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붉은 성녀” 루이즈 미쉘의 식민지 경험 -누벨 칼레도니에서의 이문화접촉 과정과 그 영향-

        현재열 ( Jae Youl Hyun ) 한국서양사학회 2013 西洋史論 Vol.0 No.118

        Louise Michel had been arrested for participation in the Paris Commune in 1871. She was condemned to deportation to the fortress, and then transported into Nouvelle-Caledonie in 1873. In 1880 when she returned to Paris, she was nicknamed, ``Vierge rouge (Red Virgin)`` for life. Why was this contradictory nickname given to Michel, the radical revolutionary and the revolutionary agitator? The answer lies in her deportation period in Nouvelle-Caledonie from 1873 to 1880. This period of her life had a great influence on her activities after her return. Nature, Canaques, and their culture of Nouvelle-Caledonie, after all, satisfied her original romantic and primitive temperament. So, her intensified temperament led to a preoccupation with the pre-Modern oral cultures and customs which were destroyed by the rise of Modern period. She then denied the Modern. Nouvelle-Caledonie, repeated the enfranchisement of the oppressed`s language and culture which she had confirmed in the Paris Commune. It seems that these experiences led Louise Michel to adopt Anarchism. However, the appearance that she was living and identifying with Nouvelle-Caledonie seemed devout and holy to other deportees and the French. It created the image of ``Red Virgin (Vierge rouge)`` among the people in France, and they carried forward the amnesty of Louise Michel. Since then, this image of her had prevailed until her death in 1905.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varlin@hanmail.net <mailto:varlin@hanmail.net>)

      • KCI등재

        브로델의『지중해』와 ‘해역세계(Maritime World)’

        현재열(Hyun, Jae-Youl) 효원사학회 2012 역사와 세계 Vol.- No.42

        Fernand Braudel was a grand historian representative of the French Annales School. He treated the Mediterranean as a historical world in his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Ⅱ(French ed., 1949, English ed., 1972). By analysing and understanding his conception of the Mediterranean in the Mediterranean, we attempt to help construct the "maritime world" conception used in the studies whi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view from sea. Braudel"s Mediterranean had not the only one meaning. For him, there were physical or geographical Mediterranean and historical Mediterranean. Thes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ough they had been naturally overlapped. In defining the Mediterranean, Braudel gave priority to its geography and environment. So, he devoted over 300 pages to them in his book. And then he explained the historical Mediterranean. In his opinion, the Mediterranean world is "a world-economy, a self-contained universe" linked by intermediary of "the geographical division of labour." Today, many historians who have studied history from sea have used the term of ‘maritime world". All of them declare that their own conceptions of "maritime world" are taken from Braudel"s Mediterranean. However, there exist more or less differentiations within them. Some historians consider primarily the geography and environment of their own objects like Braudel. But others put emphasis on the network of certain ocean areas, even though they also bear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in mind. The problem is not which of two points are right or wrong. All of them have their merits and faults. What we need is the coherent concept of ‘maritime world". Thus, what"s important is not the term but its content. If we wish use the ‘maritime world" conception from the persistent and coherent view-point, we must propose the main theme(ex. diaspora networks, trade networks, biological interactions, etc.) that make the certain sea areas into the maritime worlds.

      • KCI등재

        19세기 중반 항구도시 마르세유의 인터파(Les Internationaux) : 사회 구성과 활동

        현재열(Hyun Jae-Youl) 효원사학회 2011 역사와 세계 Vol.- No.39

        The First International(International Workingmen’s Association) was the fir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workers, which had been founded in 1864 and had been active till the early 1870s. It was a loss and flexible association rather than a monolithic and uniform organization. So, its sections had the substantial independence and executed autonomously activities. Then, the study on the First International must be done upon the foundation of the detail interrogation into its sections. In 1867, a section of First International had been founded under the leadership of J. Vasseur at Marseille, a Mediterranean sea-port city.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s Internatioanux’ of Marseille by their social composition and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ir ages, birth-places, and occupation are examined in some detail. Firstly, their distribution by age exposes that most of them wa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is fact indicates that they had been not influenced in a great deal by 1848 revolu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most of them were of the new generation of French socialism. Secondly, their birth-places illustrate that most of them had been from other region outside Marseille. This fact shows that Marseille, like Paris and other big cities at that time, had been undergoing the influx from the rurals. Especially, it is remarkable that the people from the places outside France(Corsica, Alger, Italia) took the considerable proportions. Thirdly, their composition by occupations proposes most evidently the characteristic of a sea-port city. The proportion of industrial occupations and building occupations reflects the radical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of Marseille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Also, the proportion of dock and harbor’s occupations indicates accurately the natures of Marseille as a sea-port city. After all, ‘les Internationaux’ of Marseille were not only the typical international socialists of that time, but also the regionalist socialist who bore fully the characteristics of a sea-port c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6 · 17세기 세계 은 흐름의 역사적 의미

        현재열(Hyun, Jae-Youl)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3

        본 논문은 16․17세기 세계 은 흐름의 현황과 그것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은의 동쪽으로의 이동에 대한 해석과 동쪽에서 은을 주로 받아들인 중국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16․17세기에 전 세계에서 생산된 은은 약 7만 톤 정도로 추정할 수 있는데, 이중 약 2만 톤 정도가 유럽을 경유하여 다양한 해양 경로를 통해, 아니면 아메리카에서 마닐라를 경유하는 갤리언 선 무역을 통해, 또 일본에서 역시 조선이나 여타 다른 해양 경로들을 통해 중국으로 유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아메리카산 은의 동쪽으로의 이동과 중국으로의 유입에 대해서는 유럽의 아시아에 대한 만성적인 무역적자의 균형을 잡기 위한 결제수단으로 은을 이해하기보다는 은을 비롯한 귀금속을 별개의 상품으로서 자체의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설명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고, 무엇보다 중국의 국내 사정에 따른 폭발적인 은 수요가 지역간 금과 은 교환 비율상의 불균형을 야기함으로서 전 지구적인 은 흐름을 발생시켰음을 파악하였다. 이런 은의 흐름이 중국 경제에 미친 영향은 물론 컸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중국이 가진 자체의 내적 발전과정과 별개로 또는 그것을 초월하면서 영향을 발휘한 것은 아니라는 점과 은 흐름의 부침만으로 명의 멸망과 같은 정치적, 사회적 격변까지도 일원화해서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점도 파악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factual states of world silver flow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pretations on the West-to-East flow of silver and on the inflow of silver into China. Generally speaking, I estimate that about seven ten-thousand metric tons of silver had been produced around the world in the two centuries, and about two ten-thousand metric tons of them had flowed into China mainly via sea-routes. To understand correctly the inflows of silver into China, the precious metals, such as silver must be taken as the distinct items and need to explain according to their own demand and supply. Among others, the explosive demands of China on silver due to its inner affairs had generated the silver flows around the world by bringing about the asymmetry of bimetallic ratio between regions.

      • KCI등재
      • KCI등재

        ‘대서양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현재열(Hyun, Jae-Youl)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8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8

        ‘대서양사(Atlantic history)’는 1990년대부터 초기 미국 역사나 아메리카 식민지의 역사를 연구하는 미국의 역사가들을 중심으로 제기된 역사학의 한 분야이다. 이 글은 대서양에 대한 수많은 역사연구에 기초하여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친 대서양의 역사를 기록한 폴 뷔텔의 『대서양』을 중심으로 대서양사의 연구성과와 현 상태를 점검하고, 아울러 지금까지 주기적으로 나온 대서양사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들에 기초하여 대서양사 분야 설정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뷔텔의 『대서양』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짐에도 유럽중심주의로 평가할 수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고, 이는 사실 현재 대서양사가 가진 한계이기도 하다. 이에 기초해 판단할 때 현재의 대서양사는 큰 틀에서 ① 해양권역 설정의 경직성, ② 유럽인의 팽창과 아메리카 식민 개척사에 대한 과도한 집중, ③ 노예제 및 노예무역의 역사의 포섭이 가진 부적절함이라는 세 가지 문제를 지니고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arguments on the originality and the uniqueness of the ‘Atlantic history’ as a field in history proposed since 1990s are releva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Sea(Ocean)-based history’. For this purpose, I will look at its definition and object ranges relying on the review essays involved in it, and advance a critical perspective on it on the basis of Paul Butel"s The Atlantic. His The Atlantic has a time range that spans from the Antiquity to the twentieth century beyond the Atlantic history"s time range(the six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ies), and has its own characteristic that it appreciates the exchange axis of the Atlantic since the early modern age to be evolved from East-West axis to North-South axis. Even if Butel"s book has these merits, nonetheless it takes the evolution of European explor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Atlantic as the basic framework, thus exposing awfully the Eurocentric perspective. This is not only the limitation of Butel"s book but also the reflection of the Atlantic history"s defect, since he wrote his book relying on the contemporary works of Atlantic history.

      • KCI등재

        일반논문 : 비교적 전망에서 본 식민지도시의 역사적 전개와 공간적 특징

        현재열 ( Jae Youl Hyun ),김나영 ( Na Young Kim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식민지도시 연구는 개별 식민지도시에 대한 구체적인 실증적 연구 작업과 이러한 작업의 경험적 결과에 기초한 이론적·방법론적 연구로 대별할 수 있다. 하지만 식민지도시 연구가 단순히 식민지적 경험의 구체성 확보와 그를 통한 역사의 특정 국면으로서의 식민지상 이해에만 목적을 둔 것이 아니라, 오늘날 현대의 규정적 문제점인 근대성과 그것의 가장 노골적인 발현형태로 상정되는 식민성의 이해를 목표로 한다면, 식민지도시 연구의 시점이 그 구체적·경험적 결과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근대성과 식민성에 대한 해명을 목표로 수행하는 식민지도시 연구는 일정한 이론적 천착과 추상적 수준에서의 방법론적 고민 위에 구체성의 확보로 들어갈 때에만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그런 면에서 이 연구는 개별 식민지도시에 대한 접근을 위한 전단계로서 좀 더 이론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식민지도시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먼저 본 연구는 일반적 수준에서의 식민지도시의 역사적 전개를 식민주의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연동하여 단계별로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식민지도시가 가진 일반적 특징과 공간적 특징, 특히 이중도시적 측면을 서구제국주의와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도시들간의 비교를 통해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체적인 결론은 이러하다. 19세기 이전 중상주의 시기의 ``상업적`` 식민주의 시기에는 주로 연안지역에 거점 형식의 도시를 통해 식민지도시가 전개된 반면, 19세기의 산업자본주의 시기의 ``산업적`` 식민주의 시기에는 식민지도시가 보다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특히 원료가공공업을 필두로 한 산업도시화와 화물집산지로서의 성격 강화가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한편 19세기 이후 식민지도시의 공간적 측면에서 이중도시론으로 표현되는 종족이나 계급에 따른 공간적 격리(segregation) 현상 역시 이전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식민지도시의 일반적 특징과 관련해서는 선행연구에서 정리한 30가지 특징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보아 좀 더 비교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에서 검토해야 할 점이 많음을 밝혔다. 특히 공간적 격리와 관계된 이중도시론이 가지는 지나친 추상성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실제 모습의 기각 부분을 도시 간 비교를 통해 드러냈고 이런 문제를 넘어서기 위한 좀 더 비교적인 측면에서의 식민지도시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The studies of colonial cities can be divided into the empirical researches on each of colonial cities and the theological and methodological systematization on the basis of findings out of them. However, if these studies aim to the illumination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which are the problematic points determining this world, they may obtain the meaningful gains only when they approach the concreteness underlying some of theological excavations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abstract level. Thus, this article attemp to understand the colonial cities in the theological and general level. being as a step towrd the approaches to each of colonial cities. The general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mercial colonialism period showed that the colonial cities of trading post type were scattered along various coastal regions. Secondly, the industrial coloni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witnessed that they had the multiple natures. In particular, their main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industrial urbanization including the processing industry with inherent materials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nature as an entrepot. On the other hand, in the spatial aspect, the colonial cities had exposed the spatial segregation on the ethnics and classes more clearly than ever. Thirdly, the 30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onial cities listed by Telkamp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ust attain the concreteness through the empirical and comparative studies on each of colonial cities. Above all, we find out that the conception of ``colonial duality`` is abstract excessively and must miss the real livings of people. Consequently, the colonial cities must be studied in the more comparative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제국 일본 도시계획가들의 도시사상

        현재열(Hyun, Jae Youl),김나영(Kim, Na Young) 도시사학회 2016 도시연구 Vol.- No.16

        이 글은 메이지(明治) 말기와 다이쇼(大正)기를 거쳐 쇼와(昭和)기에 이르기까지 일본에서 근대도시계획이 형성되는 시기에 주된 역할을 한 고토 신페이(後藤新平), 세키 하지메(關一), 이케다 히로시(池田宏), 가타오카 야스시(片岡安) 같은 주요 인물들의 도시관이나 도시계획론을 비롯한 도시사상을 정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 근대도시 형성과정에 대한 사상적 측면에서의 접근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는 이러하다. 이 네 사람은 모두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 초기에 출생하였으며 메이지 유신기에 일본의 근대국가화에 필수적인 ‘동량(棟梁)’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 네 사람이 몸담은 분야로 의학, 경제학, 법학, 건축학이라는 근대국가 구성의 기본 인프라를 제공하는 중심 요소들로 이루어진 점이다. 이러한 핵심 분야들에서 성장한 네 사람이 모두 일본 근대도시계획 형성의 중심인물로 활동했고 오늘날까지 일본 도시들이 가진 기본 축을 이루었다는 것은 일본근대 도시의 기본 특성만이 아니라 일본에서 구현되는 근대성에 대한 기본적 이해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들 모두가 서구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고 그 영향에 기초하여 도시계획에 대한 시각과 틀을 제시하고 있음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들의 도시관과 도시계획관은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는 듯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국가를 중심에 두고 도시를 생각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그런 점에서 도시계획 역시 이런 국가 중심의 도시에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그래서 인프라를 중시하고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경영을 전제로 한 도시계획을 생각하며 이런 도시계획의 실현은 다름아닌 제국 일본의 근대성을 적확하게 구현하는 도시의 실현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중 순전한 건축가적 마인드로 접근하는 가타오카 야스시에게서는 그런 국가주의적 속성이 그다지 드러나지 않는다고도 할 수 있지만, 어쩌면 이렇게 자기 분야에만 완전히 매몰하는 모습 또한 제국 일본 형성에서 한 분야를 차지하는 전문가들에게 요구된 기본 ‘덕목’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between the ideas of city and city planning of four modern Japanese planners (Goto Shinpei, Seki Hajime, Ikeda Hiroshi, Kataoka Yasushi) who played a prominent part in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planning from the late Meiji to the Taisho, so that it attempts to approach to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in view of the method of the history of ideas. All of these planners were born from the late Bakufu to the early Meiji, and growed up as the ‘pillars’ indispensable to the constitution of Japanese modern state during the Meiji period. Above all, it is noteworthy that all of them were in sectors that had given the basic infrastructures of the modern state constitution: Medicine, economics, law, and architecture. The fact that these four planners worked actively as the central figures of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planning and constituted the basic axes of Japanese cities can provide the foundation of understanding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odern city as well as the modernity embodied in Imperial Japan. It seems that their ideas of city and city planning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details. However, as a whole, they were common in that they thought the city focusing on the state, and so they approached to the city planning from the viewpoint that it would resolve the problems of city for the state. Therefore, they put stress on the infrastructures and pursued the city planning that premised the practical and rational management of city. It can be said that the fulfillment of this city planning was no more than the realization of city that incarnated accurately the modernity of Imperial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