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위 경골 골절 치료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의 비교

        이호민 ( Ho-min Lee ),김영성 ( Young-sung Kim ),김종필 ( Jong-pil Kim ),정필현 ( Phil-hyun Chung ),강석 ( Suk Kang ),조광석 ( Kaung Suk Jo ) 대한골절학회 2018 대한골절학회지 Vol.31 No.3

        목적: 본 연구는 원위 경골 골절 환자에서 관절면을 침범하지 않은 군과 단순 침범한 군에 따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의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비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위 경골 골절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총 5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 19예를 A군으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31예를 B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A군과 B군의 수술시간은 평균 72.4분, 65.7분, 골유합시기는 평균 16.4주, 15.7주, 골유합률은 100%, 93%였다. 최종추시에서 관절 운동 범위는 차이가 없었고, 평균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점수도 A군 90.1점, B군 90.5점으로 차이가 없었다. 관절면의 침범 유무에 따라서도 방사선적, 임상적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5도 이상의 부정유합은 A군에서 후방 각형성 2예, B군에서 외반 변형 5예, 불유합은 B군에서 2예 있었다. 결론: 원위 경골 골절의 AO 분류상 관절면을 침범하지 않은 A형 및 단순 침범한 C1, C2형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and intramedullary nailing (IMN) of distal tibial fractures, which were classified as the simple intra-articular group and extra-articular group. Materials and Methods: Fifty patients with distal tibial fractures, who could be followed-up more than 12 months, were evaluated. Group A consisted of 19 patients treated with MIPO and group B consisted of 31 patients treated with IMN. The result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y radiological and clinical assessments.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s in groups A and B were 72.4 minutes and 65.7 minutes, respectively. The mean bone union times in groups A and B were 16.4 weeks and 15.7 weeks, respectively. The bone union rate in groups A and B were 100% and 93%, respectively. The ranges of ankle motion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score was similar: 90.1 in group A and 90.5 in group B.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were similar in the intra and extra-articular groups. In groups A and B, two cases of posterior angulation and five cases of valgus deformity of more than 5o were encountered. Conclusion: Both MIPO and IMN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in extra-articular AO type A and simple articular extension type C1 and C2 distal tibia fractures.

      • KCI등재

        정상 한국 소아의 중수골에 관찰되는 가성 골단의 방사선적 발현율 및 양상

        이호민(Ho Min Lee),김종필(Jong Pil Kim),강석(Suk Kang),김영성(Young Sung Kim),이민영(Min Yo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목적: 가성 골단은 소아의 성장 과정에서 수부 및 족부 비골단성 말단의 이차성 골화중심에서 기인하며 중수골 및 중족골의 골화 과정에서 드물지 않게 발견된다. 저자들은 한국인 소아의 수부에서 관찰되는 가성 골단의 방사선적 발현율 및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내원하여 수부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만 15세 미만의 한국인 소아 2,320명을 대상으로 비골단성 말단에 관찰되는 가성 골단의 발현율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대상 전체 2,320명 중 304명에서 수부의 가성 골단이 관찰되어 발현율은 13.1%였다. 남아의 가성 골단 발현율이 16.6%로 여아의 가성 골단 발현율 10.5%보다 높았다. 가성 골단의 호발 연령은 남아는 11세, 여아는 5세였다. 부위별로는 제1중수골의 가성 골단 발현율이 9.6%로 가장 높았으며, 제2중수골은 5.2%, 제5중수골은 2.5%로 조사되었다. 단일성 가성 골단의 발현율은 9.4%, 다발성 가성 골단은 3.7%였다. 불완전형 가성 골단의 발현율이 8.9%로 완전형 가성 골단의 발현율 5.6%에비 해 높았다. 결론: 정상 한국 소아에서 수부의 가성 골단은 13.1%의 발현율을 보였다. 가성 골단의 방사선적 양상과 분포를 숙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골 질환 또는 외상성 골절로 오인하지 않도록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Purpose: Pseudoepiphysis originates from the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 of the non-ossification end during the normal pediatric growth process. It is not uncommonly found in the course of metacarpal and metatarsal ossification. We investigated the radiologic prevalence and features of pseudoepiphysis in normal Korea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Sex and age distribution following radiologic prevalence as well as the features of metacarpal pseudoepiphysis of 2,320 Korean children aged below 15 years of age and younger who underwent hand radiography between January 2009 and February 2016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304 out of 2,320 patients had pseudoepiphysis on metacarpal bone, which is a prevalence of 13.1%. Male showed higher prevalence (16.6% for male and 10.5% for female). The peak age was 11 years for boys and 5 years for girls. The first metacarpal bone was most prevalent, with 9.6% of the total population, followed by the second metacarpal bone (5.2%) and fifth metacarpal bone (2.5%). The prevalence of single pseudoepiphysis was 9.4%, and that of multiple pseudoepiphysis was 3.7%. The prevalence of incomplete pseudoepiphysis was 8.9% and was higher than complete pseudoepiphysis (5.6%).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metacarpal pseudoepiphysis in normal Korean children was 13.1%.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radiologic features and distributions of pseudoepiphysis to avoid misinterpretation as a bone disease or traumatic fracture in pediatric patients.

      • KCI등재

        후과 골절이 동반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의 치료

        김영성(Young Sung Kim),이호민(Ho Min Lee),김종필(Jong Pil Kim),정필현(Phil Hyun Chung),박순영(Soon You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4

        목적: 본 연구는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에서 경골에 대한 고정술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기능적, 방사선학적 결과 및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기능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분류 42-A1, B1, C1)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16명을 intramedullary nailing (IMN)군으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4명을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군으로 분류하여 양 군의 골유합 시기, 술 후 각 정렬, 족관절 후과 골편의 전위 정도 및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군에서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및 AOFAS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시기는 IMN군에서 21.8주, MIPO군에서 23.1주였다(p=0.500). 최종 추시 평균 각 변형은 IMN군에서 관상면 1.8°, 시상면 1.6°를 보였고, MIPO군에서 관상면 1.2°, 시상면 1.7°를 보였다(p=0.131, p=0.850). 술 후 및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상 양 군 모든 환자에서 족관절 후과 골편의 전위는 없었고, 최종 추시에서 족관절 관절염은 없었다. 임상적 평가로 최종 추시에서 AOFAS 점수는 IMN군에서 평균 88.0점, MIPO 군에서 평균 87.6점을 보였다(p=0.905). 각 군에서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및 AOFAS 점수를 비교하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의 치료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은 영상학적, 임상적 결과에서 차이가 없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intramedullary nailing (IMN) and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for tibia fractures in distal tibial spiral fractures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as well as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 outcomes with and without fixation for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8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of 30 skeletally mature patients with tibial spiral fractures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classification 42-A1, B1, C1)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were analyzed. Six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IMN, and 14 patients were treated with MIPO. Depending on the surgical methods, th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by evaluating the bone union time, postoperative alignment, postoperative displacement of th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Moreover, the functional and clinical outcomes with and without fixation for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bone union time was 21.8 weeks in the IMN group and 23.1 weeks in the MIPO group (p=0.500). At the final follow up, the mean alignment was coronal angulation of 1.8°, sagittal angulation of 1.6° in the IMN group and coronal angulation of 1.2° and sagittal angulation of 1.7° in the MIPO group (conoral angulation: p=0.131, sagittal angulation: p=0.850). The postoperative and final radiologic evaluation showed no displacement of th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and excellent joint congruity in all cases. At the final follow-up, the mean AOFAS score was 88.0 on average in the IMN group and 87.6 on average in the MIPO group (p=0.905). The ankle range of motion and AOFAS score were similar in the fixation group and no fixation group for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Conclusion: Both IMN and MIPO for tibial spiral fractures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result in satisfactory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 KCI등재

        AO/OTA A2.2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서 압박 고나사와 골수강 내 금속정의 비교

        김종현 ( Jong Hyun Kim ),김종필 ( Jong Pil Kim ),김영성 ( Young Sung Kim ),정필현 ( Phil Hyun Chung ),강석 ( Suk Kang ),이호민 ( Ho Min Lee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1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 31-AO/OTA A2.2형에 대해 압박 고나사와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치료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AO/OTA A2.2형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해 한 술자에 의해 압박 고나사 혹은 골수강내 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 95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한 군은 압박 고나사(I군, 28예)를 사용하여 치료하였고, 다른 한 군은 골수강 내 금속정(II군, 67예)을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두 군 간에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결과로 지연나사의 끝과 골두 관절면까지의 거리, 대퇴 경간각의 변화, 골유합 시기 및 임상적 결과로 평균 수술시간, 출혈량 및 수혈량, 재원일수, 보행능력점수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술 후 합병증은 I군에서 지연나사의 과도한 활강 및 내고정물의 이완이 각 1예씩 발생하였고, II군에서 대퇴골두의 천공, 금속정의 파절, 심부감염이 각 1예씩 발생하였다. 결론: AO/OTA A2.2형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 사용되는 압박 고나사와 골수강 내 금속정을 비교한 결과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 between the compression hip screw (CHS) and intramedullary (IM) nail for the treatment of AO/OTA A2.2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95 cases of AO/OTA A2.2 intertrochanteric fracture, which were treated with CHS or IM nail by one surgeon from March 1994 to December 2009. One group was treated with CHS (Group I, 28 cases) and the other was treated with IM nail (Group II, 67 cases). We evaluated the mean operation time, the amount of bleeding and transfusion, hospital duration, radiological results and the clinical outcome with the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Results: Radiologically, the tip-apex distance, change of neck-shaft angle, and union tim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p>0.05). Clinically, the mean operation time, the amount of bleeding and transfusion, hospital duration and the mobility sco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lag screw slippage over 25 mm (1 case) and loosening of device (1 case) in group I. In group II, there were perforation of the femoral head (1 case), nail breakage (1 case) and deep infection (1 case).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ar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in the treatment of AO/OTA A2.2 intertrochanteric fracture, using CHS and IM nail.

      • KCI등재

        제1형 Monteggia 유사 병변과 동반한 간과된 변형 Essex-Lopresti 손상 -증례 보고-

        김영성 ( Young Sung Kim ),정필현 ( Phil Hyun Chung ),강석 ( Suk Kang ),이호민 ( Ho Min Lee ),김종필 ( Jong Pil Kim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3

        The authors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ith the combination of a Type I Monteggia equivalent lesion and Essex-Lopresti injury. This combination of injury is very rare, and an associated distal radioulnar injury is often missed. We hope our experience illustrates the need to examine the wrist joint carefully and to be aware of the potential for distal radioulnar joint instability in all patients with type I Monteggia equivalent lesions.

      •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국제 대회 경기 중의 손상 - 2011 경주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의 분석 -

        김종필,정필현,강석,김영성,이호민,최영화,Kim, Jong Pil,Chung, Phil Hyun,Kang, Suk,Kim, Young Sung,Lee, Ho Min,Choi, Young Hwa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가장 뛰어난 수행 능력을 가진 국가대표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국제 경기 중의 손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 경주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146개국 국가대표 950명이 전체 1,063 경기 중에 손상을 받은 5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연령별, 체급별 경기 손상률과 손상 부위별 손상 발생률과 손상 유형, 그리고 손상 양상에 따른 손상 부위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950명, 전체 1,063 경기에서 52명이 손상을 입어 5.47%가 경기 손상을 받았고, 1,000 경기 노출당(per 1,000 athlete-exposures, /1,000 A-E) 손상률은 24.46/1,000 A-E이었다. 여자의 손상률이 남자보다 높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12). 연령별로는 30세 이상에서 손상률이 참가자 100명당 17.39%로 가장 높았으며, 체급별로는 남자에서 87kg 이상에서 손상률이 9.23%로 가장 높았고, 여자에서 67~73kg 체급의 손상률이 18.18%로 가장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838). 손상 부위는 전체적으로는 하지의 손상률이 13.17/1,000 A-E로 상지나 두경부, 체간 부위보다 높았지만, 손상 부위별로는 수부 손상의 손상률이 5.17/1,000 A-E로 가장 높았고 슬관절 부위가 4.70/1,000 A-E로 다음이었다(p=0.714). 손상 유형으로는 관절 염좌의 손상률이 10.81/1,000 A-E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 순위로 남자에서는 골절의 손상률이 5.40/1,000 A-E로 높았으나 여자에서는 좌상이 9.63/1,000 A-E로 높았다(p=0.033). 중증 손상인 골절은 8예 중 4예에서 수부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2011 경주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국제 경기 중 손상률은 5.47%, 24.46/1,000 A-E였다. 전체적으로는 슬관절과 족관절의 염좌가 가장 많은 손상을 차지하였지만 중증 손상인 골절은 수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juries of the national elite Taekwondo players with the best performance in the international championship competition.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athletes who got the injury in the 2011 Gyeongju World Taekwondo Championship competi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rdy. 950 members of national team of 146 countries participated in this game, 1,063 matches were performed.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juries such as injury rate by gender, age, weight class, injured region and injury type. Results: Fifty-two athletes of 950 athletes in 1,063 matches got injured and injury rate was 5.47 per 100 participants and 24.47/1,000 athlete-exposures. Injury rate of female athletes was higher than mai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0.512). Injury rate of over 30 years old was 17.39 per 100 participants, and injury rate of over 87 kg in male weight class and 68 to 73kg in female weight class were highest than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0.838). Overall injury rate of the lower extremity was 13.17/1,000 A-E, higher than upper extremity or head and neck or trunk, but injury rate of the hand was 5.17/1,000 A-E, highest as a specific injured region, followed by the knee, 4.70/1,000 A-E (p=0.714). Injury rate of the sprain was 10.81/1,000 A-E, highest as an injury type, the second most common injury type was the fracture, 5.40/1,000 A-E in men, and was the contusion, 9.63/1,000 A-E in women (p=0.033). As one of the most serious injury, 4 of 8 fractures were occurred in hand. Conclusion: Overall injury rate of the elite Taekwondo players in 2011 Gyeongju World Taekwondo Championship was 5.47 per 100 participants and 24.46 per 1,000 athlete exposures. Although the most common type of injury was the sprain of the knee and ankle, the fractures were more commonly occurred in hand.

      • KCI등재

        수지의 재발성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Nora 병변)과 동반된 방골성 지방종

        강석(Suk Kang),정필현(Phil Hyun Chung),김종필(Jong Pil Kim),김영성(Young Sung Kim),이호민(Ho Min Lee),조광석(Kwang Suk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방골성 지방종은 성숙한 지방조직이 그 하부 골에 인접하여 발생하는 양성의 종양으로, 대부분 대퇴골, 요골, 경골 등과 같이 장골에 흔히 발생하며 국소적 피질골의 과골증이나 미란 소견이 보이기도 한다. 방골성 지방종이 수지에 발생하는 것은 아주 드물며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과 동반된 예는 보고된 적이 없다. 저자들은 64세 남자에서 8년 전 절제술을 시행한 후 재발된 제5 수지 근위지골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과 동반된 방골성 지방종을 치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Parosteal lipoma is a benign tumor of the mature adipose tissue that contacts the periosteum of the underlying bone directly. The tumor commonly arises in the long bones, such as the femur, radius or tibia, and often exhibits underlying osseous changes, such as a cortical hyperostosis or erosion. Parosteal lipoma arising in a finger is rare. Furthermore, there are no reports of parosteal lipoma associated with underlying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The authors present a rare case of parosteal lipoma of the proximal phalanx of the little finger accompanied by recurrent bizarre paro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in a 64-year-old male patient who had previously undergone an excisional biopsy at the same location 8 years earlier.

      • KCI등재

        긴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불안정성 고관절 전자부 골절의 치료

        정필현 ( Phil Hyun Chung ),강석 ( Suk Kang ),김종필 ( Jong Pil Kim ),김영성 ( Young Sung Kim ),이호민 ( Ho Min Lee ),허대정 ( Dae Jung Huh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1

        목적: 골절선이 하부로 연장되었거나 골수강이 넓은 불안정성 고관절 전자부 골절을 긴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치료한 후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불안정성 고관절 전자부 골절(AO/OTA 31 A2.2 이상) 환자들 중 긴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치료하고 추시 기간이 12개월 이상인 20예를 대상으로 방사선적 평가는 TAD, Cleveland index, 대퇴 경간각 변화,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 골유합 시기를 측정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수술 시간, 수혈량, Parker와 Palmer의 mobility score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유합의 시기는 평균 16.4주(10-21주), 대퇴 경부 지연 나사의 활강 거리는 평균 4.3 mm(1-10 mm), 술 후 대퇴 경간각의 변화는 평균 5.1°(3-8°)였다. 수술 시간은 평균 118분(60-140분), 수술 중 평균 수혈량은 2.0 pint(0-4 pint), Parker와 Palmer의 가동성 점수는 술 전 평균 7.5점, 술 후 평균 6.9점이었다. 결론: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 시에 골절선이 하부로 연장되거나 골수강이 넓을 경우 긴골수강내 금속정의 사용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treatment of unstable pertrochanteric hip fractures in which the fracture line is extended distally or the width of the canal is wide using a long intramedullary nai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10, we conducted an analysis of 20 cases of unstable pertrochanteric hip fractures (over AO/OTA 31 A2.2) treated using a long intramedullary nailing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Using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radiographs, we measured TAD, Cleveland index, neck-shaft angle,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 and union time. Clinically, we measured the operation time, the amount of transfusion, and Parker and Palmer`s mobility score. Results: The mean bony union time was 16.4 weeks(10-21 weeks). The mean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 was 4.3 mm(1-10 mm) and the mean varus angulation after surgery was 5.1°(3-8°). The mean operative time was 118 min(60-140 min), and the mean transfusion amount was 2.0 pint(0-4 pint). According to Parker and Palmer`s mobility score, mean preoperative score was 7.5 points and mean postoperative score at last follow-up was 6.9 points. Conclusion: In treatment of unstable pertrochanteric hip fractures, when the fracture line was extended to below the lesser trochanteric level or the medullary canal width was wide, use of a long intramedullary nail showed excellent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and can be regarded as a good treatment o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