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실기업의 배당과 미래 재무보고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박종일,김수인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손실기업에서의 현금배당이 미래 재무보고의 질에 대한 신호 정보를 제공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앞서의 관계가 시장유형, 정보비대칭 수준, 손실지속성 여부에 따라 다른지도 알아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t년의 배당과 t+1년 또는 t+2년의 미래 재무보고의 질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재무보고의 질 측정치로 두 가지를 이용하였다. 하나는 Hutton et al.(2009) 및 전규안과 박종일(2017)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 재무보고의 불투명성(FRQ1)이고, 다른 하나는 Dechow and Dichev(2002) 및 Francis et al.(2005)의 발생액의 질(FRQ2)이다. 이들 변수 모두는 3년의 다기간으로 측정된 잔차의 시계열적 변동성이 고려된 측정치이다. 또한 FRQ1 또는 FRQ2 값이 작을수록(클수록) 재무보고의 질은 높은(낮은) 것으로 해석된다. 분석기간은 관심변수(종속변수)를 기준으로 2002년부터 2014년까지(2003년부터 2016년까지)이고,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의 상장기업 중 손실기업을 대상으로 FRQ1(FRQ2)의 최종표본은 3,960(3,294)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되었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실기업의 당기 배당지급은 FRQ1, FRQ2로 측정된 미래 재무보고의 질과 모두 유의한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손실기업에서 당기 배당을 지급한 경우가 무배당기업에 비해 미래 재무보고의 질이 더 높다는 결과이다. 둘째, 전체표본을 다시 시장유형(KOSPI vs. KOSDAQ)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면 앞서 FRQ1의 결과는 주로 KOSDAQ 표본에 기인한 반면에, 앞서 FRQ2의 결과는 제한된 증거만이 나타났다. 또한 정보비대칭 수준 또는 손실지속성 여부에 따라 표본을 나누어 분석하면 정보비대칭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일 때, 또한 손실지속성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일 때 더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앞서의 결과가 시장유형, 정보비대칭 수준, 그리고 손실지속성 여부에 따라 차별적인 반응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추가분석에 따르면 손실기업에서 5년간 연속배당의 지급여부는 종속변수(FRQ1, FRQ2)에 대해 유의한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손실기업에서 배당에 연속성이 있을 때 무배당이나 비연속적으로 배당을 실시한 경우보다 미래 재무보고의 질이 더 높음을 시사한다. 또한 시장유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면 앞서의 결과는 주로 KOSDAQ 표본에 기인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손실기업에서 배당지급이 미래 높은 재무보고의 질을 예측하는데 있어 신호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이러한 정보는 시장유형, 정보비대칭 정도, 손실지속성여부에 따라 차별적 반응이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손실기업의 당기 배당과 미래 재무보고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한 처음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손실기업의 배당지급 상태가 기업의 미래 재무보고의 질에 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는 본 연구의 발견은 학계에 추가적인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손실기업에 대한 연구가 전반적으로 미미한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는 자본시장의 투자자, 실무계 및 규제기관에게도 손실기업의 배당이 향후 재무보고의 질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한 이해에 유용한 시사점을 더불어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dividend payments of loss firms on futur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Specifically, we examine whether dividend paying status in the loss firms provides information about future high-quality financial reporting. In addition, we examines the effect of dividend payments of loss firms on future high-quality financial reporting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market type (KOSPI vs. KOSDAQ samples), whether the degree of levels information asymmetry, and whether loss persistence. Whether firms signal future prospects through dividend payments has been a source of debate and research in the finance literature since the early papers by Lintner (1956) and Miller and Modigliani (1961). Despite considerable research, the debate over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dividend-signaling hypothesis remains alive in the literature. Meanwhile, prior research on the side of accounting and dividend suggests that dividends provide information about earnings quality (e.g., Skinner and Soltes 2011; Tong and Miao 2011; Caskey and Hanlon 2013; Lee et al. 2005; Kim et al. 2012; Ruoo and Jeon 2015; Kim et al. 2016; Cha and Kim 2016; Park and Jung 2017 etc.). And also prior study shows that the information effect of dividends on the persistence of earnings is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signs of cooperates’ reported earnings (Lee and Lee 2007). Further, prior study examines whether the effect of earnings quality measure such as accrual quality on dividend payments of loss firms, her find that loss firms with high accruals quality are more like to pay dividend (Nam 2016). However, there is no prior literature on the relation between dividends by loss firms and futur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s not as well known. Therefore, we test the dividend-signaling hypothesis that the dividend policy of loss firms would signal the high-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about future. To test this hypothesis, we employ both financial reporting opacity and accruals quality as measures of th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hereafter FRQ). The first proxy is financial reporting opacity (hereafter FRQ1) calculated using both Hutton et al. (2009) and Jeon and Park (2017) methods. The second proxies are based on the mapping of current accruals onto lagged, current, and future cash flows using both Dechow and Dichev (2002) and Francis et al. (2005) models of accruals quality (hereafter FRQ2). For analysis, following Hutton et al. (2009) and Jeon and Park (2016) as well as Francis et al. (2005), this study measures about futur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FRQ1 or FRQ2) as the three-years moving sum of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where discretionary accruals (DA) are estimated by the modified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like as Hutton et al. (2009) methods or the three years standard deviation of both DA and AQ as Jeon and Park (2017) and Francis et al. (2005). To test hypothesis, we also employ the association between dividend paying status of loss firm with respect to year t and future FRQ with respect to year t+1 or t+2. Our sample of loss observations covers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in non-financial industries based on the interest variable from 2002 to 2014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 from 2003 to (up to) 2016), thus we use 3,960 (3,294) firm-year observations by the FRQ1 (FRQ2) samples from 2002 to 2014 in Korean Stock Market.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after controlling for several factors that affect financial reporting quality, we find that the coefficient on the dummy variable for dividend paying status of loss firms is significantly negative for all about future FRQ1 and FRQ2 proxies. That is, compared to non-dividend payers, loss firms with the dividend payers have higher high-quality financial reporting in the t+1 or t+2 years. Thus, this implies that dividend paying with loss firms’ futur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re higher than non-dividend paying wi...

      • KCI등재
      • KCI등재

        IFRS 도입 전후 감사인 교체와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박종일 ( Jong Il Park ),나경아 ( Kyunga Na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1

        본 연구는 감사인 교체와 이익조정 간의 관계가 IFRS 도입 전후기간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감사인 교체와 이익조정 간의 관계가 IFRS 도입 전후기간에서 변화가 있다면 감사인 교체방향과도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전 국내 연구에서는 K-GAAP 기간을 중심으로 감사인 교체기업들은 비교체기업들에 비해 교체연도에 재량적 발생액이 증가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박종일과 곽수근 2007). 그리고 국내IFRS 도입 전후 이익조정의 변화를 분석한 연구들에서는 IFRS 도입 후에 재량적 발생액이 대체로 감소되었음을 보고하였다(박현영 등 2013; 김경태 2014; 정재을과 김헌숙2014; 전규안 등 2014). 그러나 IFRS 도입 전후기간에 따라 감사인 교체기업과 이익조정 간의 관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한 연구는 그동안 국내외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IFRS 도입 전후의 각 4년간(2007년부터 2014년까지) 자료를 이용하고 금융업을 제외한 유가증권상장 및 코스닥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최종표본 10,902개 기업/연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종일과 곽수근(2007)의 결과와 달리, IFRS 도입기간을 포함한 표본에서는 감사인 교체기업들의 당해연도의 재량적 발생액 수준이 비교체기업들과 비교하여 더 높다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감사인 교체기업들의 교체연도 재량적 발생액 수준이 비교체기업들과 비교할 때 IFRS 도입 전보다 도입 후에 들어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FRS 도입 전후기간에 상관없이 감사인을 교체한 기업 중 Big 4에서 non-Big 4 감사인으로 하향교체 한 경우는 교체연도의 재량적 발생액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할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추가분석에서 실제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분석하면 앞서 재량적 발생액의 결과와 달리, 감사인 교체기업들은 그렇지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실제 이익조정을 이용한 보고이익의 상향조정행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량적 발생액의 결과와 달리, 실제 이익조정의 경우 감사인 교체기업과 실제 이익조정 간의 관계는 IFRS 도입 전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인 교체기업들의 경우 감사인 교체를 통해 보고이익을 증가시키려고 할때 미래 기업성과를 보다 더 악화시킬 수 있는 실물거래활동을 통한 이익조정보다는 주로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행위를 통해 교체연도의 보고이익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최근 국내 선행연구들은 IFRS 도입 전보다 도입 후에 재량적 발생액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보고했지만, 본 연구결과의 경우 감사인 교체기업들에서는 오히려 IFRS 도입 전보다 도입 후에 재량적 발생액 수준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결과는 보다 엄격한 새로운 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상장기업들이 감사인 교체의사결정을 통해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공격적 이익조정행위를 IFRS 도입 이후에 더욱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IFRS 의무도입에 따라 회계투명성이 평균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보여준 앞서의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달리, IFRS 도입 이후 보고이익을 증가시키려는 기업들은 감사인 교체를 이용하여 이를 실현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발견은 학술적으로는 IFRS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실증적 증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익의 질이나 감사품질에 관심이 있는 실무계 및 규제기관에게도 유익한 시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auditor switch and earnings management in Korea has changed after the mandatory adoption of IFRS (i.e., the post-IFRS period) compared to before the IFRS adoption period (i.e., the pre-IFRS period), and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auditor switch (i.e., from or to the Big 4 auditors) has affected those changes. Previous literature documents that before the adoption of the IFRS (i.e., during the K-GAAP period) the discretionary accruals increase in the year that a firm changes its auditor (Park and Kwak 2007) compared to a firm that keeps its auditor. Other studies report that the discretionary accrual level in general has decreased in Korea after the IFRS adoption (Park et al. 2013; Kim 2014; Chung and Kim 2014; Jeon et al. 2014). However, no study has yet attempted to find evidence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IFRS adoption on the relation between auditor switch and earnings management. To fill this gap, we investigate this issue with all listed firms excluding those in the finance industry over the 4-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IFRS adoption between 2007 and 2014 (equivalent to 10,902 firm-year observations). Among total sample, 1992 firm-year observations that change auditors are defined as the auditor-change firms while the remaining 8,910 observations that do not change auditors are defined as the auditor-retention firms. Also, among the auditor-change firms, 787 observations change the auditors in the pre-IFRS period and the rest (1,205 observations) switch in the post-IFRS period. A firm’s earnings management activity is estimated by discretionary accruals in the main analysis and by real activity (i.e., RM) in the additional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do not observe a significant increase in discretionary accruals in auditor-change firms compared to those without an auditor switch (i.e., auditor-retention firms) over the whole period from 2007 to 2014 (10,902 observations), which is inconsistent to the results in Park and Kwak (2007) who use the pre-IFRS period only (2000-2005). However, when we split the sample period into the pre-IFRS period (2007-2010) and the post-IFRS period (2011-2014), we find that auditor-change firms report great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auditor-retention firms in the post-IFRS period than in the pre-IFRS period. Secondly, among the auditor-change firms, those changing from the Big 4 auditors to the non-Big 4 auditors show higher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than those switching in reverse regardless of the period. Lastly, additional test reveals that auditor-change firms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y (i.e., RM) compared to auditor-retention firms throughout the whole sample period. However, we do not observe any evidence 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M level of auditor-change firms and that of auditor-retention firms between the pre-IFRS period and the post-IFRS period. This result implies that to increasing the reported earnings, the auditor-change firms tend to resort to discretionary accruals rather than to RM in the year of the auditor switch compared to the auditor-retention firms.

      • KCI등재

        지속적인 세무전략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박종일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4

        This study examines how sustainable tax strategies relates to firm-level investment efficiency. “Sustainable tax strategies” is the dimension of a firm’s tax strategy that focuses on maintaining consistent tax outcomes over time (McGuire et al. 2013). Prior research indicates that firms with sustainable tax strategies experience more persistent, hence more predictable, earnings (McGuire et al. 2013). Neuman et al. (2013)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firms with sustainable tax strategies have more transparent information environments as well as corporate transparency. Shin and Park (2019) shows that firms with sustainable tax strategi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s’ credit rating. In addition, prior studies suggest that higher-quality financial reporting should increase investment efficiency (e.g., Biddle and Hilary 2006;Biddle et al. 2009). Therefore, I link and extend this line of two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firms with sustainable tax strategies improves investment efficiency. For comparison, I also investigate whether the firms with minimization tax strategies is associated with investment efficiency. For analysis, I construct a measure of sustainable tax strategy (hereafter STS)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cash (GAAP) ETRs over a five-year period (i.e., t to t-4) following McGuire et al. (2013). Firms with low variability report a narrow range of cash (GAAP) ETRs over time, which suggests they emphasize a sustainable tax strategy. To measure minimization tax strategies (i.e., tax avoidance), I use long-term the cash (GAAP) ETR measured as the five-year period following Dyreng et al. (2008).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investment efficiency. I measure this variable following Biddle et al. (2009). This is, the primary dependent variable in my analysis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abnormal investment (hereafter INV, CAPEX and R&D), so a higher value will indicate a higher investment inefficiency. I construct a sample of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4~2017 with data in both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final sample is 9,148 firm-year observations. Empirical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First, the dependent variable is total investment, I find that the negative and significant coefficients on STS at the 1% level in all specifications of the model. This results lend support to hypothesis that firms with sustainability tax strategi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s’ investment efficiency. Second, as a additional test, I further examine the effects of firms with sustainable tax strategies on each of capital investment (CAPEX)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R&D), and evaluate whether this paper conclusions are driven by either or both types of investment. when the dependent variable is R&D investment, I find that firms with sustainable tax strategi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vestment efficiency at the 1% level. However, I do not fi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irms with sustainable tax strategies and investment efficiency. In other words, the results for R&D is consistent with what I find for the total investment. Therefore, earlier my results is driven by R&D investment efficiency. These results are robust to alternative measures of cash ETR and GAAP ETR. Furthermore, my results is robust when I divided the sample into KOSPI and KOSDAQ firms are quantitatively similar. Meanwhile, when the dependent variable is R&D investment, I find that firms with minimization tax strategi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vestment inefficiency at the 1% level. In summary, my results show that the sustainability of a firm’s tax strategy over time increases a firm’s R&D investment efficiency, whereas firms with minimization tax strategies increases a firm’s R&D investment inefficiency. Therefore, my results suggest that the sustainability of firms’ tax strategies are associated with lower over- or under-investment. My findings provi... 본 연구는 지속적인 세무전략의 기업일수록 투자효율성이 증가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이전 연구에서는 높은 품질의 재무보고가 투자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Biddle et al. 2009). 또한 이전 연구들은 현금유효세율에 대한 변동성을 낮추는 지속적인 세무전략의 기업은 이익의 지속성이 높고(McGuire et al. 2013), 더 투명한 정보환경에 있어 기업투명성이 높으며(Neuman et al. 2013), 기업신용등급이 더 높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신상이․박종일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범위를 확장시켜 지속적인 세무전략의 기업일수록 투자효율성이 증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관심변수인 지속적인 세무전략을 McGuire et al.(2013)의 방법인 과거 5년간으로 측정되는 Cash ETR 또는 GAAP ETR의 변이계수를 이용하고, 종속변수는 Biddle et al.(2009)의 방법에 따라 비정상 투자수준에 대한 개별기업의 잔차를 추정한 후, 절댓값을 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총투자를 설비투자(또는 자본적 지출)와 연구개발비 투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기간은 2004년부터 2017년까지이고, 유가증권과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최종표본 9,148개 기업/연 자료가 이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는 일정 통제변수를 고려한 후에도 지속적인 세무전략과 투자효율성 간에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특히 앞서의 결과는 주로 설비투자보다는 연구개발비 투자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서의 관계는 변이계수의 측정방법(예로, Cash ETR, GAAP ETR)에 상관없이 일치된 결과로 나타났고, 전체표본을 KOSPI와 KOSDAQ 표본으로 나누어 분석해도 모두 일관된 증거를 보였다. 이와 달리, 법인세를 최소화하는 조세회피 전략은 투자효율성과 음(-)의 관계로 나타났고, 주로 설비투자보다는 연구개발비에서 나타났다. 이상을 요약하면, 본 연구는 유효세율에 대한 변동성을 낮추는 지속적인 세무전략의 기업은 연구개발비의 투자효율성이 증가하는 반면에, 법인세를 최소화하는 조세회피 전략의 기업은 연구개발비의 투자비효율성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비교해 보여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세무 측면의 지속적인 세무전략과 투자효율성 간의 관계를 처음으로 탐구한 연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발견에서는 지속적인 세무전략이 투자효율성과 양(+)의 관계로 나타나 지속적인 세무전략 정보는 높은 재무보고의 질을 나타내는 신뢰할 만한 지표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 KCI등재

        비정상적인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

        박종일,최관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와 회계저널 Vol.10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bnormal audit fees and abnormal audit hours on audit quality. We test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earnings management. Audit quality is defined as the joint probability that an existing material error is detected and reported by an audit auditor(DeAngelo 1981). Prior studies primarily investigate whether earnings management is related to factors that could impair auditor independence and also its studies have regarded the audit fees(or hours) as the proxy of the audit quality but they have no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usually high or low audit fees(or hours) and discretionary accruals of auditee. This research decomposes actual audit fees(hours) into two parts, normal audit fees(hours) and abnormal audit fees(hours), and pays attention to the case where abnormal audit fees(hours) are excessively high or low. Earnings management is capt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 as a proxy for unobservable audit quality that are estimated using a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Kothari et al. 2005). We expected greater audit quality(audit fees or audit hours) to reduce the extent to which managers report aggressively high earnings. To test this prediction, we utilize audit fees data from 3,238 firms-year observations 1999-2005 period and audit hours data from 1,897 firms-year observations 2000-2005 period. The sample firms are all listed firms in Korean Stock Exchange, December year-end firms, and firms do not belong to banking industry. The data on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collected from the DART(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ther firm-specific financial data is collected from KIS-VALUE II database.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cretionary accruals of auditee are higher than expected when abnormal audit fees are much lower. This implies that excessively low audit fees would deteriorate audit quality, but the results of abnormal audit hours are a weak evidences. In addition, when auditors devote audit hours much more than the normal level, the discretionary accruals become lower. This suggests that greater audit effort constrains earnings management and improves the audit quality. Meanwhile, we cannot find significant earnings management when audit fees are highly paid or auditors spend much less audit hours. These findings provide some assurance that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a reasonable proxy for audit quality. The results of this paper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and regulatory bodies that evaluate the reliability of external audit by using audit fees and hours information. 본 논문은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지금까지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은 감사품질의 대용치로 사용되어 왔으나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 감사필 재무제표의 재량적 발생액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하는 것은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선행연구들에서는 감사보수나 감사시간의 경우 기업규모와 체계적인 선형 관계에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Caramanis and Lennox 2008;박종일과 박찬웅 2007 등).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변수간 상관성을 고려하여 감사보수나 감사시간 대신 비정성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감사보수(감사시간)가 과대지급(과대투입) 되었거나 과소지급(과소투입)된 감사보수(감사시간)가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에 어떠한 체계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는 한편으로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이 기업의 이익의 질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과 같다. 실증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감사보수가 정상수준보다 낮게 지급된 때에는 재량적 발생액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비정상적으로 낮은 감사보수는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 결과는 약한 증거를 얻었다. 둘째, 감사시간이 정상수준보다 많이 투입된 때에는 재량적 발생액이 낮게 나타났다. 즉 감사시간이 많이 투입될 때 감사품질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감사보수가 정상수준보다 과대지급된 경우나 감사시간이 과소투입된 경우에는 재량적 발생액에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기존 연구들에서 감사품질의 측정치로 사용되어 온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두 측정치 모두 감사품질을 예측하는데 있어 차별적인 정보를 제공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감사보수와 감사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감사의 적정성을 파악하려는 투자자와 또한 이를 감리대상기업의 선정에 참고자료로 사용하려는 정부 규제기관에게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연법인세 정보를 이용한 이익조정의 탐지-비상장기업을 중심으로-

        박종일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4 세무와 회계 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이연법인세 정보가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탐지할 수 있는지를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회피 구간 및 이익감소회피 구간과 이연법인세비용 간에 양(+)의 관계가 있는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연법인세 정보가 경영자의 이익조정과 관련성이 있음을 분석한 연구들은 대부분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되었다(Phillips et al. 2003;주인기 등 2005;최종서·문승엽 2005). 그러나 비상장기업에서의 이연법인세 정보가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구간과 체계적인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국내외로 전무했다.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된 선행연구의 주장과 논의가 비상장기업에서도 확장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연법인세비용(DTE)과 Burgstahler and Dichev(1997)에서 제시된 적자회피(SPOS1) 및 이익감소회피(SPOS2) 구간과의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연법인세비용은 선행연구의 방법에 따라 측정했고 (Phillips et al. 2003;최종서·문승엽 2005;임태균·정석우 2008;전규안·박종일 2009), 적자회피와 이익감소회피 구간의 설정도 선행연구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Roychowdhury 2006;김지홍 등 2008;최종서·곽영민 2010). 본 연구는 이연법인세 제도가 도입된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0년도부터 2007년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후 이용 가능했던 최종표본 12,928개 기업 / 연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정 변수뿐만 아니라 재량적 발생액까지 통제한 후에도 이연법인세비용은 적자회피 구간과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정 변수뿐만 아니라 재량적 발생액까지 통제한 후에도 이연법인세 비용은 이익감소회피 구간과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비상장기업에서의 이연법인세 정보는 이익조정의 의심되는 적자회피뿐만 아니라 이익감소회피 구간과도 양(+)의 관련성이 있다는 점에서 이연법인세 정보는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탐지하는 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비상장기업에서 재무제표에 보고된 이연법인세 정보가 경영자의 이익조정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있어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발견은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비상장시장에서의 이익의 질에 관심이 있는 학계, 실무계, 채권투자자, 회계기준 제정기관 및 정책당국에게도 여러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fulness of deferred tax expense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in a non-listed firms setting. Specifically, building on the evidence of earnings management Burgstahler and Dichev (1997), this paper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deferred tax expense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to meet two earnings target thresholds (1) to avoid reporting a loss, (2) to avoid reporting an earnings decline. Burgstahler and Dichev (1997) document that firms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to avoid the losses or the earnings decreases, thus increasing the incidence of producing the small earnings increases and the small positive earnings. Burgstahler and Dichev (1997) classify firms that show small positive earnings (small earnings increases) on the basis whether they avoid losses (earnings decreases) by a narrow margin because such small beaters are suspected of managerial intervention by accrual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Choi and Kwak (2010) report that suspected non-listed firms that slightly achieve earnings thresholds tend to manage earning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as well as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Meanwhile, prior literature on book-tax differences provides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difference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earnings quality. For example, Phillips et al. (2003) argue that managers typically have more discretion in financial reporting than in tax reporting and can exploit such discretion to manage income upwards in ways that do not affect current taxable income. Such earnings management will generate temporary book-tax differences that increase a firm’s net deferred tax liability (i.e., defined as the change in deferred tax liabilities less the change in deferred tax assets;DTE) and, consequently, increase its DTE. DTE is a component of a firm’s total income tax expense and reflects the tax effects of temporary differences between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that arise primarily from accruals for revenue and expense items that affect book and taxable income, but in different periods.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is important in assessing the quality of earning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ful to researchers studying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of non-listed firms and to creditors in their examination of financial reports. Therefore, this study use deferred tax expense (DTE), a publicly available measure, as their empirical surrogate for temporary book-tax differences (Phillips et al. 2003). Following Burgstahler and Dichev (1997), this study use unusually high frequencies of small positive earnings (small earnings increases) in cross-sectional distribution of earnings level (earnings changes) and define as suspected firms whose managers might manage their earning. And this paper use discretionary accruals to measure the extent of firms’ earning management, I employ both the model identified by Dechow et al. (1995) and performance-adjusted discretionary accruals suggested by Kothari et al. (2005) to estimate discretionary accruals. This study observations are based on 12,928 firm-year data, selected from non-listed firms in Korea, for eight years (2000 to 2007). The empirical test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non-listed firms’ sample tests, I find that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deferred tax expenses and the suspected non-listed firms reporting small positive earnings and small earnings increase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at affect the level of DTE. Thus, the results provide evidence consistent with deferred tax expenses generally being incrementally useful with discretionary accruals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increment usefulness of deferred tax expense in defecting earnings management in a non-listed firms setting. This implies that deferred tax information has the potential to convey relative quality of earnings aside...

      • KCI등재

        세무위험과 기업위험 ―주가변동성, 시장베타 및 자본비용 측면에서―

        박종일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9 세무와 회계 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세무위험이 높을 때 자본시장의 투자자들이 인지하는 기업위험이 증가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업위험에 대한 대용치로 시장에 기초한 차기의 주가변동성, 시장베타 그리고 자본비용을 이용하였다. 최근 세무위험을 분석한 Hutchens and Rego(2015) 및 Guenther et al.(2017)은 세무위험과 차기 주가변동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 세무위험은 기업위험과 관련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조세회피가 차기의 주가변동성으로 측정된 기업위험과 양(+)의 관련성을 보고한 연구는 있으나(김진수․김임현 2016;박종일 2017), 앞서의 세무위험과 관련해서는 체계적인 분석이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세무위험이 기업위험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특히 조세회피와 비교하여 세무위험이 기업위험에 대하여 추가적인 정보력을 제공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을 위해 세무위험의 대용치는 선행연구와 같이 과거 5년간(t-4∼t)의 CASH ETR 또는 GAAP ETR의 변동성을 이용하였다(Hutchens and Rego 2015;Guenther et al. 2017). 또한 조세회피는 과거 5년간(t-4∼t)의 장기유효세율인 CASH ETR 또는 GAAP ETR로 측정하였다(Dyreng et al. 2008). 본 연구는 비금융업종인 유가증권과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정 변수와 조세회피를 통제한 후에도 평균적으로 세무위험이 높은 기업일수록 차기 주가변동성, 시장베타 및 자본비용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ASH ETR과 GAAP ETR의 변동성으로 측정된 세무위험이 높을 때 투자자들은 미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인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조세회피는 차기 주가변동성과 시장베타와 양(+)의 관계로 나타났으나, 자본비용과는 유의한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앞서의 관계는 세무위험 변수를 연속변수 대신 5분위수를 이용한 세무위험이 매우 높은 구간이 고려된 지시변수로 분석하더라도 일관된 증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앞서의 결과는 재무보고의 질(예로, 발생액의 질의 중위수를 이용)에 따라 표본을 나누어 분석해도 모두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CASH ETR과 GAAP ETR의 변동성으로 측정되는 세무위험이 일관되게 세 가지 기업위험 측정치와 양(+)의 관계가 있다는 강건한 증거를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즉, 본 연구결과는 세무위험인 CASH ETR과 GAAP ETR의 변동성이 조세회피 이상으로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이 미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에 대한 전반적인 기업위험을 포착하는데 있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관련연구에 새로운 증거를 제공하며, 또한 투자자, 실무계, 규제당국 그리고 정책입안자에게도 유용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 whether higher levels of tax risk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firm risk, as perceived by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 participants. Specifically, this study use market-based risk measure of one-year-ahead stock return volatility, market beta, and the cost of capital as proxies for firm risk. Recent literature in the overseas research examines tax risk. For examples, two studies, Hutchens and Rego(2015) and Guenther et al.(2017)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ax risk and one-year-ahead stock return volatility. Meanwhile, prior domestic research documents that tax avoidance increases firm risk measure of one-year-ahead stock return volatility (e.g., Kim and Kim 2016;Park 2017). However, what is unknown in the domestic research is whether firms with relatively high tax risk, do bear significantly greater firm risk (i.e., market-based risk measures) than firms that have lower tax risk. Therefore, I examine whether tax risk provides incremental information about firms risk, which have been less explored in prior domestic research. In particular, I examine whether tax risk, compared to tax avoidance, provides incremental information about firm risk. For the analysis, I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irm risk and tax risk. Then tax risk is calculated as the standard deviation of annual CASH (GAAP) ETRs for five-year (t to t-4) period prior to and including the current year (e.g., Hutchens and Rego 2015;Guenther et al. 2017). Following Dyreng et al.(2008), tax avoidance, which I calculate the CASH (GAAP) ETRs as the ratio of the sum of the cash taxes paid (tax expense) divided by the sum of pre-tax income measured over the five-year, t to t-4. in regression analyses I multiply CASH (GAAP) ETRs by negative one, so that larger values indicate greater corporate tax avoidance. For my empirical tests, I use a sample of firms with positive pretax income and ETR data from 1999 through 2016 to construct four effective tax rate measures. This paper predict that higher values for each of tax risk/tax avoidance metrics are associated with investors’ assessment of increased firm risk. I sample covers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with fiscal year-end from 2003 to 2016.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after controlling for several factors as well as tax avoidance that affect firm risk, on average, I find that firms with relatively high tax risk significantly increase in subsequent stock return volatility, market beta, and cost of capital. Thus, I find predictable variation in stock return volatility, beta, and cost of capital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tax risk. This is, firms with higher values of tax risk as the volatility of firms’ annual CASH ETRs and GAAP ETRs would be perceived by investors as having more uncertain future cash flows. In particular, Th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tax risk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uncertainty regarding a firm’s future cash flows, as reflected in the market-based risk measures of firm risk. future after cash flows predictability. In contrast, I find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subsequent stock return volatility and market beta, whereas I find no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ax avoidance and cost of capital. Second, I find that consistently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ax risk and subsequent stock return volatility, market beta, and cost of capital, when this study measure tax risk as firm with relatively high tax risk is an indicator variable set equal to one for firms in the top quintile and zero otherwise instead of continuous variable of tax risk. Las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x risk proxi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sequent stock return volatility, market beta, and cost of capital regardless of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e., accruals quality). In sum, this study provide robust evidence that CASH ETRs volatility and GAAP ETRs vola...

      • KCI등재

        비상장시장에서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적자회피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에 미치는 영향

        박종일,최성호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와 회계저널 Vol.15 No.5

        Prior study report that suspected non-listed firms that slightly achieve earnings benchmarks (toavoid losses or to avoid earnings decreases) tend to manage earning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as well as real earnings management (Choi and Kwak 2010). Also, Burgstahler and Dichev (B&D,1997) argue that managers overstate earnings in order to avoid reporting losses and earningsdecreases, and they find a significant discontinuity around zero in the earnings distribution.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the Big 4 auditorssuppress the avoidance of reporting losses or earnings decreases than non-listed firms auditedfrom the non-Big 4 auditors. For the analysis, we employ the cross-sectional discontinuitycharacteristic of earnings distribution (earnings levels and earnings changes) around zero, itfollows from B&D (1997)’s methodology (Park and Kim 2013;Choi and Kwak 2010 etc). Thispaper uses the total 40,362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07.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we find that the non-listed firmsaudited from the Big 4 auditors were shown to lower probability of avoiding losses than the nonlistedfirms audited from the non-Big 4 auditors. Second, we find that the non-listed firmsaudited from the Big 4 auditors were shown to lower probability of avoiding earnings decreasesthan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the non-Big 4 auditors. These results shows that the Big 4auditors are more effective than non-Big 4 auditors in suppressing the tendency of switching non-listed firms’ earnings decreases into increases for reporting. Thus, we interpret our results assupporting the conclusion that Big 4 auditors are of higher quality than non-Big 4 auditors. In summary, the result of this paper confirming that hiring Big 4 auditors with respect to nonlistedfirms suppress avoidance of reporting losses or earnings decreases more effectively than non-Big 4 auditors is significant. That is, it shows the effectiveness of audit quality of the Big 4auditors even for non-listed firms with relatively low accounting environment is also quitedifferent from that of listed firms. Therefore, this paper’s findings are expected to make additional contributions to relevant research on audit quality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regulatory institution interested in the reliability of non-listed firms’ financial reports. Also,academics can apply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for related researches.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감사인을 선임한경우보다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보고 회피와 이익감소보고 회피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낮은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Burgstahler and Dichev(1997, 이하 B&D)의 연구에서 제시된 이익수준과 이익변동에 따른 횡단면적 불연속성 분포 특성으로 파악되는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는 비상장기업에서 대표적인 목표이익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임을 선행연구에서는 보여주었다(최종서와곽영민, 2010). 기존 연구인 최종서와 곽영민(2010)은 비상장기업에서 적자회피와 이익감소회피구간의 기업들이 재량적 발생액뿐만 아니라 실제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보고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에 속한 비상장기업들이 Big 4 감사인을 선임하면 non-Big 4 감사인을 선임한 경우보다 감사인이 기업의 적자보고회피나 이익감소보고 회피행위를 더 억제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의 설정은 선행연구의 방법에 따라 B&D의 이익분포(이익수준 및 이익변동)의 횡단면적 불연속성 특성을 이용하였다(박종일과 김명인, 2013;최종서와 곽영민, 2010). 분석기간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이고, 금융업을 제외한 이용 가능한 최종표본은 40,362개 기업/연 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Big4 감사인을 선임한 비상장기업은 non-Big 4 감사인을 선임한 비상장기업보다 적자보고 회피의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ig 4 감사인은 non-Big 4 감사인에 비해 비상장기업의 경영성과를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하여 보고하려는 경영자의 유인을 억제한다는 결과이다. 둘째,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이익감소보고 회피의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ig 4 감사인은 non-Big4 감사인에 비해 비상장기업의 보고이익 감소를 소폭 이익증가로 전환하여 보고하려는 경향을 억제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두 연구결과는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구간을좁게 혹은 넓게 설정한 경우에서도 대체로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B&D(1997)의 분류상 문제를 조정한 후인 재량적 발생액을 증가시킨 경우나, 또는 이익조정 전 이익이 목표이익에 미달된 기업이 재량적 발생액을 상향조정하여 소폭 흑자나 소폭 이익증가로 전환하여 적자보고 회피나 이익감소보고 회피 구간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비상장기업의 Big 4 감사인 선임은 non-Big 4감사인을 선임한 경우보다 적자보고 회피나 이익감소보고 회피의 구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결과는 Big 4 감사인은 non-Big 4 감사인보다 비상장기업에서의 적자보고나 이익감소보고 회피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킨다는 것은 상장기업과 비교할 때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더 낮은 비상장기업에서의 Big 4 감사인의 선임은 감사품질 측면에서 더 효과성이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발견은 감사품질을 다룬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학계뿐 아니라 비상장기업에서의 재무보고의 신뢰성에 관심 ...

      • KCI등재

        법인세비용을 이용한 이익조정과 이익지속성, 미래 기업성과와 기업가치

        박종일,신상이 한국세무학회 2023 세무와 회계저널 Vol.24 No.3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firms’ earnings management using tax expenses(hereafter TD) and earnings persistence, between TD and future firm performance, and between TD and firm value. Prior studies use the difference between cash ETR (effective tax rate) and GAAP ETR as a proxy for earnings management using tax expenses (Park and Lee 2021; Park 2022). Thus, this paper extends the work of Park and Lee (2021) by linking tax accrual to earnings persistence, future firm performance, and firm value. We measure TD following Park and Lee (2021),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ash ETR and GAAP ETR as a proxy of earnings management using tax expenses. Following Park (2022)’s model, we also distinguish between TD driven by economic fundamentals (innate TD) versus management choices(discretionary TD). For test, the sample used 16,170 firm-year observations over the period 2000-2020. We find that:(1) TD lead to lower earnings persistence. Specifically, we also distinguish the innate and discretionary components of TD, the results driven by management choice(discretionary TD), (2) we also fin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D and future firm performance (i.e., net income, cash flows from operation activities, operating earnings), this results driven by innate TD and discretionary TD, and (3) we fi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D and firm value, this results also driven by innate TD and discretionary TD. Therefore, our study is the first to document that firms’ earnings management through tax expenses using tax accruals lead to lower earnings persistence and lower future firm performance that investors do not fully anticipate the lower earnings persistence and lower future firm performance, leading to significant mispricing with respect to firm value. Thus, the results of (1) and (2) support managerial opportunism, by contrast, the results of (3) support functional fixation hypothesis. Overall, we believe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assessments of reporting quality as well as information risk with regard to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tax expenses. Specifically, these feature suggests that firms using tax expense to manage earnings with tax accruals is associated with lower earnings quality. 본 연구는 현금유효세율에서 GAAP 유효세율을 차감한 차이(이하 TD) 값으로 측정되는 법인세비용을 이용한 이익조정의 대용치가 이익지속성, 미래 기업성과 그리고 기업가치(Tobin’s Q)와는 어떤 체계적인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최근 연구는 TD 값이 클수록 적자회피와 양(+)의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박종일과 이윤정 2021).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보다 확장시켜 TD를 본질적 또는 재량적 요인의 TD로 분해한 후 앞서의 주제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분석기간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상장기업 16,170개 기업/연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D 값이 클수록 차기와 차차기의 이익지속성이 낮고, 또한 앞서의 음(-)의 관계는 주로 재량적 TD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D 및 그 원천(본질적 TD 또는 재량적 TD) 모두 차기와 차차기의 미래 기업성과와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TD뿐 아니라 본질적 TD와 재량적 TD 모두는 기업가치와 양(+)의 관계로 나타나 앞의 증거들과 달리, 시장의 투자자들은 보고이익의 크기에 고착되어 TD가 증가하면 과잉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경영자의 보고이익을 높이는 수단으로 법인세비용을 이용한 이익조정은 이익의 지속성이 낮고, 미래 기업성과에 대한 반전의 예측력을 제공하나, 시장은 TD뿐 아니라 그 원천(본질적 TD와 재량적 TD) 모두에 대해 과대평가하여 잘못된 가격책정(mispricing)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특히 전자의 증거는 정보의 속성상 경영자의 기회주의 가설과 일치하나, 후자의 결과는 기능적 고착가설에 부합하는 증거임을 시사한다(Sloan 1996).

      • KCI우수등재

        재무보고의 질이 현금보유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을 중심으로

        박종일,신상이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학연구 Vol.43 No.6

        We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financial reporting quality on the value of cash holdings, by examining whether auditors incorporate this information into the assessment of their clients’ audit risk as reflected in their audit pricing and effort. Auditor’s point of view, the marginal value of an additional dollar of excess cash held by a firm with poo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s incorporated into firm value at less than a dollar. To see the empirical question, we use three accounting based measures of opaque financial reports: Hutton et al. (2009), Jeon and Park (2017), and Francis et al. (2005) model. Our sample includes listed firms in KOSPI and KOSDAQ, with data covering the years 2004-2016. Ou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excess cash holdings and audit fees/hours, whereas the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excess cash holdings and opaque financial report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coefficients. This results are more pronounced and stronger in the order OPAQUE2, OPAQUE1, and AQ, and more audit fees than audit hours. Second, their relations are more pronounced for Big 4 auditors, KOSPI firms, and during post-IFRS adoption period. Overall, our results show that opaque financial report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marginal value of excess cash holdings, which lead to higher audit risk by auditors. To our knowledge, our findings represent the first documented result in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effect of financial reporting quality on the value of cash holdings in terms of audit risk. 본 연구는 재무보고의 질에 따라 기업의 현금보유의 가치가 달리 평가되는지를 감사인의 감사보수와 감사시간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재무보고의 질로 Hutton et al.(2009)의 방법(OPAQUE1), 전규안과 박종일(2017)의 방법(OPAQUE2)에 따라 재무보고의 불투명성과 Francis et al.(2005) 모형의 발생액의 질(AQ)을 이용하였다. 분석기간은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유가증권과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초과현금보유 수준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대해 음(-)의 관계를, 재무보고의불투명성은 양(+)의 관계를, 그러나 초과현금보유와 재무보고의 불투명성 간의 상호작용변수는 유의한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과현금 수준이 높을수록 감사위험이 감소하나, 재무보고의 불투명성이 높은 기업에서 초과현금 수준이 증가하면 오히려감사인의 감사위험을 증가시켜 현금보유의 한계가치가 할인됨을 의미한다. 앞서의 결과는OPAQUE2, OPAQUE1, AQ 측정치 순으로 더 뚜렷한 관계를, 또한 감사보수일 때 더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둘째, 전체표본을 다시 감사인 규모, 시장유형, IFRS 도입 전후기간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면 앞서의 결과는 주로 Big 4 감사인이 감사한 경우, 유가증권기업의 경우, 그리고 감사보수는 IFRS 의무도입 이후기간일 때 더 뚜렷한 반응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재무보고의 질에 따라 기업의 현금보유의 가치에 대해 감사인은 감사위험을 달리 평가한다는 것을 보여준 처음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발견은 현금보유, 이익의 질과 감사위험을 다룬 관련연구에도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