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노인실태조사의 조사 개요와 주요 결과

        정경희(Chung, Kyung Hee)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3 한림고령사회연구 Vol.1 No.1

        한국노인의 일상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되고 있는 노인실태조사는 급속한 인구고령화와 노인의 특성의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1994년에 처음으로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하여 “노인생활실태 조사 및 욕구조사”라는 이름으로 실시되어온 노인실태조사는 2007년에 노인복지법의 개정을 통하여 3년에 한 번씩 노인 보 건 및 복지에 관한 실태조사를 시행토록 규정함으로써 법률에 의해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실태조사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었 다. 본 연구에서는 1994년부터 2011년까지 5차례 실시된 노인실태조사의 개요와 조사내용을 비교하였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을 중심으로 하여 노인의 생활실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최근에 이루어진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결과를 노인의 특성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노인 내부에 있는 다양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특성과 관련한 대표적인 변화로는 후기노인의 증가, 교육수준의 향상과 거주형태의 변화 등이 지적되었고, 다수의 노인의 건강상의 문제를 갖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한편, 노인의 삶의 현황으로는 정책적 대응에 따라 공적이전소득의 중요 성이 증대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사적이전소득의 중요성은 큰 상태이며, 부족한 소득을 보완하기 위한 생계형 경제활동참여 가 활발한 반면 자원봉사활동 및 평생교육참여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참여는 대체적으로 낮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노인 내부에서도 연령, 성, 교육수준 등에 따른 다양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내용에 기초하 여 향후 조사내용 구성과 정책적 대응과 관련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conducted five times since 1994, is part of Korea s effort to meet the new challenges of a rapidly aging population. At first, the survey was conducted irregularly without basise. However, as the issue of population aging moved, as it has in recent years, to the fore of national conversation, the survey was mandated in 2008, under the Elderly Welfare Law, to be conducted every three years, each time with a modified questionnaire reflecting changes in policies and social concerns. This study reviewed and compared the questionnaires to find out what changed and what remained the same in content. In addition, this study traced, using the survey s raw data, changes older Koreans have gone through in the last 17 years i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s, health and functions, economic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own perspectives on later life. Furthermore, sub-group differences among older pers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latest survey (2011) to point out heterogeneity among older Korean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창조적 생산성

        정경희(Chung, Kyung Hee),이미숙(Lee, Mi Suk),제레미 스콧 비셋(Jeremy Scott Bissett)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소셜 미디어 시대의 패션 브랜드 팬덤은 자신들이 사랑하는 브랜드를 그들의 아비투스에 따라 창조적으로 매치한 일상의 자신을 개성 있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상품을 소비하는 동시에 생산하는 프로슈머가 되어 새로운 패션 브랜드의 이미지를 생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NS 공간 속에서 패션 브랜드 팬덤에 나타난 다양한 참여자들의 아비투스가 무엇이고 UGC가 어떻게 창작, 생산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브랜드 팬덤 문화와 그들의 창조적 생산성에 대해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로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팬덤과 아비투스, 소셜 미디어 시대의 패션 브랜드 팬덤, 시각적 은유와 의미작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패션 브랜드 팬덤의 SNS를 사례로 데이터 마이닝, 상위 UGC에 대해 의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UGC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그들의 창조적 생산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브랜드 팬덤의 실천은 그들의 소비 심미 엘리트, 신자유주의적 자아, 이지적 우월감, 행복의 시연, B급 럭셔리, 열정적인 취미가이자 브랜드 추종자적 아비투스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나타난 패션 브랜드 팬덤 UGC에는 과시와 분리, 일상적 실재감, 내파와 융합, 열정과 감성, 상호작용성 등의 미적 특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팬덤의 아비투스와 UGC에 내재된 미적 특성을 토대로 패션 브랜드 팬덤의 창조적 생산성을 도출한 결과, 유연한 유희적 체험, 자아결부 및 인격화, 인지가치 구조화로 정리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패션 브랜드 팬덤의 창조적 생산성은 패션 브랜드를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끄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브랜드에 대한 강력한 사랑과 열정을 기반으로 관심과 경험, 소통, 지지, 옹호, 공유, 자발적 참여 등을 유발하고 브랜드에게 몰입하게 하는 가치를 지닌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 주도에 의한 브랜드 소비와 재생산, 브랜드 팬덤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소비자 지향 브랜드 구축,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립 등, 패션 브랜드 경쟁력 확보 및 발전에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Fashion brand fandom in the era of social media is producing new images of the fashion brand by becoming a prosumer who creatively matches their beloved brand according to their habitus and simultaneously consuming the product in a way that expresses their daily self in a unique way. Thus,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brand fandom culture and their creative productivity by analyzing the habitus of various participants in fashion brand fandom in SNS and how UGC is created and produc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study considered fandom and habitus, fashion brand fandom in the social media era, and visual metaphor and semantic action. In empirical research, by conducting data mining and semantic analysis on the top UGC of fashion brand fandom‘s SNS, we derived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fashion brand fandom’s habitus and their UGC and considered their creative productivity based on this. First, the practice of fashion brand fandom has been shown to exhibit their consumption aesthetic elite, neoliberal ego, intellectual superiority, demonstration of happiness, B-luxury, passionate hobby and brand evangelism habitu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ashion brand fandom UGC, which appeared on social media platforms, has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overexposure and separation, everyday reality, internal wave convergence, passion and sensibility, and interaction. Third,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fashion brand fandom and UGC, the creative productivity of the fashion brand fandom could be arranged into a flexible playful experience, self-association and characterization, and the structuring of the cognitive value.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research is that the creative productivity of fashion brand fandom is an important driving force that can lead fashion brands to sustainable growth. In other words, fashion brand fandom has the value of inducing interest and experience, communication, support, advocacy, sharing and voluntary participation based on its strong love and passion for the br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aid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be used for securing and developing fashion brand competitiveness, highlighting the value of brand consumption and reproduction by consumer initiative, building consumer-oriented brands, establishing communication strategies.

      • 프로젝트기반 액션러닝 수업에서 성찰에 관한 연구

        정경희(Kyung Hee Chung)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3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는 프로젝트기반 액션러닝 수업에서 프로젝트 운영과정의 각 단계에 따라 학습지들 간에 성찰을 통해 협동학습으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느꼈는지 어떤 실행다짐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 최종 학기말 총괄평가 시 팀으로부터 학습한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함으로써 팀 내 상호작용 결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4년제 간호학과 1학년 학생 중 2013년 1학기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교과 수강신청을 한 70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3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간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 한국액션러닝협회(KALA)에서 액션러닝팀 활동 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배운점, 느낀점, 실행다짐의 성찰양식과 Rothwell (2002)이 개발한 액션러닝 팀 구성원의 학습결과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김경동과 이온죽(1986)의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프로젝트기반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에서 협동학습 후 팀성찰 및 개인성찰을 지속적으로 실시한 간호대학생의 경힘을 분석한 결과 간호교육의 중요한 학습성과인 의사소통능력, 협동 및 조정능력,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이 향상되었고, 학습과정중 학생들은 긍정적인 수업경험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프로젝트기반 액션러닝 협동학습을 향후 간호교육과정의 적합한 교과목 학습과제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성취해야할 학습성과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인구고령화와 연령통합 사회

        정경희(Chung Kyunghee)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4 사회연구 Vol.- No.7

          단기간 내에 이루어진 급격한 사회?문화?경제적 변화와 더불어 세계에서 유래가 없이 빠른 인구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 사회는 시급한 사회정책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고령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각적이어서 단순히 노인만을 대상으로한 정책의 개발과 수행만으로는 고령시대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 지금까지의 연령차별적 사회에서 벗어나 연령통합적인 사회구성원리를 구현하여야만 구조적인 지체없이 고령사회에서도 지속적인 사회?문화?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BR>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고령사회가 요구하는 사회구성원리인 연령 통합적 사회의 정의와 그 특성을 살펴보고, 연령통합이 어떠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연령통합적 사회를 구현하는데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구체적인 연령통합 사회의 구현방안을 모색해보았다.<BR>  특히 매우 빠른 인구고령화와 노인인구의 여러 특성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사회는 고령사회와 ‘선택적 친화력’을 갖는 사회구성원리의 변화가 하루 빨리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성장동력을 잃어버려 지속적인 사회발전이 어려울 것이며,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자율성이 인정되는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Population aging is one of the most urgent challenges Korea is facing in the 21st century.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demographic changes accompanied by various socio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social infrastructure that can adequately respond to population aging.<BR>  Because the effect of population ageing is tremendous, piecemeal policy responses do not work effici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changes toward creating an age-integrated structure. An age-integrated society may be defined as one that does not use chronological age as a criterion for entrance, exit, or participation.<BR>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characteristics of an age-integrated society are reviewed. Second, advantageous aspects of an age-integrated society are addressed. Finally, policy measures are suggested to facilitate a smooth transition to an age-integrated society. This study emphasizes that without structural changes toward age-integrated society, it would be impossible to accomplish the goals of ens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 KCI등재

        로인(老人)의 거주형태(居住形態) 결정요인(決定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정경희 ( Kyunghee Ch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保健社會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거주형태의 변화와 그러한 거주형태의 변화가 갖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노인의 거주형태를 자녀와의 동거, 근거리 별거, 원거리 별거로 나누어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1998년도에 실시한 『199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한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핵가족화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있는 노인의 48.8%는 자녀와 동거하고 있으며 10.2%는 동일가구를 형성하고 있지는 않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거주하고 있다. 둘째, 노인의 거주형태에 있어 노인의 거주지역별 차이가 매우 크다. 읍ㆍ면부 거주 노인의 경우 자녀와의 동거율은 40.4%로 동부 거주노인의 53.7%보다 낮은 반면, 원거리 별거율은 53.0%로 동부의 33.9%보다 월등히 높다. 셋째, 자녀의 거주유형에 있어 지역과 결혼상태라고 하는 배경변수, 인구학적 `가용성`으로서의 아들이 있는가 여부, 독립적인 소득원이 있어 경제적 `가능성`이 있는가, 노인이 자녀와의 별거를 선호하는가 하는 문화적 `선호`가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예견되는 노인의 경제적 능력의 증대, 단독가구 선호의 증대, 자녀수의 감소는 미래의 노인세대들의 자녀와의 별거가구 형성률을 높일 것으로 예견된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에 기초해 볼 때 다양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은 노인부양의 가능성을 갖고 있으므로 그 `가능성`을 `현재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노인의 거주형태별로 즉, 자녀동거, 근거리 별거, 원거리 별거별로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적인 서비스제공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지역적 차이를 심각히 고려해야 한다. 읍ㆍ면부의 경우 신체적인 부양을 받을 가능성이 낮은 노인이 절반을 넘고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정책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which affect living arrangement of older parents. Previous research has dichotomized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arents whether they coreside with their children or otherwise. However, this study proposes that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arents can be better understood by dividing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arents in three categories such as coresidence, living in a separate household in the same community (modified extended family), living in a separate household in a distanced community (extended family). This study analyzes the data of 『Living Profile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 survey conducted by KIHASA in 1998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living arrangements and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living arrangem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spite of rapid nuclearization of Korean families, 48.8% of older parents coreside with their children and 10.2% are living in a separate household in the same community. Secon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living arrangement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rural areas, the rate of older persons living with their children is 40.4%, while the rate in urban areas is 53.7%. On the other hand, 53.0% of older persons lived apart far away in rural areas, while the rate in urban areas is 33.9%. Third, according to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iving arrangement of older persons are; (1) region and marital status as background variables; (2) having a son as demographic `availability`; (3) possession of independent income source as `feasibility` of 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s; (4) preference to living with children as a cultural `desirability` variable. Based on above-mentioned results, I suggest that the government must develop the policies and programmes to activate care-giving potentiality of the families by living arrangements patterns. Because more than half of older persons in rural areas live far away from their children, rural elderly are vulnerable in terms of physical care-receiving. Therefore, we have to pay attention to rural elderly in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service policies.

      • KCI등재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에 관한 연구

        정경희(Kyung hee Chung) 한국노년학회 1995 한국노년학 Vol.15 No.2

        본 연구는 미국의 일반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첫째, 연계망 구조의 제측면에서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이 청·장년층의 것과 얼마나 다르며 둘째,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은 청·장년층과는 매우 다른 사회적 연계망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은 평균 2.18로 청·장년층의 2/3에 못미치고 있다. 또한 노인의 25%가 고립형의 연계망 유형을 갖고 있는데 이는 청·장년층의 2배가 넘는 것이다. 반면 노인들의 연계망은 그 구성에 있어서 친족의 비율이 높고 밀도가 높으며, 연계끈들의 평균 교제기간이 길다. 그러나, 청·장년층에 비하여 타자들과의 접촉 빈도가 낮다. 한편 노인들의 연계망을 결정하는 변수들은 매우 적다. 특히 연령은 노인들의 연계망에 있어서는 중요한 변수가 아니다. 소득 또한 노인들 사이에서 사회연계망의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가 아니어서, 노인들에게는 소득정도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이가 매우 적다. 그러므로 대인관계는 경제적 자원과는 구분되는 자원으로 보아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는 사회적 연계망의 구조와 가능간의 연계를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understanding of social networks of the elderly by examin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ree age-groups : young (18-34), middle-aged(35-64), and the elderly(65+). Data from the 1985 General Social Survey are used to analyze network differences across age-groups. The main conclusion is that the elderly have few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younger age groups and depends heavily on kin ties. Although the elderly are very different from the young and the middle-aged groups in terms of their networks, age does not explain the differences among the elderly'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o this, few variab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the elderly's networ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lderly have to be treated as a group.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included.

      • KCI등재

        소셜미디어 시대의 하이패션 브랜드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정경희(Chung, Kyung Hee),이미숙(Lee, Mi Su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국내 패션 브랜드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SNS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하이패션 브랜드의 SNS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서 세계 4대 컬렉션에 참여하고 있는 189개 하이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SNS 유형별 활용 현황과 SNS 미디어간의 연계여부 등을 살펴보고 성공적인 사례로 대표될 수 있는 하이패션 브랜드를 선정하여 SNS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구성요소와 메시지 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하이패션 브랜드의 SNS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파악하고 패션 브랜드의 SNS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패션 브랜드 중 98.4%가 한 개 이상의 SNS를 활용하고 있었는데 SNS의 유형을 살펴보면, 네트워크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공유형, 마이크로 블로그형, 블로그형 순이었다. 하이패션 브랜드가 운영하고 있는 SNS의 유형별 종류는 네트워크형에서는 페이스북, 블로그형에서는 텀블러, 마이크로 블로그형에서는 트위터, 공유형에서는 인스타그램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5개 하이패션 브랜드의 SNS에 나타난 디자인 전략은 모든 브랜드에서 프로필 사진으로 브랜드 심볼 또는 로고를 활용하고 있었고 커버 이미지로는 제품 광고 캠페인 또는 컬렉션 관련 이미지, 브랜드 로고를 활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탭 메뉴에서는 브랜드 역사 및 아이덴티티, 제품 정보 등을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와 영상으로 전달하고 있다. 셋째, 5개 하이패션 브랜드의 페이스북 콘텐츠는 제품에 대한 정보가 가장 많았고 브랜드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성은 모든 콘텐츠에서 나타났지만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성은 56.5%의 콘텐츠에서만 나타났다. 그리고 페이스북 콘텐츠의 유형은 텍스트+링크+사진 유형의 콘텐츠, 링크의 속성은 브랜드 공식 사이트가 가장 많았다. 넷째, 하이패션 브랜드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콘텐츠 및 이미지의 메시지 전략을 분석한 결과, 하이패션 브랜드들은 전반적으로 의례적 영역의 메시지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페이스북 보다 인스타그램에서의 의례적 영역의 메시지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이패션 브랜드의 SNS 디자인 현황 및 메시지 전략을 정리하면, 하이패션 브랜드들은 공식 SNS에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디자인과 차별화된 콘텐츠로 정보 수용자의 감성을 불러일으키고, 질적인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소셜 미디어시대의 패션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양상을 파악함과 동시에 미래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grasped the characteristics of SNS communication in high fashion brands as one methods of exploring SNS communication strategies to enhanc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fashion brands.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SNS application by type and connection between SNS media in 189 high brands participating in world"s four collections. Then, several high fashion brand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uccessful examples. The components of communication design and message strategies of SNS were analyz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SNS communication in high fashion brands and suggest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fashion brands in SNS enviro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98.4% of high fashion brands used more than one SNS. For SNS types used, a network type was the commonest, followed by a share type, a microblog type, and a blog type. For SNS kinds operated by high fashion brands, Facebook, Tumblr, Twitter, and Instagram were the commonest, respectively, in network, blog, micro blog, and share types. In particular, Second, The SNS design strategies of five high fashion brands were to use brand symbols or logos as profile photographs and apply product advertising campaigns, collection- related images, and brand logos to cover images to represent brand identity. In the tab menu, brand history and identity and product information are conveyed using various visual images and videos. Third, the most common Facebook contents of five high fashion brands were product information. While all contents showed interaction between brands and users, interaction between users was only found in 56.5% of contents. The most frequent contents type of Facebook was a text+link+picture type. And the most common link attribute was brand"s official website. Fourth, the message strategies of contents and images in high fashion brands" Facebook and Instagram were analyzed. High fashion brands commonly used a ritual message, which was higher in Instagram than in Facebook. The SNS design and message strategies of high-fashion brands are summarized as follows. High-fashion brands use strategies to evoke information consumer"s emotion and improve quality relationship using design reflecting brand identity and contents differentiation in their official S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spects between high fashion brands and consumers and provide important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uture consumers in the age of soci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