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합 구근 분말 첨가가 반죽 물성 및 제빵 가공적성에 미치는 영향

        정용면(Yong-Myeon Joung),이경석(Kyung-Seok Lee),황성연(Seong-Yun Hwang),손만자(Man-Ja Son),이기영(Ki-Yo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2

        소맥분에 백합 구근분말을 첨가한 물리적 특성은 백합 구근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farinogram에서 탄력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점탄성, 흡수율, 흡수 시간 및 안정도는 3%이상 첨가 시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apid viscoanalyzer(RVA)에서 유지 강도, 최종점도, breakdown, setback 값, alveogram의 Pmax값과 falling number 값은 감소하였다. 소맥분에 백합 구근의 첨가량과 입도 차에 의한 호화도 특성에서 초기 호화온도는 일반 분쇄 및 미분쇄 (10 ㎛) 백합 구근분말의 종류와 양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Rheofermentometer로 측정한 gaseous release 는 전체 CO₂ 가스 발생량과 보유량이 감소하였다. 기호도 검사에서는 백합 구근분말의 입도와 첨가 비율에 따른 식빵의 가공적성에서 식감, 향미, 맛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촉감과 크럼 색상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빵의 가공 적성에서 일반 분쇄 3%와 초미분쇄 3% 첨가군이 양호하였으나, 종합적인 평가에서는 대조구 다음으로 미분쇄 백합 구근분말 3% 첨가군에서 우수하였다. 이미 백합 구근의 항산화 활성 등 생리활성은 검증 되어져 발표되어 있는 만큼 제빵 가공에서 조직감의 문제를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건강 기능성 제빵으로 상품화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dded with lily's root powder, elasticity in farinograms tended to increase as the ratio of added lily's root powder increased. However, viscoelasticity, absorptivity, absorption time, and stability tended to decrease after an initial increase when a certain ratio of lily's root powder was added to the wheat flour. Results from the rapid viscosity analyzer (RVA) indicated that the retention strength, final viscosity, break down, set back value, Pmax value of the alveogram, and falling number value decreased. As for gaseous release, measured with a rheofermentometer, the total amount of CO₂ gas generated and retained tended to decrease. As for the gelatinizing properties in terms of differences in the granularity and the amount of lily's root powder (bulbs) added to wheat flour, the initial gelatinization temperature had no effect regardless of the type or amount of general grinding and minute (ultra-fine, 10 μm) lily's root powder. Meanwhile, the peak viscosity and peak viscosity time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3, 5% general grinding lily's root powder additive group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5% minute lily's root powder additive groups. This is likely because the activity of the enzyme in wheat flour decreased relatively and differences in the lily's root powder granularity resulted in a variation in water absorptivity. In the preference test, flavor retention of the functional bread increased according to the granularity of lily's root powder and the ratio of added lily's root powder, thus resulting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uth feel and flavor; the texture and crumb color, however, did not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 SCOPUSKCI등재

        부위별 식용백합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정용면(Yong-Myeon Joung),박수진(Soo-Jin Park),이기영(Ki-Young Lee),이지용(Ji-Yong Lee),서정근(Jeung-Keun Suh),황성연(Seong-Yun Hwang),박경은(Kyoung-Eun Park),강명화(Myung-Hwa Kang)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4

        본 실험은 백합의 생리활성 기능을 탐색하여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구근, 잎, 꽃을 3부분으로 구분하여 부위별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 전자 공여능, SOD 유사활성,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백합 부위별 총 페놀함량에서는 L. davidii 잎 0.068 ㎎/㎖, L. lancifolium 구근 0.039 ㎎/㎖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 davidii 잎 0.72 ㎎/㎖, L. lancifolium 구근 0.65 ㎎/㎖로 측정되어 백합 품종 및 부위에 따라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에 큰 차이가 있었다. 백합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L. davidii의 잎 82.7±2.8%, 꽃 66.1±6.7% 구근 50.6±2.0%로 잎에서 가장 높았다. L. landicolium 에탄올 추출물은 잎 74.9±3.5%, 꽃 73.9±4.1% 및 구근 60.0±4.7%로 나타났다. 백합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결과 L. davidii 에탄올 추출물의 소거능은 잎 81.8±2.7%, 꽃 81.4±4.6%, 구근 80.9±7.1% 이었고 L. lancifolium 추출물은 잎 76.4±4.6%, 꽃 81.4±4.6%, 구근 84.5±1.2%로 나타나 품종별, 부위별로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L. davidii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 측정 결과 잎 24.9±5.6%, 꽃 14.9±0.4%, 구근 13.798±8.0%이었고 L. lancifolium 추출물은 잎 15.1±0.7%, 꽃 17.3±0.0%, 구근 13.3±0.2%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합 부위별 추출물을 이용한 그램 양성 균주에서 항균효과 측정 결과는 B. subtilis와 S. enteritidis에서도 L. davidii, L. lancifolium의 잎과 꽃에서 10 ㎜ 이상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특히 B. subtilis에서는 L. lancifolium의 꽃 부위에서 항균효과가 높았다. 또한 Gram 음성 균주에서는 Listeria monocytogenes 및 E. coli에서 L. davidii, L. lancifolium의 잎과 꽃에서 10㎜ 이상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으며, L. davidii의 꽃과 L. lancifolium의 꽃, 잎에서 12㎜ 이상의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Lilium sp. were separated into bulbs, leaves, and flowers. Then, 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measured from the extracts of each of the three aforementioned parts. The examina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 the three parts revealed that Lilium davidii leaves had high total polyphenol contents, SOD-like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EDA, while the flowers of L. lancifolium showed high SOD-like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EDA, as well as a high level of total polyphenols in the bulb. Measurements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revealed that the leaves and flowers of L. davidii and L. lancifolium caused Bacillus subtilis and Salmonella enteritidis to form clear zones greater than 10 ㎜. Furthermore, the flowers of L. lancifolium showed particularly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nd the flowers of L. davidii had high activity against S. enteritidis. For the Gram negative bacteria, the leaves and flowers of L. davidii and L. lancifolium caused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to form clear zones greater than 10 ㎜, and finally, the flowers of L. davidii and L. lancifolium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with inhibition exceeding 12 ㎜.

      • KCI등재

        유색보리 육성계통의 이화학적 특성

        최재성,박수진,정용면,김정곤,원미희,강명화,Choi, Jae-Seong,Park, Soo-Jin,Joung, Yong-Myeon,Kim, Jung-Gon,Won, Mi-Hee,Kang, Myung-Hwa 한국작물학회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suppl1

        계통이 다른 유색보리 40종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색보리, 춘추쌀보리와 올보리의 수분 함량은 No. 24가 7.4%로 가장 낮았고 No. 9가 10.8%로 가장 높았다. 또한 조단백질은 $9.7{\sim}12.8%$의 범위를 보였으며, 올보리의 단백질 함량과 유사한 범위였다. 조지방 함량은 No. 6이 4.35%로 가장 높았고, No, 34가 가장 낮은 1.35%를 나타내었다. 조회분 함량은 1.20%로 No. 31이 가장 낮았고, 2.35%로 춘추쌀보리가 가장 높았다. Ca 함량은 No. 10이 717.50 mg%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보리가 442.82mg%로 가장 낮았다. Mg 함량은 1320.00 mg%로 No. 10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903.30 mg%로 No. 28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Cu 함량은 No. 20의 경우 2.20 mg%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No. 33의 경우는 6.25 m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K 함량은 No. 20의 경우 723.24 m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No. 1은 1002.50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Mn 함량은 31.72 mg%로 No. 28이 가장 낮은 값을, 94,56 mg%로 일반보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beta}-glucan$ 함량은 No. 25가 5.20%로 가장 낮았고, No. 28이 14.46%로 가장 높았다. 또한 올보리는 6.26%나 유색보리가 올보리에 비해 {$\beta}-glucan$이 2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유색보리는 일반보리에 비교해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의 조성에 우수할 뿐 아니라 기능성 성분인 ${\beta}-glucan$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에서 균(菌)의 생육(生育)은 5일(日)까지, 구연산생성(酸生成)은 6일(日)까지 계속(繼續) 증가(增加)하였으며 6일(日) 배양시(培養時) 대당(對糖) 46%의 구연산(酸)을 얻었다. 전통의식(傳統意識)에서 탈피(脫皮)치 못하고 미신(迷信)에 젖어 있으며, 백미편식경향(白米偏食傾向)이 짙고 연중(年中) 혼분식(混粉食)을 계속(繼續)하지 못하고 아쉬움이 간절하다. 이런 점(點)이 하루빨리 시정(是定)될때 우리는 건강(健康)과 지능(知能)이 향상(向上)을 초래(招來)하고 소득증대(所得增大)를 도모(圖謀)하며, 자조자립(自助自立)할 수 있는 국민생활(國民生活)로 변모(變貌)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11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증자시(蒸煮時)에 일부(一部) 휘발감소(揮發減少)를 보였으나 건조중(乾燥中)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를 보였다. 6.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pyruvic acid, glutaric acid 등(等) 6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은 건조중(乾燥中) 감소(減少)되어 홍삼구(紅蔘區)들이 함량(含量)이 적으나 succinic acid만은 증가(增加)하였다. 7. Polyphenol 류(類)로 3-caffeyl quinic acid, 4-caffeyl quinic acid, 5-caffeyl quinic acid의 3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polyphenol은 건조중(乾燥中)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으며 특(特)히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에서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다. 8. 홍삼(紅蔘)들의 갈색도(褐色度)는 갈변촉진구(褐變促進區)가 가장 짙고 다 The below is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of 40 breeding lines of colored barley (CB) whose systems are different Water content of CB No. 24 showed the lowest value of 7.4% while CB No. 9 showed the highest value of 10.8%. Crude protein of CB $9.7{\sim}12.9%$ range was found. Crude fat content of CB No. 6 showed the highest value of 4.35% while CB No. 34 showed the lowest of 1.35%. Crude ash content of CB No. 31 showed the lowest value of 1.20%. Ca content of CB No. 10 showed the highest value of 717.50 mg% while general barley showed the lowest value of 442.82 mg%. Mg content of CB No. 10 showed the highest value of 1320.00 mg%. Cu content of CB No. 20 showed the lowest value of 2.20 mg% while CB No. 33 showed the highest value of 6.25 mg%. K content of CB No. 20 showed the lowest value of 723.24 mg% while CB No. 1 showed the highest value of 1002.50 mg%. Mn content of CB No. 28 showed the lowest value of 31.72 mg% while general barley showed the highest value of 94.56 mg%. ${\beta}-Glucan$ content of CB No. 25 showed the lowest value of 5.20 mg% while CB No. 28 showed the highest value of 4.46 mg%.

      • KCI등재

        건조방법을 달리한 보리 잎의 이화학적 특성

        박수진(Soo-Jin Park),정용면(Yong-Myeon Joung),최미경(Mi-Kyeong Choi),김양길(Yang-Kil Kim),김정곤(Jung-Gon Kim),김경호(Kyong-Ho Kim),강명화(Myung-Hwa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

        다양한 방법으로 건조한 보리 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분석 방법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열처리 후 건조(HD), 음건(SD)한 보리 잎에서 동결건조(FD), 전자레인지 건조(MW)와 비교해볼 때 클로로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갈변작용은 열의 작용을 가장 받지 않은 동결건조(FD)한 보리 잎에서 가장 적었다. 무기질 함량은 Ca, Mg, Na, P, K가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K는 다른 원소들에 비해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2580.88~3616.20 ㎎%) 음건(SD)한 보리 잎 시료에서 가장 높아 무기질 성분이 매우 우수한 알칼리성 식품이라 사료된다. 또한 보리 잎의 유기산은 ox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건조방법에 따라 각각 달랐다. 비타민 C 함량은 생엽(RL) 142.56 ㎎%, 열처리 후 건조(HD) 629.23 ㎎%, 음건(SD) 598.48 ㎎%, 동결건조(FD) 657.62 ㎎%, 전자레인지 건조(MW) 724.34 ㎎%으로 나타났고, 보리 잎은 무기질 외에도 비타민 C의 좋은 급원 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 건조방법별 보리 잎의 성분에는 변화가 있었으며, 외관상 품질은 동결건조(FD)를 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나, 음건(SD)으로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각 성분의 파괴가 가장 덜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were investigated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Moisture contents of barley leaf were 75.22%, 7.54%, 2.57%, 6.74% and 8.91% for samples dried using raw, hot-air dryer, freeze dryer, shade dryer, vacuum freeze dryer and microwave dryer, respectively. Mineral contents were high Ca, Mg, Na, P, and K in barley leaf regardless of drying methods. Organic acid contents were ox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and fumaric acid with no differences between drying methods. Contents of vitamin C were 142.56 ㎎%, 629.23 ㎎%, 598.48 ㎎%, 657.62 ㎎% and 724.34 ㎎% for samples using raw, hot-air dryer, freeze dryer, shade dryer, vacuum freeze dryer and microwave dryer, respectively. Chlorophyll contents of barley leaf dried by hot-air dryer and shade dryer were higher than in that of freeze dryer and microwaves dryer. b-values were lower in freeze dryer than in that of other dried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