012, these two film were accidentally screened in Korea with only tow weeks of time gap, giving the Korean audience an opportunity to enjoy the two different adaptations from the same book and to experience interesting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The two films produced in Sweden and in the US respectively are different in many perspectives, including production size, gender description, visual contents, cultural depiction and so on.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the two adaptations of Män som hatar kvinnor, were explored by looking into decisive leads in the crime novels. An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view of Semiotics was also explored on the raping scene, which plays the crucial motive through out the whole series. 스틱 라숀(Stieg Larsson)의 추리소설 밀레니엄 시리즈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이름을 널리 알렸지만, 집필 중 라숀이 사망하면서 본래 10부작을 목표로 했던 소설이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다. 소설의 인기와 더불어 밀레니엄 시리즈 가운데 첫 번째 소설인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이 감독 닐스 아덴 오플레브(Niels Arden Oplev)에 의해서 스웨덴에서 2009년에 영화로의 매체전환이 이루어졌다. 이후 미국에서도 2011년에 데이비드 앤드루 리오 핀처 (David Andrew Leo Fincher) 감독에 의해서 같은 소설이 영화로 매체전환이 되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2012년에 두 영화가 국내에 거의 동시에 개봉되었다. 두 영화의 동시 개봉으로 국내 관객들은 같은 소설에서 매체 전환된 두 영화를 동시에 감상할 기회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두 영화의 매체전환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표현을 비교해서 살펴보는 흥미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스웨덴과 미국에서 제작된 두 영화는 제작 규모는 물론 젠더 묘사, 시각적인 콘텐츠, 문화적 묘사 등 다양한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라숀의 첫 번째 소설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이 두 편의 영화로 매체 전환되면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추리소설에 맞는 결정적인 단서들을 비교해서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는 첫 번째 소설뿐만 아니라 라숀의 ‘밀레니엄’ 시리즈 전체에서 매우 중요한 동기가 되는 성폭행 장면을 중심으로 두 영화를 기호학적 분석을 통하여 비교 분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