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의 관계

        양난미(Yang, Nan Mee),배성희(Bae, Seong H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 거부민감성, 성적 자율성이 연애관계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275명에게서 수집된 자료를 모형비교를 통하여 최종모형을 선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비교 결과,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성적 자율성은 두 변인을 매개할 뿐만 아니라 거부민감성이 성적 자율성에 영향을 주는 연구모형이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부모애착은 거부민감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적 자율성, 연애관계 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거부민감성은 성적 자율성, 연애관계 만족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성적자율성은 연애관계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애착과 연애관계 만족 사이에서 거부민감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연애관계와 더불어 성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sexual autonomy on the intimate relationship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survey of 275 college students, we compared a difference in sex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 were as followed. First, as the outcome of model comparison, the research model is better than the alternative model. Second, in a consequ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parent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rejection sensitivity,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xual autonom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was confirmed as a negative effect to sexual autonom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exual autonom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by the outcome of mediating effect, rejection sensitivity fu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understand the intimat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and sexual issue.

      • KCI등재

        대학생의 연애 비선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양난미(Nan Mee Yang),이선민(Sun Min Lee),문희운(Hui Un Mun)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생의 연애를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적응과 발달을 돕기 위해 연애 비선택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 비선택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중심개념에 대해 6개의 하위영역 그리고 2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 연구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연애비선택에는 마음에 드는 상대가 없는 것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애 비선택의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 연애가 밀리고 연애에 특별한 가치를 두지 않으며 연애경험이 부정적으로 지각되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연애 비선택의 결과로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고 자유로움을 얻을 수 있었으며, 연인의 빈자리나 주변사람의 소중함을 느끼기도 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연애 비선택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n non-selection of romance among college students. A deep understand would lead us to help their adaptation and development. For this, we interviewed 12 people who chose to be singl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6 sub-domains and 27 categories have been drawn under 3 core ideas in total. First, the participants described their non-selection of romance as temporary because they had no one to like. Second, during the non-selection of romance, romance was out of priority due to the situation without composure for participants. Also, they didn’t place much value on romantic relationship and perceived the experience of past romance negatively. Third, they were focused on themselves and felt free, and they felt the emptiness of their lover and the importance of their surroundings by not selecting rom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남성경찰관의 성폭력 수사행동 (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 결정요인

        양난미(Yang Nan-Mee),이명신(Lee Myung-Sh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1

        경찰의 성폭력 수사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경찰의 인지 및 태도(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와 실제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경남지역 세 도시의 남성경찰 354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델이 발견되었다(CFI=0.947, IFI=0.948, RMSEA=0.048). 분석결과, 적극적 수사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가 높을 수록 적극적 수사행동이 증가되며, 반면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차폭력 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 임무에 대한 법지식이 높을수록 이차폭력 행동이 감소되었다. 특히,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직접적으로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적극적 수사,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와 적극적 수사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극적 수사를 강화하고 이차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폭력관련 법에 대한 교육, 수사지침의 재정비, 의식전환 프로그램, 경찰의 전문화, 수사환경의 개선, 사회복지사와의 연계체계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male police officers' investigative behavior(active investigation vs.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5 variables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active investigation, and secondary victimiz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354 male police officers of 3 cities in Gyeongnam area,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For data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and the final model was found(CFI=0.947, IFI=0.948, RMSEA=0.04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l, the followings were found: ① Active investigation was increased by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and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while decreased by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② Secondary vicimization was decreased by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③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mediate the effects of knowledge of law about the investigative role, and perception of the protective & connective role on active investigation. ④ Prejudice against the sexual violenc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econdary victim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multi-educational programs, protocols on investigation of sexual violence, professionalization of the police, and changes in investigation environment as well as a system of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olice officer and social worker were suggested as a way to increase active investigation and to decrease secondary victimization.

      • KCI등재후보

        한국 중년의 자존감 평가영역 중요도에 따른 하위집단별 정신건강

        이동귀(Lee, Dong-gwi),양난미(Yang, Nan-Mee),박현주(Park, Hyun-joo),배병훈(Bae, Byeong-Hun),천영아(Chun, Young-A)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본 연구는 한국의 40∼50대 중년의 전국 단위 표본을 대상으로 자존감 평가 영역에 부여하는 중요도의 프로파일에 따른 하위집단을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또 다른 표본을 대상으로 교차타당화한 후, 구분된 하위집단에 따라 중년의 다양한 정신건강 지표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1(n = 546)에서 ‘사회적 능력 중시형 집단,’ ‘낮은 자존감 영역 수반성 집단,’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 ‘가족 및 품성 중시형 집단’의 네 하위집단이 확인되었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 및 품성 중시형 집단’과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이 ‘사회적 능력 중시형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의 행복을 보였고, 동시에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은 ‘낮은 자존감 영역 수반성 집단’에 비해서도 높은 행복 수준을 보였다. 연구 2(n= 611)에서 군집해법이 다른 표본에서도 교차타당화 됨을 확인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이 삶의 의미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가족 및 품성 중시형 집단’이 ‘사회적 능력 중시형 집단’에 비해 높았다. 외로움의 경우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과 ‘가족 및 품성 중시형 집단’에 비해 ‘사회적 능력 중시형 집단’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 identified sub-groups of mid-aged Koreans using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importance index of the Domains of Self-Esteem Appraisals, (b) cross-validated the cluster solution, and (c) examined group differences on mental health. Study 1 (n = 546) identified four sub-groups (Group 1: social ability-oriented; Group 2: low contingency on self-esteem areas; Group 3: high and global contingency on the areas; and Group 4: family and character-oriented). MANOVA results suggested that (a) Groups 3 and 4 showed higher scores on happiness than Group 1, and (b) Group 3 outperformed Group 2. Study 2‘s (n = 611) results indicated that (a) the cluster solution from Study 1 was crossed-validated, (b) another MANOVA results suggested that Group 3 was the highest on meaning in life, followed by Group 4, both groups surpassed Group 1, and (c) as for loneliness, Group 1 was higher than Groups 3 and 4.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수민(Su-Min Lee),양난미(Nan-Mee Yang),이아라(A Ra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차별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출생 다문화 청소년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58개의 중심의미와 22개의 드러난 주제, 9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원치 않는 다문화 알려짐과 부정적 감정의 경험’, ‘다문화가 나라는 존재를 결정하게 됨’, ‘다문화라는 사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음’, ‘다문화에 대한 호의적 반응과 도움의 경험’,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것들이 차별의 이유가 됨’, ‘흥밋거리나 함부로 다루어지는 존재가 됨’, ‘다문화 교육과 주변의 관심이 도움이 되지 않음’, ‘자신의 힘으로는 멈출 수 없는 차별과 해결되지 않는 차별의 영향’, ‘다문화 청소년으로서 가지게 되는 자기인식’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d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youth in school. For this, an interview with 12 multicultural youth was conducted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Giorgi’s method of psychological phenomenology. As a result, 58 main meaning units, 22 emerging themes, and 9 essential themes were drawn. The essential themes consist of ‘Experience of unwanted exposure of multicultural origin and negative emotions’, ‘Determination of his or her existence based on the multicultural family’, ‘Not affected by the fact that he or she is from multicultural family’, ‘A favorable response on multiple cultures and experience of favor’, ‘Discrimination on grounds of unmanageable fact’, ‘Becoming a figure of fun and being bullied’, ‘Unhelpful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terests from one’s surroundings’, ‘The impact of unstoppable and unresolved discrimination’ and ‘Self-awareness as a multicultural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기침묵의 이중매개효과

        박은하(Eun Ha Park),양난미(Nan Mee Ya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자기개념 명확성, 자기침묵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척도,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 자기침묵 척도와 우울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기침묵 모두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즉, 거부민감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개념 명확성이 낮아지고, 자기침묵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자기침묵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 역시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거부민감성이 어떤 과정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으며 대학생의 우울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llege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clarity of self-concept, and self-silence affect depression.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rejection sensitivity scale, self-concept clarity scale, self-silence scale, and depression scale was conducted on 360 college stud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self-silence on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epression. Specific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both self-concept clarity and self-silence had fully mediating effec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lower the clarity of self-concept, the higher the self-silenc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silence,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know how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depression and help college students understand depression problems.

      • KCI등재후보

        상담자가 인식하는 중년남성의 분노문제

        이은경(Eun-Kyoung Lee),양난미(Nan-Mee Yang),송미경(Mi-Kyoung Song)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5

        평균수명의 증가로 중년남성의 정신 건강과 이들에 대한 전문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인식하는 중년남성 분노의 원인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년남성의 분노문제 상담경험이 있는 상담자 2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11명)와 심층 면접(9명)을 하였다. 상담자와의 FGI와 심층면접은 중년남성 분노문제의 상담경험에 대한 전문가의 생각을 접할 수 있어 이와 관련된 적절한 상담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과 부합하기 때문이다.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증년남성의 분노의 원인으로는 가정에서의 소외감, 직장내 스트레스, 끼인 세대, 개인적인 특성을 꼽았다. 중년남성 분노의 특성으로는 분노를 인식하지 못함, 회피적 표현, 수동적 표현, 충동적 표현, 그리고 긍정적인 대처를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개입 방안으로는 인정욕구를 인정하여 “기를 살리기”, 비언어적 방식 활용, 욕구 자각을 돕기, 집단상담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남성의 분노문제 개입을 위한 제언과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e life expectancy extension is increasing the need for mental health of middle-aged men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 i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unselor’s 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men’s anger problem and to suggest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ounselors. FGI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counseling experts who had experience in counseling anger problems of middle-aged men. The FGI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as suitable for this study because the method could give appropriate counseling intervention based their experiences. As a result, the causes of middle-aged men’s anger were alienation at home, stress in the workplace, stuck genera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s the characteristics of anger, anger inability, avoidant expression, passive expression, impulsive expression, and positive coping were mentioned. Finally, “empoweringt” by acknowledging the desire for recognition, use of nonverbal counseling method, helping awareness of needs and the need to intervene in group counseling were suggested as a counseling interv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iddle-aged me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우울의 관계: 젠더감수성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선희(Jung Sun-Hi),양난미(Yang Nan-M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젠더감수성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 젠더감수성, 우울을 측정하였고, SPSS와 SPSS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젠더감수성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우울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젠더감수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성별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이 젠더감수성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 상담학적 함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ender sensitivit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and appli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o verify whether sex has such a mediating effect. A total of 244 colleg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completing the K-BJWS (The Korean Version of the Belief in a Just World Scale), Gender Sensitivity Scale, and Integrated Adaptation of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sensitivit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and depression. Second, a moderating effect of sex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ensitivity and depression. Third, it was shown that sex ha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such that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affects depression through gender sensi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of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진로선택모형 검증

        이지연(Jee Yon Lee),양난미(Nan Mee Ya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7 No.-

        이 연구는 사회인지 진로이론(Lent·Brown·Hackett, 1994)에 근거하여 사회인지 진로변인간의 관계가 남녀 대학생 집단에서 동일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재학생 1,066명이었고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근간으로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 목표, 사회적 지지와 장애 등 변인간의 관계를 남, 녀 집단별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의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본모형의 적합도지수의 크기와 수정모형가 적합도 비교결과에 따르면 남학생과 여학생집단 모두에서 변인간의 관계는 동일하였고 일부 경로계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모형에서 흥미의 경도계수는 자기효능감을 제외하고, 결과기대, 목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들보다 사회적 지지와 장애의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남녀 대학생들을 위한 진로상담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utility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Lent, Brown, & Hackett, 1994) in predicting career choice among men and wom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1,066 college students. Multi-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difference in career choices among men and women. Three models were tested on each group and then path coefficient differences of each group are analyzed based on the best fit model.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CCT-based model produced good fit to the data across gender type and that some path coefficient differences are present. Meanings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권력의 과정: 부부권력, 영향력전략, 부정적 갈등해결방식(공격 vs. 회피)의 관계

        이명신(Myung Shin Lee),양난미(Nan Mee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권력의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부부권력(전통권력, 평등권력, 개인권력), 영향력전략(보상, 강요, 감정전략), 부정적 갈등해결방식(공격과 회피)의 관계를 이론적 모형으로 설정하였고 남성과 여성의 모형을 비교하였다. 지방에 거주하는 남성 182명과 여성 196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남녀모델에서 3개의 공통경로가 발견되었다. 감정전략이 증가할수록 공격과 회피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평등권력이 증가할수록 보상이 증가하였다. 둘째, 남녀 모두 평등권력이 강요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은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의 평등권력은 강요를 감소시키나, 여성의 평등권력은 강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모형에서 많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함의와 부정적 갈등해결방식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explore the power process, a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3 marital power(traditional, egalitarian, personal), 3 influence strategies(reward, coercion, emotional), and 2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yles(attack vs. avoidance) was developed. In order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male model and female model were developed separately and compar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182 males and 196 females, the hypothetical model was tested. For data analysis, SEM was used. As a result, 3 common paths were found: Greater use of emotional influence strategy increased attack as well as avoidance. Greater egalitarian power increased reward. Egalitalian power affected the use of coercion, but the direction was opposed: male’s egalitarian power decreased coercion, while female’s egalitarian power increased it. Except these, the analyses revealed th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ased on the findings, the ways to reduce attack and avoidance,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