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청주본 『명심보감』의 불교 이해

        成海俊(Hae-jun Sung) 영남퇴계학연구원 2022 퇴계학논집 Vol.- No.30

        중국의 范立本이 1393년 이전에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명심보감』 서문(청주본)에 석가의 가르침 중에서 좋은 말을 모아서 한 권으로 엮어 ‘명심보감’이라고 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이 말처럼 원본 『명심보감』 서문을 비롯하여 본문에서 ‘方便과 선행, 인과응보, 知足安分’ 등 불교사상과 관련된 내용이 적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慈悲와 功徳을 찬양하는 원색적인 불교 용어와 불교사상이 포함된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명심보감』 판본에는 불교적 용어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원본 ‘청주본’이 자취를 감추고 난 후 간행된 ‘초략본’에서 불교적인 내용을 의도적으로 삭제하여 명심보감 의 유교화를 시도한 탓이다. 그 때문에 현재 학계에서도 『명심보감』의 유불도 3교 합일 사상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불교사상과 관련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454년에 간행된 원본 명심보감 의 불교사상 중에서 우선 서문에 보이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명심보감』과 불교사상과의 관련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용기관관리 학지사3님 환영합니다. 로그아웃 스콜라 메인(대시보드) 상품관리 논문관리 논문관리 서비스 여부 및 발행정보 입력​ *개인저자여부​ YES NO *서비스여부​ YES NO *수동설정여부​ YES NO *무료여부​ YES NO *채널​ 학지사 *제공처​ 공인회계사협회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간행물​ .퇴계학논집 *권/호​ 제30호 논문 기본 정보​ 논문 ID​ 논문 카테고리(타입)​ *원논문명​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청주본 『명심보감』의 불교 이해 부논문명​ 논문명(영문)​ Buddhist ideas in the preface to the Cheongju version of Myongsimbogam of Mind. 논문명(기타)​ 논문DOI​ DOI URL​ 저자명​ 成海俊(Sung Hae-jun) 17/100자 논문 저자관리+ 추가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성 이름 소속1​ 소속2​ 주 저자설정​ 주저자 HomePage​ 초록 정보​ 국문 중국의 范立本이 1393년 이전에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명심보감』 서문(청주본)에 석가의 가르침 중에서 좋은 말을 모아서 한 권으로 엮어 ‘명심보감’이라고 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이 말처럼 원본 『명심보감』 서문을 비롯하여 본문에서 ‘方便과 선행, 인과응보, 知足安分’ 등 불교사상과 관련된 내용이 적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慈悲와 功徳을 찬양하는 원색적인 불교 용어와 불교사상이 포함된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명심보감』 판본에는 불교적 용어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원본 ‘청주본’이 자취를 감추고 난 후 간행된 ‘초략본’에서 불교적인 내용을 의도적으로 삭제하여 명심보감 의 유교화를 시도한 탓이다. 그 때문에 현재 학계에서도 『명심보감』의 유불도 3교 합일 사상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불교사상과 관련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454년에 간행된 원본 명심보감 의 불교사상 중에서 우선 서문에 보이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명심보감』과 불교사상과의 관련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565/4000자 영문 Some of the preface to the "Cheongj version" which seems to have been written before 1393, by the author of the book "Myeongsimbogam," collected good words from Seokga's teachings and compiled them into a single book. As such, the introduction to the original Myeongsimbogam, as well as general matters related to Buddhist ideas such as "Bangpyeon(方便), Good deed, Cause-and-Revenge, and Jijok Anbun(知足安分)" are cited in the text, and Buddhist ideas that exude the original Buddhist colors of Buddha's mercy and virtue. However, Buddhist terms are not found in the version of the "Mind-in-Bogam," which is currently widely used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original "Cheongju copy" disappeared after the mid-Joseon Dynasty intentionally deleted the Buddhist content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book and attempted to Confucianize it. For this reason, the academic community now mentions the idea of unific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ut in-depth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Buddhist ideas is rar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ideas and the Buddhist ideas in the preface, based on excerpts from the original Buddhist ideas published in 1454.

      • KCI등재후보

        『명심보감』 스페인어 번역의 정신문화적인 의의

        成海俊(Sung Hae-Ju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9

        『Myongsimpogam』is a book about morality discussing a broad subjects from human behaviour to politics and is based on Confucian thought. It has been widely read not only in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but also in Western countries like Spain. In particular, western missionaries were interested in Asian Confucianism and therefore translated it into their own language. It was first translated into Spanish by Christian missionaries who worked in Asia around 16th Century and they used it as material in their mission work. This translated version was given to the King of Spain at that time and then it spread around Europe. The Spanish version was made in 1592 and 1676 by different people and it had a big effect on Western society of that time. Her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panish version, its characteristics and roles in the West, based on earlier research of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also on my own opinion.

      • KCI등재
      • 東アジア『明心宝鑑』の成立およびテキストの内容に関して

        成海俊(Sung Hae-Ju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7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 No.-

        MyungSimBoKam is a book of morality covering general topics from human conduct to political ideology positively adopting confucian philosophy. It has been widely read among Western intellectuals including Spanish as well as those in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how MyungSimBoKam that had been constructed in China"s Ming Dynasty was spread and received in different East Asian countries, and also the effect it has made on each country"s philosophical thought. It is argued that while MyungSimBoKam was introduced as a woodblock-printed book in China and Korea, it was widely read among Japanese intellectuals and thus lots of related books to it were published in Japan. It is my contention that as far as MyungSimBoKam is concerned, Japanese way of receiving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either China or Korea: MyungSimBoKam was differently embraced in each country having been deformed of transformed in its own way depending upon the uniqueness of each country in terms of its tradition, culture, time period and socio-political conditions.

      • KCI등재

        하비안의『아마쿠사판 금구집(天草版金句集)』의 사상고찰

        成海俊(Sung, Hae-Jun) 대한일어일문학회 2015 일어일문학 Vol.67 No.-

        The publication of Harbian Amakusa version of Gumguezip was guide for missionary to propagate Japanese’s religion. And also it was material for missionary to learn Japanese. In a broad sense, it has thought of both Confucianism, Buddhism and each phrase contains many Guezip. But, there is still not clearly revealed about quotation of Amakusa version of Gumguezip. The contents of Amakusa version of Gumguezip seems like quote the Myoungsimbogam. So, this report try to clear the feature of thought by researching specific examples related with Myoungsimbogam.

      • KCI등재

        유구의 전통 신앙과 종교

        성해준(Sung, Hae-jun)(成海俊)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7 No.-

        지금은 일본의 오키나와현(沖繩縣)이 된 과거의 琉球는 부락·부족시대를 시작으로 城廓을 축조한 구스쿠시대를 거쳐 통일왕국시대로 들어오면서 정치적 경제적으로 안정된 시대를 맞이한다. 약 450년간 독자적인 문화를 지닌 통일왕국은 남해 해상무역의 중심지로 동남 및 서남아시아, 그리고 중국·한반도·일본열도 등을 연결하는 통상의 교량적 역할로 대외적 위상을 높이며 풍요로운 시기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대내적으로는 전통문화를 존중하며 독특한 고대신앙 형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섬에서 생활한 사람들은 혈연으로 연결된 집단으로 공동체 의식도 강하였다. 사람들과 촌락사회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다른 지역 촌락과의 사회적 교류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마을을 벗어날 기회도 적었다. 혼인 형태도 사촌을 비롯한 친족을 중심으로 섬 내의 결혼이 관습화되어 극히 폐쇄적인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농민들의 대부분은 마을에서 벗어나 생활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섬 공간은 각각 대립하는 이야기를 전하는, 조상신이나 초자연 신과 관련된 성역과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구 문화의 특징인 역사 속의 종교 발생과 고유종교와 관련된 전통 신앙을 중심으로 유구의 민간신앙의 원류를 고찰하고 한국의 당산이나 성황당과의 관련성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The Ryukyu, which has now become the Okinawa Prefecture in Japan, faces an era of political and economic stability as it enters the era of the unified kingdom, starting with the era of villages and tribes, through the era of Gusuku, which built the castle. For about 450 years, the Unified Kingdom, which had its own culture, was the center of maritime trade in the South Sea and maintained its position as a bridge between Southeast and Southwest Asia, and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But internally, it respected traditional culture and maintained a unique form of ancient belief. Therefore, people who lived on the island were connected by blood and had a strong sense of community.People and the village society were closely connected and had few opportunities to leave the village because they had little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 local villages. Marriage forms were also extremely closed as marriages on the island were customary around cousins and relatives. Therefore, most of the peasants rarely lived out of the village. So the island space had a sanctuary and a worldview related to the ancestral gods or the supernatural gods, each telling a conflicting story.In this paper, we will consider the origin of the folk belief of the Ryukyu, focusing on the traditional faith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religion in history and the indigenous religion,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is Ryukyu culture, and also infer the relation between Dangsan and Seonghwangdang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