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Learning Center using Ubiquitous Technology in residential community facilities

        Yeran Moon,Hyunsuk Son,Yongse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ICCC International Digital Design Invitation Exhib Vol.2009 No.12

        Currently, housing complexes apply ubiquitous technology to various home networks for convenience of residents and are increasingly more interested in activating community facilities. The ubiquitous system of households in a town house has been much developed but less applied to community facilities within a complex. This study examined new programs and learning spaces which advanced techn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incorporated into, with ubiquitous technology applied. Examine ubiquitous services applied to community facilities as residents are more interested in extensive education and larger learning spaces and to consider learning spaces that can support services for teenagers through U-education, U-library, and U-consensus. And quality of learning space and service system which ubiquitous technology applies to, so it could be much easier for teenagers to get learning information and better enjoy a cultural life.

      • KCI등재

        The Emergence of British Blackness

        Yeran KIM 도시사학회 2009 도시연구 Vol.1 No.-

        I discuss how London as the one of the most vivid postcolonial, metropolitan city was racialised in the 1980s. The sociopolitics of this urban space is characterized by ‘race’ as a site of contestation. The processes, politicisation of blackness and racialisation of London will be examined towards the formation of London’s racialised regime. In exploring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race, space and political power, I will argue for mutual productivity in the ‘politics of identification’. That is, governmental power (Self) and British black subject (the Other) are at once contesting and productive in the construction of multiracial identities.

      • KCI등재
      • KCI등재

        가상공간의 공동체 문화 탐색-사이월드 문화를 중심으로

        김예란(Ye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4 언론과 사회 Vol.12 No.3

        이 논문은 가상곤간에 관한 미래지향적이며 기술중심적인 사고로부터 벗어나, 현실과 가상이 공존하는 일상세계에서 가상문화가 접합되는 방식을 분석한다. 탈맥락적인 기술담론을 벗어나, 이동과 정착의 모순적 질서가 공간화된 지점으로서 ‘집’과 미디어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후기산업사회의 첨단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사적 소유구조석에서 집은 그 자체가 이동성과 사사화의 상징적 공간으로 표상되어 왔다. 이에 가상공간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안적인 ‘집’과 공동체 문화를 분석함으로써 그 안에서 잠재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친밀성 관계의 재편성 및 공동체적인 매체수용의 특성들을 고찰하였다. 특히 사이월드 문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디어 홈의 가상화에 따른 개인적 공간 구성방식의 변화, 자기성찰적 표현행위의 활성화, 친밀성에 근거한 의미공유체로서의 가상공동체 문화의 특징들을 읽어내었다. This article analyses a way in which real and virtual cultures are articulated within everyday life through people using media technologies across the border between them. It is criticized that from a futuristic perspective of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has been unjustly romanticized as emancipatory and transcendent, as, for example, the human subject often appears free from any materialistic,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in cyber space.<br/> It is suggested in the current study that media culture has been developed deeply embedded within the contradictory situation in which the orders of mobility and settlement are intertwined. In this sense, the notion of home is drawn up for it has been regarded as a symbolic space in the realization of mobility and privatization in the contemporary mass communication society. Thus, an alternative mode of building communities is focused on in the cultural practice of cyber space. Despite its technological attributes of mobility and individualism, popular desire both for staying and belonging seems to be pervasive. The phenomenon of cyber practice of belonging reflects the social trend in which the structure of intimacy is changing. The case study of the Cyworld, a popular internet site of blogging, reveals a specific way constructing cyber communities, based on the activities of making selective human relationship, reciprocal exchanging of cultural text and sharing the locus of meaning. These virtual cultural practices reflects a virtual community culture, which is rooted in reciproca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instead of claiming for any form of autonomous individuality or anonymous mass. As described in a general context of contemporary media culture, an virtual subject is neither entirely autonomous and atomic nor subject to the trend of nomadology. On the contrary, he/she. rejecting conventional norms of individualism and family and community,<br/> desires for constructing a community as a network between meaning - sharers.<br/> The notion of virtual community as a semantic network leads to revising the reductionist view of contemporary media culture as just mobile and individualistic. Furthermore, what is important may be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 of virtual community as-being-made in the present. That is, I would suggest, the emergence of an discursive experiment in virtual space of subject active1y constructing 'my' relationship of intimacy, which has all the way been marginalized in the dominant principle of modern public life world.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문화생산 공간과 실천에 관한 연구

        김예란(Ye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1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전개된 한국의 문화화를 창의성에 대한 구조와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문화판은 후기자본주의 체제에서 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화의 한국적 지역화의 과정이자 산물이다. 문화판의 맥락적 요소로서 창의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신자유주의적 문화경제의 흐름과 함께 한국사회가 경험한 문화정치학적 변화의 과정을 검토하고, 문화판의 행위적 요소로서, 창의성을 중심으로 하는 청소년문화의 이행기적 성격과, 문화적 구별구조의 유지 및 변화의 양상을 제시한다. 문화판은 창의성을 촉진, 관리하기 위한 산업적, 정치적 체제를 함축하는 공간적 재현이며, 동시에 주체가 그러한 구조적 관계와 사회적 권력작용을 주관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규율하는 재현적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문화정책의 확장과 문화산업의 급성장은 젊은 세대에게 노동과 소비를 아우르는 생활세계로서 문화의 장을 열어주었지만, 선택과 원리가 보다 치열해지고 암묵적이고 정교한 구별체계가 유지, 강화되는 것이 문화판의 현실임을 확인한다. 이런 점에서 문화판은 문화적 실천 욕구를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불균등한 사회적 관계와 이질적인 아비투스가 충돌하고 각축하는 갈등의 장이기도 하다. 현재 문화생산인들의 상황은 실패와 소외의 경험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지만, 그들의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과정적 가치가 지니는 잠재적 가능성이 열려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looks into a Cultural Site, in which a subject of youth subculture has transferred into the social field of economy activities since the 1990s. It is observed that contemporary discourses of creativity and actions of creative industries have spread within the global expansion of a neo-liberalist approach to culture. Furthermore, a local specificity of Korea's culturalisation is that active facilitation of creative industries at the level of cultural policies was in order to serve a civic demand on both culturalisation of politics and politicization of culture. The presence of Cultural Site as seen today is a consequence of negotiation between diverse social, historical, political relations and force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ies and cultural industries have opened up a living world of culture for the young people, in the sense of culture as the environment and object of work and consumption, it is also true that the logic of choice and competition has become further strenuous. And tacit and micro orders of difference have sustained and, perhaps, reinforced. The Cultural Site is a site not only of one's cultural exploration but also of different kinds of habitus clashing and rivaling. Creativity is objectified as an individual resource and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to be promoted and regulated in social and industrial orders. A trajectory in which young people as cultural consumers become cultural producers engages a process in which they experience regulations and learn to survive and respond them and eventually achieve technology and condition for their own cultural desires. Instead of taking a binary opposition of subjection or resistance, it is suggested that unstable working condition, order of gender and sexuality, routineness of isolation, and reorganization of living time and space consist of the young people’s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While those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are not free from failure and isolation, we can expect a future perspective, by relying on these procedural values.

      • KCI등재

        진실, 비판 그리고 저항 : ‘양심선언’부터 ‘소셜 네트워크 진실 발언’까지

        김예란(Ye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4

        이 글은 진실을 지향하는 윤리와 정치를 ‘진실 실천’이라는 개념 아래, 비판과 저항의 관계 속에서 조망한다. 진실, 비판, 저항의 논의들을 검토하며 그 주체적 실천의 형태로서 파레시아를 주목한다. 그 이론적 바탕 위에서 한국 사회에서 진실 실천의 역사적 사례로서 ‘양심선언’운동 사례와 현재의 ‘소셜 네트워크 진실발언’을 분석한다. 197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군부독재정권의 권위주의 체제와 민주화시기를 거치며 양심선언운동에서 양심이라는 특정한 개념이 사회적으로 공유되며 진실의 윤리적 기준이며 민주주의 실행의 원리로 형성된 방식이 탐구되었다. 이어 현재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대중의 삶 안에 보편화된 진실 발언 현상에 주목하여 사적 개인들이 네트워크화된 공개적 형태로 전개하게 되는 진실 실천이 가지는 특징을 해석했다. 양심선언이 윤리적 경로(반성과 양심의 회복)를 통한 정치적 목표를 추구한다면, 소셜 네트워크의 진실 발언은 정치적 제도에 기반을 두어 윤리적 목표(관계와 권리 창출)를 추구한다. 전자를 ‘정치적 파레시아’로, 후자를 ‘윤리적 파레시아’로 부를 수 있다. 전자가 폭압적인 정치체제에서 ‘자유’를 진실의 가치로 제시한다면, 후자는 이미 자유가 통치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평등’을 진실의 가치로 제시한다. 또한 전자가 정치 변화를 통한 개인의 양심의 회복, 즉 구원을 추구한다면 후자는 개인의 존엄성 회복을 통한 사회 변화를 도모한다. 이 같은 차이점들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진실 실천은 자신을 급진적으로 변형하는 윤리적 가치와 권력에 대한 비판으로 수행되는 정치적 가치를 동시에, 공통적으로 내재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a politico-ethics in relation to truth with the concept of practice of truth. My discussion is based on Michel Foucault’s and others’ theories on truth, critique and resistance. In Korean context, conscience manifestoes and truth enunciation on social network are analysed. The former was ignited under military despotism in the 1970s-early 90s, and the latter has recently emerged and become prevalent in the present biopolitical regime. Conscience manifestoes are conceptualised as political parrhesia and truth enunciations on social network as ethical parrhesia. The one is characterised to pursue political freedom by the means of the realisation of political objective and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dom, while the latter to pursue ethical values related to relation and right, on the basis of governmental rationality. Despite of such differences, the both share the ethico-political values underlined with self-formation and critique of power.

      • KCI등재

        디지털 창의노동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9 No.1

        디지털 창의 노동이란 문화화와 소비주의가 확장하며 노동질서의 유연성과 불안정성이 격화하고 신자유주의적인 이념이 지배적인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유 · 자율 · 자발을 추구하는 에토스와 문화적 창의성과 참여를 지향하는 실천들이 디지털 네트워크를 매개로 왕성하게 촉발, 발현, 교통되고, 이들이 정치·경제·문화 권력과 다양한 방식들로 접합 혹은 분절하는 노동 문화를 의미한다. 디지털 창의노동은 개인의 자유를 기치로 표방하는 신자유주의적인 이념 체제 안에 있으면서도 기업화된 디지털 자본주의의 자장 안에서 생성되기에 통치권력과 주체형성의 모순과 갈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창의성과 열정, 자기 혁신과 성공적인 미래와 같은 긍정적 가치가 강조되는 동시에 이것을 실행하는 경제적 합리성과 자기 경영의 원리가 중시된다. 그 과정에 주체의 의지, 기업의 경영기술, 대중의 익명화된 권력, 사회적으로 팽배한 상상과 환영의 힘들이 개입하면서 자기 통치적인 주체가 형성된다. 이처럼 디지털 창의노동자는 창의성과 자유의 문화적 가치를 지향하고 디지털 네트워크의 참여성과 자발성의 가치를 추구하기에 오히려 신자유주의적인 경제 체제에 타협적으로 접합되는 역설 안에 있다. Beyond the technological behaviorism-oriented notion of prosumers,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question of digital creative labour of the youth in the interrelated context of post-capitalist crisis and neoliberal ethos of selfhood. This analysis is situated particularly in the social conflicts and struggles in Korea, wher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recariza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have been increasingly aggravated (in the realm of embodied reality) whereas their digital activities have been highly expressive (in the realm of mediated reality). The contradictions embedded in the question of the labour of the youth are delineated in the respect of the subjectivities of young free labour, or ‘digital creative labour’ in proposed terms: the precarious young free labour in Korea is the compound of social fragmentation, economic polarization, expansion of cognitive and emotion labour, boom of hedonistic consumerism, economic-cultural celebration of creativity and self-entrepreneurship, technological saturation of digital media, subjective/collective affects around excitement and ambition but also of anxiety and fear. The ambivalence and complexity of the young free labour is converged at the emergence of homo-economicus (Michel Foucault) through the subjectivation of the social (con)fusion of post-capitalist crisis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of selfhood.

      • KCI등재

        ‘스마트’ 체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김예란(Ye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2 언론과 사회 Vol.20 No.1

        이 연구는 우리 시대에 어느 순간 등장해서 사회적 세계를 포화시키고 있는 ‘스마트’가 하나의 장치로서 구축되고 주체에 의해 자기형성의 기술로 실행됨으로써 스마트 체제가 구축되는 원리를 제안한다. 스마트에 관해 장치와 주체의 윤리학이라는 영역을 살펴봄으로써, 구조/인간, 기술/의미, 자본/문화의 식으로 양분되어 진행되었던 기존의 스마트에 관한 사고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스마트라는 이름의 특정한 ‘장치’는 ‘통제’라는 고유한 방식의 권력을 발휘하여 주체의 자발적인 자기형성의 기술로 실천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여기서 권력과 주체의 상호연관성과 복합적인 역동성이 강조된다. 이를 통해 스마트의 물적 구조인 지구적 자본주의적 속성에 천착한 비판론적 입장과 인간 주체의 역능에 기대를 거는 낙관론 간의 간극을 좁히고, 두 영역의 경계, 중첩, 교차 지대에 현존하는 스마트 주체의 성격을 조명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주력한 다른 하나의 문제는 스마트 장치와 주체 형성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실재적 요인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TV라는 구체 분석대상을 설정하고 이것이 하나의 장치로서 구축될 수 있도록 한, 기술 산업ㆍ미학ㆍ문화적 계보학을 추적하였다. 스마트TV는 지구적 디지털 자본주의의 환경에서, 20세기 이후 발전한 전자미디어 체계와 21세기의 지배적인 양식인 디지털 인터넷 체계가 융합한 산물이다. 그것은 첨단의 스마트 기술들을 동원한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통제 장치이며 사람들의 감각을 훈련시키면서 통제성과 연결성에 대한 권능을 선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힘의 작용이 억압 대신 상품과 서비스의 형태로 보급되는 바, 개인의 적극성과 자발성을 자극하고 유도함으로써, 주체로 하여금 혁신, 쾌락, 행복의 가치를 취득할 수 있는 기술로 전유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스마트 기술은 생산, 기호, 권력, 자아의 기술들을 융합하며 주체의 윤리학의 현실적인 방법론으로 작동하게 된다. 가치를 전유하는 윤리학에 기댈 때, 스마트 기술의 실천이 현실 순응적으로 ‘훈련’되거나, 혹은 대안적 ‘실천’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들은 여전히 열려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theorize ‘smart’ as dispositif and ethics of the self, as these two elements of structure and human practice of ‘smart’ converge to the constitution of ‘smart regime’. The interactivity and complex dynamics is highlighted in the thinking of smart regime. Through the articulation between dispositif and ethics, this approach intends to overcome the binary separation between pessimistic critical theory and optimistic functionalism in the thought of smart regime. For, the zone of boundary, overlapping, and crossing is underscored in articulation between objective dispositif and subjective ethics. I analyse the cultural materialism and social reality in the concreate area of smart TV. Technological, industrial, content aesthetic and cultural genealogy have been to converged in the emergence of smartTV. SmartTV as a kind of dispositif, works in the way of controlling the subject to voluntarily and actively appropriate smart technologies in the project of self-formation. As having becoming the norm in contemporary society, being smart symbolizes ethical values such as happiness, innovation, newness and coolness, and the truth of the self in the contemporary times of neoliberal digital capitalism at large.

      • KCI등재

        우리 - 사람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0 No.2

        한국 사회에서 자신을 이루는 사람들에 대한, 혹은 사람들에 의한 앎의 형성이란 곧 우리의 주체성 실천의 과정이다. 주체성은 자신에 대한 성찰 속에서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의심되고 수행되며 갱신되는 자아의 진실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의 주체의 해석학을 탐구하는 이 글은 생명에 대한 인식이 관통하는 가운데, ‘대중, 민중, 다중, 인민, 공동체’의 언어 고리들로 구성된다. 1960년대에는 전후의 궁핍한 상황에서 모호한 덩어리로서 대중이 형성되는 가운데 내면의 의식세계를 가진 개인이 등장한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는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위험(빈곤, 독재)에 대한 투쟁 현장에서 거대하고 강고한 이념적 연대가 집결된다. 한국의 민주화와 함께 그러한 적대 구조가 해체되는 한편 신자유주의적인 지구화 체제의 모순이 심화하는 가운데 구체적이고 특수한 위치들마다 차이와 변화를 함축하는 특이성들이 생성되고 이들이 유기적인 방식들로 연결된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거시 · 미시적인 통치성에 접합하는 다수로서 다중과 인민, 공동체에 대한 사유들이 성장한다. 개별과 보편, 차이와 공동의 원리들이 공존할 수 있기 위해, 다중과 인민성에 관한 급진적 사고의 바탕에는 열린 단수성과 소통적인 집합성을 추구하는 공동체의 윤리적 기획이 연동한다. 한국 대중에 관한 자기 인식은 여러 이론들을 변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현실과의 관련성 안에서 특정한 이론들이 수용되었고, 그 이론들이 선별되어 현실에 접합되거나 탈구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앎의 행위와 의미들을 창출했다. 이는 우리 - 사람에 대한 자기 지식이 개별 이론의 내부에서 완결적으로 설명되는 대신, 이론들이 이 땅에 뿌리내리고 싹트고 성장, 변형되는 과정 속에서, 그들 사이의 관계가 설정되고 연동되는 실행을 통해 우리 - 사람에 대한 성찰적 이해가 만들어졌음을 뜻한다. 이 평탄하지 않은 역사는 앎의 실천을 거치며 한 사회의 집합적 주체성이 형성되는 치열한 생각의 운동성을 보여준다. 주체의 해석학이 완성되는 종결지는 없다. 그 한계는 늘 반성되고 갱생되어야 한다. The formation of knowledge of the people of Korean society is the social practices of collective subjectivity. Subjectivity is the truth of the self, which is incessantly created, questioned and modified in the milieu of self-reflection.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hermeneutics of the subject of Korean society, a conceptual framework is proposed, which, with the notion of life embedded, consists of a historical sequence of the popular, minjung, multitude, people and community. The period of 1960s saw the ambiguous mass of lifes floating, the individual with his/her own interior world of consciousness emerge. The ideological solidarity is formed in the the next two decades, in contestation with immediate and physical threatening such as poverty and dictatorship.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global expansion of neoliberal regime gave a re-birth of multitude and people which is characterized with their pursuit of the co-existence and co-realization of singularity and universality on the ethical principle of the open and communicative radicality.

      • KCI등재후보

        사회적 담론공간 분석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본 연구는 사회적 담론의 형성, 발전 변화 과정을 공간적 모델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담론들 간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권력관계의 복합성과 유연성, 역동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담론 공간은 내부/외부라는 차별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개별담론이 사회적으로 지각, 인지, 통용되기 위해 공간 내부에 진입해야 하며, 권력 획득 정도에 따라 사회적 담론공간 내에 중심부/주변부라는 불균등한 위치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회적 담론공간에서는 다차원적인 권력관계가 다방향적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후기 자본주의의 실제 정치과정에서 신자유주의적 정치권력과 신보수주의적 문화권력이 대두하면서, 사회적 담론공간이 개인주의적 소비주의나 획일적인 집단주의로 동질화되고 양분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더불어 선택적이고 차별적인 문화적 시민권이 사회적 담론공간을 규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시권력과 거대권력 혹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충돌하는 권력의 중첩지점, 즉 지배권력 대한 타자적 위치가 저항적인 개별담론들이 성장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타자의 담론이 사회적으로 생산되고 전달될 수 있는 민주적인 담론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alysing complexity, flexibility and dynamism of social discoursive spac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ocial discourse is analogous to that of a spatial structure of social discourse. Post-capitalist society has seen New-Liberalism and New-Conservatism have become dominant,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citizenship. It is argued that the position of otherness, in which those binary structures (inside/outside or centre/margin) collide and collapse, is where subversive discourse can emerge to dominant discursive power.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mocratize social discursive space, through which the Other becomes able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social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