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르노그래피, 에로티시즘 그리고 문학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이 논문은 문학/예술 작품의 예술성과 외설성의 경계가 무엇인지, 그 사이에서 에로티시즘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둘 사이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론적으로 쓰였다. 귀스타브 꾸르베Gustave Courbrt의『세상의 기원』(The origin of the world, 1866)은 원작이 프랑스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 Musee d"Orsay 에 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 작품이 예술작품임을 뜻하는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은 포르노 화집『에로티카 위니베르살리스』(Erotica Universalis)(타쉔Taschen)에도 실려 있다. 『세상의 기원』은 예술작품이며 동시에 포르노인 셈이다. 2001년 프랑스에서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기도 한 미쉘 우엘벡Michel Houellebecq의 『플랫폼』(Plateforme)과 카트린 밀레 Catherine Millet의 『카트린 M의 성생활』(La vie sexuelle de Catherine M), 두 작품은 성적 자유에 대하여 정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성묘사가 노골적이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 두 경우, 서로 어긋나는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까닭이 무엇인지, 그것이 예술의 어떤 속성 때문인지를 논문은 찾아본다. 이 지점에서 거론하게 되는 것이 〈에로티시즘〉이다. 우리는 ‘에로티시즘’의 의미와 영역을 알아보면서 그것이 예술성과 외설성에 걸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예술작품인지 포르노인지를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은 세우기 어렵다. 감상자의 미적 감식안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이용 방식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아마도 가장 무난한 기준은 ‘〈맥락〉에 따라 판단한다.’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defining the ways in which we distinguish art from obscenity in the literary and artistic works. While it probes into the possibility of setting up the boundaries between these qualities, it also tries to illuminate them in context of eroticism. It is true that Gustave Coubert’s The Origin of the World (1866), which is exhibited at Musee d"Orsay in Paris is a work of art. It is also true that this work, which is included in Erotica Universalis, is a pornograph. In this sense, The Origin of the World is not only a work of art but also a pornograph. Michel Houellebecq’s Plateforme and Catherine Millet’s La vie sexuelle de Catherine M have the opposite positions on the sexual liberty, but they share a common point that they are very lascivious.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the ways in which an artistic and literary work can be artistic as well as obscene, and also explain this phenomenon can be related to the attribute of art: eroticism. Thus it elucidates the significance and realm of eroticism in order to understand of artistic qualities and obscenity in the works of art and literature. It would not be easy to differentiate a work of art from pornography. It is often up to the various aesthetic tastes or the usages of the art works. Thus, the paper contends that the most acceptable criterion to tell art from obscenity is the context in which the work of art and literature lies.

      • KCI등재
      • KCI등재

        성좌의 시학을 위하여

        정승옥(Jeong, Seu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3

        감각적 대상과 관념적 대상 사이에 일치가 일어나면 상징이 자리 잡고 감각적 대상과 관념적 대상 사이에 틈이 생기면 그 사이로 들어오는 것이 알레고리이다. 괴테는 알레고리가 상징보다 열등한 수사기법이라고 했지만 벤야민 이전까지, 실은 벤야민 이후에도, 문단에서는 상징과 알레고리란 용어를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했다. 벤야민이 활발하게 연구되면서 이제 상징이 아닌, 벤야민이 말하는 현대적 의미에서의 알레고리로 시작품들을 읽는 움직임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로망주의자들은 느낄 수 있는 것은 모두 무엇인가를 상징한다고 믿었지만. 머지않아 시인들은 그 믿음이 항상 통하는 것은 아님을 깨닫는다. 벤야민에 따르면 알레고리의 세계에서는 현실이 파편화 된 역사의 잔해로 자리 잡을 터이다. 이 논문은 벤야민의 알레고리론에 기대 김성규의 시들을 읽는다. 한결같이 자연과 문명이 뒤죽박죽 섞여 묘사되어 있는 김성규의 시들은 한편 한편이 서사구조를 갖고 있으나 화자의 시선의 각도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차라리 그의 시들은 총체적으로가 아니라 파편화로 존재하는,〈지금-여기의 현실〉자체가 숨어있는 진짜 화자가 아닐까 따져보게 하는 시들이다. 여기가 바로 앞서 말한, 김성규의 시를〈성좌의 시학〉으로 읽을 근거가 마련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성좌의 시학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쓰이는 첫 논문인데, 간단하게 말하면 각 단락들 각각이 완전무결한 독자성을 가지며 동시에 다른 단락들과 공명 관계를 갖는다. 대립하는 단락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병존하며 어떤 ‘총체성’을 만들어 낸다. 그 총체성의 구체화가 바로〈성좌의 시학〉이다. A symbol comes into being when a sensual object corresponds to an abstract one; an allegory does when there is a crack between a sensual object and an abstract one. Johann Wolfgang von Goethe once said that an allegory is a rhetoric rather inferior to a symbol. Even after Walter Benjamin suggested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most critics have not distinguished them very rigorously and applied them to anything. On the basis of recent studies on these literary terms, some critics have applied an allegory to some poetic works. A romantic believes that whatever he feels can be a symbol, however, some poets come to understand that such a belief does not make any sense. According to Benjamin, the world of allegory will be the ruins of a history that is made of a fragmented reality. This paper attempts to read Kim Sungkyu’s poetical works on the theoretical basis of an allegory. His poems that depict some fragments of nature and civilization have a distinctive narrative structure, but do not provide us with any clear perspective of their speakers. The speaker of his poems, not as a comprehensive being but as a fragmentary, is a hidden one behind a here and now reality. This moment can be a point when and where his works can be understood as a poetics of constellation. This paper is an attempt to provide a field for a poetics of constellation, in which each paragraph has its own complete uniqueness as well as corresponding relationships between paragraphs. It is also a field in which some paragraphs may be opposite to others, but the juxtaposed and superposed paragraphs result in a totality. The concreteness of this totality is a poetics of constellation.

      • KCI등재

        루소를 중심으로 본 <공감문제>

        정승옥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1 No.-

        Des peuples infortunés gémissants sous un joug de fer, le genre humain écrasé par une poignée d’oppresseurs, une foule affamée, accablée de peine et de faim, dont le riche boit en paix le sang et les larmes, et partout le fort armé contre le faible du redoutable pouvoir des lois. Voilà bien le tableau de l’état de la France au XVIIIe siècle tel qu’il apparaît aux yeux de Rousseau. Il accuse cette réalité misérable, tandis que sa plume ne cesse de la révéler, mais en même temps il s’efforce, face à cette misère, de proposer des moyens de la surmonter. En méditant sur les premières et plus simples opérations d’âme humaine, il croit appercevoir deux principes antérieures à la raison dont l’un participe à la conservation de nous-même, et l’autre inspire une répugnance naturelle à voir périr ou souffrir nos semblables. De ces deux principes, l’amour de soi et la pitié, c’est au dernier que cet article s’intéresse. La pitié est selon Rousseau le sentiment par lequel nous nous identifier avec l’être souffrant, mais bien que naturelle au coeur de l’homme la pitié resterait inactive sans imagination. Notre réalité du XXIème siècle n’est peut-être pas si différente de celle de Rousseau, et pour échapper à la misère qui menace notre solidarité, il nous faudrait retrouver ce sentiment de la pitié, sentiment qui n’être actif que par le support de l’imagination de chaque individu et de la vie collecti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