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혀동맥의 형태

        김희진(KIM Hee Jin),강민규(KANG Mill Kyu),김진학(KIM Jm Hak),박재한(PARK Jae Han),이상섭(LEE Sang Heon),이상헌(LEE Sang Sup),정인혁(CHUNG In Hyuk2)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0 No.2

        연구자들은 한국인 어른 남녀 시신의 머리와 목 61 을 대상으로 깊은 층 육안해부를 시행하여 혀동맥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혀동맥이 일어나는 유형은 위갑상동맥, 혀동맥, 그리고 얼굴동맥이 바깥목동액에서 따로 가지를 내어 나뉘는 경우가 563% 호 가장 않았으며, 얼굴동맥과 혀동맥이 강은 가지에서 얼어나 나뉘는 경우 (312%), 그리고 위 강상동액과 혀동맥이 같은 가지에서 나뉘는 경우 (12 5%) 등이 있었다. 혀동맥과 혀동맥의 둘째 부분은 덮는 목뿔혀근 과의 영대학적 관계는 각각 혀동맥의 첫째 부분이 목뿔혀근 뒤에서 심하게 휘어져 깊은 층으로 들어가는 유형 (41 2 %), 그리고 혀동맥의 첫째 부분이 목뿔혀근의 뒤쪽 근육모셔리 바로 뒤흘 지나 깊은 층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661% 로 가장 많았다 목뿔혀근 깊은층에서 혀동맥의 둘째 부분이 달리는 양상은 급하게 위쪽으로 꺾역 달리다가 다시 앞쪽으로 꺾여 혀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경우와 목뿔빼에서 혀쪽으로 완만한 굽이플 이루며 올라가는 경우가 비슷한 반도로 관찰되었다. 입안바닥에 분포하는 혀밑동맥이 혀동맥 셋째 부분에서 나오는 경우슨 전체의 590% 에서만 관창되었으며 그 외는 대부분 얼굴동맥의 턱끝 및동맥 가지가 턱옥뽕근응 옳고 입안바닥에 분포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한국인 업안바 닥에는 혀동액이 전체의 59%에서만 분포하며 그외는 영굴동액의 턱끝밑동맥 가지 , 그리고 기타 다른 동맥의 가지들이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의 후두정맥동

        정인혁(CHUNG In Hyuk),이혜연(LEE Hye Yeon),박경아(PARK Kyung Ah),강호석(KANG Ho Suk),양영철(YANG Young Chul) 대한체질인류학회 198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 No.1

        한국성인 사체 50구에서 후두정맥동의 변이를 조사하였다. 후두정맥동이 가늘게 하나가 형성된 경우 (40%), 없는 경우(32%), 큰 가장자리정맥동이 한쪽 (10%) 또는 양쪽(8%) 에스자정맥동과 연결된 경우, 두 개가 형성된 경우 (10%)가 있었다. 후두정맥동이 정 맥동합류 부위에서 끝나는 곳의 변이도 조사하였다. 사체와 뼈에서 관찰한 자료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고, 한국인과 외국인은 조사방법의 차이와 적은 표본 때문에 경향만 비교하였다. 후두정맥 동은 수, 크기 , 가장자리정맥동의 연결 형태에서 다양한 변이가 관찰되었다.

      • KCI등재

        한국인 삼차신경절과 두개강 내의 눈신경, 상악신경, 하악신경에 대한 형태계측학적 연구

        정인혁(CHUNG In Hyuk),이해연(LEE Hye Yeon) 대한체질인류학회 1990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3 No.1

        한국 성인 사체 50구(100쪽)에서 삼차신경절강에 위치하고 있는 삼차신경절과, 삼차신경뿌리 및 머리뼈 속의 눈신경, 상악신경, 하악신경을 관찰하고 각 부위를 계측하였다. 삼차신경절의 형태는 반고리형, 발굽형, 일자형, 내측가는형, 회측가는형, 사각형, 불규칙형으로 나위였으며, 그 중 반고리형이 가장 많았다. (54%) 삼차신경구멍에서 삼차신경뿌리의 복은 평균 6.08mm였고, 삼차신경구멍에서 신경절까지 삼차신경뿌리의 길이는 눈신경쪽이 8.28mm, 상악신경쪽이 10.16mm 하악신경쪽이 8.90mm였다. 신경절의 최대너비는 15.48mm였다. 복은 눈신경폭과 상악신경쪽이 5.25mm로 차이가 없었으며, 하악신경쪽은 4.92mm로 다른 부위보다 좁았다. 눈신경은 폭이 4.30mm, 길이가 17.89mm였고, 상악신경은 폭이 5.41mm 길이가 11.17mm 였다. 하악신경은 폭이 5.89mm 길이가 5.43mm였으며, 서상면에 대하여 39.7˚ 기울어져 있었다. 때때로 해면정맥동이 상악신겨으이 외측까지 뻗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하악신경 주위에서 도출정맥동으로 생각되는 정맥동을 관찰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 곧은정맥동의 변이

        정인혁(CHUNG In Hyuk),이혜연(LEE Hye Yeon),강원룡(KANG Won Yong) 대한체질인류학회 1989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 No.2

        한국성인 사체 50구에서 곧은정맥동의 형태학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곧은정맥동의 시작부분에 팽대가 형성된 경우가 22예(40%) 있었다. 완전한 중격이 형성되어 정동맥이 두 개로 형성된 경우가 6%였고, 부분적인 중겨은 16%에서 관찰되었다. 곧은정맥동이 끝나는 곳은 양쪽 가로정맥동이 52% 왼자로정맥동이 24% 정맥동합루가 18%였다. 곧은 정맥동의 평균 길이는 48.5㎜ 폭은 5.0㎜ 였다. 곧은정맥동으로 들어가는 천막정맥동이 양쪽 모두 없는 경우는 38%였고, 크기, 수, 끝나는 부위 및 양쪽의 차이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 눈동맥의 기시와 주행

        정인혁(CHUNG In Hyuk),이혜연(LEE Hye Yun),고기석(KO Ki Seok),서원석(SIR Won Seo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4 No.1

        한국 성인 머리 80쪽에서 눈동맥이 이는 부위의 미세해부와 눈동맥 줄기의 주행을 관찰하였다. 눈동맥은 대부분 속 목동맥의 침상돌기 윗부분에서 (92.5%) 이 동맥의 앞내축 또는 앞내측으로부터 일어났고 한 예에서 중간뇌막동맥에서 일어났다 눈동맥의 이는곳은 대부분 (88%) 시각신경에 가려진 부분에서 일어났다. 눈동맥은 대부분 시각신경관 (96.3%)으로 지나갔고, 68.8%는 경질막바깥공간에서 27.5%는 경정막바깥공간에서 시각신경관으로 들어갔다. 경질막의 낫모양주름이 속목동맥의 내측 모서리와 경치는 점에서부터 눈동맥이 경질막을 뚫는 점까지의 길이는 펑균 4.0mm 였고, 눈동액이 이는곳에서 경청악음 뚫는 점까지는 평균 4.4mm였다. 눈동맥이 일어나 휘이진 후 달리는 방향이 시상면과 이루는 각은 평균 52˚ 였다. 눈동맥의 지름은 평균 1.7mm 였다. 눈동맥 줄기의 주행은 11예 (13.9%) 에서 시각신경의 아래쪽으로 지나갔다.

      • KCI등재후보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의 연결 및 임상적 의의

        정인혁(In Hyuk Chung),윤관현(Kwan Hyun Yoon),라종주(Jong Joo Ra),김동환(Dong Hwan Kim),임중혁(Joong Hyuk Yim),시게노리 다나까(Shigenori Tanaka) 대한해부학회 1998 Anatomy & Cell Biology Vol.31 No.5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 사이의 연결 변이를 한국 사람에서 관찰하여 다른 종족의 것과 비교하고 이런 변이가 갖는 임 상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료로는 한국성인 팔 72쪽을 사용하였다. 72쪽 중 24예 (33.4%)에서 두 신경 사이에 연결이 있었다. 근육피부신경에서 정중신경쪽으로 연결 가지가 있는 것이 19.5%였고, 그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 것이 6.9%였다. 또 연결가지가 두 개 이상 있는 경우가 5.6%였고 한 예 (1.4%)에서는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이 하나의 줄기로 합쳤다가 갈라졌다.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뚫고 가지 않는 경우가 2예 (2.8%) 있었다. 연결가지의 유무와 관계없이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뚫고서 정중신경과 같이 달리다가 다시 가쪽으로 휘어서 달리는 경우가 5.6%였다. 팔을 모은 자세에서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지나는 곳에서 휘어지는 각도는 평균 159±9.0도였고 두 신경이 함께 달리다 갈라지는 경우는 각도가 더 적어졌다. 이런 각도를 근육피부신경의 압박증상과 관련지워 그 임상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the communicating branch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and the median nerves and to discuss their clinical significance. Seventy two arms from 36 Korean adults were used. Twenty four cases (33.4%) among 72 arms had communications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and the median nerves. In 19.5%, a communicating branch ran from the musculocutaneous to the median nerves and in 4.2% of these a communicating branch formed a loop. A branch running from the median to the musculocutaneous nerves was observed in 6.9%. There were more than two communicating branches between two nerves in 5.6%. The average angle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nerve proximal and distal to the coracobrachialis was 159±9�at adduction of the arm. The musculocutaneous nerve did not pierce the coracobrachialis muscle in 2.8%. One case (1.4%) showed partial fusion of the trunks of the musculocutaneous and median nerves. The musculocutaneous nerve ran next to the median nerve after the coracobrachialis muscle and coursed laterally in 5.6% with or without a communicating branch. In these cases, the angle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was more acute. The musculocutaneous nerve entrapment is discussed with this angle.

      • KCI등재

        해부학용어가 걸어온 길

        정인혁(In-Hyuk Chung),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1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0 No.4

        이 연구에서는 해부학용어의 기원과 국제해부학용어가 만들어진 과정, 국제해부학용어 제정원칙을 살폈다. 또한 우리나라에 영향을 많이 끼친 일본해부학용어가 발전해 온 과정을 기술하였다. 과거 우리나라 해부학용어는 일본해부학용어를 그대로 받아 사용하였다. 그러나 차츰 대한해부학회에서는 우리용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용어위원회를 구성하여 용어를 다듬기로 하였다. 용어위원회에서는 우선 용어 다듬는 방향을 세웠고 용어개정의 기본 원칙을 만들었다. 많은 회의를 통해서 용어를 다듬었으며 용어집으로 만들었다. 해부학용어집은 1979년 첫째판을 발행한 이후 다섯 차례 개정하여 2014년 여섯째판 용어집을 만들어 사용중이다. 여기서는 일본용어와의 차이점과 우리말 용어를 다듬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In this study, the origin of anatomical terms, the process by which international anatomical terms were made, and the making principles of international anatomical terminology were confirmed. We also describe the process in which the Japanese anatomy terminology (Termonologia Anatomica Japonica), which has been influential in Korea, has developed. Most of the past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used the Japanese term. However, the Korean association of anatomists gradual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own terminology and decided to refine the terms by forming a terminology committee. The terminology committee first laid down the direction for refining terms and made the basic principles of revising them. Through many meetings, the terms were refined and made into terminology book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The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has been revised five times since its first edition in 1979 to the sixth edition in 2014. Here, we illu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terms and Korean terms and the process of refining Korean terms using examples.

      • KCI등재후보

        겨드랑신경의 분지 변이와 형태계측

        정인혁(In Hyuk Chung),임중혁(Joong Hyuk Yim)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3

        겨드랑신경에서 분지되는 가지는 여러 해부학교과서에 충분히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네모공간증후군 때 나타나는 다양 한 증상을 이해하는데도 부족함이 많다. 이 연구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한국 성인 시체의 팔 127쪽에서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신경이 일어나는 형태,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나뉘는 유형과 가지가 나뉘는 위치 변이를 밝히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겨드랑신경, 노신경, 가슴등신경이 일어나는 유형을 가슴등신경이 갈라져 나온 곳에 따라 4가지 로 분류하였고 아래어깨밑신경이 분지되는 곳에 따라 각 유형을 다시 세분하였다. 가슴등신경이 일어난 후 노신경과 겨드랑신경이 갈라지는 경우가 42.5%로 가장 많았고, 가슴등신경이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지는 경우가 27.6%였다. 겨드랑신경 뒷가지가 나뉘는 유형은 작은원근가지가 갈라지는 곳을 기준으로 6가지로 분류하였다. 뒷가지에서 작은원근가지가 일어난 후 어깨세모근가지와 가쪽위팔피부신경이 갈라지는 경우가 50.8%였다. 아래어깨밑신경이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진 경우가 70.9%였다. 겨드랑신경이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갈라지는 곳은 네모공간의 어깨밑근 모서리부터 평균 61.3mm였고, 부리돌기 끝에서 겨드랑신경 줄기까지의 거리는 평균 39.9mm였다. 네모공간에서 겨드랑신경은 뒤위팔휘돌이동맥의 안쪽 에 있었고 동맥과 신경이 비슷한 높이에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나뉘는 변이와 그 임상적의미를 고찰하였다. The branches of the axillary nerve and branching pattern of the posterior cord of the brachial plexus are not fully described in the anatomy textbooks.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axillary nerve is needed to understand various symptoms of quadrilateral space syndrome. We studied on the branching patterns and variation of the axillary nerve and posterior cord of brachial plexus in 127 adult cadaver arms. The axillary, radial and thoracodorsal nerves arising from the posterior cord of the brachial plexu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oracodorsal nerve. The most common type (42.5%) was that the three nerves directly arising from the posterior cord. The thoracodorsal nerve branched from the axillary nerve in 27.6%. The posterior branches of the axillary nerve were divided into 6 types by the arising point of the nerve to teres minor muscle. The deltoid branch and lateral superior brachial cutaneous nerve were divided after branching of nerve to teres minor muscle in 50.8%. The lower subscapular nerve was branched from the axillary nerve in 70.9%. We measured the distances from the branching point of the axillary nerve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subscapularis in the quadriangular space and from the coracoid process to the axillary nerve. The length and motor point of the teres minor muscle were measured. The relationship of the axillary nerve and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y was observed. The axillary nerve was always medial to the artery and their superoinferior relationship was variabl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axillary nerve was discussed.

      • SCOPUSKCI등재

        펠턴 터빈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손실계수에 관한 이론적 분석

        정인혁(In Hyuk Jung),박주훈(Joo Hoon Park),김영수(Young Soo Kim),신유환(Youhwan Shin),정진택(Jin Taek Chung)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펠턴 터빈의 성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기존 이론식을 검토하고 분석에 적합한 이론식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론적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케이싱 형상 및 체적에 따른 펠턴 수차의 성능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케이싱 형상은 직사각형과 원형 케이싱에 대해서 성능시험을 수행하였고, 제시된 이론 방법을 통해 길이와 폭, 반경 등에 따른 케이싱 내 풍손실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케이싱 체적 및 형상은 풍손실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며 케이싱 체적이 작아질수록 풍손실이 감소되고 효율은 증가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펠턴 터빈에서 발생하는 여러 손실에 대한 분석 및 평가에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풍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싱 설계에 유용할 것이다.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elton turbines theoretically, the conventional loss models were examined and the theoretical formula suitable for the analysis was selected. A theoretical analysis method is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 test results according to casing shape and volume to verify the theoretical analysis method. The performance test was performed for rectangular and circular casing, and the amount of windage loss in casing was analyzed quantitatively by casing design parameters through the proposed theoretical method. It is considered that the casing volume and shape have a dominant influence on the windage loss. As casing volume decreases, the windage loss decreases, and the efficiency increases invers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losses occurring in Pelton turbines. Especially, the study will be useful for casing design that minimizes windage lo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