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McGrath)의 유신진화론적 신학 이해에 대한 개혁신학적 비평

        신국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0671

        Alister McGrath has prestigious degrees in a branch of science and theology, and has written vast amount of books on the basis of a deep academic foundation. Above all, he tried to close the conflict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and to find an appropriate agreement. In this process, he developed 'Scientific Theology', has made a system for thinking about science theologically and theology scientifically, and included the 'Bible' and 'Tradition', 'Nature' and 'History' within the category of 'Scientific Theology'. In addition, McGrath made theological and scientific apologetics in response to the views of atheists like Dawkins. He pointed out above all the intellectual limitations of science and philosophy suggested by the atheists and their lack of logic. Also, McGrath worked hard for the religious maturity of believers, helped believers to understand the Christian faith better through history, theology, and Christian apologetics, and tried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As a result, McGrath's theology is welcomed and enjoyed by many people. However, his vast theological inclusivity diminished the quality of his studies and obscured his theological identity. Above all, McGrath maintains the Theistic Evolutionary Viewpoint, and in this case, the interpretation of Genesis on creation is inevitab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viewpoint. McGrath, for example, believes that the creation and formation of the world takes place evolutionarily, but not admit that Adam was first man created by God, the Covenantal relationship between Adam and God, and that death came because of Adam's sin. Since this view distorts the biblical interpretation related to Adam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we need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problems that McGrath insists on Theistic Evolutionary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is regard, this thesis will first look at the contents of Darwin's Theory of Evolution which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istic Evolution. Next, we will deal with the social and religious controversies caused by Darwin's Theory of Evolution, the content of Theistic Evolutionary Theory that emerged to reconcile such debates, and the theological criticisms against it. As a result, through this thesis, while criticizing McGrath's Theistic Evolutionary Views, I will recommend that readers judge McGrath's contributions and theological problems well and read his writings in a balanced way.

      • 일원론적 인간론에 대한 개혁 신학적 비평 : 낸시 머피와 코르넬리스 반 퍼슨을 중심으로

        고상식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rationalism and modern neurobiology, it seems that modern people are doubting the substance of the human soul that was traditionally accepted. These changes are now affecting even christian theology. Some people, such as christian monistic physicalists, even try to explain the doctrines of the Bible without the concept of human soul. Denying the substance of the soul, christian physicalists argue that physicalism is more biblical than traditional dualism. Physicalists claim that Calvin and other reformers misinterpreted the Bible. As a result, the dualistic anthropology became predominant in christian theology. These claims are a serious challenge and threat to the Bible and reformed theology. Still, there are not many papers in Korea that attempt to approach this matter and defend the substance of human soul and biblical dualism. The following will provide evidence that traditional dualism is more biblical than monistic physicalism. To do so, first monistic physicalism will be carefully examined by looking into the claims of the two known physicalists, Nancy Murphy and Van Peursen, Then, their statements will be countered on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Chapter Ⅱ will introduce in detail the non-reductive physicalism of Nancy Murphy, then contradict her theory in multiple ways. According non-reductive physicalism of Nancy Murphy, the substance of human soul is not necessary in explaining human beings. The existence of intellectual, moral, and spiritual capacity in human beings can be briefly explained by the function of the brain, but more precisely by also looking into humans’ social and cultural life, and most importantly by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In other words, human beings can be fully defined intellectually, morally, and spiritually without accepting the existence of the human soul. Nancy Murphy states that the non-reductive physicalism can support theology, science, and philosophy overall. But Nancy Murphy’s anthropology, the non-reductive physicalism, faces the following problems on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First,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shows flaws by failing to interpret the bible correctly. Murphy tends to uniformly generalize the term of ‘nephesh’, ‘psyche’ and ‘pneuma’ into ‘life.’ But the term of ‘nephesh’, ‘psyche’ and ‘pneuma’ in the Bible so often represent the human soul after death as a concept of non-material composition of man. Therefore, we can not deny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after death. Second,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conflicts with the traditional reformed doctrine, such as christology. Murphy's anthropology breaks away from orthodox christology and turns toward physical christology. These claims are not supported by the bible nor by reformed theology. Third,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implies emergent evolution based on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But the Bible does not endorse any form of evolution. Fourth,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denies the intermediate state, a significant doctrine sustained and emphasized on the reformed theology. Lastly,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has a problem about personal identity after death. Denying the substance of the soul, Murphy depends on the theory of immediate resurrection and extinct-recreation to explain personal identity, but the Bible and reformed theology support the theory of intermediate state-final resurrection. The claim that personal identity is guaranteed on the basis of his own soul is most reasonable on the Bible and reformed perspective. Therefore,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has serious problems on the Bible and reformed perspective. Chapter Ⅲ will analyze the monistic anthropology of Van Peursen, then disprove his theory. Van Peursen states that the unity of body and soul is revealed in most of history of philosophy: such as in the world view of primitive man, in ancient Greece ideology, and even in the Bible. Redefining the term ‘soul’ into ‘man itself’, Van Peursen presents the monistic anthropology of his own. But Van Peursen’s monistic anthrop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on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First, to prove his point, Van Peursen continuously interpretate the terms about ‘man’ throughout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a way that will support his theory, ‘the unity of body and soul.’ This seems to overly one-sided and unfair. Second, Van Peursen interprets most terms related to man in the Bible holistically and monistically. He tends to interpret not only the term ‘nephesh’, ‘basar’, and ‘ruach’ in The Old Testament, but also the term ‘soma’, 'sarx, ‘pneuma’ in The New Testament holistically and monistically. However, ‘nephesh’ and ‘pneuma’ in the Bible often represent the human soul after death as a concept of non-material composition of man. Third, Van Peursen actively accepts the theory of evolution. But the Bible can not be harmonized with the theory of evolution. And Van Peursens’ position to accept the theory of evolution is a great threat to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finally, Van Peursen’s monistic anthropology tends to physicalism, denies the substance of the human soul, and conflicts with reformed eschatology. Therefore, Van Peursen’s monistic anthropology has serious problems on the Bible and reformed perspective. In conclusion, Murphy's non-reductive physicalism and Van Peursen’s monistic anthropology conflict with the Bible and reformed theology. 철학적 합리주의와 급속한 신경생물학의 발달로 인해서 현대인들은 그간 전통적으로 여겨졌던 영혼의 실체에 대하여 의구심을 갖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이제 신학에도 영향을 미쳐서 영혼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성경의 교리를 설명해 보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시도가 바로 일원론적 물리주의의 시도이다. 기독교 진영의 물리주의자들은 자신들의 견해가 더 성경적이라고 주장하면서, 오히려 칼빈을 비롯한 개혁신학자들이 성경을 잘못 해석한 결과, 이원론적 인간론으로 기울어지는 오류를 범했다고 비평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주장들은 성경과 개혁신학에 대한 강력한 도전이요 위협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기독교 물리주의를 다루고 그 문제점을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비평하는 신학적인 논문이 희박한 상황이다. 필자는 물리주의 일원론이 성경적이지 않으며, 개혁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전통적 이원론이 성경적이라고 믿는다. 본 논문을 통하여 왜 물리주의 인간론이 그릇된 것이며, 왜 이원론적 인간론이 옳은 것인지 보여주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에 비교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두 인물로, 낸시 머피와 반 퍼슨의 물리주의 인간론을 자세히 소개하고,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그 문제점을 비평해 봄으로써 개혁신학을 변호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낸시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를 자세히 소개하고 그 문제점에 대하여 개혁신학적인 비평을 가해보고자 한다. 비환원적 물리주의 개념에 따르면, 영혼이 결코 존재하지 않더라도 인간의 지적, 도덕적, 영적 능력들은 어느 정도는 두뇌의 작용으로 설명 가능하지만, 이를 완전히 설명하려면 인간의 사회적 관계, 문화적 요인,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주목해야한다는 것이다. 즉, 영혼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서도 인간을 지적, 도덕적, 영적인 존재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낸시 머피는 비환원적 물리주의가 신학, 과학, 철학에 걸쳐 모두 조화를 이루는 이론이라고 주장한다. 첫째, 신학의 영역에서는 성경과 신학의 교리가 자신의 비환원적 물리주의와 잘 조화된다고 설명한다. 낸시 머피는 구약 성경에서 인간의 개념이 현대적 물리주의 일원론에 가까운 것이었지만, 그리스 철학이 가미된 성경의 잘못된 번역의 문제로 인해서 그것이 그릇된 이원론적 견해로 왜곡되었다고 주장한다. 마찬가지로 신약성경 역시 그리스 철학의 배경 아래서 읽혀져 왔기 때문에 ‘영혼’과 같은 인간의 영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잘못된 해석이며, 인간을 영과 육으로 구성된 형이상학적인 구성물로 이해하는 신약의 방식도 합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또한 신학에 있어서는 신론, 기독론과 삼위일체론, 구원의 역사에 대해서도 비환원적 물리주의에 따라 수정을 가할 것을 요구한다. 둘째로, 과학의 영역에서는, 보다 더 고등한 생물체로 갈수록 자기 초월의 능력과 메타로 향하는 능력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능력들이 더욱 개발되어 획기적인 진전이 이루어지며, 우둔한 행동에서 세련된 행동으로 단계적으로 발전한다고 설명한다. 역시 낸시 머피는 과학 이론들에 비추어 볼 때에도 비환원적 물리주의의 설명방식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더 적절하다고 설명한다. 셋째로, 철학의 영역에서는, 여러 쟁점들이 있지만 비환원적 물리주의가 철학적인 문제와도 잘 조화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낸시 머피의 인간론은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 인간론은 성경해석의 문제를 안고 있다. 머피는 신/구약 성경에서 ‘네페쉬’와 ‘프쉬케’, ‘프뉴마’를 전인적 생명으로 일반화시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네페쉬’와 ‘프쉬케’, ‘프뉴마’가 생명을 지칭하는 용례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인간의 ‘영혼’을 지칭하는 용어로 나타난 경우도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사후 인간 영혼의 존재를 부인할 수 없다. 둘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 인간론은 신학적인 교리에도 전통적인 교리와 충돌한다. 머피는 정통적 기독론에서 이탈해 물리주의적 기독론으로 전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성경과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벗어난 주장들이다. 셋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 인간론은 창발적 진화론을 함의한다. 그러나 창발적 진화론의 근본 뿌리는 역시 다윈주의 진화론이다. 그러나 성경은 어디에도 진화론을 지지하지 않는다. 넷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는 중간상태를 부인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중간상태의 교리는 부활과 연결된 한 국면으로 성경에 근거한 개혁주의 신앙에서 강조하는 교리중의 하나이다. 다섯째, 머피의 비환원적 물리주의는 부활 전후의 인격 정체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머피는 부활 전후의 인격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혼의 실체를 배제한 채, 즉각적 부활설과 멸절 재창조설에 동조한다. 그러나 성경은 즉각적 부활설과 멸절 재창조설

      • 레오나르도 보프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에 대한 개혁신학적 비판

        김대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레오나르도 보프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비판하는 것으로 그의 신학의 교리적 측면과 실천적 적용의 측면으로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크게 다시 다섯 가지의 범주에서 보프에 대한 개혁 신학적 비판을 시도했다. 첫째로 Ⅱ장에서는, 보프가 자신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기존 동·서방의 삼위일체 모형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특히, 삼위의 실재적 단일성과 관련하여 기존 모형이 “신적 본질”에만 치중하여 “교통의 본질”을 간과했다고 주장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논문은 동·서방의 신학자들이 단일성을 설명하는 출발지점이 다를 뿐이지, 신적 본질과 교통의 본질을 동시에 강조했으며, 오히려 동·서방의 신학에 교통의 본질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보프가 제시하는 현대적 모형(사회적 모형)은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변증했다. 또한 정통적인 삼위일체 모형들을 몰트만과 같이, 군주적인 모형이라고 간주하는 보프에 대해 그러한 규정은 성경적 근거가 없을 뿐 아니라 불합리하며, 교통과 관계성을 말하기 위한 포석으로서, 결국 해방신학이나 정치 신학적 가설을 이끌어내기 위한 장치일 뿐이라는 것을 지적했다. 둘째로 Ⅲ장에서는, 현대적 모형의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성경 계시와 삼위일체 용어를 관계 중심적인 용어로 재해석하려는 보프의 이론을 분석했다. 즉, 보프는 삼위일체 교리와 삼위일체 실재를 각각 분리하여 생각하도록 이끌면서 삼위일체 용어에 대한 재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기존 용어들이 삼위의 복수성과 등등성을 온전히 드러내지 못한다고 주장하면서 재해석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주장함을 드러내었다. 하지만, 본 논문은 이러한 보프의 주장은 결국 전통적인 삼위일체의 논의를 벗어나는 것으로서 용어의 한계를 넘어 적극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도록 우리를 이끌면서, 실천적 적용을 위한 장치로서의 재해석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즉, 보프는 삼위일체 용어를 성경 계시로서 존중하지 않으며 성경을 새로운 관점으로 재해석하는 문제를 드러내는 것이다. 셋째로 Ⅳ장에서는, 보프가 페리코레시스 교리를 통해 자신의 삼위일체가 삼신론이 아니라는 것을 변론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보프는 하나의 의지, 하나의 이해, 하나의 사랑만이 존재하는 세 위격의 동일본질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와같이 보프가 삼위의 동일 본질을 강조하여 삼신론의 위험을 벗어난 점은 다행스럽지만 보프는 교부들의 함의와는 달리, 존재론적 단일성을 간과하면서 교통과 관계성에 치중하여 이 교리를 사용한다는 것과, 인간의 타락과 부패성, 근본적인 죄성을 미미한 것으로 평가함으로 결국 실천적으로 이 교리를 적용하여 열린 삼위일체론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본 논문은 지적했다. 넷째로 Ⅴ장에서는, 그리하여 보프가 성경적 삼위일체와 정통 삼위일체론을 벗어나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의 존재론적 차이를 모호하게 만드는 이른바 만유재신론, 그리고 죄와 상관없이 하나님과 연합의 가능성을 열어놓는 만인구원론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본 논문은 지적했다. 즉, 보프의 의도는 좋지만 결국 그의 논의를 충실히 따라가다보면 성경 계시가 말씀하는 삼위 하나님이 아니라 인간의 죄성과 관련없이 하나님과의 교통으로 만물을 초대하며, 이미 만물과 하나인 만유재신론적인 하나님을 만날 수밖에 없음을 지적했다. 다섯째로 Ⅵ장에서는, 결론적으로 보프의 삼위일체론은 실천적 동기에 치우쳐진 삼위일체론이라는 것을 지적했다. 즉, 그는 해방신학자로서 남미의 현실적 문제 해결을 위해 삼위일체론을 수단으로 삼았다는 것과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심지어는 현대 신학의 이슈인 남녀평등 사상을 가져와 하나님의 남성적 측면과 여성적 측면을 동시에 강조하려고 한다는 것을 지적했다. 그러나 정통 개혁 신학자들이 바르게 지적하듯이 하나님은 성의 형태를 지닌 분이 아니며, 가난한 자의 하나님이 아니라 모두의 하나님이라는 것과, 해방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이룬 해방에서 출발하는 것이 복음임을 본 논문은 상기시키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보프는 현실적인 사회인식과 참여에 대한 좋은 통찰을 제공하며 사회를 변혁시키려는 의도로 긍정적인 여러 가지 작업들을 하면서 자신의 삼위일체론을 인간 공동체의 원형 또는 사회적 프로그램으로 만들기를 원했으나, 이는 인간의 죄성과 부패성이 해결되지 않고는 매우 제한적이거나 실현 불가능한 이상에 불과한 것임을 지적하였다. 그리스도의 성육신으로 말미암아 하나님 나라가 이미 임했지만 주님이 재림하실 때까지 아직 완전히 임하지 않았으므로 그 나라를 소망하며 하나님께 영광돌리는 삶을 사는 것이 참된 인간 공동체의 원형이요, 성경적 삶이요, 참된 삼위일체적 삶인 것이기 때문이다.

      • 변혁적 세계관에 있어서 구조와 방향의 개념 : 개혁 신학 및 기독교 철학적 접근

        김태민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변혁적 세계관에 대한 본 연구는, 한국 교회의 이원론적 행습과 그에 따른 세속주의 정신을 교정하기 위한 시도로서, 삶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변혁적 세계관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변혁적 세계관이 말하는 바가 무엇인가. 이것을 위해서 변혁적 세계관에 있어서 핵심인 구조와 방향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II 단원에서는 알버트 월터스를 통해 구조와 방향의 개념을 살핀다. 우선 변혁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밝히는데, 월터스에 따르면 변혁은 피상적이고 외면적인 성별이 아닌 내적인 성화로서의 변혁이요, 폭력적 전복이 아닌 점진적인 갱신이다. 이러한 변혁의 각기 다른 두 가지 의미는 구조와 방향의 개념으로부터 도출된다. 월터스에 따르면 구조는 창조된 사물의 본질이다. 본질로서 구조는 우유적인 죄에 의해 왜곡되지 않는다. 그리고 방향은 죄성 가운데 그 구조적인 규례로부터 벗어나는 것과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되어 그 구조적인 규례에 다시 순응하는 것이다. 이는 서로 대립하는 두 방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구조는 죄와 타락으로 인해 왜곡되지 않고 여전히 선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아는 그리스도인은 혁명이 아닌 변혁을 추구한다. 즉 선한 구조를 다시 드러내기 위해 애쓴다는 것인데, 여기서 구조를 다시 드러내는 것은 바로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되어 그 구조적인 규례에 다시 순응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구속의 방향이 구조의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는 것인데, 이를 통해 변혁은 단순히 피상적인 것이 아니라 좀 더 근원적이고 내적인 것임을 확인하게 된다. III 단원에서는 구조와 방향에 관한 성경적 근거를 살핀다. 존 왈튼에 따르면 구조는 목적지향적인 기능으로 나타난다. 송인규에 따르면 구조는 기능적 특질로 나타난다. 여기서 구조는 지향성을 지니는데 이러한 구조가 가진 지향성 가운데 인간은 그 창조 구조의 지향성에 발맞추어 구속의 방향을 취할 것인지 아니면 반대로 죄의 방향을 취할 것인지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방향은 두 갈래로 나누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성경에 따르면 그것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계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즉 그 계명에 순종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이웃에게 유익을 끼치는 삶을 살 것인지 아니면 불순종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고 이웃에게 해를 가하는 삶을 살 것인지, 인간은 그 두 방향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제3의 길과 같은 중립적인 선택은 없다. IV 단원에서는 구조와 방향에 대한 신학적 근거를 살핀다. 여기에서는 개혁 신학으로부터 도움을 받는데, 특별히 헤르만 바빙크와 루이스 벌코프 등을 통해 구조와 방향의 근거를 살피고자 한다. 이 단원에서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은, 구조의 신학적 근거로 나타나는 섭리/일반은총 개념과 방향의 신학적 근거로 나타나는 죄의 개념이다. 결국 구조는 하나님의 섭리 사역에 붙들린 바 되고 또 하나님의 일반은총 가운데 유지된다. 그리고 그러하기에 구조는 죄와 타락에 의해 왜곡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방향은 죄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다. 즉 죄로 인해서는 불순종의 방향이 나타나고 그와 반대로 죄로부터 구속하신 은혜로 인해서는 순종의 방향이 나타난다. 여기서 죄에 관하여 기억할 것은 죄가 본질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따라서 죄는 창조된 사물의 본질인 구조를 망가뜨릴 수 없다. V 단원에서는 구조와 방향을 기독교 철학적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여기서 기독교 철학이라 함은 네덜란드 개혁파 철학자인 도예베르트의 철학을 말하는 것이다. 도예베르트에 따르면 창조된 사물의 구조는 하나님의 명령으로부터 나오는 법이며 그 법에 따른 의미이다. 이것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개념들에 대한 숙지가 필요한데, 예를 들어 양상구조와 개체구조, 법칙면과 종속면, 주체와 객체, 회기와 예기, 개현과정과 엔캅시스 등의 개념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한편 방향에 대한 이해에서 중요한 것은 두 방향이 서로 종교적 절대적 반립의 관계라는 점이다. 특히 절대적 반립과 잘못된 이원론을 혼동해서는 안된다. 절대적 반립은 서로 대립되는 것을 옳게 분리시켜 놓는다. 하지만 잘못된 이원론은 서로 대립되지 않는 것을 대립되는 것인 양 분리시키려고 한다. 이러한 잘못된 이원론으로는 고대 그리스 세계관의 질료와 형상의 이원론, 중세 로마 가톨릭 세계관의 자연과 은총의 이원론, 현대 인본주의 세계관에서는 자연과 자유의 이원론이 있다. 이러한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세계관이 바로 변혁적 세계관인데, 이 세계관은 창조-타락-구속에 대한 이해 속에서 창조 세계가 하나님의 것이며 따라서 모든 창조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주인되심을 선포한다. VI 단원에서는 구조와 방향을 적용해 보는 단계이다. 특히 본 단원에서는 그 제목을 선교적 적용이라 하였다. 이 때 선교는 총체적 선교가 되어야 한다. 이 선교는 단순히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환경에서의 초문화적 사역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주님으로 선포하지 않

      • 정통 개혁파 신학 서론 : 프란키스쿠스 유니우스의 『참된 신학에 대하여(De Theologia Vera)』를 중심으로

        임항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object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iew De Theologia Vera and investigate what reformed prolegomena to theology is. To achieve the object, This dissertation surveys De Theologia Vera by Franciscus Junius who lived in the 16th century and examines features of it. In chapter Ⅱ, the background of De Theologia Vera is researched first. And then, the whole structure of De Theologia Vera is summarized and drawn in a diagram. After this, the attitude of Junius for this topic is identified, which is not theoretical just as scholasticism but accords with the end of true theology. Junius's demonstrating is introduced answering ‘quid sit’, ‘an sit’, ‘qualis sit’ thereafter. He defines ‘theology’ terminologically, and then verifies the existence of theology by the subject of theology, and consensus of all people about it. To answer ‘qualis sit’, He separates false theology from true theology. After this, what archetypal, and ectypal theologies are explained. And then, a comparative analysis for both and three types of ectypal theologies, ‘The theology of union in Christ’, ‘The theology of vision in the heavens’, ‘The theology of revelation in this life’ are introduced. And then, ‘Natural theology’ and ‘Supernatural theology’, which are two ways of revelation, are compared. Junius's investigation on ‘Absolute theology’ following ‘four causes’ with the greatest care is examined thereafter. And after the explanation of ‘Theology in a subject’ following human's conditions, 'the original state', 'the state of sin', the conclusion is explained. In chapter Ⅲ, three features of De Theologia Vera are identified: ‘The sole subject and communicator of true theology, The Triune God’, ‘Predestined Grace’, ‘Continuity with Synopsis Purioris Theologiae’. Truly, Triune God is the origin, and the object, and the end of true theology, and he communicates it by his predestined grace. Examining Junius's research, this dissertation draws two conclusions. First, Junius doesn't regard true theology as a science but emphasizes that t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the Word of God and true theology. So that he retraces all the works of true theology, and concludes that it is originated from invisible God, who is most holy and high. Thus, although human's corruption always corrupts it, true theology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Word of God is as viable as the Triune God gives. Second, Junius distinguishes what is to be attributed to God and what is to be attributed to humans. In doing so, He asserts that only the purest and most high things are attributed to God and only limited and corrupted things to creatures.

      • 보편과 한정: 영국의 가정적 보편주의와 칼 바르트의 보편화해론에 관한 평가 : 구원의 대상에 관한 이해를 중심으로

        김대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영국의 가정적 보편주의와 바르트의 보편화해론을 개혁신학과 개혁파 표준문서에 비추어 평가하는 것으로 이들의 신학에서 구원의 대상 이해가 어떠한지를 보편과 한정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크게 세 가지 범주에서 논지를 전개했다. 첫째로 Ⅱ장에서는, 구원의 보편과 한정에 대한 고전적 이해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칼빈과 16, 17세기 개혁파 표준문서의 보편구절 해석과 적용을 각각 살펴보았다. 이는 칼빈의 보편구절과 해석과 신학적 적용이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작업, 제1, 2 스위스 신앙고백서, 벨직 신앙고백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도르트신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보편구절 인용과 신학적 적용이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작업이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구원의 대상에 대한 개혁파 표준적 이해를 확인했는데, 곧 개혁신학은 하나님의 작정 대상, 그리스도의 구속 범위와 대상, 복음으로의 유효적 부르심 대상 이해에 있어서 택자만을 말해왔다는 점을 확인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단일한 의지 안에 구속 대상과 관련하여 작정적 의지의 대상이 택자라고 진술하면 개혁파 표준문서에 부합하지만, 작정적 의지의 대상이 모든 사람이라고 말하면 개혁파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게 되었다. 또한 그리스도의 죽음의 효력이 택자로 한정되면 개혁파에 부합하고, 반면에 모든 사람에게 효력이 미치면 개혁파에 벗어난 것임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복음의 유효적 부르심 대상이 택자로 한정되면 개혁파, 반대로 모든 사람이 유효적 부르심의 대상이 된다면 개혁파 표준문서에서 벗어난 것임을 확증하게 되었다. 아울러 이때 유효적 부르심의 공로적 원인을 하나님의 주권에 두면 개혁파, 인간의 믿음과 회개에 두면 표준문서에서 벗어난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Ⅲ장에서 영국의 가정적 보편주의를 분석하였다. 즉 영국의 가정적 보편주의자들 중에 제임스 어셔, 데이브넌트, 애드먼드 캘러미의 보편구절 해석과 적용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영국의 가정적 보편주의는 알미니우스주의와 타협한 신학이 아니고, 아미로주의 즉, 대륙식 가정적 보편주의도 아니며 개혁파 신학의 다양성과 풍성함을 보여주는 신학임을 입증하였다. 왜냐하면 영국의 가정적 보편주의는 구원의 대상에 대한 개혁파 표준적 이해에 비추어 볼 때 치명적인 결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이들은 하나님의 작정 대상과 복음 초청 대상 이해에 있어서 택자만이 궁극적 구원 대상이라고 진술하는 개혁파 표준에 전적으로 일치하고, 그리스도의 구속 범위와 대상 이해에 있어서 개혁파 주류 신학과 진술상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결국 충분과 효과의 범주에 속하는 설명임이 확인되었으므로 이 역시 개혁파 표준문서와 일치하는 것으로 결론내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Ⅳ장에서 바르트의 하나님의 작정, 그리스도의 구속 범위, 복음으로의 유효적 부르심 대상 이해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결론적으로 바르트의 구원 대상 이해는 개혁파 표준문서와 그 함의에서 상당히 벗어났음을 확인했다. 물론 바르트가 개혁파 유산과 신학 전통을 존중하면서 칼빈, 불링거 등 개혁파 신학자들을 존중한 점, 그리고 선택, 유기, 화해, 언약 등 개혁파의 용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신학을 펼쳐 나가려고 노력한 점은 매우 긍정적이다. 하지만, 바르트는 그러한 용어들을 소위 “그리스도 중심”적인 신학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은 바르트가 그의 의도에 따라 개혁 전통과 개혁파 표준문서의 이해를 존중하지 않고 완전히 재해석하였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그가 하나님의 작정 대상이 택자라고 말할지라도 실제로는 작정적 차원에서 개별적 인간은 아무도 구원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오직 그리스도만이 택자이면서 동시에 유기자로 예정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스도의 구속 범위 역시 개혁파 표준문서의 이해와 달리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온 인류와 실제로 객관적인 화해를 이루셨다고 그가 주장하는 점을 또한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복음의 유효적 대상을 택자로 제한하지 않고 객관적 화해에 대한 성령의 제안을 “인식”하는 사람은 누구나 신자가 될 수 있다고 말하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하여 그의 신학이 개혁파 표준문서에서 벗어났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우리는 현대신학에서 바르트의 구원 대상 이해에 동의할 수 없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택자만이 하나님의 궁극적인 구원 대상임을 전제로 한다면, 성경의 보편구절을 사용하여 구원의 대상을 말할 때는 복음의 약속 차원에서 성경의 표현 그대로 하나님이 모든 사람이 구원받기를 원하신다고 진술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하나님의 단일한 의지 안에 작정적 의지로는 택자, 교훈적 의지로는 모든 사람이 구원의 대상이라는 구분점을 잘 이해할수록 구원의 확신과 복음의 의미를 바르게 설교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정리하였다. This paper evaluates English Hypothetical Universalism and Karl Barth's Doctrine of Universal Reconciliation in light of reformed theology and reformed standard documents and examines their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f salvation in terms of universality and limitation. And to this end, the argument was develop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First, in Chapter II, we looked at the classical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and limit of salvation. For this purpose,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universal passages of Calvin and the reformed standard documents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were examined, respectively. This was a work to confirm Calvin's universal verses, interpretation, and theological application, citations of universal verses from the First and Second Helvetic Confession, Belgic Confession, Heidelberg Catechism, Canons of Dort, and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rough this, this paper confirmed the reformed standard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f salv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reformed theology only spoke of the elect as the object of God's intention, the extent and object of Christ's atonement, and the object of the effectual calling of the gospel. In other words, if it is stated that the object of God’s decretive will is the elect concerning the object of redemption in God's single will, it is in line with the reformed standard document. But, if the object of God’s decretive will is all, it is judged to be outside the reformed theology. Also, it was confirmed that if the efficiency of Christ's death was limited to the elect, it was in line with the reformed, while if it had an efficiency on all people, it was outside the reformed. Las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f the object of the effectual calling of the gospel is limited to the elect, it is a reformed theology, and on the contrary, if everyone is the object of the effectual calling, it deviates from the reformed standard docum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t this time, if the meritorious cause of the effectual calling was placed on God's sovereignty, it was a reformed church. But on the contrary, if it was placed on human faith and repentance, it was confirmed that it deviated from the standard documents. Based on this, this paper analyzed English Hypothetical Universalism in Chapter III. That is,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universal passages by James Usher, John Davenant, and Edmund Callamy among the English Hypothetical Universalism were examined in turn. Thus, it proved that English Hypothetical Universalism was not a theology compromised with Arminianism, Amyralism, Continental Hypothetical Universalism, and was a theology that showed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reformed theology. This is because English Hypothetical Universalism does not have a fatal flaw in light of the reformed standard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f salvation. In other words, they completely agree with the Reformed standard, which states that only the elect is the ultimate object of salvation in God's decree understanding and the gospel calling. Compared to reformed mainstream theology, there is a difference in a statement in an understanding of the extent and object of Christ's atonement,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lanation fell within the category of sufficiency and efficiency. So it was concluded that this was also consistent with the reformed standard documents. Finally, in Chapter IV, this paper examined Barth's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f God's decree, the extent of Christ's atonement, and the effectual calling into the gospel. Thu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Barth's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f salvation deviated considerably from the reformed standard documents and implications. Of course, it is very positive that Barth respected the reformed theologians such as Calvin and Bullinger while respecting the reformed heritage and theological tradition. He tried to spread his theology using reformed terms such as election, abandonment, reconciliation, and covenant. However, Barth restructured those terms into a so-called “Christ-centered” theology. Therefore, this paper confirmed that Barth completely reinterpreted the reformed trad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standard documents according to his intentions without really respecting them. So, this paper confirmed that Barth says that the object of God's decree is the elect, but in reality, on the dimension of God’s decree, he is saying that no individual human being is the object of salvation. Whereas, we have confirmed he said that only Christ was predestined to be both the elect and the abandonment. It also confirmed that he asserts that the extent of Christ's redemption is actually reconciled for all mankind in Christ, contrar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standard documents. Finally, we confirm that Barth does not limit the effectual object of the gospel to the elect, but he says that anyone who “recognizes” the Holy Spirit's offer of objective reconciliation can become a believer. Thus, Barth confirmed a complete departure from the reformed standard documents. Therefore, we have confirmed that we cannot agree with Barth's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f salvation in modern theology. In conclusion, if we assume that only the elect is God's ultimate object of salvation,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state that God wants all people to be saved. The Bible expresses it in the dimension of the promise of the gospel when using universal verses of the Bible to speak of the object of salvation. In other words, the ore we underst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etective will of the elect and the preceptive will of all people in God's single will, the better we will be able to preach and understand the assurance of salvation and the meaning of the gospel.

      • 아르미니우스의 속죄론 연구: 개혁파의 대리형벌설과의 비교

        강선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논문의 목적은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Jacobus Arminius, 1559-1609)의 속죄론 을 개혁파 신학의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개혁파의 ‘형벌 대속설’이 아르미니우스 에게서도 발견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채택한 연구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르미 니우스의 속죄론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2장), 아르미니우스 이전의 개혁파 속 죄론을 개관하였다(3장). 개혁파 속죄론의 핵심인 ‘대리’와 ‘속상’의 측면에서 개혁파 속죄론의 핵심 주장을 도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아르미니우스의 속죄론을 검토하였다 (4, 5장). 2장에서는 아르미니우스의 속죄론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아르미니우스 속죄론이 개혁파 속죄론과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 연구들은 ‘대리’의 측면은 고려 하지 않고, ‘속상’의 측면만을 취급하였다. 이들의 논증 방식은 아르미니우스의 진술 에서 그리스도께서 죽음의 형벌을 당하셔서 하나님의 공의에 대한 ‘속상’을 이루셨다 는 언급을 찾아내는 것이었다. 우리는 이 연구자들이 ‘속상’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해 서는 주목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아르미니우스의 신학 체계가 실제로는 ‘속상’을 요구할 필요가 없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3장에서 아르미니우스 이전의 개혁파 신학의 속죄론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개혁파는 그리스도의 죽음이 죄인을 대신해 감당한 형벌이었음을 공통되게 주장한다. 죄의 영향이 인간 내부에도 끼쳐졌음을 인정하면서도, 그리스도의 사역을 주로 법정 에서의 판결에 따른 형벌을 받으심으로 해설하여, 그리스도의 죽음에 ‘속상’의 성격이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4장에서는 ‘대리’의 측면에서 개혁파와 아르미니우스의 속죄론을 비교했다. 먼저 그리스도의 속죄가 ‘대리’라는 점을 선명히 하기 위해 개혁파 신학이 탐구한 주제들을 정리한 후, 아르미니우스는 해당 주제를 어떻게 진술하고 있는지 검토했다. 개혁파와 달리 아르미니우스는 아담의 최초의 죄에 대한 ‘죄책’이 그의 후손에게 전이된다는 점 을 부인하였다. 그 결과 그의 속죄론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죄책이 없는 형벌을 대리하 신다. 죄책이 제거된 형벌이 부과됨으로써 죄인에게 주어지는 형벌과 그리스도께서 죄인을 대신해 감당하시는 형벌이 모두 법적 정당성을 갖지 못하게 되었다. 이런 이 유 때문인지 개혁파와 달리 아르미니우스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법적 관점에서 논하지 않는다. 5장에서는 ‘속상’의 관점에서 개혁파와 아르미니우스의 속죄론을 비교했다. 아르 미니우스는 개혁파와 달리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을 언급하지 않으며 그리스도의 사 역을 율법과 관련시키지도 않는다. 아르미니우스는 그리스도의 죽음이 속상이라고 밝 히면서도 속상을 요구하는 체계를 제시하지 않는다. 죄책의 전가를 말하지 못하는 체 계상의 이유로 그리스도를 통한 속상의 정당성을 제시하지 못한다.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논의에서도 죄에 대한 형벌을 완화시키는 속성들의 작용을 말하여 하나님의 공 의가 속상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한다. 또한 하나님의 작정에 따라 그 리스도의 사역은 공의가 시행되지 않는 질서 아래에서 이루어진다는 점도 속상의 필 요성을 약화시킨다. 아르미니우스는 ‘속상’은 주장하지만, 속상과 관련된 다른 논의들 에서 속상이 요구될 이유를 약화시키고 있다. 그의 신학 체계에서 속상의 역할을 실 제적이지 않다. 이상에서 본 것처럼 아르미니우스의 속죄론은 개혁파의 속죄론과 곳곳에서 다르 다. 개혁파 속죄론에서 그리스도의 ‘대리’를 정당하게 하며, ‘속상’의 필연성을 견고히 하게 만드는 제반 요소들이 아르미니우스에게서는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 아르미니우 스는 개혁파의 논의 방식과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실질적 내용에 있어 ‘대리’도 ‘속상’도 개혁파처럼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아르미니우스의 속죄론은 개혁 파의 속죄론과 다른 것이라고 결론 내린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tonement theory of Jacobus Arminius (1559-1609)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o investigate whether Arminius reflects the Reformed doctrine of 'penal substitution,' the research follows the following order: first, it reviews existing studies on Arminius's atonement theory (Chapter 2) and provides an overview of pre-Arminian Reformed atonement theology (Chapter 3). Extracting the core arguments of Reformed atonement theory regarding 'representation' and 'satisfaction,' the paper then uses these as criteria to analyze Arminius's atonement theory (Chapters 4 and 5). Chapter 2 analyzes previous studies on Arminius's atonement theory, noting that these studies, claiming Arminius's alignment with Reformed atonement, focus solely on the 'satisfaction' aspect and neglect the 'representation' aspect. Their arguments hinge on Arminius's mention of Christ's death as bearing the penalty for God's justice, but they overlook Arminius's overall theological framework, which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satisfaction.' In Chapter 3, a brief overview of pre-Arminian Reformed theology on atonement is presented. The Reformed tradition commonly asserts that Christ's death served as a substitutionary penalty for sinners. While acknowledging the internal impact of sin on humanity, Reformed theologians primarily interpret Christ's work as satisfying the punishment decreed in a legal context, emphasizing the 'penal' nature of Christ's death. Chapter 4 compares Reformed and Arminian atonement the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presentation.' After summarizing Reformed discussions on Christ's atonement as 'representation,' the paper examines how Arminius articulates this concept. Unlike Reformed theology, Arminius denies the transmission of 'guilt' from Adam's initial sin to his descendants. Consequently, Arminius's atonement theory lacks legal justification for both the punishment imposed on sinners and Christ's substitutionary atonement. In Chapter 5, the atonement theories of Reformed theology and Arminius are compared from the perspective of 'satisfaction.' Arminius, in contrast to the Reformed tradition, does not mention Christ's active obedience and does not correlate Christ's work with the law. While Arminius asserts that Christ's death is satisfying, he does not present a system that demands satisfaction. Due to systemic reasons that prevent the transfer of guilt, Arminius fails to justify satisfaction through Christ. In the discussion of God's attributes, Arminius points to the attributes that mitigate the penalty for sin, suggesting a system in which God's justice may not necessarily require satisfaction. Furthermore, Arminius contends that, according to God's decree, Christ's work occurs under an order where justice is not enforced, further diminishing the necessity for satisfaction. Although Arminius acknowledges the concept of 'satisfaction,' he weakens the rationale for its requirement in other related discussions. In his theological framework, the role of satisfaction is rendered ineffectual. In conclusion, Arminius's atonement theory differs significantly from Reformed atonement theory. The key elements that substantiate the legitimacy of Christ's 'representation' and the inevitability of 'satisfaction' in Reformed atonement theory are scarcely acknowledged in Arminius's theological framework. Although Arminius employs Reformed terminology, the substantive content regarding 'representation' and 'satisfaction' is not expound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Reformed theolog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rminius's atonement theory is distinct from the Reformed 'penal substitution' doctr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