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중변환 알고리듬을 적용한 줄눈 콘크리트 포장해석 프로그램 개발

        윤태영,김지원,조윤호,Yun, Tae-Young,Kim, Ji-Won,Cho, Yoon-Ho 한국도로학회 2003 한국도로포장공학회 논문집 Vol.5 No.4

        최근 국내에서는 국내 여건을 고려한 설계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미 공용중에 있는 도로 포장의 성능향상을 위한 $\ulcorner$한국형 포장 설계법 개발과 성능개선 연구$\lrcorner$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ulcorner$하중변환 알고리듬을 적용한 줄눈콘크리트 포장 해석 프로그램$\lrcorner$은 이러한 연구의 세부분야인 콘크리트 포장 설계법 개발분야의 연구 결과로서 기본 프로그램 부분과 하중변환 부분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기본 프로그램 부분에서는 판/쉘 요소, 스프링 요소 보 요소를 이용하여 줄눈 콘크리트 포장의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층, 다웰바를 모사한다. 하중변환 부분에서는 기존의 연속체 요소에 대한 하중변환 알고리듬을 수정/적용하여 요소망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하중 조건을 해석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중변환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는 등분포 하중 이외에, 집중하중. 온도하중, 자중 등을 고려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민감도 분석 결과 하중크기 및 위치와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가 포장의 거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Westergaard 계산식, ILLISLAB과 유사한 결과이다. Recently, the new pavement design method considering Korean environment and the specification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pavement are being developed in Korea. The Jointed Concrete Pavement Program Applying Load Discretization Algorithm (called HEART-JCP) is one of the results of Korea Pavement Research Project in Korea. HEART-JCP program is developed to analyze various loading condition using the load discretization algorithm without mesh refinement. In addition, it can be modified easily into multi-purpose concrete pavement nidyses program because of the modularized structure characteristic of HEART-JCP. The program consists of basic program part and load discretization part. In basic program part, the displacement and stress are computed in the concrete slab, sub-layer, and dowel bar, which are modeled with plate/shell element, spring element and beam element. In load discretization program part, load discretization algorithm that was used for the continuum solid element is modified to analyze the model with plate and shell element. The program can analyze the distributed load, concentrated load, thermal load and body load using load discretization algorithm. From the result of verification and sensitivity study, it was known that the loading position, the magnitude of load, and the thickness of slab were the major factors of concrete pavement behavior as expected. Since the result of the model developed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Westergaard solution and ILLISLAB, the program can be used to estimate the behavior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reasonably.

      • KCI등재

        일본 민법 제정사에서의 원인론

        윤태영(Yoon, Tae-Young) 한국재산법학회 2013 재산법연구 Vol.30 No.3

        민법상 '원인(cause)'이란 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이유로, 법률행위론 내지 계약법에서의 이론체계를 구축하는데 법제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표시나 법률행위의 목적이라고 하는 개념이 아닌 '원인'이라고 하는 개념은 우리에게 매우 익숙하지 않은 개념으로, 프랑스민법상의 '꼬즈'라고 하는 이질적 개념으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 민법의 기초자료가 되었던 일본민법에서는 프랑스민법의 영향으로 구민법에서 계약의 성립요건으로 '원인'을 규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판덱텐체계를 취하는 현행민법으로의 수정 과정에서 원인이라는 개념이 삭제되게 되었다. 원래 구민법에서는 원인을 목적 및 동기 등과 완전히 구별하고 있었지만 총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의사표시와 목적이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고, 원인을 별도의 개념으로 둘 필요가 없다고 본 것이다. 우리 민법은 현행 일본민법보다 독일민법에 더 가까운 민법의 모습을 띠게 되었고, 당연한 결과로 원인이라는 개념은 우리 민법에 매우 익숙하지 않은 모습으로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원인'이 완전히 부정된 것이 아니라, 의사표시와 목적 속에 포섭되어 삭제된 것이므로, '원인'에 대한 논의는 동기의 착오와 같은 우리 민법상의 법률행위의 해석에 있어 난점을 보이는 부분의 해결에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Cause" in civil law can be defined as a reason to enter into a contract, which has been an important matter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juristic act or contract law. Nevertheless, Korean civil law scholars are staying unfamiliar with the concept of cause which is regarded as "the theory of cause" found only in France civil law. The Korean Civil Code mainly referred to the Japanese Civil Code when it was enacted. While the old Japanese Civil Code draft(by G. Boissonade) treated "Cause" as an element of creation of contract, the current Japanese Civil Code has not considered cause as an element of juristic act, accepting Pandekten system. It is because Japanese law makers has thought that it is unnecessary to make cause separate from the concept of "Expression" or "Purpose" as an element of juristic act. The Korean Civil Code seemed to be more similar with the German Civil Code than the Japanese Civil Code. As a result, it is true that "Cause" has been completely out of Korean Civil Code. Yet, "Cause" in our Civil Code does not totally disappear but permeates the declaration of will and the purpose. The discussion about the "Cause" can help us diminishing a unclear topic or concept that cannot be figured out while interpreting juristic acts.

      • KCI등재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에 대한 법적 과제- 인공지능시스템에서 허용되는 운전 방법 및 운행자 책임을 중심으로 -

        윤태영(Yoon, Tae-Young) 한국재산법학회 2017 재산법연구 Vol.34 No.2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해서는 미국 도로교통안전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의 기술수준에 따른 5단계(레벨 0 ~ 레벨 4)의 분류가 유명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레벨 2 이상의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하여 자동차관리법상 안전운행요건 적합 여부의 확인을 받아 시험 연구 목적으로만 임시운행을 허용하고 있으며, 도로교통법상 일반적인 운행은 허용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미국 일부 주에서는 레벨 2내지 3 단계의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을 허용하고 있고, 우리나라가 가입한 국제 협약인제네바협약 및 비엔나협약에서도 레벨 3의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을 허용하는 법 개정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실용화는 고령화가 심각한 사회에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교통난에 시달리는 도시의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교통사고수의 삭감과 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이상적인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상태가 진정으로 실현되는 상황은 레벨 4의 기술의 전개가 있을 때부터이다. 레벨 3이 레벨 4와 다른 점은,인공지능 시스템이 자율 주행 중 기능 한계에 다다른 경우 운전자가 운전 권한을 복구하여 수동제어 하여 운전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레벨 3 이하의 기술이 탑재된 자율주행자동차는 완전한 자율주행차량이 아니고, 따라서 현행법상 면허를 취득할 수 없는 자나 가 지고 있지 않은 자, 만취한 자 등 운전할 수 없는 자는 이것을 이용할 수 없다고 해석된다. 이렇게 운전자 동승의무를 규정하는 레벨 3 수준이라 하더라도, 운전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제어하지 못해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운행자 책임이 아니라 인공지능제조사의 제조물책임으로 규율하여야 할 것이다. 만약 이러한 상황에 대해 운행자에게 책임을 묻는 법제로 정비된다면 실제로 레벨 3의 자율주행자동차는 그 기능대로 이용될 수 없게 되고, 그만큼 기술 발전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Speaking of autonomous driving cars, the classification from level 0 to 4 by the United State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NHTSA) is well-known. In South Korea, only the use of level 2 or more cars are allowed just for test runs, under condition that i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On the other hand, part of the states in U.S. allow the run of autonomous driving cars in levels of 2 to 3 on public roads, and the Geneva Convention on Road Traffic, in which Korea is joined to, is also discussing the amendment in law of allowing level 3 autonomous driving cars to run.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driving cars may be the ideal solution which can solve traffic problems of the aging society, decrease in traffic accidents, and improvement in environment. However, the circumstance in which these positive conditions actualize is when the technology of level 4 is put into practical use. Level 3 is differentiated from level 4 in that drivers are still necessary for manual controls in emergency. Cars under level 3 are not fully automated, but highly automated vehicles, and therefore cannot be driven by drunk drivers, drivers without licenses, etc. Although level 3 cars require the driver’s concern, the risk of accidents made should not be borne by the driver; the manufacturer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If the law modifies so that the driver takes the responsibility, the driver would not be able to use the car in level 3’s standards comfortably, and this could also give negative impact on technology growth.

      • KCI등재

        다수당사자 채권관계에서의 분할주의원칙 제한을 위한 합리적 모색

        윤태영(Yoon, Tae-Young) 한국재산법학회 2010 재산법연구 Vol.26 No.3

        The Korean Civil Law art. 408 stipulates a principle that obligations are separate when each debtor is bound to render only part of the performance and the creditor may require from each debtor only that debtor's part. However, this principle is regarded to have weakness in securing effectiveness of credit, as it neither consider security solvency nor reflect the current transactional practice. Therefore, many scholars, when they construe this article, have tried to restrict the establishment of separate obligations and to construe the provision to prescribe indivisible obligation with strong security solvency or solidary obligations. Majority opinion even construes it to prescribe presumption of solidarity. Court, having perceived the problem of security solvency, have also construed the article to include indivisible obligation in various cases. But court have not judged that the article could be construed to include presumption of solidarity, which is criticized by many scholars.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to construe the article as indivisible obligation even for monetary debt. Besides, in the light of legislative history, it is not possible to construe the article to prescribe presumption of solidarity. After all, a solution to construe the Korean Civil Law art. 408 to meet the current transactional practice can be moderated interpretation which recognizes it to prescribe solidarity implicitly. This research examined this issue through historical review and suggested a solution.

      • SCOPUSKCI등재

        Acetylsalicylic Acid , Dipyridamole , Nifedipine의 병용 치료로 병변의 소실을 보인 청피반성 혈관염 3예

        윤태영(Tae Young Yoon),장승호(Seung Ho Chang) 대한피부과학회 1994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2 No.2

        Livedo vasculitis clinically shows purpuric papules and recurrent ulcers in the lower extremities, mainly on the ankles, leaving characteristic scars called atrophie blanche after the healing of the ulcers. Its characteristic histopathologic features and clinical evolution indicate that the common pathologic event is occlusion of vessels in the middle and deep dermis. In Korean literature, seven cases of this disease have been reported but the response of the treatment was not, satisfactory. We report three cases of livedo vasculitis cleared by combined ther by of acetylsalicylic acid, dipyridamole and nifedipine, which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n literatur. (Kor J Dermatol 1994; 32(2): 294-299)

      • KCI등재

        2014년 소비자분쟁조정의 동향과 성과

        윤태영 ( Yoon Tae-young ) 한국소비자법학회 2015 소비자법연구 Vol.1 No.1

        소비자 분쟁조정제도는 법원에 의한 재판절차보다 탄력적이며 절차진행이 신속하고 간단하여 시간적으로나 금전적으로 매우 경제적이다. 당사자의 상호양보를 통한 해결방안에 의해 소송보다 유연하게 분쟁을 처리하고 분야별 전문가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전문성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많은 조정신청이 있어 왔고 매년 사건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14년도에도 많은 소비자 분쟁조정 사건이 있었는데, 특히 집단분쟁조정 사건들이 눈에 띈다. 2006년 소비자기본법상 집단분쟁조정제도가 도입된 이래 집단분쟁조정신청이 늘어나고 있는데, 종래에는 주로 아파트 하자 및 과장광고, 개인정보침해 등과 같은 사건들이 대부분 이었지만 2014년에는 보다 다양한 유형의 분쟁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2014년에도 있었던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와 전자문서 · 거래분쟁조정위원회의 집단분쟁사건을 정리하고, 특히 중요한 두 가지 집단분쟁조정 사건을 분석해 보았다. 하나는 항공기 운행 지연에 대한 배상책임과 관련한 조정 성립사건이고, 다른 하나는 인터넷 쇼핑몰 결제 시스템 오류로 준비된 행사물보다 많은 물량이 대폭 할인된 행사가격으로 결정된 사건에 대한 조정성립사건이다. Consumer dispute mediation system is more flexible than the trial procedures of the court. Being quick and simple in the process, it is economically beneficial in both aspects; time and money. With experts’ solution created by opinions gathered from related parties, disputes can be settled smoother than lawsuits. Therefore, consumers have applied for many settlement commissions, and its number is growing every year. Out of many consumer dispute settlement cases in 2014, collective dispute mediations are outstanding. Ever since collective dispute mediations have been accepted in 2006 due to Framework Act on Consumers of Korea, applications for collective dispute mediations are increasing. Although the cases were usually related to apartment flaws, exaggerated advertisements, and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 were a lot more various kinds of disputes in 2014. This study organized collective dispute mediations of the Consumer Dispute Settlement commission and the E-Commerce Mediation Committee, which also happened in 2014, and analyzed two important dispute mediation cases. One is a dispute settlement case related to compensation for flight delay, and another is a discount event dispute caused by the payment system’s error.

      • KCI등재

        일본법에서의 퍼블리시티권

        윤태영(Yoon Tae Yo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6 比較私法 Vol.23 No.1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퍼블리시티권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일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지만 이에 대한 명문규정이 없기 때문에 하급심 판례가 엇갈리는 등 혼선을 빚고 있다. 따라서 관련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리를 세워나가고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의 퍼블리시티권 관련 법이론, 실무전개 및 실정법 형성 과정을 파악하여 참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 법에 많은 영향을 준 일본의 법제도와 최근 현황을 비교법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일본에서는 ‘마크 레스터 사건’ 이후 판례에서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해 왔고, 관련 판결이 상당히 축적되어 있다. 그리고 퍼블리시티권의 보호를 위한 법률구성으로서 판례는 민법상 불법행위 제도를 활용해 왔다. 그러나 퍼블리시티권은 인정하면서도 그 권리의 법적 성질, 손해 배상액 산정이나 금지청구권의 인정 여부 등에 있어 판결마다 다소 차이가 있고 이 문제에 여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난점도 가지고 있다. 그 이유의 기초는 퍼블리시티권이 성명 · 초상과 같은 인격권적 요소가 강할 뿐만 아니라 보호되어야 하는 이익은 경제적 이익으로서 재산적 요소도 강한 데에서 비롯된다. 퍼블리시티권의 법적 성질에 대해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인격권설과 재산권설의 대립이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이렇게 학설과 판례가 나뉘는 이유는 금지청구에 대해서는 인격권이라는 배타적 권리를 요하기 때문이다. 양도나 상속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도 인격권설과 재산권설 중 어느 입장을 취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와 관련하여서는 유명인에 한정된다는 것이 다수설 및 판례의 입장이다. 또한 물건의 퍼블리시티권이 문제가 된 사건이 세간의 이목을 받았는데, 1심 및 2심과 달리 최고재판소는 물건의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학계에서는 물건에 대한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강하다. 이처럼 일본에서는 판례가 퍼블리시티권이라는 권리를 인정하면서 개별적 사안마다 구체적 타당성을 기하기 위해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이론구성만 달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는 법률이나 관습법이 없어 부정한다고 하는 하급심 판결과 인정하는 하급심 판결이 동시에 나와 법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있다고 본다. Although the need to accept the idea of publicity right is acknowledged in Korea, there are no substantive enactment supporting this right, leading to confusion in lower-court trials’ precedent, and it is requisite to construct legal principles to solve related controversies. Therefore, there is need to understand and consult other countries’ law theories, precedents, and the procedure of making laws that are related to publicity right. This study analyzed the Japan’s legal systems and recent conditions which have given a lot of influence on our laws, and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Japanese courts have been acknowledging publicity right by tort law ever since the Mark Lester case, and related judgements are quite built up. Although the publicity right is recognized by the precedent,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solving problems such as the legal nature, amount of compensation, injunction, etc.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publicity righ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ersonal rights and property rights. The theory is divided into personal and property right theory especially due to injunction’s acknowledgement only with absolute rights such as personal right. Whether transference or inheritance is possible also depends on which theory one is supporting. Many scholars and precedents’ position is that publicity right is only limited to celebrities. In Japan, overturning lower-court trials, the supreme court did not acknowledge publicity right of things. Japanese courts acknowledge the right of “publicity right”, and whether to protect it or not is depended on each case. However, Korean courts still do not have a consistent principle deciding whether to acknowledge publicity right or not and are having confusion. Thus, the analyzation of Japanese precedent gives us implications.

      • KCI등재

        일본에서의 독일 학설계수가 한국 민법 제정에 미친 영향 - 채권법상 입법화 유무의 원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중심으로 -

        윤태영 ( Tae-young Yoon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論集 Vol.20 No.4

        우리 민법의 입법에 많은 영향을 준 일본 민법 제정시부터 1940년대까지의 일본에서는 프랑스법이나 영미법의 영향에 비해 독일법학이 압도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를 가리켜 민법전에서의 법전적 계수와 비교하여 독일법학적 섭취 또는 학문적 계수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그리고 우리 민법이 제정당시의 학설을 받아들여 의용민법상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부분을 입법적으로 상당부분 해결한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일본법의 해석상 논리적 모순이 있고 독일 민법의 영향으로 학설대립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우리 민법에서 입법적으로 해결을 보지 못한 부분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채권법 부분의 몇몇 쟁점을 중심으로 당시 일본에서 이루어진 독일법학으로부터의 학설계수의 배경 및 내용을 분석하여 우리 민법에서 어떻게 입법적으로 해결을 보았는지 또한 해결을 보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먼저 독일 민법전에는 존재하나 일본 민법전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제도, 특히 일본 민법에서 입법적 불비가 있어 제정 이후 학설로서 극복되고 있었던 부분을 우리 민법에서 이를 입법화하여 극복한 부분이다. 그 예로서는 이행보조자책임,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부분은 학설계수가 우리 민법 입법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는 일본 민법전의 규정이 손해배상의 범위와 같이 ``비독일법적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학설계수에 의한 무리한 내용형성이 있었던 부분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 민법 제정과정에서 부분적 해결에 그치고 입법적으로 근본적 해결을 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민법이 민법전에 걸맞지 않게 서둘러 제정되고 연구의 축적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일본 민법이 여러 나라의 민법을 종합·변형하여 입법화함으로써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입법에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Japanese civil law gave a lot of influence on Korean civil law. From the time when Japanese civil law was made to the 1940``s, it has received overwhelming effect from German law, rather than French or Anglo-American law. This is called “theory reception from Germany”, unlike the reception of civil code. Moreover, Korean Civil Code was enacted, referring to the theories, and solved various problems of Japanese Civil Code. However, even though controversies of theories have continued in Japan, there are still problems that are left unsolv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eory reception from Germany by Japan, and whether this influenced Korean Civil Code or not.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in two ways. The first one is the overcoming of a problem in Korea that happened in Japan due to not enacting law systems that is enacted in German Civil Code, such as the negligence and breach of contract and responsibility from performance assistant. The theory reception from Germany gave a positive influence to Korean civil law in this aspect. Another one is that Japanese Civil Code had immoderate creation of contents, such as proximate causal relation; despite of including laws from other countries, Japan scholars applied German theory to these laws. Since Korean Civil Code was made in haste and since there was lack of studies, the problems were partly solved, but they were not solved fundamentally through enacting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