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통문화와 윤리관습의 변천과 사회발전 - 雲南省 紅河州 金平縣의 社會構造 및 婚姻習俗을 중심으로 -

        권인호 한국유교학회 200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4 No.-

        This study, 「The Traditional Convention of Moral, the Country Rules and the Social Rules in Modern」, is a subordinate subject which belongs to main subjec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cculturation in Modern China's Society - Focusing Survey on the Rural Society of the Ethnic Groups」. Especially, I analyzed the pattern of marriage in minority nationalities(focusing on Miaozu<苗族>, Yaozu<瑤族>, Tais<傣族>)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structure and the family system as the central figure. I surveyed the patterns of making love and marriage between the Han race and the minority nationalities, permission of sex before marriage and intermarriage between close relatives, extramarital intercourse and the change of solution about that. The change of traditional culture is essential element in order to adapt to new society and to develop their society. The traditional culture in Rural society of the minority nationalities is changing quickly because of sudden change of the society. The culture of minority nationalities is changing by reason of fusing the tradition culture of minority nationalities and mainstream culture of China and inflow of Western culture and neighboring nations' culture in tendency of globalization. It can present important materials compared with changing situ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전통문화의 변화는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적응이나 발전을 위해 필요불가결한 요소다. 그러나 각 민족의 본래 문화를 위한 연구나 보존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문화의 커다란 손실이다. 예를 들어 지금도 소수민족 향촌사회는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전통문화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먼저 과학과 개발을 앞세운 현대 외래문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전통문화와 토착신앙의 문화적인 충돌과 이를 통한 사회구조와 의식의 변화 등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중국의 민족 문제는 문화 교류와 접촉을 통한 사회구조와 의식의 변화에 주의해야한다. 본 연구 논문은 공동연구의 전체 큰 주제인 <현대 중국의 전통문화와 문화접변소수민족 향촌사회를 중심으로> 가운데, 그 소주제로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특히 운남 중심으로 사회구조와 발전 및 가족제도를 중심으로 소수민족(苗族, 瑤族, 族 중심으로) 혼인상황을 분석하였다. 혼인에서 배우자 선택범위의 변화, 즉 한족과 소수민족과의 통혼 문제와 연애 방식, 혼전 성행위의 인가문제와 근친결혼, 혼외정사와 해결방법의 변화 문제들에 대해 조사 연구를 하였다.사회발전 속도가 다른 소수민족간의 문화접변 현상에 대한 조사연구는 韓中 간 문화접변에 의한 문화적인 변동을 연구하는 방증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한국의 문화도 외래 영향을 받아 전통문화의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새로운 활력을 받아 창조적인 문화로 변화해 왔다.소수민족의 전통문화와 중국 주류 문화의 교류와 융합, 세계화 속의 외래문화의 유입과 인근 국가의 문화적인 유입으로 인한 소수민족 문화가 변천해 가고 있다. 그것은 우리 한국 전통문화의 변천 상황과 비교하여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신생아 홍반성 루푸스 2예

        권인호,유종엽,이종희,조광현 대한피부과학회 2003 大韓皮膚科學會誌 Vol.41 No.7

        Neonatal lupus erytematosus is characterized by cutaneous findings showing the morphology of subacute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congenital heart block, and anti-Ro/SSA and/or anti-La/SSB autoantibodies which result from the transplacental passage of maternal autoantibodies. We report two cases of a 25-day-old female infant and a 30-day-old male infant who presented with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of cutaneous neonatal lupus erythematosus but without evidence of congenital heart block. The serological studies in both infants revealed the presence of anti-SSA/Ro antibodies and antinuclear antibodies. We diagnosed their mothers a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ith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Korean J Dermatol 2003;41(7) : 956~959)

      • KCI등재

        동학사상과 갑오농민전쟁의 근대적 자주성 ―‘人乃天’과 ‘斥倭斥洋’ 및 倡義革命을 중심으로

        권인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39 No.-

        August 29th 2010 was the 100th anniversary of Gyeongsul-Gukchi[庚戌國恥] or Korea-Japan Annexation[韓日合邦](Japan-Korea Amalgamation[日韓倂合]). 19th century and 20th century were the age of founding colonies and wars for the possession(World Wars) by imperialism. There are many studies of the thought of Dong-hak, focusing on the Gap-o Peasant War, 'Innaecheon' and 'Cheokwoecheokyang'. About the thought of Dong-hak and the Gap-o Peasant War, Philosophers focused on 'Innaecheon', historians focused on nature of modern and national movement and political scientists focused on nationalism and civil rights thought. The social positions whose lead the Gap-o Peasant War with Dong-hak believers are ruined yangbans, yangban's child of a concubine, the middle class―official interpreters, minor offcials, etc., peasants and the lowest class―servants or buchers. Jeon, Bong-jun understanded Dong-hak and used of Dong-hak for peasant war, but he wasn't a Dong-hak believer. The Dong-hak Peasant War was ended in failure and resulted in countless casualties by foreign forces of Qing dynasty and Japan those were requested by some of reactionary politicians in the government. Nevertheless, the influence and modernity of the thought of Dong-hak and the Gap-o Peasant War remind us that when the country, nation and each one's life are facing a critical situation, we should practice resolutely. The thought of Dong-hak succeeded to thoughts of Kang, Jeung-san who emphasized thoughts of coexistence and Hucheongaebyuk[後天開闢] for overcoming the crisis of modern civilization, such as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and conflict. The peasant war in 1894 developed into The Gap-o reformation, Hwalbindang[活貧黨]'s struggle, righteous armies,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June 10th Independence Movement in 1926 and armed struggle of independence. Park, Eun-sik who was a scholar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a philosopher of enlightenment, a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and the 2nd president of the government-in-exile based in Shanghai estimated the Dong-hak Peasant War as "Our common people revolution" 2010년 8월 29일로 이른바 ‘경술국치’, 곧 한일합방(일한병합) 꼭 100년이 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는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 건설과 쟁탈 전쟁(세계대전)시대다. 동학사상과 이를 바탕으로 한 갑오농민전쟁(1894~1895)은 ‘인내천’과 ‘척왜척양’을 중심으로 이미 많은 연구 성과가 있다. 동학사상과 갑오농민전쟁을 철학계에서는 인내천을, 국사학계에서는 근대성과 민족운동사적 측면을, 정치학계는 민족주의와 민권사상에서 동학을 보았다. 동학교도들과 갑오농민전쟁을 주도한 신분계층은 잔반이나 양반의 서자, 역관이나 서리 등 중인 이하 농민(상민), 노비나 백정 등 천민이었다. 동학의 교조 최제우가 서자였고, 제2세 교주 최시형은 빈천한 고아출신이고, 제3세 교주 손병희도 서리출신의 서자였으며, 갑오농민전쟁을 이끈 전봉준도 서당 훈장 출신이다. 전봉준이 동학을 이해하고 동학을 농민전쟁에 활용했지만 동학교도는 아니라고 본다. 갑오 동학농민전쟁은 고종과 민비 그리고 민씨척족 세력에 이어 친일 개화파 정권들이 불러들인 외국세력인 청국과 일본의 외국세력에 의해 수많은 희생과 실패로 끝났다. 비록 그렇지만 그 영향과 사상의 근대성은 후세 지금까지 나라와 민족 그리고 각자의 삶이 한계상황에 있을 때, 과감히 일어나서 현실과 미래를 위한 실천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학사상이 철학사상적으로 현대문명의 위기와 무한경쟁의 상극적 시대에서 상생과 후천개벽 및 원시반본의 창조적 재해석으로 나아간 것이 강증산사상이다. 동학사상과 농민전쟁이 무장혁명에 의한 세상을 개혁하고자 한 것이라면, 강증산은 민중의 마음과 사회생활을 안돈시키고 아우러지게 하며, 서로가 협동하는 민생, 민중의 일상적인 생존의 확보와 회복에 중점을 두었다. 1894년의 농민전쟁은 청일전쟁으로 갑오경장과 활빈당 투쟁에 이어 러일전쟁으로 인한 을사보호늑약, 1910~1945년의 일제강점기, 그리고 세계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 쟁탈 전쟁인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에 이르기까지 계속 이어졌다. 우리의 반외세 투쟁은 국내외에서 계속 의병전쟁과 1919년 3․1독립운동 및 1926년 6․10 만세운동으로 발전하였고, 1945년 광복까지 만주와 상해나 중경에서 독립운동은 계속 이어져 왔다고 본다.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를 통해 양명학자이며 계몽사상가 그리고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인 박은식은 동학농민전쟁을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우리나라의 평민혁명’으로 평가하고 있다. 동학농민군들은 19세기 당시 민족모순과 계급모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어났다. 그들은 양반 아닌 하층 민중들도 사람대접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우리가 외세의 간섭이나 침략을 받지 않고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자 하였다. 비록 관군과 일본군에 의해 실패하였지만, 근대 개혁의 밑거름이 되었고 그들의 사상과 나라의 발전을 위한 몸부림은 1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보다 나은 미래사회를 위한 훌륭한 가르침이 되고 있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사회·정치철학의 특징과 현실 -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권인호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2 No.-

        The current situation of Northeast Asia is similar to when the world powers pay attention to Northeast Asi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lmost a century ago. Korea, The Korean Empire at that time, came to the path of national ruin through Ganghwa Treaty(Joseon-Japan Treaty of Amity, 1876) and Korea-Japan Amalgamation(Japan-Korea Annexation, 1910). In 2004, the 100th year of the Russo-Japanese War, some articles about the massacre occurred in Northeast Asia a hundred years ago made the pages of newspaper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Conservative newspapers of Korea emphasized the similarity of instability from "that time" to "today" and stressed the need being rich and powerful state as well as the role of the U.S. as a guardian angel protecting Korea. But they didn't mention that the U.S. and the U.K. played a decisive role in Japanese occupation to Korean peninsula. The wave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have sweep away the world for recent 2-30 years. The situation of Korea is still urgent and difficult. The influence of the U.S., Japan, China and Russia, those have controled the fate of Korean peninsula for a century, remain unchanged. Currently, China is struggling with troubles from inside and outside such as disturbances in Tibet Xizang region and Sinkiang Uighur region and border diput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Japan is also struggling with earthquakes and border diput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Besides, right wing conservatives in Japan are making useless effort to plan for imperial revival before the end of war and to revise Constitution article 9. Meanwhile, a Japan professor Ogura Kizou at Kyoto university graduate school comments on candlelight protests that happened in spring, 2008 for 100 days and public criticism by netizens. He said "In Joseon Dynasy, when the elites of Sungkyunkwan as national university of Confucian thought to appeal directly to the King, they straightened the king with demonstration at Gwanghwamun. And that tradition is still alive". He also said, "There wasn't revolutionary ideas in Japanese Confucianism, but in the tradition of Korean Confucianism, when authorities lost morality, people thoughts that they could overthrow authorities."There is a saying about political reform goes, "Reformation is harder than revolution or maintenance." However, if there aren't reforms with to consider historical situation, any organization even a nation or a dynasty will ruin itself by internal troubles and foreign invasions. This study revisits thoughts and discussions about society and politics with perception of "philosophy is practical science", in order to build "the common house" for Northeast Asia with friendship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advancing peace in Northeast Asia. 현재 우리는 1백여 년 전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 정세’에 세계열강이 주목했던 당시와 유사한 모습이다.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규, 1876년) 이후 한일합방(일한병합, 1910년)으로 한국(당시 대한제국)은 망국의 길로 들어섰다. 러일전쟁 개시 100돌이었던 2004년에, 100년 전 동북아시아에서 일어난 대량 살육 관련기사가 한국과 주변국의 신문지상을 장식했다. 한국의 보수 신문들은 ‘그때’와 ‘오늘’의 정세 불안의 유사성을 강조하며 국가 부강의 필요성과 한국을 보호할 수호천사로서 미국의 역할을 역설했다. 하지만 100년 전 미국과 영국 등이 일본의 한반도 강탈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는 사실은 제대로 언급되지 않았다. 한편 ‘뉴라이트’라는 새로운 우파 단체는 한국에 대한 36년간의 일제강점을 이른바 ‘식민지 근대화론’이라고 하며, 국가민족의 반(半)노예시대를 미화하고, 새로운 교과서를 집필하여 광복 후 독재와 군사쿠데타와 그 정부들을 찬양하며 아직도 친일파 청산을 가로 막고 있다. 현재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도도한 흐름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 우리를 둘러싼 내외의 현실은 여전히 급박하고도 어렵다. 안으로는 정치권이 개혁을 위한 구체적 비젼이 실종된 가운데, 곧 밖으로는 경제적 공황이란 위기가 닥쳐올 지도 모른다는 불안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한편 북한의 핵실험과 한미 합동군사훈련 등으로 전쟁의 불안이 존재한다. 지난 1세기 동안 한반도의 운명을 좌지우지해온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열강의 입김은 여전히 줄어들지 않았다. 현재 중국은 티베트 시짱주(西藏族) 자치구와 신장위구르(新疆維吾爾) 자치구의 소요나 국경 분쟁으로 내외적 갈등으로 분주하다. 일본 또한 소규모 지진과 인접 국가와의 국경분쟁 및 보수 우익의 이른바 ‘종전’ 이전의 천황제 부활과 헌법 제9조를 개정하려고 안간 힘을 쓰고 있다. 역사발전과 시대구분의 문제에 있어서 백남운의 좌파적인 사회경제사적 논의는 그의 스승인 후쿠다 도꾸조(福田德三)의 ‘한국의 역사에서 봉건사회 부재론’을 통해 한국의 후진성과 일제 강점의 정당성 등 역사왜곡을 바로 잡으려 하였다. 한편, 약 100여 일에 가까운 촛불시위와 네티즌들의 대정부 비판 글에 대해 일본의 교오도(京都)대학 대학원 모 교수는 “조선왕조에서 성균관이라는 국립중앙유교대학의 엘리트들은 왕에게 직소(直疏)할 일이 있으면 광화문에 모여 데모를 해 잘못한 왕을 바로잡았으며, 그런 전통은 지금도 살아있다.”고 하였다. 또한 “일본의 유교는 혁명사상이 없는데 비해 한국의 유교 전통은 윗사람이 도덕성이 없을 때 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정치개혁, 즉 ‘경장은 혁명과 수성보다도 더 힘들다.’고 했다. 그러나 시대상황에 알 맞는 개혁이 없다면 그 조직이나 나아가 국가 왕조도 내분과 외침에 의해 망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한․중․일의 선린우호 관계와 동북아 내지 동아시아의 평화 증진과 ‘공동의 집’을 구축하는데 대해서, ‘철학은 곧 실학’이라는 인식을 통하여 사회와 정치에 대한 사상과 담론들을 재조명하였다.

      • KCI등재

        慶尙右道 士林派와 선비의 본고장 함양의 얼─ 一蠹 鄭汝昌과 그 후예 및 書院을 중심으로 ─

        권인호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ere was the saying "the Yŏngnam district is the treasure house of talents and center of Sŏnbi"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Also it said that, among the localities in Yŏngnam, Andong was the best at the left side and Hamyang was the best at the right side of the Nakdong River as the center of Sŏnbi. Ildu Jeoung Yeo-chang, who was from Hamyang, is the one of 18 Wise in Korea and the Enshrinement of Confucian Scholars. This thesis studied on not only Jeong Yeo-chang but also the people and seowon of Hamyang. Jeong Yeo-chang was a excellent dutiful child, his On Good, Evil, and Heavenly Principle(善惡天理論) was the unique theory of Neo-Confucianism. This study also shed light on Sŏnbies in Jinju related with Nammyeong Cho Sik. After the middle era of Joseon Dynasty, Hamyang people were discrimin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t the appointment, because of political incidents like the Gichuk-year purge in 1589, Injo Banjeong in 1623 and Musin Revolt in 1728. Therefore, the aspect of Hamyang as the center of Sŏnbi was been losing through the latter area of Joseon Dynasty. But Hamyang had produced many talented Sŏnbies and the great men who tried to overcome a national crisis constantly. The definite institution, that established and maintained the Confucian order in local area, was not Hyanggyo as national schools but Seowon. Jeong, Yeo-chang is been enshrining mainly in Namgye Seowon, that is the one of the representative Seowon in Gyeongsang-uhdo. In 1566, the name of "Namgye(蘫溪)" was bestowed by King Myeongjong. Jeong, Kyeong-un(鄭慶雲), who was from Dolbbuk Baekyeon-li Hamyang-eup, wrote 『Godaeillok(孤臺日錄)』 that is vivid record about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rough this record, we can figure out the situation of that time and real aspects of Sŏnbi and patriotic soldier. In the time from the end of Joseon Dynasty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Byeong-heon(李炳憲), from Songpyeong-li Byeonggok-myeon Hamyang-gun, was the person who accepted The Confucianism Movement an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y Gong Yang School that was led by Kang Yuwei(康有爲) in the end of Qing daynasty. 조선 초기부터 ‘영남은 인재의 보고와 선비의 본고장’이라 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선비의 본고장으로 낙동강 좌안에서는 안동이, 그 우안에서는 함양이 으뜸이라는 말이 있었다. 경상도 함양출신인 일두 정여창은 문묘에 종사(배향)된 동국 18현과 조선 초기 5현의 한 분이다. 정여창과 아울러 함양의 인물들과 서원 및 남명 조식과 관련된 진주 등 그 주위 지역 선비들을 재조명하였다. 특히 정여창은 뛰어난 효자이고, 그의 「善惡天理論」은 성리학적 논의의 특징을 보여준다. 조선 초기에 함양군수를 지낸 김종직은 사림파로서 정여창과 함께 김굉필ㆍ김일손ㆍ유호인ㆍ조위ㆍ남효온ㆍ홍유손ㆍ이종준 같은 여러 현인들을 제자로 길렀다. 한편 조선 중기 이후 기축옥사(1589)와 인조반정(1623) 및 무신란(1728) 등의 정치적 사건으로 인하여, 중앙 조정으로부터 인재발탁의 차별을 당하였다. 이로부터 선비 본고장으로서의 면모가 조선 후기로 오면서 상당히 상실되었다. 하지만 뛰어난 선비와 국난극복을 위한 훌륭한 인물은 끊어지지 않고 면면히 이어져 왔다. 지방향촌의 사족들은 혼인이나 강학 등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지방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확고히 하려고 하였다. 이 때 관학인 향교보다도 유교적 향촌질서를 확립하고 유지하는 확실한 주체는 사설 교육기관인 ‘서원’이었다. 특히 영우의 대표적인 서원인 남계서원은 정여창을 주향으로 모시고 있다. 1566년(명종 21)에 ‘蘫溪’라는 사액을 받았다. 1677년에 동계 정온이 배향되고 1689년에 개암 강익이 배향되었다. 정여창은 하동 정씨로서 그의 증조인 정지의가 함양으로 처음 입향 하였다. 정여창의 부친 정을육은 무관출신으로 咸吉道 虞侯로서 이시애의 난 때에 순절하였다. 그는 定宗 임금의 손녀사위로서 일찍부터 시회적 신분과 정치경제적 기반과 지위를 지니고 있었다. 함양읍 백연리 출신으로 임진왜란에 대한 생생한 기록인 『孤臺日錄』을 남긴 정경운에 대한 선비와 의병으로서의 참모습을 볼 수 있다. 구한말과 일제시기에 함양군 병곡면 송평리 출신 李炳憲은, 청나라 말기 康有爲에 의해 주도되는 공양학파의 경학 및 공자교운동을 우리나라에 수용하였던 독보적 인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