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울산대 캠퍼스 주차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배종수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주차수요는 해마다 20% 이상 증가하교 있는데, 울산대학교 캠퍼스도 교직원은 물론 대학원생과 학부생까지 승용차를 이용하여 출·퇴근 또는 등·하교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주차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울산대학교의 향후 급증하는 주차수요에 대비하기 위하여 현재의 주차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장래의 캠퍼스 주차개선을 위한 방안을 검토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내 총 주차면수는 1,179면으로 피크시 주차대수인 1,526대를 해결하기에는 주차변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주차면수의 추가확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변 주차구획선 형식의 변경이나 새로운 전용주차장 부지 확보가 필요하다. 2. 캠퍼스의 주차시간 도심의 평균 주차시간보다 다소 길며, 특히 활동인구의 구성원별 주차시간을 살펴보면 교직원이 학생 및 방문객보다 비교적 장기 주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쾌적한 캠퍼스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주차시간을 최소화 해야 할 것이다. 3. 캠퍼스의 주차패턴은 대학의 학사운영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수업의 분산과 같은 효율적인 학사운영으로 주차가 특정시간대에 집중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4. 교수 및 교직원의 주차수교만을 수용할 경우에는 구역별로 주차시설이 남아도는 곳이 있는가 하면, 주차시설이 부족하여 증설이 요구되는 곳도 있다. 주차시설이 부족한 구역의 경우, 주차시설에 여유가 있는 구역으로 분산 수용하는 방안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올 때는 공동주차장의 설치 운영이 필요하다. 5. 현재와 같이 교수, 교직원(조교 포함) 및 일부 대학원생의 주차수요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많은 구역에서 주차시설의 공급이 수요에 역부족임을 알 수 있었다. 주차시설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역간 주차설치 가능용지를 확보하여 구역공동주차장의 건설이 필요하다. 6. 교수 및 교직원, 대학원생의 주차수요를 전부 수용하려면 현재와 같은 방법으로는 교내 여건상 해결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경사지인 교내 가용지를 활용하여 지하주차장을 건설하거나 주차장전용건물을 건설하여 주차수요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7. 합리적인 주차관리를 위해서는 주차수요의 억제방안과 더불어 효율적인 주차관리를 위한 관련 규정의 제정이 필요하며, 주차시설의 지속적인 공급확대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 In proportion to the highly increasing demand of parking lots in Korea, the campus of University of Ulsan (UOU) experiences rapidly extending requirement of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growth rate of its faculties, students and staffs who own cars. This study aims to prepare improved alternatives for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of the UOU campus. For that purpose, present issues of the system is also considered carefully.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1. Overall 1,179 parking lots in UOU campus is not enough for the 1,526 cars at the peak time. However, extra parking space is practically limited, so that another approaches such as arranging the parking line are required. 2. The average parking time in UOU campus is longer than the other sites in the city center, so that the efforts for minimizing the parking time are also required. 3. Parking pattern in campus is deeply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academic affairs, so that more efficient academic administration such as rearranging the lectures is required. 4. Imbalance of parking requirement causes in efficiency, so that more careful considerations of the compulsory allocation of parking system are required. 5.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almost half of the colleges are beyond their parking capacities, so that the establishment of common-parking lots is required. 6. The extra parking space is not available in the present UOU campus, so that more practical methods such as the slope-used parking, the parking tower and the underground parking are required. 7. For more reasonable parking management, the UOU campus parking regulations are required with the policies for the decrease of parking requirements and the continuous supply of the campus parking facilities.

      •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 분석 : 울산광역시 도심지, 대학가, 공단밀집지역

        박태준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다가구주택은 1993년 이후, 독신자와 대학생, 신혼부부들에게 선호되어 급속도로 개발, 보급되어 오던 주택으로서, 점차 우리의 실정에 맞게 계속해서 개선되어져 가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독신가구의 비율이 높았던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양적, 질적 측면, 특히 질적인 측면에서 아직은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이 또한 사실이다. 울산광역시 역시 다가구주택은 독신자와 대학생, 신혼부부들에게 선호되어 개발된 주택으로 이러한 다가구주택의 선호대상에 맞게 대부분의 다가구주택들이 대학가들이나 단독주택 밀집지역인 도심단독주택가에 주로 많이 분포 되어있으며, 울산시의 경우 1960년대의 공업화로 인한 마을형성과 함께 공단밀집지역에 다가구 단독주택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들의 지역은 최근 울산지역에서 원룸형의 다가구주택 붐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 중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지역으로 남구지역은 전체 단독주택 중 다가구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80%를 넘어서고 있으며, 온산지역의 경우 울주군 지역 중 다가구주택의 34.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울산시 전체에서는 9번째로 많은 다가구주택의 비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이들 대학가지역과 도심지역, 공단밀집지역의 경우 울산시의 다가구주택 현황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가구주택의 경우 다른 아파트 형 주거와 오피스텔 형 1-2인 가구 등 다른 주거와 비교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울산의 경우 다가구주택이 가진 문제점뿐만이 아니라 공단조성과 그에 따른 다가구 주거들의 무분별한 조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가구주택이 밀집한 도심지역인 남구 달동·삼산동 지역, 대학가중심지역인 무거동 지역, 공단밀집지역인 온산공단 주변인 울주군 온산읍 지역 3개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들 3개 지역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한 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내부평면 구성방식의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사대상 지역 다가구주택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조사대상 지역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을 분류한다. 셋째, 각 다가구주택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를 분석한다. 넷째, 각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별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다. 다섯째, 각 유형별 거주자들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반영하여 만족도가 높은 내부평면 유형에 따른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가구주택의 내부를 이루는 공간 중 방, 욕실, 다용도실, 주방의 구성방식에 따라 평면유형을 분류해 본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을 4개의 유형(원룸형(내부주방), 원룸형(미니주방), 투룸형, 쓰리룸형)으로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첫 번째 유형인 원룸형(내부주방)은 방이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방이 내부에 방과 함께 통합되어 있고 욕실과 다용도실이 구성된 형태로 방과 주방이 통합된 형태(1RK)이다. 이 형태는 4가지 유형 중 완전 통합형에 가까운 원룸형 구조로서 가장 작은 규모의 구조를 가지기도 한 형태이기도 하며, 대학가나 1인가구가 거주하는 평면유형으로 가장 많은 유형이기도 하다. 이 유형의 경우 주방이 내부에 위치해 있어 위생 및 청소, 환기 등의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야기하며 다가구주택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유형의 경우 작은 평수로 여러 가구를 지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다가구주택을 건축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유형이기도 하다. 두 번째 유형인 원룸형(미니주방)은 앞의 첫 번째 원룸형(내부주방)과 달리 주방이 분리된 형태로 완전 통합형인 첫 번째 유형에서 주방이 분리된 원룸형태(1R+K)이다. 이 유형의 경우 첫 번째 유형인 원룸형(내부 주방)이 주방이 방 내부에 있음으로 인해 환기 및 미관 청소 등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을 개선한 형태로 열악한 다가구주택의 환경을 조금 더 개선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 유형은 1인가구 거주용 원룸형으로 현재 가장 많이 선호하는 주택 평면유형이다. 세 번째 유형인 투룸형의 경우는 1개의 방과 거실로 이루어진 형태로 거실에 주방이 통합된 형태(1R+LK)이다. 이 형태는 앞의 두 원룸형과 다르게 거실이 추가된 형태로 규모가 넓으며 방 이외의 거실이 따로 있어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1인 뿐만이 아니라 2인까지 사용가능한 구조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유형인 쓰리룸의 경우는 가장 규모가 큰 유형으로 방 2개와 거실을 가지며, 거실에 주방이 통합된 형태(2R+LK)이다. 이 형태는 1인이 사용하기에는 큰 평면유형으로 2인이 사용하기에 적절한 공간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형태는 1인 가구보다는 2인가구인 신혼기 가구나 2인 동거가구에 적합한 평면유형으로 대학가지역보다는 도심지지역이나 공단밀집지역에 더 많이 분포한 유형이다. 본 조사의 연구방법으로 연구의 대상지역은 다가구주택이 많이 밀집한 도심지지역 주변인 남구 달동·삼산동 지역, 대학가 주변인 무거동 지역, 공단밀집지역인 온산공단 주변인 울주군 온산읍 지역 3개를 선정하였으며, 3개 지역의 비율을 동일하게 하여 층화한 후 다가구주택 1-2인 타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단순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총 100가구를 선정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는 지역에 따라 조사대상을 할당하고 2단계에서는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1-2인 타가 거주자로 조사대상 할당하였고, 응답대상자는 1인 또는 2인 거주자로 신혼기인 경우 아동의 경우는 3인까지 대상자로 포함하여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소유자를 제외한 전세 및 월세, 사원주택 등에 거주하는 타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총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내용이 부실하거나 맞지 않는 31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40부를 배포 후 회수하여 총 12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조사자료 분석에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통해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주요개념에 대한 집단별 평균비교를 통해 만족도와 필요여부에 대한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비교 F검정과 t-검정 실시하였으며, 또한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종속 변수가 독립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χ²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결과에 따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가구주택이 도심지역과 대학가지역, 공단밀집지역인 3개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4개의 평면유형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각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대학가 지역인 무거동의 경우는 대학생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곳으로 대부분 원룸형(내부주방), 원룸형(미니주방)의 두가지 유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붙박이장과 외부발코니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개선안이 이 지역의 다가구주택 건축에 반영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도심지역인 달동·삼산동 지역은 원룸형(미니 주방)과 투룸형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나 향후 투룸과 쓰리룸에 거주하길 원하는 비율이 높고 거실에 대한 불만이 높아 이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공단밀집지역인 온산읍지역은 원룸형(미니 주방)과 투룸, 쓰리룸형 등 세 지역 중 제일 넓은 규모에 거주하고 가장 많은 기혼자들이 거주하고 있어 다른 집단과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어 이에 대한 특성이 반영된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이 지역은 다른 지역과 다르게 공용시설인 휴게실과 회의 및 다목적실을 필요로 하고 있어 계획과정에서 이에 대한 파악과 숙지가 필요할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사회 생활양식의 변화와 가구 분화 등으로 인하여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다가구주택의 경우 일률적인 평면유형으로 공급되어지고 있으며, 거주자에 초점을 두어 사용자의 측면에서 평면유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최근 다가구주택에 대한 수요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공급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앞으로의 주택시장 동향과 사회변화를 예측해 볼 때 이러한 변화는 가속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위해 적절한 공급과 계획을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나타나듯이 지역적 특성과 유형에 따라 수요층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계획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가구주택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한 시점인 2000년대 이후의 주택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과 논의로 인한 다소 한정적인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연구진행을 통해 연구의 기준을 마련하고 확립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울산의 전체 지역이 아닌 일부지역만을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므로 다양한 지역과 많은 다가구주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 A대학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정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내·외 의료관광 산업의 활성화 정도에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부족한 울산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외국인 의료관광 현황, 의료관광의 국내·외 성공사례 및 제약 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울산지역 A대학병원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해외환자 유치 및 의료관광의 활성화 정도를 알아보고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다양한 논의와 실제적인 제안사항 등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1차 A대학병원 해외환자 유치 TFT의 자료를 살펴보았고 2차적으로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의료관광의 기반조성정책 및 의료 인프라, 의료 경쟁력, 경쟁력을 위한 제고 방안 등을 심층 면담하여 이를 토대로 PEST, SWOT 분석을 통하여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을 하였다. 그 결과 A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외국인을 위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다양한 외국인 대상 의료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후 전문 특화 의료서비스 개발과 중국과의 MOU 체결로 A대학병원 중심의 활성화 방안이 울산지역 지자체의 지원과 더불어 전문에이전시 육성, 지자체 차원의 홍보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긍정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 울산 과학 영재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박재섭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서 실시되고 있는 과학 영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울산 과학 영재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울산광역시 과학 영재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울산광역시 과학 영재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울산광역시 과학영재교육의 개선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설문지에 의한 조사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설문지는 교사, 학부모, 학생으로 구분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0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6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 학부모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0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7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학생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1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6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울산광역시 과학영재교육원 재학생 및 신입생, 학부모, 영재담당교사 및 각 학교 영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등 총 570명에게 배부하였다. 그 중 회수된 523부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이 학부모와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영재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학생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잠재력 개발에 있다고 인식을 하고 있으며, 교사는 사회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의 형태로는 영재교육원 형태를 선호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에 대해서는 보통이다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출석수업을 병행한 사이버 강의 개설에 학부모와 학생이 교사보다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영재교육의 내용으로서는 학부모와 학생이 창의력개발을 찬성하고 있었으며. 과학영재교육 시작 시기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다. 현재 울산과학영재교육원에서는 4학년부터 시작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번 선발된 학생의 과학영재교육 기간으로는 2년이 적당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의 횟수로는 교사와 학부모가 주당 1회에 높은 비율이 나왔으며. 학생은 학기중과 방학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다. 울산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영재특성에 맞게 잘 갖추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과 학부모가 과학영재의 판별 방법이나 도구로는 객관적 검사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과학영재의 판별에 있어서 과학에 대한 흥미·관심·적성이 효과적인 기준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과학영재를 판별할 때 고려하는 교과로는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가 수학, 과학을 고려해야 한다고 인식을 하고 있으며, 각 학교에서 적용하는 영재교육대상자 판별 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학생의 인식에서는 적당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선발 방식으로는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보다 다단계 선발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셋쩨, 각 학교에 영재 담당교사의 의무 배치에 대해 학부모와 학생이 교사보다 찬성을 하고 있으며, 교사도 높은 비율로 찬성을 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교육은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보다 초·중등교사 및 교수가 담당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재교육 담당교사 연수 시 필요한 항목으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과학분야에서의 실력, 전문성과 영재교사로서의 열의와 헌신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연수시간은 120시간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울산의 영재교육이 타지역보다 잘 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만족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재 선발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전체적인 과학영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학부모는 영재교육 기간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학생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영재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또한 영재교육프로그램개발에도 투자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which way science gifted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city of Ulsan and what problems it was faced with in a bid to seek ways to elicit potentials from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enhance their ability and improve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How is science gifted education provided in the city of Ulsan? 2. What are the problems with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lsan? 3. What are possible reform measure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that respectively targete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consisted of 10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6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 things.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was comprised of 10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7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s. And the questionnaire for students was composed of 11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6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70 people who included students, new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t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t each school in Ulsa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s from 523 people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In order to see how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erceived science gifted education, frequency analysis and x^(2)(Chi-square) test were implemented,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students felt the higher need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han the parents and teachers did, and the students believed that the object of gifted education was to develop students' potentials to facilitate their self-realization, while the teachers paid more attention to teaching students to be community-minded.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was preferred as what they wanted to receive that education from, and the largest group of the respondents put a moderate value on gifted education provided by academies. The parents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a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classes than the teachers. As for what gif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parents and students prize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students found it more appropriate to start receiving science gifted educatio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mpared to the teachers and parent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y generally found it satisfactory for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lsan to offer gifted education to fourth and higher graders. Concerning an ideal term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y felt that every selected student should take that education for two years. As for its frequency, once a week was preferred by the teachers and parents, whereas the students thought that it should be conducted during both regular school days and vacation. Second, the students and parents thought that objective tests should be implemented to identif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all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believed that interest and aptitude should be the major criteria to identif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all the three groups agreed that math and scie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identifying them, and they took a favorable view of each school's existing method to identify gifted students. As to in which way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should screen gifted students, the parent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multistage screening than the teachers and students did. Third, the parents and students found it more necessary for each school to compulsorily secure a gifted education teacher than the teachers did, and a large number of the teachers also agreed to that. The parents wanted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o hav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ofessors conduct gifted education more than the teachers and students did. Regarding what should be covered in training programs for gifted education teachers, the students placed more stock in superb expertise, zeal and commitment than the teachers and parents did, and gifted education teachers were wanted to take training courses for 120 or more hours. As for in which field of gifted education Ulsan outperformed the other regions, all the three groups expressed satisfaction at gifted education programs, but didn't view gifted student screening favorably. Concerning problems with overall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the parents pointed out a shortage of gifted education term, and the teachers and students mentioned a lack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universalize gifted education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take steps to let students gain access to gifted educatio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should make more investment in developing gifted education programs.

      • 울산지역 중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연구

        洪慶和 蔚山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울산지역 ○○중학생의 울산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와 향토음식에 관한 의식을 조사하여 급식에서의 활용 방안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전통적인 식습관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 조사대상자는 총 166명으로 남학생 82명(49.4%), 여학생 84명(50.6%)이며, 1학년 54명(32.5%), 2학년 59명(35.5%), 3학년 53명(31.9%)이었다. 가족형태는 핵가족이 143명(86.1%)으로 가장 많았고, 가정 월평균소득으로는 200만원이상-300만원 미만이 59명(35.5%), 200만원 미만이 54명(32.5%)으로 비슷한 비율이었으며,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학생이 102명으로 61.4%를 차지하였고, 설문자의 식습관에 영향을 준 사람으로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어머니로 답했다. 2. 울산지역 향토음식 20가지 중 인지도가 가장 높은 음식은 ‘울산배’, 가장 낮은 음식은 ‘청각냉국’이었다. 기호도가 가장 높은 음식은 ‘울산배’, 가장 낮은 음식은 ‘멍게전’이었다. 3. 향토음식에 관심을 가져 본 적이 있느냐의 질문에 ‘그렇지 않다’, 향토음식 조리방법은 ‘복잡하다’라고 가장 많이 답했다. 향토음식을 알게 된 경로는 ‘대중매체’라고 답했고, 가정에서 향토음식은 ‘명절 및 집안 행사 때’ 가장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토음식의 이용 횟수가 줄어드는 이유는 ‘접할 기회가 적어 익숙하지 않아서’라고 답변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4. 학교급식에서 향토음식의 제공 횟수는 ‘주 1회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급식에서 제공되었을 때 63.3%가 ‘만족하였다’고 답했다. 급식에서 향토음식을 제공했을 때 만족한 이유는 ‘우리 고유의 음식이므로’, 만족하지 못한 이유는 ‘맛이 없어서’라고 답했다. 급식에서 향토음식을 제공 할 때 강조 할 점으로 ‘맛과 향’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생기는 효과로 ‘향토음식 및 문화의 우수성 인식’이라고 답했다. 5. 청소년에게 향토음식을 알리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가장 많았다. 이는, 청소년은 대중매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홍보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정식 메뉴로 이용(15.7%)’보다 ‘학교급식 메뉴로 이용(31.3%)’이 2배나 높았다. 향토음식을 가공식품으로 개발했을 때 이용 할 것인가의 질문에 ‘생각해 보겠다’라고 가장 많이 답했으며, 향토음식을 관광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현대인의 기호에 맞게 맛을 변화 시킴’이 가장 많았다. 설문 분석 결과, 조사한 울산지역의 중학생은 향토음식에 대해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지도와 기호도가 대체로 낮고 향토음식을 접할 기회가 적어 관심도 적으며 이용횟수도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교육을 통하여 우리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기르고 학생들의 입맛에 맞는 메뉴를 개발하여 급식에서 제공하는 기회를 늘리면 향토음식에 대한 가치와 우수성을 인식하게 되고 전통적인 식습관을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and preference of the traditional food of Ulsan. The data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school lunches and typical eating habits of children. 1. The subjects were 166 patients, 82 males (49.4%) and 84 females (50.36%), 54 in 1st Grade (32.5%), 59 in 2nd Grade (35.5%), and 53 in 3rd Grade (31.96%). The nuclear family structure was the most common with 143 people (86.1%). There were 59 people (35.5%) with a household monthly income of \2 million to \3 million, and 54 people (32.5%) with a household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a similar rate. There were 102 students (61.4%) with a working mother and the influence of a mother’s eating habits was the most significant. 2. "울산배" had the highest recognition of 20 Ulsan traditional foods, and "청각냉국" had the lowest. Students preferred "울산배" the most, and "멍게전" the least. 3. Most students replied that they did not have interest in Ulsan traditional food, and that the method of cooking it was ‘complicated’. Most students learned about Ulsan traditional food from the media and ate it during ‘holiday and family events’.The reason that traditional food is not common is because students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eat it, so it is important to familiarize them with traditional food in school lunches. 4. When schools serve traditional food once a week (which is the most common), 63.3% of students say they prefer it because it is the food of their country, while those who do not say that it does not taste good. Therefore, taste and smell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serving traditional foodand the survey shows that ‘recognition of the excellence of local food and culture’ would result. 5.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traditional food to young people is through mass media and public relations. The youth receive the most influence from media so the media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is. Putting traditional food on the school lunch menu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mote it because more students eat school lunch food (31.3%) than homemade lunches (15.7%). In response to a survey asking if they would eat traditional food sold in packaging, most students replied that they would think about it. A survey on commercializing traditional food for tourism showed that it should be changed to suit modern taste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 is low a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were not aware of traditional food and so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at it. However, through education we can teach them the pride of our country and if we develop a new menu to suit their taste, their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 would increase. Also,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raditional eating habits for young people.

      • 소비자의 자동차 정비업체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정비업체를 중심으로

        최성재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소비자의 자동차 정비업체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정비업체를 중심으로 - 경제성장과 자동차 등록대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기술의 발달로 인한 정비 서비스 수요의 감소, 정비요금의 비현실성, 정비요원의 수급불균형, 제조사들의 프랜차이즈 점 확대,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기술력이나 자금력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 정비업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차정비 업체들이 효과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정비업체의 4가지 형태인 자동차 종합정비공장, 소형자동차 정비공장, 자동차 부분정비업소, 원동기 전문정비공장 별로 표적시장의 특성과 소비자들이 이들 정비업체들을 선택할 때 중요시 여기는 정비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 소재 자동차 정비업체에서 직접 서비스를 받고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회수된 설문지 285매 중 부실하게 기입된 설문지 36매를 제외한 249매를 통계처리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ver. 18.0을 사용하였으며 주요한 분석방법은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교차분석, 그룹별 평균 비교를 하기 위한 일원분산분석 등이었다. 실증분석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비서비스 시장 특성과 자동차 정비업체의 선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즉 수리형태, 고장유형, 차량 종류, 자동차 소유형태에 따라 소비자의 자동차 정비업체의 선택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각 유형의 자동차 정비업체를 선택할 때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서비스 특성이 차이가 있었다. 즉 자동차 종합 정비공장의 경우에는 유형성과 공감성을, 자동차 부분정비업소의 경우에는 응답성을. 그리고 원동기 전문정비공장의 경우에는 신뢰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소형 자동차 정비공장의 경우에는 중시하는 서비스 특성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소비자가 중시하는 자동차 정비 서비스 특성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각 정비업체의 형태별로 수리형태, 고장유형, 차량 종류, 자동차 소유형태의 관점에서 어떠한 시장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으며 정비업체의 형태별로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 측면에서 어떤 서비스 특성을 강화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자동차 정비, 정비업체, 서비스 특성,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Auto Repair Shop Type Choice in Ulsan Choi, Sung Ja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Ul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uto repair shops for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in response to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Ulsan. The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market by each type of auto repair shops classified as general auto repair shops, small scale auto repair shops, automotive part repair shops, and professional service shops for engines. In addition,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service characteristics which are considered significantly when consumers choose the types of auto repair shops they are needed. The consumers of auto repair service were surveyed in Ulsan area, and empirical study was executed by analyzing the survey data. 249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through SPSS ver. 18.0, and utilized the analysis for reliability test, feasibility test, crosstab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oice of car repair shop types and the types of repair, the types of failure, the types of vehicle, and the car ownership. In additi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considered by consum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uto repair shop types. Finally, the service characteristics considered by consumers are partly significant in terms of demography of consumers. Keywords: auto repair, repair shop, service characteristic.

      • 敎員의 自律硏修에 關한 硏究 : 蔚山廣域市 中學校를 中心으로

        윤용주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현재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기관중심의 자율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규명하고, 자율연수의 개선을 위한 교원들의 요구 경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자율연수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율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자율연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자율연수의 개선을 위한 교원들의 요구 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관련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설문지에 의한 자료 수집은 울산광역시 강남과 강북교육청 소재 공립 중학교 6개교씩 12개교에 재직중인 교사 29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자율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울산지역 중학교 교원들은 대체적으로 자율연수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그에 비해 참여하고자 하는 의욕은 다소 낮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자율연수의 참여 목적으로는 자아 개발과 자질 향상이 가장 많았으며, 자율연수에 대한 관리자의 관심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자율연수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첫째, 최근 자율연수를 받은 교원들의 참여 회수를 보면 매년 1회 이상이 11.9%로 낮은 참가율을 보였고, 주로 방학 기간 중(68.3%)에 시·도교육연수원(40.1%)에서 가장 많이 받았으며, 이수한 연수내용은 컴퓨터·정보화(29.0%), 상담·인성교육(21.8%), 교수·학습방법(18.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연수의 경비로는 5~10만원 지출이 가장 많았고, 이수 시간은 60~120시간 미만을 받은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율연수의 교수방법, 강의 내용 및 교재, 교육 시설에는 그다지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연수경비와 평가의 객관성·타당성·공정성에 있어서는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셋째, 교원들은 자율연수의 저해요인으로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53.7%)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피로와 건강·가정생활(16.7%), 연수 경비 등의 경제적 부담(13.9%), 연수내용의 부실(8.8%), 미흡한 보상체제(6.8%) 순으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다. 자율연수의 개선을 위한 교원들의 요구 첫째, 선호하는 자율연수 분야는 진로상담·인성교육이 가장 많았다. 남자교사는 컴퓨터·정보화분야를, 교직경력이 10년 미만인 교사는 교수-학습방법 분야를 가장 희망하여 교사 집단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율연수를 방학 기간 중에 이수하기를 선호하였으며, 자율연수의 운영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연수와 출석수업의 병행을, 수업방법으로는 실습을 희망하였다. 셋째, 자율연수의 평가방법은 전체적으로는 평가 없이 이수 시간만 기록하는 것을 희망하였는데, 이는 현행의 상대평가가 교사들에게 심리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넷째, 교원들은 자율연수의 경비를 전액 국고에서 지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다고 요구하고 있으며, 자율연수의 개설기관으로는 시·도교육연수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율연수의 결과에 대한 보상방법으로는 연수경비의 지원과 연수실적 수당 지급 제도 도입 등 경제적인 지원을 원하고 있으며, 자율연수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연수내용의 현장성 제고, 학교업무 경감, 연수경비 지원, 연수 유인체제·보상방법 개선, 연수기관의 다양화, 운영·평가방법 개선 순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이 자율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각 자율연수기관은 자율연수의 수요자인 교원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다양한 교사 집단의 특성에 맞는 단계별·수준별로 연수체계를 수립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리자의 관심과 더불어 쾌적한 연수환경이 조성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둘째, 타 시·도에 비해 대학교 부설 연수원이나 사설연수원 및 사회교육기관 등이 부족한 울산지역에서 교원들이 가장 선호하는 시·도교육연수원은 자율연수를 원하는 모든 교사를 수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교원들이 다양한 연수기관에서 원하는 연수를 모두 이수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연수원의 시설 및 인력확충, 원격연수의 활성화, 사회교육연수기관의 설립 등이 마련되어야겠다. 셋째, 연수성적이 교원들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자율연수의 평가방법과 다양한 평가도구가 연구·개발되어야 하겠다. 넷째, 자율연수의 결과를 승진 시 가산점 부여 확대, 호봉 승급 시 반영, 인사시 반영하는 등 적절한 보상책 및 유인체제를 마련하여 자율연수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자율연수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는 사무처리의 간소화, 교무실 사무보조원의 충원, 법정 교원수 및 법정 수업 시수 확보, 자율연수 휴직제도의 확대 실시로 교원의 업무과중으로 인한 시간적 부담을 줄이고, 연수경비의 전액 지원과 연수 실적 수당 지급 제도의 도입과 같은 보상으로 경제적 지원을 하는 등의 행·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city of Ulsan thought about autonomous training provided by different local institutions and how this type of self-training was conducted. It's basically meant to find problems with current autonomous training practices and teachers' needs for that in a bid to help improve its efficienc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How do teachers perceive autonomous training? 2. How is autonomous training implemented? What problems is it faced with? 3. What are teachers' needs for autonomous training?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a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4 teachers who worked at 12 different public middle schools in the city of Ulsan. Among the selected schools, half each were respectively under the umbrella of Gangnam and Gangbuk Offices of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Teachers' view of autonomous traini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region of Ulsan felt the need for autonomous training, and found it effective in general. In contrast, however, they weren't quite willing to undergo autonomous training. The largest group of them got autonomous training to attain self-development and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They didn't think that school managers were interested in autonomous training. B. Autonomous training management and its problems First, among those who lately underwent autonomous training, just 11.9 percent got that training once or more a year. They mostly took training course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40.1%) during vacation(68.3%). The most common courses they took was about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29.0%), followed by counseling/personality education(21.8%),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18.7%). Second,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paid 50 to 100 thousand won for autonomous training, and the great number of them took less than 60 to 120 classes. They weren't satisfied with teaching method, lecture, textbook and educational facilities. Specifically, they took a more dismal view of training cost and the objectivity, validity and impartiality of evaluation. Third, their self-training was most disturbed by time constraints resulting from heavy workload(53.7%), followed by fatigue, health problem and family life(16.7%). The third most common hindrance was financial burden about training cost(13.9%), followed by unsatisfactory training content(8.8%) and inadequate compensation(6.8%). C. Teachers' needs for autonomous training First, they preferred training courses about career counseling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most. The male teachers were most fond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courses, and those whose career was less than 10 years wanted to acquire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most. Thus, their preference for training cours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most of the teachers preferred to take training courses during vacation. The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education was preferred, and as for teaching method, they were in favor of practical courses. Third, as for autonomous training assessment, they just wanted to let their completed classes recorded without being evaluated, and the reason seemed that current relative evaluation put a strain on them. Fourth, they found it advisable for the government to be responsible for entire training cost, and local government's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were most preferred as the place where they took autonomous training. Fifth, concerning compensation, they wanted to be given financial aid in return for autonomous training, such as training cost and separate allowances for training records. As a way to improve autonomous training, they put the most stress on a wide variety of programs, which was followed by more authentic, practical training courses, reduced workload, aid for training cost, improved incentives/compensation, diversified training institutes and improved management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in order to stimulate teachers to keep reinventing themselves, each training institute should gather opinions from them who are the clients of autonomous training, and prepare sequential, differentiated training systems in light of their different characteristics. Diver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school manag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autonomous training among teachers. Besides, teachers should be assisted to train themselves in good environments. Second, compared to other regions, Ulsan is less equipped with university-affiliated and private training institutes and social education providers. Local government's training and education institutes were most preferred by the teachers, but it's not easy for them to accommodate every teacher who want to get autonomous training. To let teachers take every training course they want in different places, their facilities should be extended, and a sufficient number of personnels should be employed. Besides, distance training should be widespread, and social education institute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utonomous training evaluation should be done in a way not to put pressure on teachers, and a wide range of evaluation tools should be prepared. Fourth,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to make autonomous training more successful. For instance, autonomous training output should be reflected in promotion, pay raise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Fifth,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dynamize autonomous training by simplifying work handling, providing clerical assistants, determining legal criteria for a number of teachers required and teaching load, and providing more chances for teachers to take a leave of absence to undergo autonomous training. Teachers should be allowed to spend more time pursuing self-development, and financial aid is also called for. For instance, every training expense should be covered by the government, or separate allowances should be offered based on training records.

      • 도시 이미지 홍보를 위한 도시브랜드에 관한 연구 : 울산 도시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이민정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21세기 글로벌 시대는 도시브랜드 확보를 위한 경쟁의 시대이다. 이제는 어느 특정지역으로 국한된 도시 마케팅만으로는 세계적인 도시로 발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각 도시마다 문화·경제 인프라 구축, 친환경 도시조성, 살고 있는 도시에 대한 시민들의 자부심 고취 등의 차별화 된 도시이미지 구축이 필수적이다. 또한 체계적인 도시 마케팅으로 도시를 방문하는 내·외국인에게 매력적인 도시로서의 강한 이미지 부각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세계의 도시들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브랜딩 작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해오고 있다. 이와 같이 세계적인 도시들은 도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CI(City Identity)작업 및 캐릭터 제정, 슬로건 개발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 슬로건을 통해 발전된 도시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인적·물적 자원과 더불어 도시를 평가하는 중요한 자산이 되고 있다. 도시는 도시브랜드를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창출하고 있으며 또한 단순한 상징이나 이미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브랜드로서 도시자체를 상품화시키는 요소들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외의 여러 도시에서도 높아진 대내·외 이미지를 세계 속에 널리 홍보하기 위해 각 도시의 정체성과 비전(Vision)을 담은 도시 브랜드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최근 이러한 도시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단순히 인지도를 높이는 차원을 넘어 경쟁력 차원에서 이미지를 높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시의 이미지 제고의 논의는 하루 이틀에 생긴 것은 아니지만 세계화의 바람이 불면서 도시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나라도 지식 정보화, 디지털 등의 시대 환경과 경험, 감성, 문화 중심의 시장 환경 변화에 의해 도시브랜드의 가치가 상승됨으로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도시브랜드의 이미지 구축, 관리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도시 이미지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도시브랜드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울을 선두로 수원, 부산 등의 여러 도시에서 도시브랜드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도시의 산업진흥, 관광개발, 문화촉진 등을 목표로 다양한 이벤트와 캠페인 등을 통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국내·외의 다양한 도시브랜드 도입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도시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울산 도시브랜드의 실제적인 디자인 개발을 시도함으로써 도시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도시브랜드의 개념 정의에 의해 도시브랜드의 본질을 살펴보았으며 국내·외의 도시브랜드 활용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 홍보의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도시브랜드를 인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울산 도시브랜드의 디자인을 시도함으로써 도시브랜드 가치와 발전 방향의 제시로 도시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도시브랜드 디자인 프로세스(City Brand Design Process)에 의한 단계별 진행과 설문조사 및 도시브랜드 디자인 제작을 통한 결과물 제시, 마케팅,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도시브랜드의 효과적인 구현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울산 도시브랜드 홍보의 전략 제시를 통해 울산의 발전에 도시브랜드가 기여하는 바를 입증하고 도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도시브랜드 관리 시스템을 통해 울산발전의 미래전략 매뉴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세계화 시대의 도시로서 울산이 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도시의 번영과 발전을 기원하는 새로운 방안으로서 도시브랜드 발전의 방향에 일익을 담당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People say that the 21c called globalization is a period of having a city-brand and completing with other cities to acquire one`s own city-brand. In these days, It is impossible to develop and advance to be an international landmark-city in the world under the restricted marketing within a local. Therefore, we should eager to design the unique city-image by constructing cultural and economical infra, building an environmentally-friendly city, encouraging residents to have a pride as a citizen. Besides, we need to have an impressive image as an attractive city by all means, and it is time to appeal to people in domestic or even abroad. In this situation, a city-brand is very artistic and competitive product, especially the image of city-brands is getting important to estimate the city. At these point, several local goverments are focusing on making up their specialized city-brands that have heir identification and vision for marketing all over the world. Being interest in a city-brand and getting the importance bigger, people are eager to make a valuable brand and their cities also effort to be competitive city-brands not just having their own city-brands. Following this trend, we are thinking to have our own city-brand and build an unique city-brand especially considering with the changes to the digitalized world and civilized world. The cities in Korea wants to let people know their images in the world with systemizing to make their city-brands. With Seoul, Busan and Suwon at the head several cities are focusing to inform their city-brands in aborad and those brands are using and apply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sports and cultural events or campaigns in fact. For these reasons, this thesis will suggest the importance for a city-brand through the analysis about Several cases related with it, and give a direction to be a Metropolitan Ulsan by attempting to develop various design for a city-brand. At first, we describe what is the city-brand with the definition of it in this thesis with analysis examples for other countries and we state to recognize value of the city-brand as an effective means or way to publicize or advertise. Based on that, we try to give a direction to be worldwide with designing Ulsan`s city brand. Steps with designing a city-brand, an opinion poll, results from many designs and system construction to have a competitive brand. Through those ways, we think the most effective way to have a reasonable city-brand and try to suggest that. For maintaining the positive image of Ulsan, we should try to manage market strategy and keep on doing hereafter.

      • 기후변화에 따른 울산지역 법정감염병 발생영향 분석

        황주형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 요약 기후변화에 따른 울산지역 법정감염병 발생영향 분석 지도교수 경 대 승 환경공학전공 황 주 형 앞선 연구를 통해 기온상승과 기후변화는 매개체를 포함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진바 있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라서 발생하는 감염병의 추이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후요소에 따른 법정감염병의 추이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기상자료개방포털, 기상청, 국가통계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후요소에 관련된 자료와 질병관리청 감염병 웹통계자료 시스템에 신고된 울산의 법정감염병 발생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법정감염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피어만 순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법정감염병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여름과 가을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계절성을 나타내었다. 폭염일수는 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평균강수량은 쯔쯔가무시증 발생률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울산의 기후요소와 법정감염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구온난화와 같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국내 기후에 따른 감염병 관리 정책과 기후변화의 건강적응대책 수립에 기반이 될 수 있는 1차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계속해서 변화하는 기후와 관련하여 건강영향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중심단어: 기후변화, 울산지역, 법정감염병, 발생영향 분석, 매개체 감염병

      • 울산시 하수관거 실태조사에 따른 관거정비 및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김종태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울산광역시는 한반도의 동남쪽에 위치하면서 태화강 수계를 포함하여 울산만 주변일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울산시와 울주군이 통합되어 1997년 7월 15일 광역시로 승격하였다. 2006년말 기준으로 행정구역을 5개 구․군(4개구 및 1개군)으로 나누어져 있고, 58개의 행정 읍․면․동과 1,358개의 법정 통․리로 되어 있다. 총 면적은 1,057.14㎢이며, 울주군이 71.4%, 중구 3.5%, 남구 6.8%, 동구3.4% 그리고 북구가 14.9%를 접하고 있다. 그동안 급격한 인구증가와 산업체의 입주로 인하여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울산광역시는 1960년대 이후 산업도시로서 국가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오면서 받은 공업도시와 산업도시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세계적 친환경 생태도시를 만들기위해, 2004년 6월 9일 에코폴리스 울산을 선언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고 시민의 건강한 삶과 지속적인 도시발전을 이룰수 있도록, 수질 및 토양‧오염방지에 필요한 하수도정비 및 관리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하고있다. 울산광역시는 태화강의 하류부에 위치한 관계로 태화강 수질오염이 심각하였으나, 지속적인 하수관거부설 및 하수종말처리장 등의 건설로 수질이 크게 개선되었다. 하지만 하수도 정책이 주로 ‘하수처리장 선행형’으로 추진되어 왔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제는 효과적인 하수처리를 위해서 하수관거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정비를 위한 행정적, 제도적, 기술적, 방안을 모색하였고, 구‧군별 하수관거 실태 조사자료를 기초로 하여 효율적인 하수관거 정비 및 유지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울산광역시의 효율적인 하수관거 정비 및 관리를 위해서는 첫째 전산화를 통해 신설 또는 개량, 보수, 준설 등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실명제를 도입하고, 둘째 CCTV를 통한 처리구역별 주기적인 하수관거조사 및 유지관리하며, 셋째 정비공사 대상지역 선정시 이를 최소화하여 민원발생 및 환경영향비용 저감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간접자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공법도입과 유지관리의 과학화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