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교육 수화통역을 중심으로-

        최상배 ( Sang Bae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교육 수화통역을 실시하는 고등학교의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청각장애학생 8명, 수화통역사 3명, 일반교사 3명, 특수교사 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해 일반교사와 청각장애학생 간의 인식 불일치가 있었다. 일반교사는 청각장애학생은 사회적 통합까지는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교육적 통합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청각장애학생은 청각장애학생이 수업에 참여하고 수업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 통합을 바라고 있었다. 둘째, 교육 수화통역을 통한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의 특성을 통역사 변인, 학생 변인, 교사와 수업 변인으로 구분한 결과, 통역사 변인으로 교육 수화통역사에게 필요한 능력은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 통역 대상자에 따른 통역 언어 사용 능력, 통역 정확성과 속도, 통역 기법, 교육 통역사의 역할 인지, 일반교사와 수업에 대해 의사소통하는 기술 등이었다. 학생 변인은 청각장애학생의 수업에 대한 동기 부여 정도가 중요한 요소였다. 교사와 수업 변인에서는 교사가 청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을 동일한 학업 성취 준거를 설정하여 지도하는 것과 교사가 수업 방법의 차이로 인한 통역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수업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였다. 셋째, 효율적인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교육 수화통역 제도의 법제화와 올바른 교육 수화통역사관의 정립, 청각장애학생의 정체성 확보 방안 강구, 잔존청력 활용을 통한 구어능력 신장, 일반교사의 청각장애학생 학업성취도에 대한 책무성 강화, 청각장애학교의 재구조화와 순회교사 제도 운영이 제기되었다. This research interviewed 8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3 sign language interpreters, 3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d one special educational teacher to study on reality and future direction of inclus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of highschool with sign language interprets, and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ment inclusion there was different expectation between teachers and hearing impaired students. Teachers were inclined to think that their social integration was possible and educational integration was difficult. But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anted educational integration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e instruc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inclusion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rough educational interpreting was interpreters, students, teachers/instruction variables, In interpreter variables the necessary abilities to educational interpreter were understanding the instruction, interpretation language usage according to objects of interpretation, accuracy and speed of interpretation, interpretation techniques, awareness of educational interpreter`s role an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bout instruction. In students`` variables important factor was student`s motivation degree to the instruction. Important factor of teachers/instruction variables were that teachers instructed with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s to hearing and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instructing according to interpreters`` difficulty. Third, future directions for efficient inclus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legislating the educ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ing, correct awareness of educational interpreter`s role, identification securement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strengthening of oral communication through residual hearing, strengthening regular education teachers` responsibilities for school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reconstructing the school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management of itinerant teacher.

      • KCI등재

        교사 수어능력 평가항목과 준거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상배(Choi Sang bae),원성옥(Won Sung Ok),이하영(Lee Ha Young),조민균(Cho Min Gyu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9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 담당교사의 수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과 평가준거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어능력 항목과 준거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어 전문가 19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델파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수어능력을 평정하기 위한 평가항목의 주요 범위는 수어 표현, 수어 이해, 수어 담화 영역이 추출되었다. 둘째, 수어 표현 영역에서는 비수지신호, 수어 공간 사용, 유창성, 정확성, 교사 역할 수행의 11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수어 이해 영역에서는 어휘, 지화, 비수지신호, 수어 문장의 4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수어 담화 영역에서는 시선, 메시지명료성, 화용 능력의 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수어 표현, 수어 이해, 수어 담화 영역에서 도출된 평가항목은 모두 18개였다. 이 연구 결과는 청각장애학생 담당 교사의 수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와 준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수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for the sign language ability of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e conducted the Delphi analysis twice for 19 sign language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ression, understanding and discourse of sign language were extracted as the main scope of the scale for assessing the teacher’ sign language ability. Second, eleven items such as the nonmanual signals, the use of space, fluency, accuracy, and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were derived in the expression. Four items such as vocabulary, fingerspelling, nonmanual signals, and sign language sentences were derived in the understanding. Three items such as eye gaze, message clarity, and pragmatic competence were derived in the discourse. There were 18 items in the expression, the understanding, and the discourse of sign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raining to improve the proficiency of teachers using the sign language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The results can be also used as the scale to assess sign language ability of teachers.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

        최상배 ( Sang Bae Choi ),이종민 ( Chong Min Lee ),이한나 ( Han Na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1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청각장애학교 11개교의 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 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자신의 수어능력은 5점 중에서 3.51 정도로 인식하여 중앙치(3.00)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나, 교사 스스로 수어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둘째, 실제로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수업을 할 때 수어능력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는 5점 중에서 3.79로 나타나, 수어능력 부족으로 수업과 생활지도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약 71%의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수준의 수어능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와 노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수어능력 향상을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정도는 5점 중에서 4.00점이었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자신의 수어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방법으로는 학교에서 시행하는 수어 연수 참석, 학교 외부 기관 연수 참석, 농인과 정기적으로 만남 순이었다. 셋째, 수어 연수를 진행할 때 한 반의 연수 적정 인원은 20명 이하가 가장 많았고, 직무연수 운영 방안으로는 온라인 연수, 온라인과 출석연수 결합, 출석연수 순이었다. 넷째, 유치원과 초등교사는 부모와 상담하기 위하여 수어능력이 필요하며, 연수 강사는 수어통역사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한 반면, 중등교사는 수업 진행과 학생 상담을 위하여 수어능력이 필요하며, 연수 강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어 연수를 실시하고 수어능력을 평가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a) to examine the awareness of Korean sign language competence of teachers of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and (b) to examine perceptions of promoting their skills in sign language. Two hundred and seventeen teachers of deaf students from eleven schools for the deaf responded to a survey on their self-reported sign language skills to instruct deaf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In the measurement using 5 Likert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ir competence in sign language was slightly high (M=3.51 out of 5). But interestingly, most of teachers find difficult and intimidating explaining certain ideas using sign language to instruct deaf students due to their lack of language skills in sign language (M=3.79 out of 5). Finally, approximately 71% indicated that they needed to possess fluent sign language skills to instruct deaf students. With regard to the efforts to improve their sign language skills, first, the scale on their own efforts was 4.00, second, their effort methods were attendances sign language training in school and, institutions, and regular meetings with Deaf person orderly, and third, proper number of persons attending in one class were less than 20 and management method of training were on-line, blended on-line and gathering and gathering in order.

      • KCI등재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최상배 ( Sang Bae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3

        TV 수화언어 방송통역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9편의 공중파 방송의 수화언어 방송통역을 분석대상으로 양적·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인 수화통역사가 평정한 수화언어 방송통역의 평균 통역률은 80%였고, 농인이 평정한 통역률은 78%였다. 통역사 간 통역률의 유의한 차이가 있어 통역사에 따라 다양한 통역률 차이를 보였다. 청인 수화통역사와 농인 모두 시사·상식 프로그램이 뉴스 프로그램보다 통역률이 높다고 평정하였고, 농인이 청인 수화통역사보다 수화언어 방송통역의 통역률이 낮다고 평정하였다. 이는 TV 수화언어 방송통역의 통역률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방송국에서는 뉴스 프로그램의 수화통역사를 선정할 때에는 뉴스 프로그램 수화언어 통역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좀 더 신중한 수화통역사 선정이 필요한 점, 수화언어 방송통역의 수요자인 농인 입장에서의 통역 수준 향상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수화언어 방송통역의 질적 분석 결과, 단어 수준에서는 생략, 첨가, 대치, 왜곡, 수정, 도치가 발견되었으며, 가장 출현이 많은 유형은 생략과 왜곡 유형이었다. 구나 절 수준에서는 생략, 대치, 도치가 발견되었으며, 수화언어 방송통역사는 수화언어의 공간적 특성과 의역을 통역 상황에서 활용하는 것이 제한되며 직역을 많이 활용하였다. 이는 수화언어 방송통역의 특성을 감안한 다양한 통역 기법 훈련과 통역 모니터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mad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V broadcasting interpretations on 9 broadcastings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sign language broadcasting interpretation. The average accuracy that sign language interpreter rated was 80% and the deaf rated was 78%.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interpreters in interpretation accuracy.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deaf rated that interpretation accuracy of current event & commonsense program higher than interpretation accuracy of news program, and deaf rated that accuracy of sign language broadcasting interpretation is more lower than hear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broadcast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interpretation skills, and to decrease individual differences of broadcasting interpreters.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of sign language broadcasting interpretation are omission, addition, substitution, distortion, inversion and modification at word level and most frequencies are omission and distortion. There are omission, substitution and distortion at phrase or clause level. Special training for sign language broadcasting interpretation and interpreter monitors are necessary because broadcasting interpreters have difficulties of maximizing the grammar of sign language using space due to literal than liberal transl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어문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참여 경험과 개선 요구

        최상배(Choi, Sang-Bae),김두영(Kim, Doo-Young),고은지(Ko, Eun-Ji)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수어문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가자가 인식하는 수어문학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개선사항을 초점집단면담(FGI)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 성인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농 성인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하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둘째, 수어문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수어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수어문학의 개념과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고 수어 혹은 수어문학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었으며, 농정체성에 대해 고민할 수 있었다. 셋째, 수어문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질 높은 수어문학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홍보, 관련 기관의 협조,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강의 개설, 체계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농인을 대상으로 수어문학을 포함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there are discussions on how to implement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af.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itu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af and attemp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operation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n operating the sign language literature program as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Deaf adults were not diverse and difficult to participate, so they could not meet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In addition, in this study, even though the programs were selected and operated from the domain of cultural arts education, which had a relatively high preference,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 program was still insufficient. Second,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ble to deeply understand literature through the sign language literature program, to develop their expertise in sign language or sign language literature, and to consider Deaf identity. Third, program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in order to become a high-quality sign language literature program, it was necessary to promote the program, cooperate with related institutions, open lectures for various learners, and operate a systematic progra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sign language literature for the Deaf.

      • KCI등재

        한국수화언어의 수형소 분석

        최상배 ( Sang Bae Choi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1

        한국수화언어의 수형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총 9,557개의 한국수화언어 단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화언어의 수형은 모두 69개, 변이형은 11개가 발견되었다. 이는 외국 수화언어의 수형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한국수화언어의 수형은 도상적인 특성이 강하며, 외래수화와 신생수화가 다수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수화언어 수형에서도 음성언어에서와 같이 최소대립쌍, 자유변이, 상보적 분포, 외현적 유사성(음성적 유사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한국수화언어의 고빈도 출현 수형은 9형, 1형, 주먹형, 지정형, 편손형, 5형, 부리형, 10형, 전화형, 6형 순이었으며, 저빈도 수형은 지숫자형이나 영문 알파벳형, 신조어에서 사용되는 수형이었다. 셋째, 한국수화언어의 두 손 수형이 다른 경우 비우세손 수형이 모두 28개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출현 빈도가 낮고 도상적인 수형이 외국 수화언어에 비해 다수 발견되었다. 이는 한국수화언어의 무표수형 정의의 기준에 출현 빈도뿐만 아니라, 농유아의 초기 습득 수형, 수화언어 학습자의 오류 분석, 조동의 편리성 등이 포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추후 한국수화언어의 수형소 연구에서는 생성음운론적 수형 연구가 필요하며, 수화소에 기반을 둔 한국수화언어 사전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형의 배열순서와 표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9,557 Korean Sign Language(KSL) signs to investigate handshape of KSL.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69 handshapes and 11 variants in KSL were found. This result reveal that KSL has many handshapes more than foreign sign languages because KSL handshapes are more iconic than foreign sign language and KSL has many foreign signs and neologism. And minimal pairs, free variants, complementary distributions, and handshape appearance similarity(phonetic similarity) were also found in KSL handshapes. Second, high frequent handshapes were in order 9, 1, fist, place, open hand, 5, beak, 10, phone, 6 handshape and low frequent handshapes were manual number types, English manual alphabet types, neologism handshapes. Third, nondominant hand handshape of two different handshape were 28, and among them low frequent and iconic handshapes were also found quite many. This facts mean that KSL unmarked handshape analysis criterion include frequency of handshape, acquisition handshape of Deaf early childhood, error analysis of KSL beginner, comfort of sign articulation. For the next study, generative phonological handshape study and studies on orthography and sequences of handshapes are necessary to make KSL dictionary based on cheremes.

      • KCI등재

        농학생과 가청학생의 음운인식 능력과 음운인식과 독해력 간의 관계 비교

        최상배(Sang-Bae Choi),안성우(Seong-Woo Ahn),김자경(Ja-Kyung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06 言語治療硏究 Vol.15 No.4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Dea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hearing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were 57 deaf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e deaf and 50 hearing 3rd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To find phonological awareness characteristics, t-test was used for response rate and reaction time between groups in syllable, body-rhyme, and phonemic level, and correlation was used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deaf students had 83%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level, which was higher than the hearing ones with similar reading ability. It means that though the deaf students has a lot of limitations to access to phonological information, they develop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to high level.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deaf students. Especially, phonological awareness of body-rhyme level and syllable level was positively 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This shows that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 is necessary to improve deaf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