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D 광원 모듈과 센서를 통한 인터랙티브 라이팅 기법에 관한 연구

        정강화,Chung, Kang-Wha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8 No.3

        고체기반 조명인 LED를 적용시킨 건축조명 설계사례는 최근 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조명기구의 개발 및 설계적용기법은 새로운 광원에 적합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기술로 제어되는 조명설계기법 관련 요소를 살펴보고, 디지털 광원 모듈을 개발하여 건축조명설계에 적용해봄으로써 센서와 연동되는 인터랙티브 라이팅 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자연의 아날로그적 변화를 센서로 검출하여 연출하는 인터랙티브 라이팅은 디지털 기술이 조명대상공간을 획일화시킬 수 있다는 부정적 측면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대안이 된다 하겠다. Recently the examples of a designing a building-lighting to which LED, a solid state Lighting, is applied are increasing in number, but the development of lighting apparatus and the techniques applied to a designing lighting apparatus frequently don't fit to a new source of light. This essay refers to the matters relevant to the techniques for designing a lighting, which are controlled with a digital technology, and the effectiveness of a "Interactive-lighting technique" which has a ductility by a sensor with developing a digital source of light module and applying it to a real designing a building-lighting . In the negative aspect that a digital technology can standardize a space for a lighting, a "Interactive-lighting Technique", which detects an analogic change of nature through a sensor and produces it, can become a new alternative one.

      • KCI등재

        3원색 LED 광원 모듈을 이용한 광색 선호도 조사

        정강화,Chung, Kang-Wha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8 No.3

        최근 LED 광원에 의한 컬러조명 연출사례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LED에 의한 광색 선택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3원색 LED를 사용한 광색 생성기를 제작하여 복수의 응답자로 하여금 스스로 조각하여 선호하는 컬러를 만들게 하고 이를 디지털 색채색차계로 측정하여 CIE1964색도도표에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일정한 광색 선호도 그룹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향후 LED를 사용하는 조명설계 뿐 만 아니라 디지털로 제어되는 컬러 조명연출 설계시 적용되어 활발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examples of a lighting design with LED source have increased rapidly,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that are related to selecting luminous colors by LED. The research is that respondents operated color blender and got preference colors according to what they made, the colors were measured by chroma meter and marking CIE 1931 chromaticity diagram.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s made group preference for luminous colors. From now on, not only does it seem capable of using a designing a building-lighting to which LED but it will be actively applied to controlling with a digital technology for lighting design.

      • KCI등재

        지하보행공간의 녹시율 향상을 위한 공간연출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강화(Kang Wha Chung),백지원(Ji Won Pai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현대도시의 자원 소모적 개발의 지속은 미래개발 가용지의 제한을 초래하여 가용공간에 대한 인간의 의식은 지하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는 인간생활의 물리적 범위가 지하공간까지 확장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하공간생활을 위한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도시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하공간은 쾌적한 환경으로의 변화를 통한 공간 활용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보행체계를 보완하고 자연환경을 직접 대입한 친환경계획을 수립, 미래지향적인 지하보행공간으로의 기능향상과 물리적 단점을 함께 보완해야 한다. 그러나 쾌적한 환경을 위한 자연환경의 직접적 도입은 지하공간이 가지는 물리적 한계로 인해 여러 방해 요소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하공간의 물리적 한계는 식물생장에 필요한 공기, 수분, 빛, 토양 등이 충분히 제공 되어야 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설의 확충과 기술의 보완을 요구 되어 진다. 또한 자연광의 역할을 대체하는 인공조명이 중요하며, 지하공간에 도입 가능한 수종의 종류를 파악, 도입하여 효율적인 지하 공간 연출을 기획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연출계획에 있어서 유용한 인공조명의 기술과 수종, 식재 방법 등을 유형화하여 지하공간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물을 이용한 공간의 기능과 효과를 예상, 적용하여 실제 대상지에 녹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간연출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공간연출 디자인의 대상지는 건대입구역 7호선 3. 4번 출구를 연결하는 구역으로 휴식공간과 문화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건대병원 지하1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통로로 선정하였다. 건대입구역의 물리적 특성은 낮은 천장과 시야확보가 어려운 기둥이 많아 공간을 연출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보행자의 행태를 관찰해 건대입구역 지하보행공간에 적용 가능한 식물을 이용한 공간연출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디자인은 지하공간에서 식물생장이 가능한 구조와 기술이 도입되었으며 지하보행공간의 인간행태에 의해서 결정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디자인과정은 물리적 환경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서 기능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이는 지하보행공간의 녹시율을 향상시킴으로서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기 위함으로 앞으로 지하보행공간의 개발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대상 공간은 다양한 역세권과의 연결통로로써 유동인구가 다수분포하고 있고, 인구밀집도가 높아 녹시율 향상을 통한디자인의 효과가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공간에 대한 디자인 연출의 결과는 지하보행공간의 질적 수준과 환경적 개선을 계획하는데 새로운 지표가 될 것이며, 앞으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지하보행공간의 공공적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인간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미래지향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The continuation of the development, consuming the resources, in modern urban development, will limit the available lands for future development. So, the human`s perception about the available lands is expanding into the underground space. This means that the physical scope of human life is expanded into the underground space, and,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living is emerging. However, with respect to the underground spac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urban life, the existing pedestrian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the eco-pla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direct substitu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 function as the future-oriented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should be improved; and its physical shortcomings should be supplemen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value of the space utilization through the change into pleasant environment. However, the direct introd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for the pleasant environment includes many interruptions due to physical limitations of the underground space. For this physical limitations of the underground space, air, water, light and soil, etc. should be provided sufficiently for the growth of plants, and to solve this problem, the expansion of facilities and the supplementation of technologies are required. Also, the artificial lighting, replacing the role of natural light, is important, and the efficient underground production should be planned, by identifying and introducing the types of plants species, which can be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spa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lighting, and the species of plants, and the planting methods are categorized and its applications to the underground space, have been derived. The target of the space production design was the zone connecting exit 3 and 4 of metro line 7, at Konkuk university station, and the passage directly connected to the ground level 1 of Konkuk University Hospital in which resting space and cultural space are formed, was selected. Due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Konkuk University Station, the ceiling was low and there were many pillars which made it difficult to secure the visibility, causing the limitations to the space production. Howev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space and the observation of the behavior of pedestrian behavior, the space production design, using the plants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pedestrian space of Konkuk University Station, was suggested. In the suggested design, the structure and the technology, enabling the growth of plants in the underground space, were introduced, and they were decided by the human behaviors in the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Thus, the design process of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esign which could be seamlessly combined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reate functional and pleasant environment. This is to improve the index of greenness in the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and form the expectable positive perception, an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in the future. Also, the target space is the passage connected to the sub-way area, having a larg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and high population density, so the effect of the desig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dex of greenness, is expected to be positive. The result of the design about the space like this, will become the new indicators for planning the quality level of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ublic value of increasing underground pedestrian space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will be the future-oriented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 KCI등재

        노인주간보호시설 공간구성 평가방법 연구

        권은정(Kwon Eunjung),정강화 (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발달과 함께 사회 환경이 급속이 변화하였고 의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노인에게 각종 보호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노인주간보호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주간보호시설의 노인 복지환경 조성 및 시설의 고급화와 바람직한 공간으로 그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기존 시설의 실내공간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규명해 개선해야 할 부분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시설가운데 서울시 에 위치한 규모가 비슷한 4곳을 선정하여 운영자와의 인터뷰와 체크리스트를 통한 관찰조사로 평가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시설의 현황 분석 결과 급식공간과 지원공간은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었다. 위생적으로 취사 및 조리를 할 수 있는 설비와 노인들의 동선에 용이하였으며 응급호출 시스템이 대부분 잘 갖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동공간은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어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 복도의 폭이 좁아 이동에 불편함을 주며 출입구와 문턱에 높이차이가 크고 바닥표면 또한 미끄럽고 딱딱하여 위험해 보였다. 이상과 같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노인주간보호시설은 노인들의 공간으로의 개선이 많은 부분 필요하다. 만성질환노인 치매노인 허약노인 등 다양한 질병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을 고려한 종합적인 시설 으로의 발전을 위하여 세심한 건축적 배려와 법적기준의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The social condition has been rapidly changed with the fast economic development in our country the ratio of senior citizens in population structure has increased because of expansion of average life span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Our country has been implementing day care servic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to make them get special care and support. This study figures out the interior space of existing centers investigates the problems and makes suggests for improvement in order to create a welfare condition and high qualification of day care service centers for seniors and also to satisfy that function. Selecting 4 small-sized places located in Seoul among centers managed now this study evaluates and analyzes them by an observation method through interviews with managers and checklis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al condition on the surveyed centers feeding space and support space are comparatively well-equipped.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 facility for culinary cooking is placed to reduce senior citizens' movements and emergency calling system is largely well equipped. In addition the tiles on the ground are well selected not to be slippery. However in the space for movement a lot of problems are revealed so there is an urgent needs to solve them. The width of corridors is narrow which makes the movement inconvenient differences in height of entrances and thresholds are big and the surface of the ground look dangerous because it is slippery and hard. Likewise existing day care servic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requires a lot of improvements as a special space for them. For the development toward more comprehensive centers considering seniors with chronic disease seniors with Alzheimer's disease seniors with feeble health more careful architectural consideration and reinforcement of legal standards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신도시와 기존도시의 가로시설물 가이드라인 비교분석

        황계화(Huang Guihua),정강화(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신도시는 현대사회에서 급격히 늘어난 도시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형성된 도시로서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측면에 있어서 기존도시와 뚜렷한 차이점을 갖고 있다. 반면 현재 실현되고 있는 신도시와 기존도시의 가로시설물 디자인에 대해 비교해 보았을 상호간의 디자인 요소의 차별성을 두지 못했으며 도시기능 및 정체성을 표현함에 있어 부족함이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 논문은 신도시의 기능적 역할과 아이덴티티를 강조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조사로써 우선 기존도시의 가로시설물 개선사례 및 신도시 가로시설물디자인에 대해 분석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사례 도시의 가로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어떠한 기준치와 요소에 의해 디자인 되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며 향후 신도시의 가로시설물 디자인의 경향에 대한 기초연구의 자료가 되겠다. Having distinctive differences from existing towns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cultural aspect new towns have been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the issues incurred due to dramatically expanded urbanization in modern society. However it seems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made in designing the landscape facilities of new and existing towns. Also the functions and identity of a town have not been satisfactorily expressed in those facilities. With these reasons in this study I have analyzed first the improvement cases of landscape facilities in existing towns and those facilities newly constructed in new towns as a preliminary research to build the guidelines for landscape facilities design emphasizing the functional roles and identity of new town. In addition the bases and elements applied to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uidelines for designing the landscape facilities of sample town will be researc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laying a fundamental role in researching the future design trend of landscape facilities in new towns.

      • KCI등재

        최근 조명기구디자인에 나타나는 친환경 경향에 관한 연구

        한지영 ( Han Ji-young ),정강화 ( Chung Kang-wh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최근 환경문제가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디자이너는 그들이 하고 있는 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중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감성을 자극하는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위해 더 거시적이고 중요한 가치인 환경을 희생시켜서는 안 된다. 디자이너는 제품, 공간, 서비스 및 시스템 등의 모든 디자인 대상의 생산-소비-폐기의 전 과정에 깊이 개입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환경적 문제의식을 가지고 대상을 디자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명기구가 가지고 있는 친환경적 디자인으로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를 중점으로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물질 자원과 에너지를 동시에 소비하는 조명기구를 대상으로 하여, 최근 이에 나타나는 친환경 디자인의 경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조명기구디자인 중에서 친환경에 대한 디자이너의 의도가 명료하게 드러난 작품들로 한정한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통해 친환경 디자인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조명기구디자인에서 친환경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조명기구디자인에 나타나는 친환경 경향은 저전력, 재생에너지 사용, 소재의 재활용, 폐기물 감소, 친환경 소재의 사용, 친환경 메시지 전달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디자이너가 조명기구의 디자인 전과정(생산-소비-폐기)의 영역에서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Because of the sudden environmental pollution, designers claim the needs of being aware of the serious influences of what they do on the environment. Although some say about the importance of pursuing designs acting as a stimulus to human sensibility, it is still important to look at to bigger picture to prevent the macro view of sacrifice. In the whole process of production-consumption-and discard of all designed objects including products, spaces, services, and system, designers are involved. Therefore, designers have a responsibility to plan their objects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surroundings. In this paper, the research focused on the roles of lighting equipments in support sustainable designs.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tendency of sustainable designs of lighting equipments which consume materials and energy. The definition of the field to be studied is lighting fixtures specifically, works revealing the purposes of designers on eco-friendly surroundings. In later chapters, literature helps to explain theocra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analysis describe the way of applicability of eco-friendly design in light fixtures. Through this research, the tendency of eco-friendly design in lighting equipments are the low-energy consuming, the renewable energy investment, the reuse of materials, the decrement of waste, the use of sustainable materials, the conveyance message claiming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so on. Moreover, the research explains the distinguish of the fields in which designers practiced green designs in the production-consumption-discard process.

      • KCI등재

        팝업 개념을 적용한 식공간의 유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서울시 경의선 숲길 일대 사례를 중심으로-

        최우진 ( Choi Woojin ),정강화 ( Chung Gangw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의 소비자는 이성보다는 감성을, 상품의 기능이나 효율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와 가치가 소비 행위의 전 과정에서 감성적 경험을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 공간에서 행해지는 모든 경험이 소비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감성적 공간 전략에서 2010년대에 등장한 팝업(pop-up)개념은 팝업스토어(pop-up store)로 도입되었고 가치소비와 취향소비의 행태가 두드러지면서 팝업 개념을 적용한 식공간이 등장했다. 이에 따라 최근 경의선 숲길 일대를 중심으로 팝업 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식공간이 생겨났고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 경의선 숲길 일대를 중심으로 빈번하게 나타나는 팝업식공간을 사례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팝업 식공간의 유형과 그에따른 특징을 도출하여 향후 식공간에서 다채로운 팝업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팝업 식공간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팝업 식공간 사례를 팝업 개념 요소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팝업의 개념과 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확립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팝업 식공간 요소를 정리하였다. 이후 선행논문을 통해 팝업 식공간 요소 6가지를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팝업 공간이 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경의선 숲길 일대의 팝업 식공간 사례 8곳을 선정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팝업 식공간 사례에서 나타난 식공간 유형을 본 연구에서는 주기에 따라 3가지의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브랜드 팝업 공간으로 공간 임대나 건물 임차를 통해 한 달에서 두 달 정도의 단기간 팝업 식공간을 운영하는 단독팝업형, 기존 영업 매장 공간을 집약적으로 사용하며 통일된 분위기의 팝업 콘텐츠를 기획 및 운영하여 식공간에 변화를 주는 변환팝업형, 기존 영업 매장에서 불특정 주기에 따라 다양한 장르의 팝업 콘텐츠를 기획, 운영하는 편집팝업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현재 명확한 정체성 없이 등장하고 있는 팝업 식공간이 다양한 팝업 콘텐츠와 다중(多重)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팝업 식공간의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적 특징을 도출했다. 사례분석 결과, 팝업 개념을 적용한 식공간이 가진 정체성과 다양한 장르의 변화를 체험하려는 시도가 교차하면서 식공간 영역에서 팝업 개념의 활용도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경의선 숲길 일대를 중심으로 팝업 개념을 적용한 식공간이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적 특성의 한계가 보인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는 팝업 식공간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향후 식공간의 다양한 팝업 콘텐츠 기획이 시도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Consumers in modern society want emotional experience rather than rationality and focus on brand image and value rather than product function and efficiency. Consequently, all experiences conducted in the consumption space are subject to consumption. The pop-up concept, which appeared in the 2010s with this sentimental space strategy, was introduced in pop-up stores, and the behavior of value consumption and preference consumption was conspicuous; eating space, which applied the pop-up concept, also appeared. A new form of pop-up eating space was recently created around the Gyeongui Line Forest Roa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pop-up eating spaces frequently found around the Gyeongui Line Forest Road in Seoul.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o determine the type of pop-up eating space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various pop-up contents in the future. (Method) In order to categorize pop-up eating space types, this study analyzed pop-up eating space examples through pop-up conceptual elements. To this end, we establish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op-up concepts and elements and organized pop-up spatial elem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ward, six pop-up eating space elements were derived from a previous paper, and eight pop-up eating space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Gyeongui Line Forest Road, where pop-up spaces are frequently observed; subsequent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types of eating spaces that appeared in pop-up eating space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forms according to the period in this study. It can be categorized as a single pop-up type that operates a pop-up eating space for a short period of 1-2 months through space rental or building rental, a conversion pop-up type that plans and operates pop-up contents with a unified atmosphere, and an edit pop-up type that plans and operates pop-up contents of various genres according to unspecified cycle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op-up eating space currently appearing without a clear identity is changing into a variety of pop-up contents and multiple spaces, and the types of pop-up eating spaces are classified to derive typographical feature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is judged that the utilization of pop-up concepts in the eating space area will increase as attempts to experience the identity of the eating space with various genre changes intersect. However, region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selected cases are limited because there are frequent pop-up restaurants around the Gyeongui Line Forest Road.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pop-up eating spaces will be recognized, and various pop-up content planning of eating spaces will be attemp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