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로인(美國老人)의 소득규모(所得規模)와 구성(構成)에 있어서의 남녀차이(男女差異)

        정경희 ( Kyunghee Ch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保健社會硏究 Vol.15 No.2

        본 硏究는 일터와 家庭에서의 男女간의 역할수행의 差異가 美國人의 老後의 經濟的 資源에 어떠한 影響力을 갖고 있는가를 1987~`88년에 걸쳐 위스코닌 대학에서 실시한 『가구 및 가족조사』자료를 분석하여 밝혀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所得規模와 構成에 있어서 男女老人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1) 女子老人의 個人所得額은 男子老人이 갖고있는 個人所得의 절반이며, (2) 女子老人 들의 貧困經驗率이 훨씬 높으며, (3) 女子老人의 家口所得에 대한 寄興度가 낮고, (4) 女子老人들이 社會保障所得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반면, 그들의 年金所得 依存度는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로 男子老人들과 女子老人들의 所得規模와 構成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變數들이 동일한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男女老人 모두에게 敎育水準이나 人種과 같은 背景變數가 所得의 規模에 지속적인 影響力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일과 家族과 연관된 變數는 男女老人에게 상이한 影響力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男子老人들에게는 背景的 變數와 더불어 일과 관련된 變數들이 유의미한 決定要因임에 비하여, 家族과 관련된 변수들은 큰 影響力을 갖지 못한다. 반면에 女子老人들의 所得規模와 構成에 있어서는 일이 아니라 家族生活이 큰 影響力을 갖고 있다. This study documents gender differences among American elderly based on income using the data gathered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grouped into several points. The first finding is that elderly women as a whole have a lower income level than elderly men. Elderly women have only half of elderly men`s personal income and elderly women have a higher incidence of poverty than elderly men. For both Social Security income and pension income,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elderl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never-married elderly. Elderly men have not only more Social Security income but also more pension income than elderly women, again except for the never-married. Second, for both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ducation level and race have tremendous effects on income amou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pre-retirement stratification continues into later life. Third, in addition to background variables, the impact of marital status is not only substantial but also different for elderly men and women. Above all, marriage benefits the elderly where income is concerned. On the other hand, widowhood and divorce have different effects on elderly men and women. For elderly men, widowhood and divorce do not significantly reduce their economic resources. Widowed or divorced women, however, have less household income and higher incidence of poverty than elderly women with a husband. Finally, for elderly women,work patterns seem to have only minor effects: only pension incom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their previous labor force participation. For elderly men, the socio-economic index score and work duration have big a correlation with Social Security income and pension income. In sum, for elderly men, background variables, socio-economic index score, and work duration are inportant determinants; family life does not have meaningful effects on their income On the other hand, family life rather than work life has a tremendous inpact on the income of elderly women.

      •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MIPAA)과 제2차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계획의 비교분석

        정경희(Kyunghee Chung)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2011 한양고령사회논집 Vol.2 No.1

        2002년에 발표된 UN의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MIPAA: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이하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으로 언급)은 전지구적 현상인 고령화에 대한 국가별 정책적 대응을 마련함에 있어 준거틀을 제공하고 있다.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이 제시하고 있는 기본방향과 행동목표 뿐만 아니라 이에 기초하여 지역별로 마련되고 있는 이행전략은 개별국가가 국가별 특성을 반영함에 있어 출발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국제동향과 지향성에 공유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고령화에 대한 국가차원의 정책적 대응인 『제2차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계획(2011~2016)(이하 제2차 기본계획)』 이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과 우리나라가 속해있는 UN-ESCAP에서 제시한 이행전략과의 정합성을 갖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2차 기본계획 중 고령화 관련 주요 내용을 살펴본 후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과 UN-ESCAP에서 제시한 이행전략과의 정합성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고령화 대응전략을 마련함에 있어 수정ㆍ보완해야 할 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From increasing social and policy concerns on the aging population, the government of Korea in September 2005 enacted Basic Law on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Policy. And, based on the law, “Plan for Ag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for every 5 years are made both at central governmental level and local level. Implementation of the plans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evaluated annually. However, these attempts are mainly conducted by the examination of national situation and lack international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iew of the 2n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with the reference of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MIPAA)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The first part summarizes the 2n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The second part reviews MIPAA, guidelines for the national implementation of MIPAA, and UN-ESCAP strategy for MIPAA. In the third part,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2n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reviews of the implementation of MIPAA in Korea in terms of policy are conducted. In the forth and last part,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인구고령화와 연령통합 사회

        정경희(Chung Kyunghee)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4 사회연구 Vol.- No.7

          단기간 내에 이루어진 급격한 사회?문화?경제적 변화와 더불어 세계에서 유래가 없이 빠른 인구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 사회는 시급한 사회정책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고령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각적이어서 단순히 노인만을 대상으로한 정책의 개발과 수행만으로는 고령시대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 지금까지의 연령차별적 사회에서 벗어나 연령통합적인 사회구성원리를 구현하여야만 구조적인 지체없이 고령사회에서도 지속적인 사회?문화?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BR>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고령사회가 요구하는 사회구성원리인 연령 통합적 사회의 정의와 그 특성을 살펴보고, 연령통합이 어떠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연령통합적 사회를 구현하는데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구체적인 연령통합 사회의 구현방안을 모색해보았다.<BR>  특히 매우 빠른 인구고령화와 노인인구의 여러 특성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사회는 고령사회와 ‘선택적 친화력’을 갖는 사회구성원리의 변화가 하루 빨리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성장동력을 잃어버려 지속적인 사회발전이 어려울 것이며,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자율성이 인정되는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Population aging is one of the most urgent challenges Korea is facing in the 21st century.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demographic changes accompanied by various socio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social infrastructure that can adequately respond to population aging.<BR>  Because the effect of population ageing is tremendous, piecemeal policy responses do not work effici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changes toward creating an age-integrated structure. An age-integrated society may be defined as one that does not use chronological age as a criterion for entrance, exit, or participation.<BR>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characteristics of an age-integrated society are reviewed. Second, advantageous aspects of an age-integrated society are addressed. Finally, policy measures are suggested to facilitate a smooth transition to an age-integrated society. This study emphasizes that without structural changes toward age-integrated society, it would be impossible to accomplish the goals of ens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 KCI등재

        로인(老人)의 거주형태(居住形態) 결정요인(決定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정경희 ( Kyunghee Ch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保健社會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거주형태의 변화와 그러한 거주형태의 변화가 갖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노인의 거주형태를 자녀와의 동거, 근거리 별거, 원거리 별거로 나누어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1998년도에 실시한 『199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한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핵가족화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있는 노인의 48.8%는 자녀와 동거하고 있으며 10.2%는 동일가구를 형성하고 있지는 않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거주하고 있다. 둘째, 노인의 거주형태에 있어 노인의 거주지역별 차이가 매우 크다. 읍ㆍ면부 거주 노인의 경우 자녀와의 동거율은 40.4%로 동부 거주노인의 53.7%보다 낮은 반면, 원거리 별거율은 53.0%로 동부의 33.9%보다 월등히 높다. 셋째, 자녀의 거주유형에 있어 지역과 결혼상태라고 하는 배경변수, 인구학적 `가용성`으로서의 아들이 있는가 여부, 독립적인 소득원이 있어 경제적 `가능성`이 있는가, 노인이 자녀와의 별거를 선호하는가 하는 문화적 `선호`가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예견되는 노인의 경제적 능력의 증대, 단독가구 선호의 증대, 자녀수의 감소는 미래의 노인세대들의 자녀와의 별거가구 형성률을 높일 것으로 예견된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에 기초해 볼 때 다양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은 노인부양의 가능성을 갖고 있으므로 그 `가능성`을 `현재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노인의 거주형태별로 즉, 자녀동거, 근거리 별거, 원거리 별거별로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적인 서비스제공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지역적 차이를 심각히 고려해야 한다. 읍ㆍ면부의 경우 신체적인 부양을 받을 가능성이 낮은 노인이 절반을 넘고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정책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which affect living arrangement of older parents. Previous research has dichotomized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arents whether they coreside with their children or otherwise. However, this study proposes that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arents can be better understood by dividing living arrangements of older parents in three categories such as coresidence, living in a separate household in the same community (modified extended family), living in a separate household in a distanced community (extended family). This study analyzes the data of 『Living Profile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 survey conducted by KIHASA in 1998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living arrangements and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living arrangem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spite of rapid nuclearization of Korean families, 48.8% of older parents coreside with their children and 10.2% are living in a separate household in the same community. Secon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living arrangement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rural areas, the rate of older persons living with their children is 40.4%, while the rate in urban areas is 53.7%. On the other hand, 53.0% of older persons lived apart far away in rural areas, while the rate in urban areas is 33.9%. Third, according to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iving arrangement of older persons are; (1) region and marital status as background variables; (2) having a son as demographic `availability`; (3) possession of independent income source as `feasibility` of 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s; (4) preference to living with children as a cultural `desirability` variable. Based on above-mentioned results, I suggest that the government must develop the policies and programmes to activate care-giving potentiality of the families by living arrangements patterns. Because more than half of older persons in rural areas live far away from their children, rural elderly are vulnerable in terms of physical care-receiving. Therefore, we have to pay attention to rural elderly in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service policie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기반 팀 프로젝트 수행 효과

        정경희(KyungHee Chung),강명주(MyungJu K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간호관리학실습 교과에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팀 프로젝트를 수행 한 후 학습효과를 확인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은 N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40명으로 1개 팀당 4명씩 총 10개 팀이었다. 팀 프로젝트 수행 주제로 실행가능성과 효과성을 고려하여 임상현장의 간호문제를 선정하고 서비스디자인 4D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간호서비스를 개선하였다. 팀 프로젝트 종료 후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통해 배운점, 느낀점 및 적용할점의 3가지 질문에 대하여 성찰을 실시하였다. 성찰일지 분석결과 가장 빈도가 높은 주제는 환자의 관점이해(13.4%)였으며, 다음으로 문제해결(12.4%),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이해(9.3%), 임상현장 적용(8.2%), 관리자의 역할이해(7.2%), 만족감과 성취감(7.2%) 및 팀워크(6.2%)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성과를 기준으로 성찰내용을 분류한 결과는 실무지식역량(17.5%), 창의적 문제해결역량(23.9%), 리더십역량(9.3%), 협력 및 조정역량(15.5%), 고객지향성(21.6%), 자기효능감(7.2%), 학습역량(5.2%) 등이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nfirms the learning effect after applying the service design method to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um of the clinical practice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nursing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N university. One team consisted of 4 members, 10 teams in total. The team project selected nursing problems in the clinical field and improved the nursing service by applying 4D process of service design method. The topic selection criteria were impact and feasibility. After completion of the team project, the team members reflected on the three questions of what they learned, felt and applied through the service design method. In the reflection analysis, understanding of patients perspective (13.4%) was the most frequent subject. Next was the order of problem solving (12.4%), understanding of the service design process (9.3%), clinical application (8.2%), understanding of manager s role (7.2%),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7.2%) and teamwork (6.2%).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ntents of reflection on the basis of learning outco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practical knowledge competency (17.5%),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23.9%), leadership competency (9.3%),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ability (15.5%), customer orientation (21.6%), self-efficacy (7.2%) and learning ability (5.2%).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회적 연계망 유형:

        정경희(Chung, Kyunghee),강은나(Kang, Eun Na)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사회적 연계망 자체를 좀 더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자료(65세 이상 10,279명)를 활용하여 관계망 크기, 연계와의 접촉 빈도, 연계에 대한 친밀도를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적 연계망은 고립형(11.6%), 가족의례형(17.7%), 가족친밀형(23.6%), 제한적 다층친밀형(28.4%), 다층형(18.8%)의 다섯 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도출된 잠재집단 유형별 특징을 비교하였고, 사회적 관계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고립형 노인의 3/4은 여성이며 독거가구 비율이 약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평균연령이 높고,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신체적 제한이 있는 노인, 사회적 지위가 낮은직종에 종사한 노인이 고립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층형의 경우 여성보다는 남성노인이,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 관리 사무직에 종사한 노인일수록 다층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가족의례형과 가족친밀형은 배우자 혹은 자녀를 중심으로 연계망이 형성되어 있고, 노인부부가구의 비중이 높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가족의례형은 상대적으로 여성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제한적 다층친밀형은 배우자보다는 자녀와 친구 이웃과의 연계망의 크기, 빈도, 친밀도가 다층형 다음으로 높은 집단으로 여성노인 및 저학력이면서 농림어업에 종사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노년기의 사회적 연계망 유형의 다양성이 갖는 학술적 및 정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10,279 persons aged 65 or above) to understand social networks among older Koreans. In order to classify the types of social relationship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such structur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s network size, frequencies of contact, and closeness. The results show that older Koreans can be categorized into 5 distinct social network types: disengaged (11.6%), ritual-family-focused (17.7%), close-family-focused (23.6%), close-restricted (28,4%), and diverse (18.8%). Characteristics by each social network type are compared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re applied to figure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network type. Older persons with disengaged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overwhelmingly female, living alone, old-old, and of low socioeconomic status. On the other hand, older persons with diverse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young-old and had highly-ranked jobs in their mid-life. Spouse/children are the focal point of social relationships in both ritual-family-focused and close-restricted social network. However, the proportion of men is higher in the close-family-focused type than in the ritual-family-focused. Older Koreans with close-restricted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female, uneducated, and have engaged in agricultural and allied activitie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its findings and how research in this area should develop in the future

      • KCI등재

        사이버 폭력의 피해경험에서 부정적 경험을 유발 시키거나 경감시키는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희(Du, Kyunghee),여주(Chung, Yeo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사이버 폭력의 피해자들에게 부정적인 경험을 유발하는 요소와 경감시키는 요소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명의 대학생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현상학적 질적분석 방법 중 Colaizzi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정적인 경험을 유발시키는 요소와 경감시키는 요소라는 2개의 범주로 나누었을 때, 부정적인 경험을 유발시키는 요소에는 2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사이버 폭력의 대상’,‘사이버 폭력의 내용’,‘사이버 폭력 장소’,‘가해자 특성’,‘피해자의 왜곡된 인지’등 5가지의 주제군이 발견되었다. 부정적인 경험을 경감시키는 요소는 2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주제군은 크게 ‘상황적 요소’,‘인지적 대처’,‘행동적 대처’의 3가지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이버 폭력 피해자들에게 개입하는 상담자나 조력자들에게 개입의 내용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사이버 폭력에 대한 대처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예방적인 개입을 위한 시사점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victims and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lead to and reduce the occurrence of these negative experiences. 14 university students were via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From the 24 factors that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ausing cyberbullying, 5 general topics were derived: “the victim of cyberbullying”, “the contents of cyberbullying”, “the location of cyberbull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yberbully”, and “the distorted cognition of cyberbullying victims”. 20 factors were found to mitigate these negative experiences in 3 primary areas: “situational factors”, “cognitive coping”, and “behavioral cop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to counselors and therapists for helping future victims of cyberbullying. In the long run, there is hope for developing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cyberbullying through the review of preventive measures.

      • KCI등재

        여행용 가방 패턴 디자인 유형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이미숙(Misuk Lee),정경희(Kyunghee Chung) 한국복식학회 2016 服飾 Vol.6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applied to Korean and foreign luggage brands, and then develop pattern designs for the luggage by applying Korean cultural contents that meet the various fashion needs of travel goods. To select the Korean and foreign luggage brands, a web search was utilized by inputting the keyword, ‘luggage brand’. The results, which were extracted from 200 web documents, produced 27 Korean brands and 29 foreign brands that met the requirements. For the data analysis, images and contents were collected through luggage brand websites, and then 927 pattern designs were extra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aracters, figures, animals, and plants were commonly used for the pattern design motifs applied to Korean and foreign luggage. A notable trend was that these motifs were expressed in a stylistic way with a graphic touch. Also, a singular point was formed from the luggage overall, andregularly repeated patterns were very common as well. Secondly, pattern designs for luggage 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 Hangul’, `` Hanbok``, and `` Hanok``. Nine kinds of patterns were designed via the phases of change into a vector image and color adjustments, and were simulated in luggage design. Adobe Photoshop CS 7.0, and Adobe Illustrator CS 5.0 programs were used for the pattern designs and simul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pattern designs for different kinds of luggage in the motif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It can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as we are in a time period where travel goods have become individualized, advanced, and fashionable, as well as laying stress on original design based on cultural interpretation.

      • KCI등재

        웹 미디어에 나타난 커스터마이저블 패션 브랜드의 유형 및 전략 연구

        이미숙 ( Misuk Lee ),정경희 ( Kyunghee Chung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7 패션 비즈니스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shion brand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on platform of users, to assess the types and strategies of mass customization(MC). Most fashion brands sell one professional content: Shoes brand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bags, unisex wear, and menswear. In consumer`s design selection elements, changes in color and materials were the most common. For the personalization service elements, monogram service was the most common. The results of MC types analysis were as follows, Customized Standardization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ailored Customization, Pure Customization, and Segmented Standardization. For the types according to changes in products and expression methods, Cosmetic was the most common.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odulation, Modularizers were the most common. For Creativity, brands in the making stage were the most common. For Flexibility, although brands different methods, high flexibility by modularizing design elements of products and accomplishing various design through participation. The Ease of use for various expression was generally high, parallel to Flexibility. For Durability, because consumers could receive end products only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stage in the on-line purchase, their continuous participation was not possible, so they participated only once. The typical types and strategy of MC were analyzed. The Customized Standardization type was the most common in shoes, bag, and womenswear brands. It was the Cosmetic type which could change colors and materials, the Modularizers, and had high Flexibility and Ease of use and low Durability.

      • KCI등재

        중노년층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유형화를 중심으로

        이선희(Lee, Sunhee),정경희(Chung, Kyunghee)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2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국내에 거주하는 중노년층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이 무엇인가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중노년층의 좋은 죽음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집된 ‘웰다잉에 관한 전국민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노년층의 좋은 죽음 인식유형을 잠재집단분석(LCA)을 통해 유형화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교차분석 등을 통해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소극적 인식형, 다층적 준비형, 현세중심적ㆍ죽음준비형의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유형들은 죽음의 가시성, 죽음의 여정에 대한 관점, 마지막으로 죽음이 갖는 사회적 관계성을 바탕으로 다층화 되었으며, 이러한 유형은 성별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 웰다잉 구현을 위해 개인적ㆍ사회적 차원의 인식개선, 당사자 및 가족의 죽음준비를 위한 종합적 지원, 임종기 의료비 및 간병비 경감 등을 위한 제도 마련, 죽음의 자기결정권 확보를 위한 기반 구축 등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recognition of the increasing social attention paid to the notion of how to die well, this study explored what it is that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think of as “dying well.” Specifically, it was aimed at classifying the perceptions people middle-aged and older have regarding dying well. To this end, we used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Well-Dying, which was conducted in 2018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employed Latent Class Analysi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classified sub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The types identified were multilayered depending on the imminence of death, perspectives of the last stages before dying, and the meaning of death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hips. These type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Based on our findings in this study, we put forward policy suggestions about awareness improvement of personal and social levels, promoting on comprehensive death preparation, providing a system to reduce the cost of medical and nursing expense at the end of one’s life, promoting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regarding death, raising social attention to groups that are least prepared for dying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