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간, 불평등, 그리고 사회자본: 도쿄를 중심으로

        요시미치사토 ( Yoshimichi Sato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9 현대사회와 문화 Vol.28 No.-

        구로사와(Kurasawa, 1986)가 만든 사회적 지도(social maps)는 도쿄에서의 공간, 사회계층, 범죄 사이의 흥미로운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인구가 일본 동부에 집중되어 있지만, 범죄율은 이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도쿄 전반에서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인 사회학적 지식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지위와 범죄율은 서로 반대로 나타나야 하지만, 도쿄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이 수수께끼를 어떻게 풀 수 있을까? ‘사회적 자본’으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다. 동부지역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지만 많은 주민들이 자영업자이며 오랫동안 이 지역에 살아왔던 사람들이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수 있었고, 이것이 범죄율의 상승을 막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과 사회계층이 진공 속에서가 아니라 사회역사적 맥락 속에서 같이 진화해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Social maps created by Kurasawa (1986) reveal an intriguing relationship between space, social stratification, and crime in Tokyo. Although peopl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concentrate in the eastern area, the crime rate is not necessarily high in the area; rather, it seems to be randomly distributed over Tokyo. Conventional sociological knowledge tells us that the crime rate negatively correlates with socioeconomic status, which is not the case in Tokyo. How can we explain this puzzle? Social capital is the key to solving it. Although they are in lower socioeconomic status, people in the eastern area are mainly self-employed and have lived in the same residence for many years. Thus they have established rich social capital, which has prevented the rise in the crime rate. This finding implies that space and social stratification co-evolve not in a vacuum but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 학벌과 불행: 한국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

        문상석 ( Sangseok Moon ),염유식 ( Yoo Sik Youm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0 현대사회와 문화 Vol.31 No.-

        한국사회는 학력 사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사회다. 한국사회에서 학력(學歷)은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누군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즉, 서로에게 사회적 압력을 강요하는 중요한 도구인 것이다. 사람들이 어떤 누군가를 만날 때 가장 먼저 질문하는 것이 그 사람이 학생인 경우 공부를 잘 하는가에서 만일 직장인이라면 어느 대학교를 졸업했나를 질문하곤 한다. 최근에는 외고를 졸업 했는가 혹은 아닌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럴 경우 우리는 한국사회를 학력주의(學歷主義)에 근거한 학벌사회(學閥社會)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사회 구조 속에서 언제나 자신의 사회 이동을 추구하도록 강요받는 개인들은 최대한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는 지점을 찾아가도록 한다. 가장 최대한으로 자신의 집단을 올리기 위한 수단은 학력 취득이다. 이런 학벌 중심의 사회에서 부모는 자신들의 부를 재생산하기 위해서,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자신들의 아이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자녀들에게 학력을 취득하고 좀 더 명문대, 명문대를 위한 명문고, 명문고를 위한 명문 중학교를 찾아다니도록 강요한다. 소위 외고열풍은 한국사회의 이런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는 부르디외의 부모의 문화적 자본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문화적 자본이 높아진다는 것이 한국의 연구들에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부모의 학력이 높아질수록 자녀들의 하력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방정환 재단에서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구축과 국제 비교연구조사를 2009년, 2010년 연속적으로 실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국가들의 청소년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사회에서 청소년들이 비록 객관적 환경 측면에서 물질적 행복, 보건과 안전, 교육 및 가족과 친구 관계, 및 건강관련 행위 등의 항목에서도 중간 이상의 행복을 위한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행복지수에 있어서는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학생들보다 보다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원인을 학업 및 학교의 교육 환경에서 찾고자 한다. 한국 사회가 학벌 획득을 강요하는 사회 구조이고 이런 구조 속에서 학생 개개인들은 하력의 신장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공부에 내몰리게 된다. 이때, 학생들의 부모들은 이런 것들이 자녀들의 미래 행복의 조건이라고 믿기 때문에 이런 구조 속에서 자신들의 자녀들이 스스로를 잃어버리고 소위 말하는 소외된 공부를 하도록 용인하거나 강요하게 된다. The Korean society is so-called a society of credentialism. Degree is a great and important criterion with which people are going to judge or evaluate others. Therefore, most of Koreans are pursuing the degree of some prestigious universities. This social phenomenon has been built by the tradition that Koreans have tried to succeed in their society. This tradition is connected to the modern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has its strong impact on individuals` future of Koreans. Therefore, achieving educational degree at prestigious universities has become a means of success, which make the Koreans join in endless competition to get those prestigious degrees. Under this social structure, elem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experiencing social pressures to compete with one anoth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success getting admission from only a few prestigious university. So everyday, they are studying at their schools, private tutor institutes and their homes. The subjective Indices of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and students are relatively lower than ones of other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even though their objective conditions for their well-being are not low or even higher than ones of OECD children and students, This research aims at explaining the reasons of relatively low self-reliance and well-being with social structure which makes the Korean actors join in endless competition to achieve credentials. This strong social structure makes children and students feel unhappy and not satisfied with their lives.

      • 현대 사회의 위험과 위험 관리: "위험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이승훈 ( Seung Hun Lee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9 현대사회와 문화 Vol.29 No.-

        현대 사회는 `위험`(risk)과 `안전`(safety)이 중심적인 사회적 이슈로 다뤄지는 사회이다. 따라서 현대 사회를 다른 말로 `위험 사회`라고 부르기도 한다. 위험에 대한 접근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위험-객관주의` 입장으로 위험의 객관적인 실체를 강조하는 접근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위험-구성주의` 입장으로 위험의 주관적 인식, 곧 위험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는지에 관심을 갖는 접근방식이다. 이 글의 후자의 관점에서 위험 현상을 다루고 있다. 이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현대 사회에서 위험의 주관적 인식이 왜 중요하며, 위험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이를 위해 위험에 관한 기존의 심리학적·사회문화적 연구를 바탕으로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구체화하고, 위험 인식에 관한 통합적인 이론 틀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위험과 그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적절하게 다루기 위한 방안으로서, 위험 관리의 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논의를 소개하고 있다. 결국 현대 사회의 위험은 위험 자체의 특성, 위험 발생 상황, 사회문화적 맥락, 그리고 사회집단이나 개인의 가치관 등에 따라 사회적으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의 위험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험의 사회적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균형있게 고려하는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Risk` and `safety` are main social issues in modern society. Thus modern society is also called `risk society`. Risk approach is divided into two ways: one is `risk-objectivism` emphasizing objective reality of risk, and the other is `risk-constructivism` emphasizing subjective perception of risk. This paper deals risk in the perspective of risk-constructivism, which is interested in how risk is constructed in society. I seek why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risk is important in modern society, and variable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isk.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existing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studies to concretize variables which have influence on risk, and to suggest integrativ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onception of risk. I also introduce `risk communication` as one of fields of risk management to deal with risk and subjective perception appropriately. Eventually, social risk of modern society is constructed social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sk itself, circumstance of the risk occurrence, socio-cultural context, and the value of social group or individual. Thus, for the management of risk of modern society, `risk communication` strategy considering in a balanced way the variable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isk, is needed.

      • 글로벌 스탠더드의 배반과 또 한 번의 위기: 외환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변화

        박길성 ( Gil Sung Park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8 현대사회와 문화 Vol.27 No.-

        본 논문은 외환위기 이후 오늘에 이르는 한국사회의 변화를 글로벌 스탠더드의 배반과 사회적 펀더멘탈의 동요로 읽어낸다. 이른바 97체제로 불리는 한국사회의 성격을 구명하려는 것이다. 지난 10여년의 한국사회 변화를 글로벌 스탠더드의 확산, 구조조정의 굴절, 복합갈등의 심화의 각도에서 정리한다. 그동안 한국사회는 강요된 세계화를 거쳐 일상적 세계화로 빠르게 전환하였다. 이 과정에서 글로벌 스탠더드의 일상적인 수용에 기초한 재구조화가 광범하게 진행되었으며, 사회형성의 골간인 통합의 기제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다. 사회통합의 총량보다 사회갈등의 총량이 더 많은 갈등의 상황에서 위기뿐만 아니라 위기관리의 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사회에 통합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을 제안한다. Betrayal of global standard and turbulence of social fundamentals are the most compelling notions in Korean society today in conjunction with the 1997 financial crisis and the current global economic crisis. This article seeks to provide an account that makes sense of Korean society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hinging upon the two notions.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ile korean society in change through three prisms: diffusion of global standard, refraction of structural adjustments, and deepening of social conflict. Not surprisingly, social conflict has overridden social integration.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 serious problem today in Korea is not only the economic and social crisis itself but also the crisis of crisis management.

      • 지속가능한 세계화 과제와 전략

        김호기 ( Ho Ki Kim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8 현대사회와 문화 Vol.27 No.-

        이 논문은 새로운 대안적 발전모델로서의 지속가능한 세계화를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화 시대의 도래는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켜야 하는 동시에 사회 양극화를 해소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안겨준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이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식 `제3의 길`을 추진해 왔지만, 이 전략은 최근에 들어와 새로운 시련에 직면해 있다. 지속가능한 세계화는 세계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세계화가 가져오는 양극화를 적극적으로 제어하려는 전략이다. 그것은 크게 네 가지 전략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과 대외개방과 대내복지의 선순환을 포괄하는 `이중의 선순환`, 시장에서의 경제적 경쟁과 시민사회에서의 사회적 형평을 생산적으로 결합하려는 `능동적 국가`, 자본과 노동 사이의 역사적 타협을 모색하는 `사회협약`, 그리고 사회갈등을 민주적으로 해결하려는 `거버넌스`가 바로 그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the sustainable globalization model as an alternative development strategy. The coming of globalization era brings a double task to increa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o decrease social polarization. Since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Kim Dae Jung government and Roh Moo Hyun government tried to drive Korean version of `the Third Way` to cope with the double task, but they had some trouble in doing it. The sustainable globalization can be regarded as a development model to positively soften the impacts of globalization and simultaneously to actively resolve the social polarization. This model is composed of four strategies: `double good circle` including a good circle of growth and distribution and a good circle of external openness and internal welfare, `active state` that productively combines economic competition in the market and social equity in the civil society, `social pact` to seek historical compromise between capital and labor, and `governance` to democratically resolve social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