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스타인 거세육우의 출하시기에 따른 채끝, 꾸리, 홍두깨육의 이화학적 육질특성 및 지방산조성

        조수현,성필남,강근호,최순호,강선문,박경미,김영춘,권응기,박범영,Cho, Soohyun,Seong, Pilnam,Kang, Geunho,Choi, Soonho,Kang, Sun Moon,Park, Kyung Mi,Kim, Youngchun,Kwon, Eungki,Park, Beom Yo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riploin (m. longissimus dorsi), chuck tender (m. supraspinatus) and eye of round (m. semitendinosus) of Holstein steer beef produced from different fattening groups (18, 21, 24 mon-old).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riploin (9.14%) and eye of round (4.31%) from 24 mon-old groups when compared to the same cuts (6.53% and 2.63%) from 18 mon-old groups, respectively. Three muscles from 18 mon-ol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s (%)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p<0.05). The prote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uck tender (19.39%) and eye of round (21.09%) from 24 mon-old group than 18- and 21 mon-old groups (p<0.05).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lagen contents among three fattening groups. In meat color, striploin, chuck tender and eye of round from 21 mon-ol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IE $L^*$ (41.77), $a^*$ (20.98) and $b^*$ (10.87) values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p<0.05).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WBS) for three muscl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24 mon-old group than the other groups (p<0.05). The oleic acids (C18:1n9) contents of three muscles from 24 mon-old group were highest (p<0.05) among three groups. Total contents of MUFA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otal contents of PUFA including arachidonic acids (C20:4n6)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huck tender and eye of round muscles from 24 mon-old group (p<0.05).

      • KCI등재

        한우암소고기의 연령이 등심 및 우둔부위 일반성분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조수현,성필남,강근호,최순호,장선식,강선문,박경미,김영춘,홍성구,박범영,Cho, Soohyun,Seong, Pilnam,Kang, Geunho,Choi, Soonho,Chang, Sunsik,Kang, Sun Moon,Park, Kyung Mi,Kim, Youngchun,Hong, Sunggu,Park, Beom Yo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 암소(2-15세) 총 126두를 연령그룹별(그룹 1, 5세 이하; 그룹 2, 6-8세; 그룹 3, 9세 이상)로 구분하여 등심(loin) 또는 우둔(top round) 부위의 이화학적 육질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등심과 우둔 모두 연령그룹 1이 연령그룹 2 또는 3 보다 근내지방 함량이 높았고(p<0.05) 단백질함량은 등심에서는 연령그룹 1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우둔부위에서는 연령그룹간에 차이가 없었다. 콜라겐 함량은 등심은 연령그룹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우둔은 연령그룹 3이 다른 연령그룹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은 등심의 경우 연령그룹 1이 연령그룹 3 보다 $L^*$값(백색도)과 $a^*$값(적색도)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우둔은 $a^*$값만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연령 그룹 1의 등심이 연령그룹 3보다 가열감량(%)이 낮고 보수력은 높았다(p<0.05). 전단력은 등심과 우둔 모두 연령그룹 3이 연령그룹 1과 2보다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총포화지방산(SFA) 함량은 등심은 연령그룹 3이 그룹 1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우둔은 연령그룹 1이 총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함량이 연령그룹 3보다 높았고(p<0.05), 다가불포화 지방산(PUFA) 함량은 낮았다(p<0.05). 유리아미노산 함량 비교에서 연령그룹에 관계없이 alanine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glutamine, glycine, isoleucine, proline 등이었다. 한편, threon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phenylalanine, leucine 및 lysine 함량은 연령그룹 1이 가장 높았다(p<0.05). 향기성분은 3-methylbutanal, furfural, octanal, 케톤류의 1-(acetyloxy)-2-propanone, 알코올류의 1-octanol, 피라진류의 2,5-dimethylpyrazine, 2-ethyl-2,5-dimethylpyrazine 성분함량이 연령층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한우암소고기는 연령대에 따라 고기내 성분조성 및 육질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부위 또는 요리방법에 적합한 활용 또는 가공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meat quality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loin and top round of Hanwoo beef (n=126) depending on different age groups (G1, <5; G2, 6-8; G3, >9 years old).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 (%) was higher for loin and top round of G1 (p<0.05) than that in the other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groups for the top round; however, the loin of G1 had lower protein content (p>0.05). Total collagen content was lower in the top round of G3 (p<0.05). The loin and top round muscles of G1 had higher $a^*$ values and lower Warner Bratzler shear force values than that in the other age groups (p<0.05). The loin muscles of G1 were lower in percentage of cooking loss and higher in the water holding capacity than the loin in the other groups (p<0.05). The loin of G1 had lower total content of saturated fatty acids, whereas the top round of G1 had higher total conten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lower total cont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an that in the other age groups (p<0.05). Alanine was the highest free amino acid in the loin of Hanwoo beef, followed by glutamine, glycine, isoleucine and proline. The loin of G1 had higher contents of threon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phenylalanine, leucine and lysine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p<0.05). The loin of G3 contained higher 3-methylbutanal, furfural, octanal, 1-(acetyloxy)-2-propanone, 1-octanol, 2,5-dimethylpyrazine and 2-ethyl-2,5-dimethylpyrazine 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than the loin in G1(p<0.05).

      • KCI등재

        한우고기 육질등급 선호도에 따른 구매성향 특성 분석연구

        조수현(Soohyun Cho),신정섭(Jeong-Seop Shin),설국환(Kuk-Hwan Seol),김윤석(Yoon-Seok Kim),강선문(Sun-Moon Kang),서현우(Hyun-Woo 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쇠고기 소비트랜드는 소비자 요구와 선호도 등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우고기 구매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성향 및 선호도 조사를 통해 쇠고기 등급제 보완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17년 7월 24일부터 8월 14일에 걸쳐 서울, 경기도 및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무응답 등을 제외하고 최종 362명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등급 선호집단의 구매빈도 증가에는 마블링 형태가, 1+등급에서는 지방색이, 1++등급에서는 소득, 등급제 개선 의견, 마블링 함량, 마블링 형태가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선호등급이 없는 집단에서는 구매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구매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소도체 등급기준은 축산농가 및 산업체의 경제적 이익과 소비자 구매력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제도이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 의견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향으로 앞으로도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eef consumption trends are changing according to consumer needs and prefer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fundamental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e propensity of beef(Hanwoo beef) for improvement of Korean beef grading system. Consumers were recruited from Seoul, Gyeonggi-do, and 5 metropolitan cities, and surveyed from July 24 ~ August 14, 2017. The data obtained from 362 consumer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verification process.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the increased purchasing frequenc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consumer group showing preference in the Quality Grade (QG) of beef: marbling type 1QG, fat color 1+QG, and income, grade opinion, marbling contents and type 1++QG. Conversely, no factor affected the increased purchasing frequency in the consumer group having no preferred QG for beef (p>0.05). Our study determin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increased purchase frequency of beef among the different groups, classified depending on their preferred QG. The grading system is important since it directly correlates with profit for livestock farmers and the industry. We therefore propose that the grading criteria need to be revised reasonably but scientifically, considering various opinions of the producers and consumers.

      • 연령이 홀스타인 육우송아지 등심 및 우둔의 카르니틴,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조수현(Soohyun Cho),강근호(Geunho Kang),성필남(Pil-Nam Seong),박범영(Beomyoung Park),강선문(Sun Moon Ka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4 농업과학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연령이 홀스타인 육우송아지 등심 및 우둔의 카르니틴,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20두의 송아지들을 5두씩 4그룹으로 나누어 3, 6, 9, 12개월령까지 사육하여 도축한 후 좌도체에서 등심(ribeye; M. longissimus dorsi)과 우둔(top round; M. semimembranosus)을 시료로써 채취하였다. 카르니틴 함량은 등심과 우둔에 각각 0.79-1.16 및 0.65-1.26 mg/100 g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두 부위 모두에서 3개월령이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등심과 우둔 모두에서 대부분의 구성 아미노산이 12개월령에서 가장 높았다(p<0.05). 핵산 관련 물질 함량 역시 등심과 우둔 모두에서 구아노신 일인산, 아데노신 일인산, 이노신 일인산 및 이노신이 12개월령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던 반면(p<0.05), 하이포크산틴은 12개월령에서 가장 낮았다(p<0.05). 따라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홀스타인 육우송아지 고기의 카르니틴 함량이 감소했으나, 유리아미노산 및 좋은 맛과 관련된 핵산 물질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 on the contents of carnitine, free amino acid, and nucleotide-related compound in Holstein calf meat. Twenty calves were allocated into four age groups (3, 6, 9, or 12 mon of age; n=5/group), and ribeye (M. longissimus dorsi) and top round (M. semimembranosus) were excised from left side of each carcass on day 1 post-mortem. Carnitine contents for ribeye and top round were 0.79~1.16 and 0.65~1.26 mg/100 g, respectively, and those showed a tendency to be the highest in 3 mon group. The contents of majority of free amino acids were the highest (p<0.05) in ribeye and top round from 12 mon group. The contents of adenosine monophosphate, inosine monophosphate, and inosine were the highest (p<0.05) in ribeye and top round from 12 mon group, but hypoxanthine content was the lowest (p<0.05) in those from 12 mon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e decreases the carnitine content but increases free amino acid and good taste-related nucleotides contents in Holstein calf meat.

      • KCI등재

        早日里式石槨墓의 築造背景 硏究

        조수현(Cho, SooHyun)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61 No.-

        이 글은 울산·경주지역의 수혈식석곽묘 중 석곽 단벽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석곽묘에 대한 것이다. 기존에는 ‘이형(울산식)석곽묘’ 또는 ‘신라식석곽묘’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필자는 ‘조일리식석곽묘’로 명명하여 그 분포상과 축조배경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현재까지 울산지역은 5개소에 90기 정도. 경주지역은 10개소에 42기 정도가 보고되었고, 모두 4개의 형식으로 분류된다. 전체 분석이 가능한 104기 중에는 석곽의 장축이 3m이상의 것이 60기로서 약 58%에 해당하며, 울산지역이 경주지역에 비해 8:2 정도로 우세하다. 이러한 조일리식석곽묘는 신라토기 편년에 의해 모두 5단계로 분류되며, 조영시기는 5세기 3/4분기~6세기 3/4분기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조일리식석곽묘의 축조배경은 대호와 같은 대형 토기류 등의 부장증가로 인해 유물부장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러한 구조적 요인에는 울산 서부지역 묘제의 전통적인 지역성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일리식석곽묘는 울산의 서부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조일리식석곽묘 중 B형식은 고분군 축조집다나 내에서도 가장 상위급 피장자의 것으로서 전대 목곽묘의 전통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나 형태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bout the newly name "Joil-ril style stone coffin tomb" which has been named Ulsan style coffin tomb or Silla style stone coffin tomb that is made of arc with stone coffin of stone line tomb in Ulsan, Gyeungju area. In this studying, I would give the new name Joil-ril style coffin tomb by total analysis and would search the distribution and building background as followings. So far, It has been reported five places including 90 tombs in Ulsan area and 10 places including 42 tombs in Gyeongju area, finally classifies into 4 styles. Among the analysis-104 tombs, The stone-line tomb in Gyeongju area which are for 60 tombs and this figure can be about 58%. In conclusion that Ulsan area is much more superior than Gyeongju area in numbers as 8 to 2. Thus Joil-ril style stone coffin tomb can classify into 5 steps by recording chronological of silla pottery and the construction era can be set up 5th century-third quarter and 6th century-third quarter. In addition, The building background of Joil-ril style stone coffin tomb is considered to maximize the burial accessories space due to increasing a large class of pottery such as big jar, on the other hand it is a possibility that should be effected the strong region feature structurally. Especially. Joil-ril stone coffin tomb is ranged intensively in Western part of Ulsan area so that shoul be centered in this area, B type of Joil-ril stone coffin tomb is admitted the burial of dead person, a superior position among the tumulus of construction group which is the most well reflection of tradition in former ages.

      • KCI등재

        제초로봇 개발을 위한 2차원 콩 작물 위치 자동검출

        조수현(SooHyun Cho),이충열(ChungYeol Lee),정희종(HeeJong Jeong),강승우(SeungWoo Kang),이대현(DaeHyun Lee)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23 드라이브·컨트롤 Vol.20 No.2

        In this study, two-dimensional location of crops for auto weeding was detected using deep learning. To construct a dataset for soybean detection, an image-capturing system was developed using a mono camera and single-board computer and the system was mounted on a weeding robot to collect soybean images. A dataset was constructed by extracting RoI (region of interest) from the raw image and each sample was labeled with soybean and the background for classification learning. The deep learning model consisted of four convolutional layers and was trained with a weakly supervised learning method that can provide object localization only using image-level labeling. Localization of the soybean area can be visualized via CAM and the two-dimensional position of the soybean was estimated by clustering the pixels associated with the soybean area and transforming the pixel coordinates to world coordinates. The actual position, which is determined manually as pixel coordinates in the image was evaluated and performances were 6.6(X-axis), 5.1(Y-axis) and 1.2(X-axis), 2.2(Y-axis) for MSE and RMSE about world coordinates,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oybean area derived through deep learning was sufficient for use in automatic weeding system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우 거세 1<SUP>+</SUP>등급육의 대·소분할 부위별 일반성분, 무기질 및 비타민 조성

        조수현(Soohyun Cho),최용민(Yongmin Choi),설국환(Kuk-Hwan Seol),강선문(Sun Moon Kang),Hoa Ban Va,김윤석(Yoon-Seok Kim),김진형(Jin-Hyoung Kim),성필남(Pil-Nam Seong),문성실(Sung-Sil Moon),서현우(Hyun-Woo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고기 거세 1<SUP>+</SUP>등급육의 10개 대분할과 37개 소분할 부위에 대한 칼로리, 일반성분, 비타민 및 무기질 조성을 조사하여 소비자들에게 부위별 기초 영양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0개 대분할육 간 비교에서 등심, 채끝, 양지와 갈비는 에너지 함량(288.17~336.41 kcal) 및 지방 함량(23.61~29.36%)이 다른 부위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우둔육(22.14%)이 가장 높았고 갈비(16.05%)가 가장 낮았다(P<0.05). 10개 대분할육에 포함된 각 소분할육 간의 특성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대분할 등심육 내 살치살은 에너지, 지방, 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대분할 우둔육과 설도육 내에서 단백질 함량은 보섭살과 설깃살이 다른 소분할 부위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지방 함량은 설깃머리살과 삼각살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대분할 갈비육 내에서 제비추리는 수분, 단백질, 회분 함량이 가장 높았고,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가장 낮았다(P<0.05). 철은 우둔(우둔살 2.64 mg), 설도(보섭살 2.87; 설깃머리살 2.75; 도가니살 2.86 mg), 양지(양지머리살 2.40; 업진안살 2.44; 치마살 2.46; 앞치마살 2.31 mg), 갈비(토시살 3.38; 안창살 3.25 mg)가 높았다(P<0.05). 티아민 함량은 설도육 0.062 mg으로 가장 많았고 리보플라빈 함량은 안심육이 0.231 mg으로 가장 많았다(P<0.05). 판토텐산 함량은 사태육이 2.89 mg으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한우고기의 부위별 영양성분 분석 결과는 소비자들이 한우고기 섭취를 위한 부위 선택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e.g., calories, vitamins, and minerals) of 10 primal cuts and 37 retail cuts of 1<SUP>+</SUP> grade Hanwoo beef. Out of 10 primal cuts, loin, striploin, brisket, and rib cuts had the highest energy (288.17∼336.41 kcal) and fat (23.61∼29.36%) content. Significantly lower and higher protein content was found in the ribs (16.05%) and top round (22.14%),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cuts in the 10 primal cuts studied. An analysis of the retail cuts in each primal cut showed that the chuck flap had significantly higher energy, fat, and cholesterol than the loin cut. While studying the top round and bottom round cuts, no significant variations were observed among the retail cuts in terms of the energy and cholesterol content but higher protein content was found in the rump (21.82%) and the outside round (21.50%) and higher fat content in the outside round head (13.81%) and the tri-tip (13.74%). In the rib cuts, the neck chain was higher in protein (21.13%) and lower in fat and cholesterol than the other retail cuts. Among the primal cuts studied, the top round (top inside round, 2.64 mg), bottom round (rump, 2.87; outside round head, 2.75; knuckle, 2.86 mg) and ribs (hanging tender, 3.38; outside skirt, 3.25 mg) had significantly higher iron content than the other retail cuts in the same primal cuts. A study of the vitamin content showed that the highest thiamin, riboflavin, and pantothenic acid levels were found in the bottom round (0.062 mg), tenderloin (0.231 mg), and shank (2.89 mg) among 10 primal cu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in selecting retail cuts of Hanwoo beef based on nutritional information.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 개관

        조수현(Soohyun Cho) 한국인지과학회 2015 인지과학 Vol.26 No.4

        창의성은 독창적이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현대 사회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인류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창의성의 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창의성은 매우 이질적이고 복합적인 능력으로서 이를 하나의 능력으로 개념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창의성의 개별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창의성의 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관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주요한 구성 요소인 확산적 사고, 통찰, 관계적 사고 그리고 예술적 창의성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들을 소개한다.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창의성의 인지신경학적 기전과 관련하여 우반구가 좌반구보다 우세하다는 가설은 실험적 증거에 의해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창의성과 관련하여 특정 뇌 영역의 중요성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뇌 영역의 활동성이 창의성과 관계된다는 연구 결과가 혼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이한 연구 결과가 관찰되는 이유는 창의성의 각 구성 요소의 이질성 뿐 아니라, 연구에 사용된 과제의 특수성과 과제에 의해 유발된 인지적 전략의 차이에 의해 뇌 활동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개관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요소 별 뇌기반과 창의성의 증진에 대하여 우수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룬 대표적인 사례들을 소개하고 현행 연구들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Creativity refers to the ability to generate novel and useful idea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creativity and its enhancement is important in order to solve major problems of the modern society and to improve the wellness of mankind. Creativity is a highly heterogeneous and complex ability which should not be conceptualized as a single entity. Thus, the current literature on creativity is based on a component process approach to creativity.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cognitive neuroscience research studying the mechanism of divergent thinking, insight, relational thinking and artistic creativity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of creativity. Based on an expansive review, the early hypothesis of hemispheric asymmetr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right as opposed to the left hemisphere is not supported by scientific evidence. In addition, there is no consensus or consistency on which specific brain region is related to a certain component of creativity. In fact, there is a mixture of studies reporting involvement of various brain regions across all four lobes of the brain. This inconsistency in the literature most likely reflects heterogeneity of the component processes of creativity and sensitivity of the neural response to differences across tasks and cognitive strategy.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examples of representative studies reporting seminal findings on the neural basis and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based on innovative methodology. In addition, we discuss limitations of the current cognitive neuroscience approach to creativity and presen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관한 연구 : 직무요구-자원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조수현 ( Cho Soohyun ),이민영 ( Lee Minyoung ),이장희 ( Lee Janghee ),이상민 ( Lee Sang Min )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요구와 학업자원이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바탕으로 학업 장면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서울, 인천, 경지 소재의 정규 교과과정 중에 있는 8개의 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총 9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노력, 학업과몰입, 교사압력으로 구성된 학업요구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 모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 또래지지, 교사 자율성지지, 부모 학업적지지로 구성된 학업자원은 학업소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서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한계를 포함하여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ademic demands and resources into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Korean highschool students, applying Job Demands-Resources Model(JD-R) into academic settings. A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as performed on data that collected from 934 seniors in 8 different highschool on the regular curriculum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demands, resources, burnout, and engage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academic demands composed of effort, over-commitment, and teacher pressure had a positive effect both on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academic resources consisted of rewards, peer support,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parental academic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burnout an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The current study has its significance on applying JD-R model to academic setting and the further study as well as the limitation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