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17대 국회의원들간 공동발의 연결망 형성의 메커니즘 분석

        이병규 ( Byung Kyu Lee ),염유식 ( Yoo Sik Youm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9 현대사회와 문화 Vol.29 No.-

        지금까지의 사회 연결망 연구는 대부분 연결망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연결망 내에서 행위자의 위치를 살펴보거나 연결망 자체의 특성에 대해서 탐구해왔다. 다시 말해, 연결망에서 관계에 해당하는 연결(tie) 그 자체보다는 그러한 연결이 행위자(actor)의 특성으로 요약되어 변수로 사용되거나 연결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연결망의 패턴을 관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결망을 종속변수로 취급한 뒤 통계적으로 모형화하여 추정하는 모형(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을 이용하여 연결망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7대 국회의원들 사이의 4년간 공동발의 자료이며 완전 연결망(Complete Network) 자료로서 17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의 공동발의 연결망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보건복지위원회 내의 법안발의 과정에서 비례대표의 영향은 없었으며, 정당의 효과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회 법안발의 연결망의 경우에도 기존 사회연결망 연구에서 중요한 연결망 형성원칙으로 지목되는 상호호혜성의 원칙("reciprocity": "내가 친구로 지목하는 이는 나를 친구로 생각한다")과 이행성("transitivity": "친구의 친구는 곧 나의 친구가 된다")의 원칙이 법안 공동발의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정당의 역할에 있어서 여당이 법안 자체를 야당에 비해 더 발의하거나 더 제안받지는 않지만 집중도의 측면에서 여당이 야당에 비해 집중적으로 법안을 제기하고 법안을 제안받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사회 연결망 형성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시도라는 데 가장 큰 의의가 있으며, 특히 연결망 내에서 연결(tie)들 간에 독립성에 대한 비현실적인 가정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 시스템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가정을 차용함으로써 보다 실제에 가까운 모델링을 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국회의원들의 행태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정당이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통계적 검증을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회의원들이 누구와 어떻게 법안을 주고 받게 되는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회연결망 형성의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큰 첫걸음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Most network studies in social science treated social networks as given and focused on the diverse effects of social network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co-signing networks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had formed and evolved, instead. This type of studies that model social ties as dependent variables had one serious methodological problem: social ties are supposed to be dependent unlike the traditional statistical model that assumes independent and identical distribution of observations. In other words, ties from A to B are usually dependent on the ties from B to A (or they are also dependent on ties from A to C) and this kind of dependency makes traditional statistical analyses impossible to apply. This paper utilized P-net model (or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that allows dependency between ties to examine how co-signing networks have formed and evolved. By using the co-sponsoring network data of 17th Korean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revealed the three interesting characteristics on the formation of co-signing networks among 17th Korean Congressmen in the Standing Committee of Health and Welfare. First, with compared to opposition-party congressmen, congressmen of ruling party were less likely to propose or be proposed for bills. Also they showed higher concentration among very active congressmen with regard to proposing or being proposed. Thus, bill proposals are more concentrated on a few congressmen and also less active in general among ruling-party congressmen. Second, both the existence of reciprocity and transitivity were confirmed. Congressmen were more likely to propose each other (reciprocity). Also if congressman A proposes a bill to B and B proposes another bill to C, then A is more likely to propose a bill to C (transitivity). This transitivity implies some hierarchical structure in co-singing networks. Finally, the activity of congressmen assigned by proportional representa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the activity of congressmen for specific district. This finding suggests tha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ongressmen who were expected to behave in a freer way based on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r career actually proposed and cosigned in the same way congressmen for specific district did.

      • 학벌과 불행: 한국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

        문상석 ( Sangseok Moon ),염유식 ( Yoo Sik Youm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0 현대사회와 문화 Vol.31 No.-

        한국사회는 학력 사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사회다. 한국사회에서 학력(學歷)은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누군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즉, 서로에게 사회적 압력을 강요하는 중요한 도구인 것이다. 사람들이 어떤 누군가를 만날 때 가장 먼저 질문하는 것이 그 사람이 학생인 경우 공부를 잘 하는가에서 만일 직장인이라면 어느 대학교를 졸업했나를 질문하곤 한다. 최근에는 외고를 졸업 했는가 혹은 아닌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럴 경우 우리는 한국사회를 학력주의(學歷主義)에 근거한 학벌사회(學閥社會)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사회 구조 속에서 언제나 자신의 사회 이동을 추구하도록 강요받는 개인들은 최대한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는 지점을 찾아가도록 한다. 가장 최대한으로 자신의 집단을 올리기 위한 수단은 학력 취득이다. 이런 학벌 중심의 사회에서 부모는 자신들의 부를 재생산하기 위해서,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자신들의 아이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자녀들에게 학력을 취득하고 좀 더 명문대, 명문대를 위한 명문고, 명문고를 위한 명문 중학교를 찾아다니도록 강요한다. 소위 외고열풍은 한국사회의 이런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는 부르디외의 부모의 문화적 자본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문화적 자본이 높아진다는 것이 한국의 연구들에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부모의 학력이 높아질수록 자녀들의 하력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방정환 재단에서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구축과 국제 비교연구조사를 2009년, 2010년 연속적으로 실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국가들의 청소년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사회에서 청소년들이 비록 객관적 환경 측면에서 물질적 행복, 보건과 안전, 교육 및 가족과 친구 관계, 및 건강관련 행위 등의 항목에서도 중간 이상의 행복을 위한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행복지수에 있어서는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학생들보다 보다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원인을 학업 및 학교의 교육 환경에서 찾고자 한다. 한국 사회가 학벌 획득을 강요하는 사회 구조이고 이런 구조 속에서 학생 개개인들은 하력의 신장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공부에 내몰리게 된다. 이때, 학생들의 부모들은 이런 것들이 자녀들의 미래 행복의 조건이라고 믿기 때문에 이런 구조 속에서 자신들의 자녀들이 스스로를 잃어버리고 소위 말하는 소외된 공부를 하도록 용인하거나 강요하게 된다. The Korean society is so-called a society of credentialism. Degree is a great and important criterion with which people are going to judge or evaluate others. Therefore, most of Koreans are pursuing the degree of some prestigious universities. This social phenomenon has been built by the tradition that Koreans have tried to succeed in their society. This tradition is connected to the modern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has its strong impact on individuals` future of Koreans. Therefore, achieving educational degree at prestigious universities has become a means of success, which make the Koreans join in endless competition to get those prestigious degrees. Under this social structure, elem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experiencing social pressures to compete with one anoth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success getting admission from only a few prestigious university. So everyday, they are studying at their schools, private tutor institutes and their homes. The subjective Indices of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and students are relatively lower than ones of other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even though their objective conditions for their well-being are not low or even higher than ones of OECD children and students, This research aims at explaining the reasons of relatively low self-reliance and well-being with social structure which makes the Korean actors join in endless competition to achieve credentials. This strong social structure makes children and students feel unhappy and not satisfied with their lives.

      • KCI등재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Effects of Gyungrodang Use on Depression among Rural Elderly

        박영란(Yeong Ran Park),염유식(Yoo sik Youm),정은화(Eun Hwa Jung),추상희(Sang Hui Chu),김현창(Hyeon Cha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0 No.-

        논문은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과 이용하지 않는 농촌 노인들의 특성을 비교하고, 경로당 이용이 이들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연구에서 K군 1개 면의 노인을 전수 조사한 자료 가운데 7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에 의하면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이 이용하지 않는 노인보다 연령이 낮고, 학력이 낮으며, 일을 더 많이 하고, 주관적으로 더 건강하게 느끼며, 우울감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경제적 상태 및 건강을 통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경로당 이용은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농촌에서 생활밀착형 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 이용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경로당 비이용자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yungrodang use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Data from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KSHAP)」was used for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seven hundred and eleven elderly living in one rural village of a province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utilized Gyungrodang and those who did not. The effects of Gyungrodang use on depression among the participants was explored as well. Results from data analysis showed that those elderly who use Gyungrodang had lower level of depress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conomic and health status. Implications were drawn for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Gyungrodang and for paying more attention to its non-users in rural areas.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고독감과 주관적 저작불편감의 관련성

        조혜경 ( Hye-kyong Cho ),정윤숙 ( Yun-sook Jung ),허효진 ( Hyo-jin Heo ),염유식 ( Yoo-sik Youm ),송근배 ( Keun-bae Song ),최연희 ( Youn-hee Choi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2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4 No.2

        Objectives: Loneliness was associated with not only social status but also general health. Psychological conditions in older people have negative effects on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ubjective chewing discomfort in the elderly.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nalyzed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for the questionnaire, UCLA loneliness scale data of 1,511 older adult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subjective chewing discomfort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level of loneliness. Results: According to the final model that after adjustment for other risk factors (age, gender, level of education, smoking, drinking, etc.), in the elderly who rarely feel loneliness group compared to the elderly who never feel loneliness was Odds ratio (OR) 1.256 (95% Confidence Interval [CI]: 0.99-1.60) and sometimes+often feel loneliness was OR 2.110 (95% CI: 1.39-3.21). Conclusions: Loneliness is associated with subjective chewing discomfort in the elderly. Older people feeling loneliness are likely to have more subjective chewing discomfort.

      • KCI등재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와 국제비교

        박종일(Park Jong-Il),박찬웅(Park Chan-Ung),서효정(Seo Hyo-Jung),염유식(Youm Yoo-Sik)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2

        이 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체계를 구축하고 실제로 지수를 측정하여 국제비교를 행하는 것이다. ‘행복지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행복에 대한 다면적 접근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국제비교를 위하여 2006년 유니세프 보고서를 바탕으로 다음의 6가지 영역 ― 물질적 행복, 보건과 안전, 교육, 가족과 친구관계, 건강관련 행위, 주관적 행복 - 에 걸쳐 어린이-청소년의 행복을 측정하기로 하였다. 이 6가지 영역을 다양한 구성요소와 지표로 세분화하여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전국적인 설문조사(2009년 3~4월)를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와 기존 통계자료의 검토 및 취합을 거쳐 자료수집을 완성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어린이-청소년의 행복도는 ‘교육’에서는 최상위권, ‘보건과 안전’에서는 상위권이었고 ‘주관적 행복’ 영역은 비교 대상 국가들 가운데 최하위에 위치하였다. ‘물질적 행복’, ‘가족과 친구관계’, ‘건강관련 행위’와 같은 경우에는 중위권 또는 중하위권에 위치하였다. 더 나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사이의 비교를 통해 어떤 국가들이 유사한 어린이-청소년행복지수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다차원척도를 통해 분석한 결과 4가지 집단으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모든 영역에서 점수가 낮은 제 1집단(영국)이 있고, 모든 영역에서 중하위권에 위치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관적 행복’을 보이는 제2집단(헝가리, 오스트리아, 포르투갈 등)이 있다. 그리고 제 3집단(네덜란드, 벨기에, 스웨덴, 핀란드)은 모든 영역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제 4집단(한국)은 교육 영역에서는 최상위를 보이지만 ‘주관적 행복’에서는 하위 수준을 나타냈다. 한국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 주관적 행복이 매우 낮은 제 4집단 국가에 유일하게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연 무엇이 다른 모든 영역에서는 중상위권 이상을 차지하는 한국 어린이-청소년들로 하여금 최하위의 주관적 행복 정도를 누리게 하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al of our research is twofold: 1) collection of child well-being index in Korea 2)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hild well-being among OECD countries. After thorough reviews of child well-being literature, we’ve decided to construct a multi-dimensional scale of well-being index. The most appropriate platform for the goal of our research was the UNICEF study on child well-being in 2007. The research is composed of six dimensions of child well-being: material well-being, health and safety, education, family and peer relationship,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e purpose of data construction, we’ve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March through April 2009. Also we had to include official statistics of Republic of Korea and miscellaneous research findings from other research organizations in Korea. Our data analysis revealed the status of Korean child well-being was very unique: first, Korean children were located at the top of education dimension. Korean children maintained top level in health and safety. Meanwhile, they were in the middle range in terms of material well-being, family and peer relationship,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The most remarkable finding was that Korean children were at the lowest in their subjective well-being.We’ve conducted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child well being among OECD countries for further findings.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produced four distinct groups: 1) UK was an isolated case with low level of every child well-being dimension. 2) Several mid-level countries with low scores are Hungary, Austria, Portugal, and others. 3) All-around top level countries include the Nederland, Belgium, Finland, and Sweden. 4) South Korea makes a unique 4th group with one of the highest education level and the lowest subjective well-being. What makes South Korea a distinctive case in international comparison should be dealt with in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