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시 교육에서 영상매체 언어 활용의 방법과 의미 -TV 프로그램 <낭독의 발견>을 중심으로-

        윤우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8 No.-

        오늘날 대중문화의 가장 중요한 소비자는 청소년들이다. 자본주의가 심화된 현실에서 매체들은 제각각 잉여 창출을 위해 부심한다. 흔히들 이제 문화의 개념을 동적 실체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들 하지만, 과연 현실에서 그들이 주체적으로 문화를 수용하고 있는가는 의문부호를 단다. 말하자면 풍요 속의 빈곤, 다양성 속의 획일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할 때 문화론은 공허한 이론으로 그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매체교육은 대중들이 사회와 문화 현실, 그리고 그 맥락에 대해 알고 비판적인 관점을 확보하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 즉, 문화론적 관점은 현실적 삶의 주체들로 하여금 자신이 처해 있는 문화 현실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자신의 관점을 세울 수 있도록 기능할 때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결국 매체교육에 관한 한 이러한 현실문화론적 관점은 그 문화의 향유자들이 문화의 주체로서 자신의 취향과 선택에 대해 스스로 객관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준다고 할 수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낭독의 발견>의 경우 ‘낭송’이라는 시문학 고유의 수행적 요소를 현실화하여 시청자 독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대담 형식에 담긴 담론으로서 매체언어의 구현 양상에 대해 이해하고, 피대담자의 낭송이라는 행위에 담긴 인간의 맥락에 대해 탐구하도록 하며, 이러한 실행과정이 만들어내는 삶의 가치화를 지향할 수 있는 수용 지평을 형성시킴으로써 지금까지 내적이고 구조적인 측면을 강조해온 시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Nowadays, dew to <Media Language> in reversed curriculum, we should have faced with needs of cultural grounding on the real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se of TV media, there has a direct and inclusive socio-cultural operation based on visual essence of media, which requires to have new standpoint of literary language through text reading. Therefore, in receiving media text, we must instruct three paces, which are understanding the style of meaning production, critical interpretation, and aesthetical enjoyment. TV program <Finding Recitation> in KBS1TV works as a valuable material within the realm of meaia-language usage especially poetic education. We can handle it by three standpoint as a production of meaning in ‘telling in showing' way, reception as aesthetical enjoyment during recitation, and critical interpretation as a cultural practice. As the goal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ims at enhancing the receptive ability of lingustic culture, it can be fulfiled when literary ability is layed on real circumstances. This requires compositive meeting between human science and social utility, based on the ability of text criticism. In this connections, poetic education in media text can open the horizon of cultural practice with creative thoughts and meanings.

      • KCI등재

        해방기 시의 역사 기억과 문학사 교육의 문제

        윤우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5 No.-

        한국현대시사에서 해방기는 단순히 무한한 가능성의 다양한 시험대로서 족한 닫힌 공간의대상으로만 취급해 서는 안 될 것이다. 오히려 그 ‘해방 공간’은 그 어떤 문학 장르, 어떤 사회부면보다도 선도적으로 시대적 가치 를 추구하고 현실성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역사의식을 현재화하려는 시적 인식이 구체화된 시기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시기에 김기림이나 임화가 역사적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에 대한 당위적 선취와 같은 이념지향적 태 도만을 앞세운 데비해, 오장환과 이용악의 작품들은 민족사의 과거가 현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천착 과정을 문학화함으로써 탈식민적 관점에서 자기비판의 시대적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특히 이들 시인의 작품은 자기비판의 주관적이고 고백적인 시선을 통한 진술과 현실재현의 객관적이고 관찰적 인 시선에 의한 묘사의 대조적인 표현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그 시적 주체들의 회상 기억을 통해 일제치하의 민족집단의 역사적 과거를 반성하고 현재의 의미를 재규정함으로써 해방이라는 역사 공간의 냉철하게 탐색하 는 현실성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시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민족문학의 역사에 대한 이해라는 문학사 교육의 초점에 입각해볼 때 해방기 시사 교육의과제는 무엇보다 시 텍스트의 해석적 수용과 당대의 역사적 사실 자체에 대한 이해라는 두 가지 당위성의 부정교합으로부터 벗어 나고자 하는 시각을 확보할 때 비로소 탐색 가능할 것으로 본다. 임화나 김기림, 오장환과 이용악의 시 텍스트 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모습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전환적 시각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이러한 역사적삶의 주체에 대한 시각을 통해 역사를 바라보는 텍스트 이해의 시각을 확보할 때 비로소 역 사주의적 비평관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가 다시금 역사의 직접적 연관을 통한 문학적 맥락의기계적 이해라는 모순적 역설을 초래하는 악순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the liberation era must be treatedjust more than the special space that contained various unlimited possibilitiesof raaptuerd period. It was rather the time that revealed the concreate poeticcognitions required in pursuiting the value of the epoch and presenting thehistorical consciousness needed to gain. The poems of Rim Hwa and Kim Gi-rim gave priority to ideologicalpreoccupation of optimistical vision of national future with the form of hymnsor praise. And the poems of Oh Jang-hwan and Lee Yong-ak represented theprocess of inquiry what had effected on the nation's historical present withself-critical confession. These could have the meaning of poetic history in whichthey constructed reality of examining the liberation era with cool-headnessreflecting nation's historical past and re-prescribed the present meaning in theeyes of the poetic subjects. With these results of analysis, the education of poetic literary history in theliberation era can be examined when we stand the point of getting out of thedual conflict in interpretative receiving and understanding knowledge ofliterary history. In other words, if we gain the position of textualunderstandings through the insight of subject of historical life, we can read thepoems in the realm of history without mechan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criticism.

      • KCI등재

        일반논문 : 전후 모더니즘 시의 가치 인식과 문학사 교육

        윤우 ( Yoon Woo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4 No.-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historical phase of Korean post-war modernism poetry can be solved accompanying with literary judgement and penetration why modernism was chosen in that era. It means that the knowledge of literary history must make its role not be restricted in instrumental confirmation of historical facts, but be a methodological and proceeding knowledge using for understanding broad socio-cultural connections of those era. Regarding that the aesthetical value of literature as a work of art is embodied constructing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evaluation of receiving subject, the cognition of reality should be fulfilled through the critical interpretation on the representing forms of consciousness in discourse and its subjects. This also means that the education of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history must goes together. If we accept that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has a goal of incarnating literary values, it must be concluded to continuous producing process with self-reflective inquiry and reconstruction directing others, not to approval of canonized historical thoughts or ratification of text reading. To accomplish this, the quest of present value of literary works must be derived in the way of remembering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현대 대중시 생산/수용의 변화 양상과 사회문화적 재인식 - 뉴미디어 결합 양식의 소통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윤우(Park Yoon-Woo)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8

        본 연구는 한국현대시사의 흐름 속에 형성, 변화되어 온 대중시적 지향의 양상들을 재조명함으로써 그 존재조건으로서 사회문화적 맥락과의 관련을 통해 대중시의 현실적, 수용론적 의미를 평가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한국 현대시사의 흐름속에 나타난 ‘대중시’의 전개과정은 의외로 긴 연원과 그 형태나 양식상의 고유성을 확보한 채 진행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 현대시사상에서 ‘대중시’의 양상이 나타난 배경은 이중적 모습을 보이는데, 일제강점하의 프로문학 내에서 논의된 대중화론의 연장선에서 제기된 대중시 창작론은 피식민국의 민중이 지닌 계급적 특수성을 ‘대중’의 개념으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관념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으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한국사회가 본격적인 대중사회로 진입한 1960년대 이후 현대시의 주류로서 서정시의 흐름이 1980년대 후반 민주화를 거친 사회변화의 배경 아래 일반 대중의 시민적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독자중심의 작품 생산과 수용의 경로 변화가 새로운 의미의 대중시의 흐름을 주류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둘째, ‘대중시’의 양식성 확립의 측면에서 임화의 시가 지닌 감상주의적 공감이나 정서적 전파력이 프로문학의 현실적 이념 확산을 위한 전략으로서 당대의 일반적인 대중문학의 고유 자질로서 통속성을 일반화하려 한 것에 비해, 한참의 시기를 지난 1990년대의 서정적 대중시는 문체상 일견 자유로운 글쓰기의 실현을 통해 해방후 이어진 기존의 관념적 순수서정시의 주류를 벗어나 대중친화적인 의미전달의 가능성을 보인 점에서 대중문화 및 대중문학에 대한 엘리트주의적 관점 및 비판적 관점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기호/소통/문화론의 측면에서 현대 대중시의 생산 · 수용 양상은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복합매체 표현양식의 작품들 및 작품집 생산 형태나, SNS를 통한 소통방식이 직접 언어표현으로 구현된 새로운 시 형태들에 이르기까지 유독 ‘대중시’의 영역에서 형태 혁신 및 양식적 해체의 시도를 보여준 것은 오히려 현대시의 양식적 고정성으로서 모더니티의 혁신을 유발시킴으로써 독자대중으로 하여금 수동적인 수용자에서 머무는 데서 벗어나 소위 ‘소비생산자’로서의 주체적 소통의 당사자로서 문화적 실천의 공간을 창출하도록 하였다. In this Research, by examin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acceptance environment that make the meaning regulation, character and poetry exist as popular poetry, or the trend of change in distribution path, it is expected that the aspects of popular poetry orientation that have been formed and changed in the flow of Korean modern poetry can be reexamined and through this, the realistic and receptive conditions of popular poetry can be reconstructed. If you summarize the contents, you can summarize them with some features as follow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aspect of "popular poetr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is dual. The theory of popular poetry creation, which was raised in the extension of popularization theory discussed in the pros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s an ideological aspect in that it recognized the class specificity of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concept of "popularity", but it has a concept of modern poetry since the 1960s when Korean society entered into a full-scale mass society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change of the path of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the works of the reader-centered work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civic meaning of the general public under the background of social change that the flow of lyric poetry as a mainstream was democratized in the late 1980s provided an opportunity to mainstream the flow of popular poetry in a new sense. Second, in terms of establishing the stylistic nature of "popular poetry", the sentimental sympathy and emotional propagation of the poems of Lim Hwa tried to generalize the popular character as the unique qualities of the popular literature of the time as a strategy for the realistic ideology of prose literature, while the lyrical popular poetry of the 1990s, which had been a long time,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meaning delivery, and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the elite view and critical view of popular culture and popular literature. Third, in terms of the signal, communucative, cultural theory of text, it showed the attempt of the transformation and dismantling of form in the domain of poisonous "popular poetry". The new poetic forms in which the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SNS was directly expressed in language. By inducing modernity innovation as a stylistic fixation of modern poetry, the readers were allowed to create a space of cultural practice as a party to the subjective communication as a so-called "consumer producer", away from staying in passive prisoners.

      • KCI등재

        한중 수교 이후 중국 조선족문학 연구 성과의 비판적 검토와 전망

        윤우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9 No.-

        일제의 동아시아 침탈과 군국주의 전쟁의 도발로 이어지는 근대사의 변동과 맞물려 전개된 현대문학사의 흐름에서 특히 조선족문학의 실체성은 이주문학으로서의 디아스포라적인 존재성뿐만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소수민족으로서의 삶의 현실성을 부여받는 이중정체성의 내면화를 담지한다는 점에서 창작 주체의 물리적(역사적․지리적) 실존성이 현실인식의 주도적 계기로 작용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중 수교이후 지금까지 축적된 조선족문학에 대한 연구는 첫째, 한국현대문학사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킨 점, 둘째, 탈식민주의론의 시각을 방법론으로 정립하여 기존의 역사주의적 문학사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한 점, 셋째, 디아스포라문학론을 통해 ‘민족’문학의 내포에 대한 재인식을 촉구한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위주의 검토와 대상의 고유성 인식의 방법론적 결여, 소설 연구와 작가론에 집중된 연구 범위의 한정성, 한중 문화교류의 활성화라는 현실상황에 따른 한중간 한국어교육 및 한국문화교육의 관점에서의 연구 편향성과 같은 측면에서 문제의 소재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향후 조선족문학 연구의 방향은 보다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시각에서 문학사적 현상에 대한 양식론적 접근과 미학적 실체화를 지향해야 하며, 동시에 역사적 공간성에 대한 인문학적 주소화와 통합문학사의 구축을 목표로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중국내 조선족문학의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동아시아의 공간적 월경과 변혁의 문제가 한국현대문학사의 민족문학적 특징을 어떻게 형성시키고 범주화시키는가를 통찰할 수 있는 중요한 정신적 기반이자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In the flow of modern literatur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 of modern history leading to the invasion of East Asia and the provocation of militarism war by Japanese imperialism, the reality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s not only diaspora existence as migrant literature, but also internalization of dual identity which is given the reality of life as a minority in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is worth noting that one thing is done. The study on Korean-Chinese literature accumul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n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secondly, i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as a methodology and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historical literature history, and thirdly, it urged the re-perception of the inclusion of 'ethnic' literature through diaspora literature theory. Nevertheless, there are some problems in terms of the lack of methodology of text-oriented review and the recognition of the object's uniqueness, the limited scope of research focused on novel research and writer's theory, and the research bia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al situation of activat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Korean-Chinese literature should be more general and complex, and the stylistic approach to the phenomenon of literary history and aesthetic materialization should be aimed at at the same time, the humanistic address of historical spatia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literary history should be aimed. In this sense, the study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n China can ultimately serve as an important spiritual basis and opportunity to insight into how the spatial menstruation and transformation of East Asia form and categorize the ethnic literary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한국현대시문학사 이해를 통한 한국문화교육의 전망과 과제

        윤우(Park, Yoon-woo)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본 연구는 ‘문학사 교육’의 측면을 기본 토대로 삼아, 한국현대시사상의 교육정전으로서 시텍스트가 그 현실적 활용태로서 한국문화교육의 목표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한편, 중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의 현실적 동향을 바탕으로 한국현대시사 텍스트의 이해와 수용을 통한 동시대 한국문화교육의 실제와 그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기존에 한국 문학교육의 지식적 배경을 형성해온 한국현대문학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어떠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작용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며, 아울러 실제 문학교육 현장에서 한국현대시 텍스트가 해석, 수용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동시에 그것이 중국내 한국문학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문화의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해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oetry text as a practical us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can be realized as the educational blackout in Korean modern poetry based on the aspect of Based on the realistic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will explore the realities and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modern Korean texts. For this purpose, I will critically examine what sociological and historical contexts have been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which has already formed the knowledge background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addition, And analyze how they are accepted, and at the same time, how it affects Korean literary education in China, and explore ways to create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Kore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