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김순규(Soongyu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아동의 주거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아동의 주거빈곤 연구는 대부분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심각성을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동 주거빈곤의 심각성과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당사자인 아동의 주거경험을 면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빈곤 9가구에 살고 있는 아동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 인터뷰에서 16개의 하위범주와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6개 상위범주는 “불편함이 일상이 되어버림”, “주변이 안전하지 않음”, “숨기고 싶은 공간이 됨”, “집이 아닌 집밖에서 많은 시간을 보냄”, “일찍 철이 들어 버림”, “더 나은 공간을 기대함”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아동의 주거빈곤 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case study examined children’s experience of housing poverty with the aim of informing social welfare policies to alleviate this problem. Previous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qualitative studies examining the seriousness of housing poverty in relation to child development. However, to address the problem of children living in housing poverty, more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children’s experience. Therefore, we collected data from nine childr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data qualitatively. Consequently, we derived six thematic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The six thematic categories were “discomfort as normal,” “unsafe surrounding environment,” “hiding housing conditions due to shame,” “spending more time outside the home,” “becoming more mature compared to peers,” and “looking forward to better hous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children living in housing poverty.

      • 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개인, 가족, 환경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주재(Choojae Lee),김순규(Soongyu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환경요인을 살펴보았다. 개인요인으로 건강상태, 여가・체험 활동을 살펴보고, 가족요인으로 경제적 수준, 부모의 양육방식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환경요인은 학교환경에 초점을 두고 성적, 또래관계, 교사관계를 검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문제 검토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학교 1학년(3차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선정된 자료는 SPSS 18.0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요인인 부모의 양육방식이었으며, 다음으로 환경요인인 또래애착, 개인요인인 건강상태, 환경요인인 성적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의 양육방식이 긍정적이고, 또래애착이 높으며,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성적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adolescents’ self-esteem. Individual factors were the adolescents’ health status and their leisure activity experiences, while the family factors were families’ socio-economic status(SES) and parenting styles. Three environmental factors focusing on the adolescents’ school environment were studied, and they consisted of academic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The study inquiries were as follows: which individual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adolescents’ self-esteem? Which family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adolescents’ self-esteem? Which environmental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adolescents’ self-esteem? Of all the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which factors had the greatest effect on adolescents’ self-esteem?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3rd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of Korean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have an effect on adolescents’ self-esteem was parenting style, while peer attachment, health status, and academic attachment were also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adolescents’ self-esteem.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ers suggest various strategies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to improve adolescents’ self-esteem.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

        이주재 ( Choojae Lee ),김순규 ( Soongyu Kim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7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아동복지분야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가? 둘째, 아동복지분야 사회복지사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가?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이 매개효과를 갖는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그리고 소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정(+)의 유의미한 관계가 확인되었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도 정(+)의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아동복 지분야 사회복지사의 이직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hild welfare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306 child welfare workers from multiple child welfare agencies in the Jeollanam-do area. Participants were purposively selected and completed an online survey containing demographic questions and measures of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Findings indicat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burnou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result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strategies designed to reduce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hild welfare workers. Implications for policy chang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urn.

      • KCI등재
      • KCI등재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삶의 목표의 매개효과

        정지현 ( Jeong Jihyeon ),김순규 ( Kim Soongyu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두 변수의 관계에서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삶의 목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조사 자료 중 6차년도(2015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가구소득의 하위 25% 이하 집단을 저소득가정으로 추출하여 총 45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삶의 목표가 체험활동시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삶의 목표는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삶의 목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으며,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소득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시간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보다 삶의 목표를 경유하여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이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 발달을 위해 대상의 집단별 배경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정책이 제공되어야하며 체험활동을 제공하는 전달체계의 전문성이 강화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goa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time i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To this end, the sixth-year data (2015) from the elementary school fourth-grade panels of the KCYPS 2010 were used, and a total of 453 participants were analyzed. SPSS 22.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data.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time in experiential activities among low-income adolescents and life goals directly influenced the career identity. Second, it showed that not only did life goal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time i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career identity among low-income adolescents, but also it completely mediated its relation. Name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direct impact of participation time in experiential activities among low-income adolescents via life goals on career identity was much more evident than its direct effect on career ident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s that the customized policy on career support, considering background and trait by group of low-income adolescents should be provided to shape and develop career identity among low-income adolescents. Plus, it implies that the expertise on the system serving experiential activities to low-income adolescents should be reinforced.

      • KCI등재

        중국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의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박수영(Piao Xiu-ying),김순규(Kim Soongyu)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연변지역 조선족 가족으로 부모가 해외취업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부모가 해외취업중인 청소년은 부모와의 장기적인 별거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부모와의 장기 별거로 우울・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살펴보고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변지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에 해당하는 총 16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국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의 우울·불안은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조선족 청소년의 우울・불안 수준을 줄이고, 자아정체감의 향상을 통해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 target is adolescents from overseas-employed families. Adolescents from overseas-employed families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because of long term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identity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overseas-employed families in Yanbian, China.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285 middle school students and 167 valid questionnaires which marked as overseas-employed family, SPSS 24.0,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ce from overseas-employed families in Yanbian, China. Furthermore, depression, anxiety, and self-identity had significant interactions with school adaptation.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ers suggest various practical strategies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to improve the self-identity and school adaptation of Chinese-Korean adolescents in China

      • KCI등재

        이중문화수용태도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

        전예빈,정수경,김순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24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그 관계에서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1기 9차 자료(2019)의 고등학교 3학년 1,121명을 PROCESS macro for SPSS(V.3.5.2) 및 STATA 17.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군집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문화수용태도에 따른 유형은‘한국문화친밀형’,‘외국문화친밀형’,‘이중문화친밀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군집유형에 따른 학교적응과 사회적위축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이중문화친밀형이 다른 두 유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사회적위축이 낮고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든 집단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위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는 이중문화친밀형과 한국문화친밀형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이 한국과 외국문화 중 어느 한쪽만이 아닌 두 영역 모두에서 수용적이고 친밀한 태도가 형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해 한국문화와 외국문화 특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이중문화수용태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사회적위축을 낮추고,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withdrawal levels of multicultural youth in groups based on their acculturation attitudes. Secondary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in 2019 were us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and STATA 17.0. A total of 1,121 students in the 12th grad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of group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types of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ir attitudes towards cultural acceptance: a "Korean-culture-friendly group", a "Foreign-culture-friendly group", and a "Bicultural group". Second, when comparing average levels of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withdrawal of the three groups, the Bicultur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levels of social withdrawal but higher levels of school adapta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was confirmed in Bicultural and Korean-culture-friendly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communities, and schools should make sustained efforts to foster attitudes of cultural accommodation among young people with respect to both Korean and Foreign cultures in order to counteract social withdrawal and improve school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