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변화에 따른 울산건설 산업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 건설 CEO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종기 蔚山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산업혁명 이후 문명의 발달과 함께 건설 산업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과거 하드웨어의 건설공법에서 지금은 소프트웨어의 공법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의 단순노동으로 추구하던 시절은 가고 이제 정보화, 기계화, 로봇화로 전환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건설 CEO들이 건설시장에 임하는 자세도 바꾸어야 할 것이다. 60년도 말의 월남전쟁에서의 건설 부흥기와 70년대 초 중동바람이 우리의 의식을 한 걸음 업그레이드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때의 우리나라 건설인 들의 성실성과 근면함의 바탕이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으로 이어져 2002년도에는 월드컵의 개최국이 되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다. 또한 IMF라는 절대 절명의 순간에도 국민 모두가 일체가 되어 위기를 극복하였다. 이것은 官, 産, 學이 혼연일체가 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으리라 생각하는 바이지만 지금 우리나라 건설업의 현실은 참담하기 그지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젊은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과 노동자들의 3D기피 현상으로 건설시장의 경쟁력은 점점 무너져 내리고 있고 또한 정책 최고 책임자들의 무분별한 정책결정과 수십 가지가 넘는 규제로 인하여 외국의 기업들이 우리나라에 기업유치를 기피하고 우리나라의 기업들마저 노동력이 싼 중국이나 동남아시아로 탈 한국을 외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더욱 더 힘들 것으로 사료되어 앞으로 변하는 건설의 환경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를 건설CEO들의 책임 있는 시각으로 조명해 보았다. 지금 우리 울산 건설산업의 최대 환경변화는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에 대한 발주가 BTL(Build Transfer Lease)방식으로 전환되어 우리나라의 400대(극동건설 현대중공업 제외) 안에 들어가는 건설사가 없기 때문에 가장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최근 건설업계의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기능공의 임금이 급속도로 상승된 것도 문제이고 광역시의 규모에 정규대학이 1개밖에 없는 것도 인재 육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여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울산건설 CEO들의 역할에 따라 울산 건설산업이 한 단계 향상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재의 건설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울산시민대상으로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산업혁명 이후 문명의 발달과 함께 건설 산업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과거 하드웨어의 건설공법에서 지금은 소프트웨어의 공법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의 단순노동으로 추구하던 시절은 가고 이제 정보화, 기계화, 로봇화로 전환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건설 CEO들이 건설시장에 임하는 자세도 바꾸어야 할 것이다. 60년도 말의 월남전쟁에서의 건설 부흥기와 70년대 초 중동바람이 우리의 의식을 한 걸음 업그레이드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때의 우리나라 건설인 들의 성실성과 근면함의 바탕이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으로 이어져 2002년도에는 월드컵의 개최국이 되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다. 또한 IMF라는 절대 절명의 순간에도 국민 모두가 일체가 되어 위기를 극복하였다. 이것은 官, 産, 學이 혼연일체가 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으리라 생각하는 바이지만 지금 우리나라 건설업의 현실은 참담하기 그지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젊은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과 노동자들의 3D기피 현상으로 건설시장의 경쟁력은 점점 무너져 내리고 있고 또한 정책 최고 책임자들의 무분별한 정책결정과 수십 가지가 넘는 규제로 인하여 외국의 기업들이 우리나라에 기업유치를 기피하고 우리나라의 기업들마저 노동력이 싼 중국이나 동남아시아로 탈 한국을 외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더욱 더 힘들 것으로 사료되어 앞으로 변하는 건설의 환경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를 건설CEO들의 책임 있는 시각으로 조명해 보았다. 지금 우리 울산 건설산업의 최대 환경변화는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에 대한 발주가 BTL(Build Transfer Lease)방식으로 전환되어 우리나라의 400대(극동건설 현대중공업 제외) 안에 들어가는 건설사가 없기 때문에 가장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최근 건설업계의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기능공의 임금이 급속도로 상승된 것도 문제이고 광역시의 규모에 정규대학이 1개밖에 없는 것도 인재 육성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여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울산건설 CEO들의 역할에 따라 울산 건설산업이 한 단계 향상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재의 건설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울산시민대상으로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 蔚山市 東區의 夜間景觀 이미지 形成에 관한 硏究

        김영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던 울산은 공업도시로서의 고도 경제성장과 급격한 도시화 물결로 울산만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은 상실한 채 정부의 공업정책 위주로 개발되어 왔다. 이로 인해 문화·역사적인 자연지형과 스카이라인이 파괴되었고, 내부 도시환경 또한 기능적 경제개발 논리에 따라 개조되어 울산시 경관의 독자성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특히 울산 동구는 수려한 자연환경과 해상문물의 요충지로서의 역사환경을 가지고 있어 아름답고 개성 있는 도시경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1972년 3월 22일 현대조선소 기공식 이후 동구지역의 특색과는 무관한 방향으로 도시경관을 형성해 왔다. 그러나 시민생활의 질적 향상과 야간시간 및 공간을 이용한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쾌적한 야간 문화공간과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는 야간경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울산광역시 동구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도시경관을 유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동구의 야간경관 이미지 형성을 위한 기본방향과 인공조명을 이용한 야간경관 연출수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야간경관에 대한 개념, 연출수법, 조명기구의 유형, 사용수법 등을 조사하여 동구에 활용할 수 있는 수법들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 문헌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 동구와 관련된 문헌과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지역의 인문적·자연적·역사적 현황과 주·야간 경관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또한 동구지역의 주·야간 경관에 대한 동구 시민들의 반응과 의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의미분별척도에 의한 의식 반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기존 문헌조사, 현장조사, 설문조사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요소별 야간경관 조명연출을 시뮬레이션하였다.본연구를수행하기위해서실시한컴퓨터시뮬레이션은3D-MAX와 PhotoShop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및 의미분별척도에 의한 조사 결과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7.5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구지역 야간경관의 현황을 보면, 동구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야간경관 유도계획은 찾아 볼 수가 없었고, 주로 아파트 단지, 상가 등과 같은 기능성 위주의 조명이 동구지역 야간경관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일부 야간경관 조성을 위해 야간경관 조명연출이 시행된 곳은 현대백화점, 울산과학대학 등 몇 개의 건축물과 현대예술공원에 지나지 않았다. 둘째, 설문지 조사에 의하면, 동구에서 야간경관이 뛰어난 장소로는 대왕암공원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일산해수욕장과 현대중공업 산업단지, 남쪽으로는 방어진항을 연결하는 해안 벨트를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야간경관이 좋은 곳은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고, 산업시설의 야경은 강렬한 인상을 주고 있으나 아름답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동구지역의 야간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조명시설과 야간조명 연출수법 등에 대해서는 상당히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야간경관 조명으로 동구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자연경관 보존과 건축물 및 구조물 형태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동구지역 야간경관에 대한 시민의식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야간경관에 대한 심리적 느낌은 주간경관에서 가진 심리적 느낌보다 부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도로조명과 상가 및 주거지역의 무질서한 기능성 위주의 조명으로 인한 것과 동구지역의 특색인 해안지역과 산업시설에 대한 조명 계획이 없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그리고 요인분석에 의하면 주간경관은 쾌적성 차원, 심미적 차원, 심리적 차원 등 3개의 차원으로 요약되었으나, 야간경관은 쾌적성 차원, 심리적 차원 등 2개의 차원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요인분석을 토대로 볼 때, 동구 주민들은 동구의 주간경관은 아름답고 보기 좋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야간경관은 추하고 통일감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구지역 야간경관 연출을 위해 자연경관 요소를 부각시키고, 국내 최대 산업단지의 시설물을 이용한다. 또한 동구의 정체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역사환경 요소를 이용하고, 기능성 위주의 야간조명을 경관조명으로 체제 전환한다는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동구의 지역별 공간특성과 이용형태 등을 고려하여 조명연출을 위한 공간위계를 1급지, 2급지, 3급지의 3단계로 구분하였고, 동구지역의 조망점을 정적인 조망점과 동적인 조망점으로 분류하였다. 동구지역의 야간경관을 지역 유형과'2016년 울산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생활권 계획을 토대로 해안경관조명, 산업경관조명, 산악경관조명, 시가지경관조명 등 4가지 빛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빛의 루트계획은 방어진공원순환도로를 빛의 주축으로 설정하였으며, 방어진순환도로를 빛의 제1보조축, 시가지내의 간선도로 3곳을 빛의 제2보조축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다섯째, 동구 야간경관 이미지 형성을 위한 개념을'역사성을 바탕으로 한 해안과 산업시설의 멋을 느낄 수 있는 야간경관 연출'로 설정하여, 역사지구, 자연경관지구, 산업시설지구, 시가지지구 등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들 지구의 조망점과 조망대상을 중심으로 일반조명방법, 특수연출조명방법, 이벤트조명방법, 시설물조명방법 등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연출수법 등을 제시하고 향후 동구 야간경관 조명연출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city, Ulsan which has beautiful nature scenery has been developed as an industrial city losing the identity of the Ulsan Bay by the government's industry oriented policy in the wav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rapid urbanization. Consequently, Ulsan has been losing its unique scenery as the results of destroying its cultural and historical topography and skyline, and of reconstructing inward city surroundings according to functionally based economic development. Specifically, even though Dong-gu in Ulsan have rich potential of being shaped beautifully and uniquely as Dong-gu boasts its scenic beauty and historical proud as a sea trade center, Dong-gu has been shaped regardless of its merits since the Hyundai Ship Yard was established in March 22, 1972. However, as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has improved and lifestyle has changed using more of time and space at night, there needed night-scape which will provide pleasant night cultural space and sightseeing. In these needs of the present times,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of the basic aims of night scene image shape at Dong-gu and a method of performing night-scape using artificial light in order to represent the identity of Dong-gu at Ulsan Metropolitan City.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y about the concepts of night-scape, producing methods, types of light instrument, using methods, etc., to find out suitable methods.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of this study, the current situation of Dong-gu's humanistic, na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its day and night-scape were analyzed by reviewing literatures on Dong-gu and field investigation. In addition, questionnaires and semantic discriminative scales were used to examine Dong-gu citizens' response and awareness on day and night-scape. From these methods, the performance of lighting for the every element was simulated. The 3D-Max and the Photoshop were used for simulation and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s and the semantics discriminative scal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Win 7.5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e of night-scape at Dong-gu areas is not directed to show the identity of Dong-gu. Dong-gu night-scape was mainly shaped with functional lights such as for apartment buildings and shopping district, except that light which were produced as night-scape for a few buildings such as Hyundai Department, Ulsan College, and Hyundai Arts Park. Second, the results of survey showed that Ilsan Beach and Hyundai Heavy Industry Co. located at the north from Daewangam Park, and the coast along to the Bangeojin Port to the south were found to be the best places for night-scape. The places with good night-scape were also recognized highly by Dong-gu citizens and the night scene of industrial facility gave strong impression but it was not viewed as beautiful. The current light facilities and night light producing methods used in Dong-gu were regarded as rather negatively.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revive the Dong-gu identity with night-scape light were to reserve natural scenary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orms of buildings and structures. Third, the psychological awareness of Dong-gu citizens showed that they felt more negatively about night-scape than they did about day time scape. The reasons are thought to be, first, the disorder of functionally based light for streets, and shopping and residence district, second, lack of planning light for the coast and industrial facilities.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day time scape had pleasant, esthetic, and psychological dimension, whereas night-scape had pleasant and psychological dimension. These revealed that day time scape was seen to be beautiful and agreeable while night-scape was ugly and incoherent. Fourth, the direction for performing night-scape should be based on highlighting natural beauty and using facilities of the biggest industry complex in Korea, and using historical elements and adopting scenery based light instead of functionally oriented light for night light to highlight the Dong-gu ident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use of Dong-gu, the areas were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and the area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static or dynamic view point. The night-scape of the Dong-gu areas were sorted into four types: coast, industry, mountain, and downtown based on area types and the Ulsan City Planning of 2016. As for light routes, Circular Roads around Bangeojin Park was set as center, Bangeojin Circular Road was set for the first support light zone, and downtown three trunk lines were set for the second support light zone. Fifth, setting the concept of Dong-gu night-scape image shape as'lighting performance night-scape which can show beauty of the coast and industrial facilities based on history'Dong-gu was divided into a historical area, a natural scenery area, an industrial facility area, and a downtown area. Based on the view point and objects of these areas, specific light peformance methods were proposed to use, such as a general light, an event light, a plant facility light method, etc, and ways of lighting performance for the night-scape light at Dong-gu also were also proposed for the future.

      • 산업안전 분야의 IT기술 도입에 관한 연구 : 울산 u-Safety(산업안전정보화)사업을 중심으로

        김선일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지난 2006년 정보통신부에 의해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현 정부의 정책기조에 맞추어 지역별 특성에 맞도록 IT산업을 육성한다는 목표 하에 추진된 ‘지역IT특화육성사업’에 우수 과제로 선정된 울산시 ‘산업안전정보화(u-Safety)사업’의 추진현황 및 방법, 그리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울산은 조선, 석유화학 등 대표적인 장치산업들이 잘 집적화 되어 있어 산업안전 분야의 IT기술 접목을 위한 테스트베드 확보가 용이하고 조선산업을 테스트베드로 하여 기술 개발에 성공할 경우 기술의 상품성 및 실행가능성을 높아, 타 업종으로 확산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산업안전정보화’ 시범사업을 울산에서 추진하게 되었다. u-Safety, 산업안전정보화란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에 소요되는 기반 기술 및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산업현장에서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위험성을 예측하고 예방하며, 불가피하게 사고가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현장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일련의 기술 및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산업안전 분야는 투자가 아니라 비용으로 여겨져 왔으며 최근에 들어서야 산업재해로 인한 생산성 손실이 막대하다는 새로운 인식이 모아지고 있다. 더 나아가 산업안전 분야에 첨단 IT기술을 적용할 경우 해당 산업의 생산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IT분야의 새로운 시장 즉, 블루오션을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산업안전정보화를 통한 산업재해 및 손실 감소, 기업의 생산성 향상, 노사간의 신뢰향상 등은 기업의 경영실적 개선 및 경영혁신을 가져올 것이며 이는 또 다시 근로자의 임금향상,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재투자, 복지증대와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선 순환구조가 되며 이로 인한 기업의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이다. 따라서 동 사업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및 경영 개선 사례는 타 기업, 타 산업으로 빠르게 벤치마킹되어 국가 전체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이끄는 우수 성공사례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current promotion and method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f Ulsan's 'u-Safety project' selected as an excellent task in the 'Regional IT Special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in 2006 to foster IT industry specific to each region based on the government policy of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s. Ulsan, where important process industry, such as shipbuilding and petrochemical, is integrated, provides easy access to test-beds for the application of IT technology to industrial safety areas and, if technology development is achieved by using the shipbuilding industry as a test-bed, commercial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technology will be highly probable and can be easily extended to other businesses, so it has been decided to promote the experimental 'u-safety' project in Ulsan. The u-Safety can be defined as a series of technologies and systems that integrate and manage the information of industrial sites to predict and prevent potential risks of industrial disasters in sites and minimize damage when unavoidable accidents occur by using the fundamental technology and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to build a ubiquitous environment. So far the industrial safety has been considered as a cost factor rather than an investment one, but lately people are concerned about the significant productivity los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Besides, if the advanced IT technology is applied to industrial safety, it will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corresponding industry areas, and create a new IT market, "Blue Ocean." The u-Safety will bring management performance improvements and management innovations by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and loss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companies and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this will also lead to salary increases, re-investments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s, and enhancement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generating a virtuous cycle, and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will be continuously improv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and management improvements of companies brought by this project will be benchmarks for other companies and industries becoming excellent cases that lead th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of industry nationwide.

      • 모듈생산방식 산업단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설계 : 울산 모듈화단지를 중심으로

        임대원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의 치열한 경쟁에서 자동차 산업 역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바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부품 공급체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유사업종이 지리적으로 통합됨으로서 이익을 얻고자 하는 것이 모듈화단지라 할 수 있다. 울산모듈화산업단지는 국내에서는 최초로 도입된 계획적 모듈화 산업단지로써 앞으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모듈화단지는 다양한 방면에서 추진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자의 단지조성 참여경험을 바탕으로 추진과정 및 단지특성에 맞는 공장설계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접근방향을 제시하였다.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산업단지내 공장의 특성상 도로 및 공장의 진출입로는 대형차량의 이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도로와 공장 진출입로 설계에 이러한 대형차량 이동 동선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는데 이는 차후 운영과정에서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산을 깎아서 만든 산업단지의 특성상 도로의 경사가 심하고 옹벽의 설치는 불가피한데 경제적인 이유에서 도입된 보강토 옹벽은 건물의 배치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리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울산 모듈화 산업단지의 경우 조성과정에서 유적지가 발굴됨으로서 해당 지역은 공원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렇게 형성된 공원을 제외하고는 녹지대가 모두 산업단지의 외곽에 위치하고 있어서 환경측면에서도 부족한 부분이 발견된다. 개별공장의 경우 자동차 부품공장의 특성상 지게차의 동선을 고려하여 바닥의 설계가 필요하고 벽체는 지게차의 동선 부분에서 현재의 샌드위치 패널이 아닌 내구성이 강한 벽체가 요구되는바 이러한 부분이 고려되지 않은 공장이 많다. 또한 누수문제를 고려한 지붕설계가 필요한바 이 또한 적용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일반산업단지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조물품 및 배송을 고려한 설계와 차후 유지관리를 위한 시공 상의 문제점이 다수 발견 되는데 이러한 경우 첫째 차량 이동을 고려하여 차량의 진출입이 분리된 이동 동선의 적용, 둘째, 지게차의 동선을 고려하여 바닥에서 지게차 높이의 공간과 지게차 높이에서 지붕까지의 공간을 분리하여 벽체계획 적용, 셋째, 지붕 채광판으로 인한 빗물 누수문제를 고려한 지붕설계의 개선책을 제언하였다. 또한 도로의 경우 대형차의 진출입을 고려하여 도로경사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며, 교차로는 공장 사이에 도로를 더 많이 확보하여 급한 회전이 없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울산 모듈화 단지와 같이 특정업종에 전문화된 산업단지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입주업체의 특성을 고려한 건축설계는 반드시 필요한바 설계과정에서 업종의 특성을 고려한 논의가 활발해야 할 것이다.

      • 蔚山廣域市 人口分布패턴의 變化特性에 關한 硏究

        김도헌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도시공간구조의 구성요소인 「인구」지표 중 인구분포패턴은 도시 구성원들의 개별적 의사결정과 , 유도와 규제 등의 방식을 통해 끊임없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쳤고 , 개발정책들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이기 때문에, 인구분포의 형태나 변화과정 그리고 그 특성을 파악한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그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지방도시인 울산시를 대상으로 시 승격당시인 1962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간을 각 행정구역마다 인구지표의 양적, 질적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여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울산시 전체의 인구변화 특성에서 양적 변화는 도시생성 초기보다 70대 초부터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 90년대부터 약화되다가 최근에는 안정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도시성장은 전형적으로 로지스틱( logistic ) 커브인 S자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40여년 만에 도시화 단계를 모두 이뤘다는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①초기단계( initial stage ) - 시 승격 이후~ 1970년 이전까지 ②가속화단계( acceleration stage ) - 1970년대~ 95년까지 ③종착단계( terminal stage ) - 1995년 이후~둘째, 인구의 질적 특성변화에서 성비는 70년 이전까지는 여초였으나, 그 이후부터 계속적으로 남초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초기 대규모의 산업 단지의 유치에 따른 노동력의 절대적 필요에 의해 외부로부터 많은 남성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며 , 일반적으로 공업도시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90년대 후반부터는 남초현상이 둔화되고 있다. 셋째, 구 ㆍ군별 인구의 양적 변화 특성에서 각기 지역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중구는 초기에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70년부터 급격한 증가가 있었고, 최근에는 감소하고 있으며 , 남구는 초기부터 계속된 증가세이며 , 최근에는 그 증가세가 다소 낮아졌으나 여전히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 주고 있다. 동구는 지역적으로 산업환경과 매우 밀접한 변화를 보여주는데, 생산 노동자의 유입에 따른 도시성장이 최근까지 이어져 왔고 현재는 교통의 발달과 접근성의 용이성에 의해 외부로 인구 압출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북구는 기존 시가지의 비지적 확산에 의해 90년 이후부터 도시화가 일순간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울주군은 지역 내에 산업시설과 관련한 인구의 증가가 계속 이뤄지나, 적정한 도시개발이 이뤄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80년 이후부터는 다시 감소하였고 , 90년을 기점으로 도시의 환경개선과 주거환경의 확충으로 인해 인구의 유입이 다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구 ㆍ군별 인구의 질적 변화에서 성비의 변화 특성을 보면, 중구는 시 승격된 초기부터 80년까지는 여초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남초로 전환되어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90년대 이후부터는 안정적으로 전환되고 있다. 남구는 전체적으로 남성수가 많으나, 이러한 남초현상은 90년 이후부터 점점 약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동구는 75년 이전까지는 여초였고, 이후 산업노동력의 증가로 급작스럽게 성비가 역전되어 무려 127이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는 여성인구도 계속 유입되어 최근에는 107까지 조정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북구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울주군은 90년대 초까지 여초현상이 계속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도시환경의 성장과 농공산업단지의 유치 및 기존 시가지의 인구 압출에 의한 인구 유입 등이 남초로 전환되었다. 다섯째 , 읍 ㆍ면 ㆍ동별 인구변화 특성에서 양적 변화는, 증가현상이 계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지역이 기존의 도심부에 연접하거나 인접한 지역으로 도심지역의 인구가 유입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북정, 우정, 태화를 비롯한 무거 , 옥 , 방어 등지이다. 또한, 도시성장기인 90년대 초까지는 인구의 양적 증가가 활발하였으나 도시성장이 안정화로 돌아선 현재에 인구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지역은 학성 , 반구 , 신정, 야음, 전하 등 도심지역이거나, 부도심지역적 성격을 갖는 지역이다. 그리고 , 시 생성 초기에는 인구의 증가가 있었으나 80년대에는 인구가 감소하였고 , 다시 90년대 이후에는 증가로 돌아선 지역은 남목 , 온산 , 삼남 지역이다. 또한, 시 승격 초기에는 인구 증가가 이뤄졌으나, 80년대부터 계속적으로 인구가 유출되는 지역은 옥교동으로 이 지역은 울산이 시 승격 이전부터 울산을 대표하는 도심지역으로 발달하였으며 , 이후 시 승격과 함께 주변 지역의 도시개발로 인구가 외부로 이탈한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80년대 이전까지는 인구가 감소하였다가 이후부터 계속적인 증가를 보이는 지역으로는 농소 , 효문 , 송정, 언양, 청량 등지이고 , 이들 지역보다 더 늦은 90년대 이후에 인구 유입이 이뤄지고 있는 지역은 온양, 웅촌, 범서 , 상북 등이며 , 시가지 인구의 분산과 교외지역의 개발 등에 의해 인구 증가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현대적 도시로의 성장 초기부터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인구 감소가 이뤄지고 있는 지역이 있는데, 강동, 두동, 두서 , 삼동 등지이다. 여섯째 , 인구의 질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읍 ㆍ면 ㆍ동별로 성비의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지역이 80년대 이전에는 각 지역마다의 특성으로 다양한 결과가 있었으나, 90년 이후에는 남초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시 승격부터 현재까지도 남초현상이 유지되고 있는 지역은 모두 13개 지역으로 학성, 북정, 복산 등지는 구도심지의 연접지역으로 도시화의 팽창확산에 의해, 태화, 신정, 달, 무거 , 옥동 등지는 도시개발에 의한 도시화과정에서의 인구 집중에 의해, 야음, 선암, 효문 , 염포 등지는 주변의 산업시설의 유치에 의한 산업노동력의 필요한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70년대 이전에는 비교적 남초현상이 주를 이뤘으나, 80년대에 여초 , 90년대 다시 남초를 보인 지역은 송정, 언양, 범서 등지로 나타났고 , 70년대 이전에만 남초이었으나, 이후에는 계속 여초현상을 보인지역으로는 옥교와 삼남면이었다. 또한, 초기에는 여초였으나 80년대부터 남초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지역은 지리적으로 대규모 산업시설이 입지되어 있는 지역이거나 그 주변지역으로 반구 , 병영, 방어 등 모두 11개 지역이다. 그리고 , 여초현상이 계속 유지되다가 90년대에 와서야 남초현상을 보인 지역은 북정, 성남, 농소, 강동 등 모두 9개 지역인데, 이들 지역 중 하나는 90년대 도시환경의 개량으로 인구의 유입이 이뤄지고 있는 구 도심부 지역이며 , 다른 하나는 교통환경의 개선으로 접근성이 높아졌고 , 시가 지 내의 인구가 교외지역으로 분산됨에 따라 강동, 농소 , 웅촌 등 군 지역으로 인구유입이 이뤄지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A pattern of population spread as one of population factors, constituents of urban spatial structures, has constantly influenced on decision making through individual decision making, inducing, and controlling of urban constituent ones. Since it is a result from com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development policies, it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change process, characteristics, and shapes of the spread of popul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 proces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in Ulsan as a regional city from 1962 when it had administravely turned into a city to 2000. After that it drew characteristics of similar types in them.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 changes in the whole population of Ulsan have shown a rapid increase since early 1970s, slowed down in 1990s, and finally settled down these days. This city growth has a typical logistic curve S, which means it has gone through urbanization steps within 40 years. The steps are: 1.The initial stage after becoming a city administratively ~ before 1970 2. The acceleration stage 1970 ~ 1995 3. The terminal stage 1995 ~ Second, in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population, the number of females in the gender ratio shows much higher than males before 1970s, but after that it has continued the number of males higher than females. After a large-scale industry complex was built in the early period, the influx of many males caused the change, a typical phenomenon shown in industrial cities. However, after late 1990s the phenomenon of higher male numbers than females has been decreased. Third, the quantitative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ccording to GuㆍGun districts show each local characteristic; the population in Joong-gu(中區) had no changes in the early period, but it has been rapidly increased after 1970s. These days it has been decreased; Unlike Joong-gu(中區), the population in Nam-gu(南區) has been constantly increased since the early period. Although the speed of the increasing population has slowed down now, it has still kept increased; Dong-gu(東區) regionally shows the change with a very close relationship related to the industrial environments, and its urbanization has grown with the influx of manufacturing labors. Nevertheless, these days its population has moved out for the ease with accessibility by advanced transportation; Book-gu(北區) has been urbaniz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1990 by the leapfrogging expansion of the existing town; the population in Ulju-gun(蔚州郡) had increased related with industrial facilities in their local area. Since 1980 it had been decreased because no appropriate urbanization had been made in that area, but then it has been increased again since 1990 for their urban environment has improved and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has expanded. Fourth, in the qualitative changes of GuㆍGun population,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ratio in each area show the following difference: Joong-gu(中區) had a higher number of females from the beginning when it became a city to 1980, but after that it has turned that a number of males have grown higher and become settled down since 1990s. Nam-gu(南區) has a higher number of males through all the years, but that has weakened since 1990. Dong-gu(東區) had a higher number of females until 1975. After that because of the industrial labors increase the gender ratio suddenly reversed to even over 127, but then females have flowed in, leading the ratio to 107. This phenomenon has appeared in Book-gu(北區), too. Ulju-gun(蔚州郡) showed a number of females higher until early 1990s, but after that has turned a number of males higher due to the growth of their urbanization, the agriculture industry complex built, and the population influx from the other towns. Fifth, quantitative changes in the population chan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upㆍMyunㆍDong(邑ㆍ面ㆍ洞) can be explained with the population influx from the city into the areas where the population have been increased and are on or near the existing districts. These areas are Bookjung(北亭), Woojung(牛亭), Taehwa(太和), Moogu(無去), Ok(玉), Bangoe(伴驅), and etc. Also, Haksung(鶴城), Bangoo(伴驅), Shinjung(新亭), Yaeum(也音), Junha(田下) and etc. have CBD or minor CBD characteristics and are the areas where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the population was active until the early 1990s during the acceleration stage of the urbanization, but the population has been decreased now when the urbanization has reached the terminal stage. And Nammok(南牧), Onsan(溫山), and Samnam(三南) are the areas where their population increased during their early urbanization, but it decreased during 1980s. After 1990 it has increased again. Moreover, Okyo-dong(玉橋洞) has the population decreasing constantly since 1980s and has been developed as CBD in Ulsan even before Ulsan had become a city administratively. After it became the city, the population has moved out for the urbanization of Okyo-dong(玉橋洞) including surrounding areas. Also, Nongso(農所), Hyomoon(孝門), Songjung(松亭), Unyang(彦陽), Chungryang(靑良), and etc. are the areas where their population decreased before 1980s, but it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n. Onyang(溫陽), Ungchon(熊村), Bumsu(凡西), Sangbook(上北), and etc. are the areas where their populations have been increased since 1990s because of the population distributions from the CBDs and developments on the areas. However, there are the areas where their populations have been constantly decreased until now since the beginning of the urbanization. These areas are Kangdong(江東), Doodong(斗東), Doosu(斗西), Samdong(三東), and etc. Sixth, the results from analyzed the gender ratio change tendency according to Eup, Myun, and Dong populations in order to find qualitative chang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were that most of the areas showed various results before 1980s, but after 1990s they showed a number of males higher mostly. Within those areas there are 13 areas where their male populations have kept higher from the beginning of their urbanization. The expansion of their urbanization caused that in Haksung(鶴城), Bookjung(北亭), Boksan(福山), and etc. on the old CBD; the population increase from their urbanization due to urban developments, in Taehwa(太和), Shinjung(新亭), Dal(達), Moogu(無去), Okdong(玉洞), and etc.; the need for industrial labors due to industrial facilities built, in Yaeum(也音), Sunam(仙岩), Hyomoon(孝門), Yumpo(鹽浦), and etc. In addition to that, there are Songjong(松亭), Unyang(彦陽), Bumsu(凡西), and etc. where a number of males were higher before 1970s; a number of females, higher in 1980s; a number of males, higher again in 1990s. Okyo(玉橋) and Samnam(三南) are the areas where a number of males were higher before 1970s while a number of females have been higher since 1980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11 areas including Bangu(伴驅), Byungyoung(兵營), Bangoe(伴驅) and etc. where a number of females were higher, but a number of males have kept higher since 1980s until now because the large-scale industry complex was built. And 9 areas of Bookjung(北亭), Sungnam(城南), Nongso(農所), Kangdong(江東), and etc. are where there were a number of females higher but since 1990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males higher. One of these areas is the old CBD where there has been the population influx due to improvements of the urban environments in 1990s; the other ones are Kangdong(江東), Nongso(農所), Ungchon(熊村), and etc. where there has been higher accessibility from the improvements of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the influx from the population distributions in the CBD.

      • 울산시 하수관거 실태조사에 따른 관거정비 및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김종태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울산광역시는 한반도의 동남쪽에 위치하면서 태화강 수계를 포함하여 울산만 주변일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울산시와 울주군이 통합되어 1997년 7월 15일 광역시로 승격하였다. 2006년말 기준으로 행정구역을 5개 구․군(4개구 및 1개군)으로 나누어져 있고, 58개의 행정 읍․면․동과 1,358개의 법정 통․리로 되어 있다. 총 면적은 1,057.14㎢이며, 울주군이 71.4%, 중구 3.5%, 남구 6.8%, 동구3.4% 그리고 북구가 14.9%를 접하고 있다. 그동안 급격한 인구증가와 산업체의 입주로 인하여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울산광역시는 1960년대 이후 산업도시로서 국가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오면서 받은 공업도시와 산업도시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세계적 친환경 생태도시를 만들기위해, 2004년 6월 9일 에코폴리스 울산을 선언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고 시민의 건강한 삶과 지속적인 도시발전을 이룰수 있도록, 수질 및 토양‧오염방지에 필요한 하수도정비 및 관리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하고있다. 울산광역시는 태화강의 하류부에 위치한 관계로 태화강 수질오염이 심각하였으나, 지속적인 하수관거부설 및 하수종말처리장 등의 건설로 수질이 크게 개선되었다. 하지만 하수도 정책이 주로 ‘하수처리장 선행형’으로 추진되어 왔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제는 효과적인 하수처리를 위해서 하수관거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정비를 위한 행정적, 제도적, 기술적, 방안을 모색하였고, 구‧군별 하수관거 실태 조사자료를 기초로 하여 효율적인 하수관거 정비 및 유지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울산광역시의 효율적인 하수관거 정비 및 관리를 위해서는 첫째 전산화를 통해 신설 또는 개량, 보수, 준설 등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실명제를 도입하고, 둘째 CCTV를 통한 처리구역별 주기적인 하수관거조사 및 유지관리하며, 셋째 정비공사 대상지역 선정시 이를 최소화하여 민원발생 및 환경영향비용 저감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간접자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공법도입과 유지관리의 과학화등을 제안하였다.

      • 조선산업의 공정계획을 이용한 건설산업의 공정계획 적용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중심으로

        윤종민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성공적인 Project의 수행을 위해서는 철저한 계획 수립에 의해 시행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성공 할 가능성이 높다. 철저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Project 대상물의 정확한 분석 통한 공사방법의 설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시간, 자재, 원가, 품질, 인력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의 관리 방향성과 지표가 필요하며, 각각의 관리들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질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는 공정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공정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작업분류를 통한 적정한 작업단위의 선정, 자원 및 작업강도의 배분, 공사정보의 공유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건설산업 현장에서의 현실은 그렇지가 못 하다. 대부분의 공종이 도급에 의한 외주화로 이루어진 건설산업의 특성으로 인하여 작업 중심이 아닌 내역중심 및 도급업체중심의 공정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서구의 건설산업 발달로 인하여 공정관리 기법의 발전이 이루어졌고, 기법의 발전과 더불어 작업 단위 및 범위를 결정하는 작업분류의 체계성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수많은 변천을 거쳐 현재는 정착단계에 와있다. 우리나라도 건설의 현대화와 정보화에 의해 작업의 체계적인 분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몇몇 건설업체와 정부의 주도하에 공정계획의 방법 및 작업분류의 표준화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무적용방법의 일환으로 통합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내역중심 및 편의위주로 공정관리를 사용해온 대부분의 건설업체에서는 서구의 작업 중심 기준을 근간으로 작성된 분류체계의 접목 및 사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조선산업의 경우 공정관리의 방법적 이론은 건설산업을 근간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철저한 작업분류와 조직분류에 의하여 작업중심의 공정관리로 발전시켜 왔으며, 자재, 설계, 인력관리를 연계시킬 수 있는 공정관리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산업의 작업중심의 공정관리를 건설산업에 접목시켜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의 활용성 측면을 고려한 작업분류체계의 구성방안을 제시 한다, 또한 작업분류체계의 전체적인 분포현황과 구성요소를 한눈에 식별 가능하도록 하여 공사 참여자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사용자 도구로서, 일정관리, 내역관리, 진도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To perform a project successfully,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follow a perfect plan designed thoroughly, which can be more likely to accomplish our mission. And in order to make a perfect plan, it must be proceeded to decide skills of construction through a precise analysis of objections which are to be in your projection. Also, it needs to control specific elements such as time, raw materials, cost, quality, labor force. In addition, we need the direction and index to process them and production management is a prerequisite as a vehicle which makes each element interact in controlling all conditions to get a completed project. Finally, for production management, we need to select proper work unit by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distribute resource and intensity of work, and shar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However, it is just a idealistic theory but in reality it not easy to follow the theory above mentioned. That is because production management is being done not by process control but by cost control and sub-contract control. Still now, the tendency such like sub-contracts control outsourcing are general in Korea's construction industries. Fortunately,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iques in Western has made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improve and that change came to demand systemization in WBS, which determines work unit and range. Toady we adopt these more advanced building techniques. Actually, some Korean building companies and Korean government perceiv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al WBS by modernization and information in building techniques and suggested standard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tandard of WBS, a solution which can be both possibility in theory of research and possibility in practice for process planning method and WBS. Yet, most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failed to make a use this WBS because they have difficulty giving up their working habits, cost control and temporary production management and that difficulty causes not to adopt new WBS which had already been made on the basis of process control in Western. Although the shipbuilding industry, especially in methodological theory of production management,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production management in shipbuilding is more remarkably promoted than in construction. Korean shipbuilders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process control의production management by WBS and 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OBS) and operate production management to coordinate with material, design and labor force management. This study presents options applying process control production management in shipbuilding to that in construction sites and considering practical application of Work Breakdown Structure. Furthermore, by offering information on overall distribution and elements of Work Breakdown Structure, it suggests methods as a device meeting requirement conditions of construction builders and using in working parts such as schedule management, breakdown management and progress management.

      • 조선해양산업 기자재 협력사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유지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주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전 세계 조선해양산업의 경기는 2008년 이후 극심한 경기침체로 발주가 현격히 감소하여 국내 조선해양기자재 협력사들은 물량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세계 유수의 오일, 가스 회사들은 더욱 강화된 자체 품질요구조건과 더불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기본 요구조건으로 계약서에 명시하고 계약자가 이행할 것을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치열해지는 시장 상황에서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고객 만족을 통한 기업이미지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실현하는 방법 중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은 국제적으로 적용되고 요구되는 표준으로서 인증 및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조선해양 기자재 협력사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유지 실태를 파악하여 지속적인 유지, 개선되도록 하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 필요성,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고, 제 2장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하여 문헌적 연구를 통해 품질경영시스템의 이론적 개념을 이해하였다. 제 3장은 장기적인 세계 경기침체에 따라 국가별 자국의 조선해양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각국의 조선 정책, 해양플랜트 산업의 추이 및 현황, 해양플랜트 산업의 품질경영에 대하여 다루었다. 제4장에서는 최근 발주되는 모든 해양플랜트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유지실태를 본인이 직접 심사한 고객 인증심사 결과를 분석하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선해양 기자재 협력사들이 직접 느끼고 있는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유지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점을 최대한 도출 하고자 노력하였다. 설문조사에 협조해준 40개 업체의 설문서를 바탕으로 ‘조선해양 기자재 협력사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유지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해양 기자재 협력사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담당자는 ‘품질 관련 부서’ 가 대부분이고, ‘차장/부장’ 직급이 절반을 넘어 품질경영시스템을 유지하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도입 배경’을 보면 ‘내부적으로 품질개선을 위하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조선해양 기자재 협력사’들은 스스로 품질경영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고객 만족을 위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후 만족도가 62.5%로 매우 높았으며, 인증 획득 후 변화에 대하여는 ‘기업가치향상’을 가장 큰 변화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종업원의 시스템 숙지 및 절차서의 불일치’로 인한 효율성 저하 부분이 부정적인 요인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품질 매뉴얼은 체계화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활용부서의 95%가 ‘품질 담당 부서’로 나타나 지속적인 교육 등을 통하여 전사적으로 활용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어느 제도를 도입하고 유지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 최고경영자의 관심과 격려이다.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유지와 관련하여 대표이사의 품질방침 수립과 관련하여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의 62.5%가 수립, 검토에 최고경영자의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최고경영자의 관심과 격려가 절실히 요구된다. 넷째, 제품실현과 관련하여 ‘설계, 개발 및 구매관리’ 가 제대로 실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선해양 기자재 협력사’의 사업 구조상 문제라고 볼 수 도 있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역량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급히 해결할 과제로는 ‘교육 및 훈련, 시정조치 및 품질예방활동’이라고 많은 업체에서 응답하였다. 이는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에서 핵심으로 다루는 항목으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사안으로 사료 된다. 결론적으로 국내 ‘조선해양 기자재 협력사’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유지’는 외형적으로는 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상기에서와 같이 내부적으로 보면 핵심 요구사항들이 형식적으로 관리되고 있고 많은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관심과 격려가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 이주단지내 주거환경에 대한 연구 : 울주군 온산읍 덕신리를 중심으로

        이은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온산읍 덕신리는 온산공단으로 조성된 공단 인근의 이주단지이다. 덕신리 주거단지는 1986년부터 산업단지내 주민들이 이주하여 조성되기 시작하였으나, 주거환경에 대한 어떠한 분석이나 검토없이 무분별하게 개발이 이루어져 조성된 이주단지였다.그러나, 사회가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주거형태가 요구되고, 또한 인구, 가구구조, 사회?경제여건 변화 등에 따라 주택수요도 다양하게 변화하여 도심 내 중소형?임대주택, 고령자주택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은 온산읍 덕신리 이주단지도 예외가 아니어서 단독주택지로 조성된 이주단지내에 인근 공단과 외부의 수요자들이 꾸준이 몰려들어 2007년부터 임대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다가구주택 건축 붐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덕신리 주거단지는 쓰레기와 각종 소음 및 주차난 등 주거환경에 대한 많은 문제점들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단지가 조성된 배경과 주거유형의 변화 및 주거수요의 특징을 살펴보고, 온산읍 덕신리 이주단지가 갖는 주거환경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여러 주거유형중 다가구주택단지의 주거환경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또한, 실제 덕신리 거주자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택유형별 만족도와 주거선택시 중요도를 조사하여 덕신리 이주단지의 주거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 蔚山廣域市 都心體系 設定과 地域的 特性에 관한 硏究

        김임식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울산을 대상으로 도시의 도심지역을 찾고 이를 통해 지방도시의 도심부와 도시공간구조에 대해서 연구하였는데, 우선 울산에 관련된 연구문헌 및 자료를 고찰하여 도심지역의 형성과정과 도시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밝힌 후,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지표 중 인구, 토지, 시설물 지표에 해당하는 각각의 변수들을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크게 도심지역과 부도심지역 및 기타지역으로 구분하였는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지역은 다시 제1도심ㆍ제2도심ㆍ제3도심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제1도심지역은 신정동으로 현재 울산의 모든 제요소를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적 특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을 보여준다. 제2도심지역은 옥교, 성남, 복산 등 6개 지역으로 중구의 구도심부라고 일컫는 지역인데, 인구밀도나 지가 등은 매우 높은 반면에 시설물은 취약한데, 도시기반시설이 도시생활 수준에 대응하지 못하여 인구나 상업환경이 약화되는 공동화 현상이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제3도심지역은 삼산을 비롯한 달동으로 주변지역의 도시환경 구축이 완료됨과 함께 점진적으로 도시확산이 이뤄지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도시 자원의 계속적인 유입과 입지가 이뤄지고 있다. 둘째, 부도심지역으로 무거동과 태화, 야음, 전하 및 농소 등 모두 6개 지역이 여기에 속한다. 무거동을 비롯한 옥, 야음, 태화지역은 도심지역의 연접해 있으며 도심지역의 외연적 확산에 의한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특성을 보여 주며, 전하, 농소동은 도심지역에서의 접근성이 낮아 비지적 확산에 의한 독자적인 도시환경이 형성된 특성이 있다. 그 중 농소는 기존의 도심지역과의 사이에 개발제한구역이 형성되어 있어 접근성이 낮지만, 농공산업단지의 조성과 산업단지의 배후 주거지 형성 등으로 자체적인 도심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이다. 셋째. 기타지역으로 점이(漸移)지역과 이심(移心)지역 및 외곽(外郭)지역 등 3가지로 정리하였는데, 여기서 전이지역이란, 광역적 의미로 인식하여 부도심지역에 인접하는 지역으로 주변지역의 자원을 이용이 용이한 도시환경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라 정하였으며, 병영, 방어, 일산, 화정, 남목 등지이다. 이들 지역은 도시적 환경 접근이 불리하였으나 도시의 재구조화나 환경의 개선 등으로 점차적인 인구의 유입이 형성되고 있다. 이심지역은 도시계획상 기존 시가지와의 사이에 개발제한구역을 두고 비지적으로 도시환경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지역의 여건에 적합한 도시환경을 구축한 지역으로 효문, 온산, 언양, 온양, 범서, 웅촌, 삼남 등지가 포함되었다. 이들 지역은 지역 특성상 기존 시가지와의 접근이 분리되어 있으며, 비교적 농촌적 환경에 있다. 1995년 도농통합 이후 울산의 외형적 규모는 매우 크게 확대되었지만, 기존의 시가지를 제외한 군 지역은 자체적인 도시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은 대부분 농촌적 환경이 높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들 지역에 대한 도시적 개발 환경은 아직 미치지 못한 경향이 있다. 또한, 도시 내에 포함되어 있으면서도 도시 개발환경이 매우 열악한 환경이라든지, 공업시설 환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적 특징을 보여 준다. 이에 군집된 지역으로는 북정, 약사, 두서, 서생 등 모두 13개이다. This study has analyzed Ulsan as the object to find the central area of the city and also studied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of regional cities and urban spatial structures. First of all, after examined the forming process of the central area and the changing process of urban spatial structures and analyzed variables of criteria which constitute a city like the population, the land, and the facilities with statistics. An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3 areas: CBD, minor CBD, and the rest of the areas. The conclusion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CBD area can be, again, divided into these 3 areas: the 1st CBD, the 2nd CBD, and the 3rd CBD. The 1st CBD area is Shinjung-dong(新亭洞) and includes all criteria of Ulsan these days as well as showing the best of local characteristics which express urban characteristics in the most powerful way; the 2nd CBD areas, the old CBD, 6 areas of Okyo-dong(玉橋洞), Sungnam-dong(成南洞), Boksan-dong(福山洞), and etc. where the population and land values are very high while the urban facilities are absolutely not enough that it has lead to the donut phenomenon losing its population and commercial environments slowly because the urban infra-facilities have not been provided enough to meet the urban life standard; the 3rd CBD area, Samsan-dong(三山洞) and Dal-dong(達洞) where the urban environmental construction of the surrounding areas have completed as the urban criteria have simultaneously flowed into there because the urban area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Second, the minor CBD areas are 6 areas of Moogu-dong(無去洞), Taehwa-dong(太和洞), Yaeum-dong(也音洞), Junha-dong(田下洞), Nongso-dong(農所洞), and etc. Moogu-dong(無去洞) including Ok(玉洞), Yaeum(也音), and Taehwa(太和) areas are on the CBD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continuing the urbanization due to the external expansion of the central area while Junha(田下) and Nongso-dong(農所洞) have the characteristics formed their own unique urban environments by the leapfrogging expansion due to the low accessibility from the central area. Especially, Nongso(農所) has lower accessibility than Junha(田下) since there is the greenbelt area between Nongso(農所) and the existing CBDs; however, it has its own CBD as it has established the agriculture and industry complex and their residential districts. Third, the other areas are 3 areas of the transition, the decentration, and the suburb. The transitional area is the area, on the minor CBD in a wide view point, where has the convenient urban environments with ease of using sources from the surrounding areas. The transition area includes Byungyoung(北亭), Bangoe(伴驅), Ilsan(日山), Hwajung(華亭), Nammok(南牧), and so on. These areas had no accessibility to the urban environments, but the re-structuralization or improvements of their environments have created the population influx in the areas. The decentrational area has the greenbelt area between it and the existing towns according to the urban plan and has built urban environments with leapfrogging. In addition to that, it has also constructed adjusting urban environments suitable to their locality. It includes Hyomoon(孝門), Onsan(溫山), Onyang(溫楊), Bumsu(凡西), Oongchon(熊村), Sannam(山南) and etc. These areas are comparably in agricultural environments having separated access to the existing towns. After the rural and urban consolidation in 1995, the external size of Ulsan has expanded very wide; nevertheless, Gun areas with the exception of formal towns, the areas where there have been no self-urbanization, show highly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tendency that there have been no urban developments yet. Although they are in the city of Ulsan, they show the rural characteristics which urban development environments are very inferior and industrial facility environments cover the most of the areas. They are 13 areas of Bookjung(北亭), Yaksa(藥泗), Doosu(斗西), Susang(西生),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