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김금순 ( Keum Soon Kim ),이명선 ( Myung Sun Yi ),방경숙 ( Kyung Sook Bang ),조용애 ( Young Ae Cho ),이정림 ( Jung Lim Lee ),이은 ( Eun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불쾌감 이론을 기반으로 생리적 요인(폐암 병기와 활동상태),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및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관리하는 간호실무에 적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은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합친 것으로 평균 12.62점이었다. 이는 일반 암 관련 증상을 살펴 본 Baek10)의 27.7점과 Lee와 Kim19)의 23.1점과 비교 시 낮았으며,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함께 측정한 Lee3)의 평균 17.15점보다 낮은 점수였다.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현재 치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미만으로 60대가 50.5%를 차지한 반면에 Baek10)의 연구에서는 60대 이상이 66.5%인 것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7)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아져 70대에서의 발생이 34.5%로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가 38.6%로 Lee3)의 43.9%와 전체 대상자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Baek10)의 연구와 비교 시 낮았기에 증상경험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하는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상경험은 낮은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들의 56.4%가 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였고, 38.6%가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3.0%였으며 또한 지난 한달 간 4 kg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경우도 2.0%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80.2%가 현재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추후에 대상자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리적 요인인 폐암 병기,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폐암 병기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병기와 상관없이 현재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치료 중에 있는 대상자의 증상경험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증상점수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기에, 질병 관련 생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상태가 ECOG PS 0에서 2단계로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은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3,10,11) 심리적 요인인 불안, 우울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불안과 우울 모두 증상경험과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증상경험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20,21) Lee3)의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지각하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는 증상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증상경험을 통해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의 권고와 같이 암의 진행단계마다 대상자의 불안과 우울을 평가하여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22) 이때 환자의 내적 능력인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Lee3)의 연구에서 입증하였듯이 유용한 간호접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황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증상 간에 유의한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3,23) 그러나 Lee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극복력을 매개로 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증상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20점 만점에 가족지지는 평균 17.69점, 친구지지는 13.63점, 의료인지지는 10.26점으로, 의료인 지지가 가장 낮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3,10) 이는 직접간호제공자일 뿐 아니라 옹호자, 지지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도전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결과, 즉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하게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여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기능적 상태는 저하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발성 증상군의 경증군은 중증군에 비해 기능이 더 좋았다는 Lee와 Park4)의 연구결과와 호흡곤란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상태는 저하되었다는 Mohan 등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부작용 증상을 심하게 호소할수록 기능적 상태가 저하되었다는 Baek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생리적 요인(활동상태),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증상경험의 5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에 의해 증상경험이 43.4% 설명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에 의해서는 50.7%설명되었다. 이는 Lee3)의 연구에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로 측정한 디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부담이 62.8% 설명되었다는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두 연구결과 모두 불안과 우울이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활동상태가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활동상태가 매우 저하된 중증의 환자에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는 폐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상태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 영향요인들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 간의 관계를 종합해 볼 때, 불쾌감 이론은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와 환자상태에 맞는 간호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간호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환자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불쾌감 이론과 같은 중범위 이론의 간호실무 적용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줄이고 간호실무가 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더욱 발전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SCOPUSKCI등재

        TGF-${\beta}1$으로 자극한 사람중피세포주에서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제가 미치는 영향

        이정림,전수진,유영춘,김지혜,이유미,권선중,손지웅,최유진,나문준,Lee, Jung-Lim,Jeon, Soo-Jin,Yoo, Young-Choon,Kim, Ji-Hye,Lee, Yu-Mi,Kwon, Sun-Jung,Son, Ji-Woong,Choi, Eu-Gene,Na, Moon-Jun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11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0 No.5

        Background: In an effort to find alternative therapeutic agents to prevent excessive fibrosis as a sequela to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or empyema, we examined the effect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as a fibrinolytic agent combined with talc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in a human pleural mesothelial cell line, MeT-5A. Methods: MeT-5A cells were stimulated with various doses of talc, doxycycline or TGF-${\beta}1$ for 24 h and then were treated with tPA for an additional 24 h.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8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ulture supernatants was measured by ELISA. Real-time PCR was carried out for measurement of type I collagen mRNA. Results: MeT-5A cells treated with talc show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production of IL-8. Talc also increased production of type I collagen mRNA at low doses, but talc did not influence the induction of VEGF. Addition of tPA to talc-stimulated cells showed further increases in the production of IL-8, but tPA did not influence the production of VEGF or type I collagen mRNA. TGF-${\beta}1$ increased the production of both VEGF and collagen type I mRNA, both of which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additional tPA treatment in MeT-5A cells. Conclusion: TGF-${\beta}1$ is a potent inducer of collagen synthesis without induction of IL-8 in MeT-5A cells. Addition of tPA after TGF-${\beta}1$ stimulation inhibited further fibrosis by direct inhibition of collagen mRNA synthesis as well as by inhibition of VEGF production.

      • KCI등재

        추상화를 통한 모델의 축소 : 네모라이즈 게임 사례 연구

        이정림,권기현,Lee Jung-Lim,Kwon Gi-H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1

        Given a state, it is essential to for the finite state model analysis (such as model checking) to decide whether or not the state is reachable. W a site of the model is small, the whole state space is to be explored exhaustivel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or even impossible if a size of the model is large. In this case, the model can be reduced into a smaller one via abstraction which does not allow e false positive error. this paper, we devise such an abstraction and apply it to the Nemorize game solving. As a result, unsolved game due to the state explosion problem is solved with the proposed abstraction. 주어진 상태가 도달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작업은 모델 체킹과 같은 유한 상태 모델의 분석에서 필수적이다 만일 모델의 크기가 작다면 상태 공간을 전부 조사해서 판정할 수 있지만, 크기가 큰 경우에는 전체 상태 공간을 조사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도달성 여부를 조사하기 전에 추상화를 통해서 모델을 축소해야 하며 이때 사용된 추상화는 false positive 오류를 허용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상화를 고안하여 네모라이즈 게임 풀이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상태 폭발 문제로 풀 수 없었던 큰 규모의 문제를 추상화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혼과 재혼에 대한 아동과 청소년의 지각

        이정림 ( Jung Lim Lee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7 동서정신과학 Vol.10 No.2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dolescents` perceptions of divorce and remarriage. To achieve this purpose, gender and grades differences in adolescents` general perceptions of divorce and remarriage, as well as their needs and coping strategies in case of their parents` divorce and remarriage, was investigated.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perception questionnaire about divorce and remarriage for adolescents` an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needs and coping in case of parents` divorce and remarriage. Participants were 580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Deagu.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ross-tabs and chi-square test in SPSS/win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divorce compared to 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fe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exhibite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remarriage than 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most students, regardless their gender or grades, wanted to be counseled by their parents. Also, high school students and boy students showed higher tendency to solve problems by themselve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gir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ducational supports and multiful helping methods adolescents are needed, and adolescents need be helped to adapt domestic environments in case of their parents` divorce and remarriag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영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정림 ( Lee Jung Lim ),강석정 ( Kang Seok-ju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pirituality and quality of life and verify the effect of mediating spirit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73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stress, spirituality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from November 9 to December 9 in 2020.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str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49, p<.001) and spirituality (r=-.40, p<.001). In addition, spiritua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56, p<.001) and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reduce 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pply a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 recognizing and developing nursing student’s spirituality.

      • KCI등재

        폐암환자의 스티그마 디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

        이정림(Lee Jung Lim),김금순(Kim Keum Soon) 대한종양간호학회 2011 Asian Oncology Nursing Vol.11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igma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QOL)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3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S hospital in Seoul from July 21st to August 29th 2011. To measure stigma distress and QOL Cataldo Lung Cancer Stigma Scal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EORTC QLQ-C30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verag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SPSS WIN 19.0. Results: Stigma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r=.37 p<.001; r=.44 p<.001; r=.23 p=.012) while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global QOL and function (r=-.26 p=.003; r=-.40 p<.001). Anxiety and depression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mptoms (r=.43 p<.001; r=.58 p<.001) while anxiety and depre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global QOL (r=-.40 p<.001; r=-.56 p<.001) and function (r=-.64 p<.001; r=-.66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lung cancer patients experienced stigma and distress tha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ubjects' QOL. Thus the study's findings can be useful in developing psychosocial nursing strategies to improve QOL of lung cancer pati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의 관계

        이정림(Lee, Jung-Lim),조영아(Cho, Young-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6

        최근 들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진로문제가 중요한 청소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유형 및 사회적 지지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의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소외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권역의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과 검정고시 학원의 학교 밖 청소년 20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소외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변인간의 관계와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진로장벽, 소외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진로장벽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과 소외감은 사회적지지 중에서도 부모의 지지와 평가적 지지와 가장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외감은 부모지지 및 교사 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친구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소외감은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정서적 사회적 지지의 모든 유형과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고졸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 및 교사, 친구들이 제공하는 여러 유형의 사회적 지지를 향상하여 소외감을 낮춰줌으로써 진로장벽을 낮춰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out-of-school adolescents has been increasing,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ir careershave become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barrier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ype/support source and to examine whether a sense of alien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preparing for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their high school degree. To accomplish this, a survey of 207 students from the Youth Support Center for out-of-school adolescents-K-Dream-and Qualification Examination Institute located in five regions (Seoul, Busan, Jeju, Gangwon, and Jeonla province) wa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between variables and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ienation and career barriers. Carrier barriers and alienatio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arent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Moreover, a sense of alienation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teacher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s well as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 sense of alienation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upport/evaluation support/emotional support/mater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These findings imply that, in out-of-school adolescents, career barriers can be reduced through various kinds of social support provided by peers, parents and teachers as it decreases the sense of alienation.

      • KCI등재

        교육실습 기간 예비교사의 성찰 활동이 교사효능감과 교육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림 ( Jung-lim Lee ),정현미 ( Hyun-mi Chu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 기간 중등 예비교사의 성찰 활동이 교사효능감과 교육실습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의 직무역량향상에 효과적인 성찰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 대학교 사범대 교직실무 강좌 수강생 중 교육실습에 참여한 120명이며, 성찰유형별-자율 성찰, 구조화된 성찰, 동료피드백을 수반한 구조화된 성찰-로 각 40명씩 임의배치한 후, 각 집단의 사전·사후 교사효능감 차이와 사후 교사효능감 및 실습만족도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paired-t 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세 성찰유형 모두 교사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교사효능감 차이검증에서 예측 성찰(anticipatory reflection)이 포함된 자율 성찰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셋째, 집단 간 교육실습만족도에서도 예측 성찰이 포함된 자율 성찰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성찰의 의미와 효과적 성찰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flection type on teacher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um. The participants were 120 college students in the teaching practical course of A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ypes of reflection during teaching practicum including autonomous reflection, structured reflection, and structured reflection with peer feedback.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were analyzed by paired-t 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reflection typ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efficacy. Second, the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among the thre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ee,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ching practicum among the thre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using reflection as a useful metho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