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CK(내용교수지식)를 적용한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교수불안,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홍자 ( Cho Hong Ja ),임귀자 ( Lim Kyu J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PCK(내용교수지식)를 적용한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교수불안,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C시에 위치한 사범대학에서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45명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12주 동안 PCK(내용교수지식)를 적용한 과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기존의 일반적인 강의 위주의 과학수업이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불안, 교수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에 검사도구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CK(내용교수지식)를 적용한 과학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이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K(내용교수지식)를 적용한 과학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불안감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CK(내용교수지식)를 적용한 과학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CK(내용교수지식)를 적용한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applied science instruction 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activity anxiety, and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45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C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PCK-applied science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ientific knowledge than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anxiety than control group. Thir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teaching efficacy than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 PCK-applied science instruction promot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activity anxiety, and teaching efficacy.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CK-applied science instruction is worth utilizing as a proper and meaningful method to improv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activity anxiety, and teaching efficacy.

      • KCI등재후보

        실험중심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불안,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조홍자 ( Cho Hong J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중심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불안,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J시에 위치한 사범대학에서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10주 동안 실험중심 과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기존의 일반적인 강의 위주의 과학수업이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교수불안, 태도 및 자아존중감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에 검사도구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중심 과학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불안이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중심 과학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활동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중심 과학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중심 과학수업이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eriment-based science instruction 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ttitudes, and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65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J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experiment-based science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anxiety than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attitudes than control group. Thir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elf-esteem than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 experiment-based science instruction promot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ttitudes, and self-esteem.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periment-based science instruction is worth utilizing as a proper and meaningful method to improv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ttitudes, and self-esteem.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자연친화적 과학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홍자 ( Hong Ja Ch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3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과학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한 S유치원의만 5세 유아 48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24명씩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매주 3회씩 6주간 자연친화적 과학활동을, 통제집단은 기존의 일반적인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과학활동을 실시한 유아의 환경감수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친화적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친화적 과학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음을 보여준다. 이는 자연친화적 과학활동이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sc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ubjects were 48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the S kindergarten located in K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nature-friendly scienc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environmental sensitivity than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ientific attitude than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 nature-friendly science activities promoted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ature-friendly science activities is worth utilizing as a proper and meaningful method to improve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홍자 ( Hong Ja Cho ),안상화 ( Sang Hwa Ahn ),김여선 ( Yeo Su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언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위치한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각각 25명씩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3회씩 5주간 총 15회의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그림책의 문학적 특성 및 다문화적 맥락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과학활동에 있어서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접근이 가능한 교수·학습방법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language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five-year-old children from S kindergarten in G cit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with 25 children in each group.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 total of 15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5 weeks.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children of the comparative group took part in general science activities as usual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s i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its sub-areas. Second,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s i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se results mean that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language ability. The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used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multicultural context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us, this study suggests science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provide opportunities for a variety of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3차 평가인증지표 중요성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조홍자 ( Cho Hong-ja ),김동례 ( Kim Dong-r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제3차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인증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보통합에 대비하는 평가인증지표를 보다 다각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현장에서 실현성의 차이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150명, 유치원 교사 153명을 임의표집 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체계의 적절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각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표의 항목 중요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환경, 건강, 안전, 보육과정운영,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운영관리 하위영역의 대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지표의 구체적 항목중요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환경, 건강, 안전, 보육과정운영,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운영관리의 몇몇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들을 통해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평가지표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서 추후 통합평가인증지표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on the third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between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bjects were 150 daycare teachers and 153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domai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each group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operating system.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question content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 safety, and management sub-domains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items in the indicator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items such as child care environment, health, safety, operation of day care, child ca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t views on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which can be suggestive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in the future.

      • KCI등재

        과학활동 중 접하게 되는 오개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홍자(Cho, Hong-Ja),김영옥(Kim, Yo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활동 중 유아교사가 접하게 되는 유아의 오개념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검사를 위하여 과학 오개념에 대한 인식연구와 문헌탐색을 통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27문항으로, ‘과학활동 중 접하게 되는 오개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오개념에 대한 인지도’, ‘오개념의 형성 원인’, ‘오개념이 수업에 미치는 영향’, ‘오개념의 변화에 대한 인식’, ‘오개념 교정을 위한 대안’으로 구성되었다. 과학활동 중 접하게 되는 오개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오개념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으나 과학활동과 관련한 오개념을 확인하는 작업과 노력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올바르지 못한 과학 상식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개념들을 바르게 고쳐나가는 것이 과학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활동 중 접하게 되는 유아의 오개념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오개념에 대한 수업을 현장에 맞게 설계하고 다양하게 적용시켜보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misconceptio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ncountered during science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for early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in G city.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a perception research, related precedent studies on science misconception by Gomez-Zwiep(2008), Myeong-deok Jang(2009),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literature surveys. The completed questionnaire ultimately had 24 items in total as a result of modifying confusing items and excluding some difficult items. The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misconception consisted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misconception’, ‘current state of misconception’, ‘misconception’s influence on teaching’, ‘perception of change of misconception’, and ‘alternatives for correcting misconcep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ven though most of teachers didn’t have appropriate perception of children’s misconception, it appeared that they recognized the need to check and make an effort to identify children’s misconception related to science activities. Therefore, it implies that teachers’ identification and dispelling of children’s misconceptions- during science activities is important. There is a need to offer teacher training which are designed for teachers to identify and dispell children’s various misconceptions on-the-spot.

      • KCI등재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홍자(Hong Ja Cho),김영옥(Young Ok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보다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검사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관련문헌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얻어진 구성요소들을 가지고 유아교육 및 과학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만 5세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안을 구성하였으며, 3차에 걸쳐 유아교육 및 과학교육 전문가와 유아교사들에 의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최종시안을 구성하였다. 만 5세 유아 386명을 대상으로 문항양호도와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 영역 24문항 검사도구가 개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임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관련 연구와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적 탐구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및 프로그램 효과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assess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reviewed literature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identified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by analyzing test tools used or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selected components, we drafted questions for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ssessment tool. The first draft of the test was verified thrice by a group of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n after implementing the tool twice with 5-year-old children, the final test was developed, which was comprised of 24 questions. In Study 2, the adequac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in the test were verified on a sample of 386 5-year-old children. The adequacy of the question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for each question and measuring the discrimination of the questions. Reliability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Cronbach’s α or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s. Finally,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examined using th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 addition,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the present test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test developed by Lee(2001). In conclusion,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ssessment tool for young children, which was developed by extracting components suitable for assess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was found to be a stable instrument with verified reliability and validity.

      • KCI등재

        의료기관 가정전문간호사의 개인대처자원과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영임,근효근,조홍자,Kim, Young Im,Geun, Hyo Geun,Cho, Hong Ja 한국가정간호학회 2016 가정간호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levels of personal coping resourc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s, and job stress, an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in hospital-based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70 subject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pril to July, 2016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The means for personal coping resourc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s, and job stress were $3.7{\pm}0.43$, $3.4{\pm}0.55$, and $3.4{\pm}0.55$ out of 5, respectively. Personal coping resourc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However, both had no associations with job stres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eriences of home care nursing and hospital location were found to be predictors of job stress. Both personal coping resourc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tres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organiz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aimed at enhancing personal abilities to cope with stress at work. Additionall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other hospital-related characteristics that can lead to job stress in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 KCI등재

        부모의 부부갈등 요인이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배(Bae, Lee),조홍자(Hong-Ja Cho)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본 연구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를 어머니의 우울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측정변수에 대한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응답현황과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부갈등이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유아신체발달 중 유아신장 발달 간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특히 모부부갈등과 유아신장 사이에서 모우울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신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모우울에 관한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parental marital conflict on the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mother"s depression. Data from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2014) of the Child 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response statu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the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The study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overall cor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mother"s depression, and child’s height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depression between mother’s marital conflict and child’s height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basis for discussion on mother depression was laid as a factor influencing the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활동 불안,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김영옥(Kim, Young-Ok),이규림(Lee, Gyu-Rim),조홍자(Cho, Hong-Ja),차금안(Cha, Geum-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이 과학활동에 대한 불안과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192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에 따라 과학활동 불안과 교수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과학활동 태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학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과학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을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search for an appropriate education direction for science educa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levels have on their anxiety, attitude and teaching efficacy in teaching science. The research subjects were 192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of G city, and one-way ANOVA and post hoc Scheffe test were applied to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shows that while the teachers" anxiety and teaching efficacy about science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scientific knowledge, their attitude is not. This indicates that we should decreas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activity anxiety levels by offering systematic scientific knowledge for the teachers and provide systematic teaching and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