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도가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pp.1223-1224)

        서은숙(Eunsook Seo),정경수(Kyeungsoo Jeong),임세현(Sehyun Im),금동민(Dongmin Keum),양준혁(Junhyeok Yang),정인환(Inhwan Jung)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본 논문에서는 Half Bridge Series Resonant Inverter를 이용한 유도가열 시스템 설계를 하고 제작하여 구현하였다. 이러한 유도가열 시스템의 제작을 위해서는 공진탱크와 매칭 트렌스포머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런 설계를 위해 PSpice 를 이용하여 공진탱크의 입력 임피던스 Bode Plot 을 그려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탱크회로를 설계 하였다. 매칭 트랜스포머의 설계는 출력 Power 와 1,2 차 회로 조건에 의해 설계 되어졌다. 이렇게 설계한 유도가열 시스템을 PSpice를 이용해서 Simulation 함으로써 주파수에 따른 출력 Power 의 변화를 볼수 있었으며, 유도가열 시스템을 실제 제작하여 구현함으로써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여성경제연구 : 국민부담률 수준의 국제 비교: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서은숙 ( Eunsook Seo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5 여성경제연구 Vol.1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OECD 각 국가별 국민부담율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경제규모와 경제성장률, 복지지출 수준, 재정건전성, 그리고 고용률 등의 주요 경제 및 사회 여건들을 고려한 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OECD 국가들 간에 국민부담률을 비교해 보는데 있다. FE2SLS 를 적용한 패널모형의 분석 결과를 보면, 공공복지지출의 증가는 국민부담률, 조세부담률, 사회보장부담률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질 경제성장률은 국민부담률을 감소시키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고용률이 개선되면, 국민부담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높아진 고용수준이 세금수입이라든지 사회보장부담수입의 증가에 기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추정된 모형을 토대로 국민부담률의 추정치를 계산하고 이에 대한 실제치 비율을 AER(Actual/Estimated ratio)이라 하면, 우리나라 국민부담률 AER은 2011년 OECD 평균대비75.56%이고, 조세부담률은 72.85%, 사회보장부담률은 89.456%의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제 2011년 국민부담률 실제 비중은 25.91%로 OECD 평균값인 34.49% 대비해서약 75%를 나타내는 수준이었는데 분석에서 구한 AER의 OECD 평균대비 수치가 이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의 실제 국민부담률 수준은 경제사회여건 고려 시의적정수준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valuate optimal national tax burden for each country of the OECD. In the analysis of the FE2SLS model with GDP per capital, growth rate, public expenditure, public financial health, and employment rate panel data, the increase in public welfare expenditure ratio to GDP appeared to affect significant positive on the national tax burden, tax burden, and the social security burden. On the other hand, real economic growth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reducing the national burden. Also, if the employment is improving, the national tax burden is increasing, which was shown to be identified a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tax burden or the improvement on the social security burden due to the higher employment lev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When the estimate on the national tax and social security buren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given model, the ratios of actual value to estimated values(AERs) of the national total tax burden, tax burden, and social security burden are acquired. Korea``s AER for total tax burden stood at 75.56 percent as of 2011, the corresponding figures for tax burden and social security burden being 72.85 percent and 89.46 percent, respectively. This result implies Korea’s the actual level of the national tax burden is still below estimated burdens even though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are considered through cross-country.

      • KCI등재

        국채 발행이 이자율과 민간투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서은숙(Eunsook Seo),빈기범(Ki Beom Binh),황세운(Seiwoon Hwa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13 한국경제연구 Vol.31 No.3

        국채 발행의 증가는 시장이자율 상승을 통한 민간투자의 구축(crowding-out)으로 이어져 재정지출의 경제적 효과가 미미하다는 연구와 국채 발행 증가를 통한 재정지출이 오히려 GDP를 증대시킨다는 구인효과(crowding-in effect)를 이론적ㆍ실증적으로 지지하는 연구가 상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거시경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① 국채 발행이 시장이 자율에 미치는 영향과 ② 국채 발행에 따른 이자율 상승이 궁극적으로 구축효과를 유발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상적 시기에는 국채 발행에 따른 정부 부채 증가가 국채 금리를 상승시키고 이는 다시 민간투자에 대한 구축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용카드 사태 기간이나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시기에는 정부 부채 증가에 따른 금리 상승효과가 크게 상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신용경색이 나타나는 위의 특정 기간을 제외한 평시에는 국채 발행을 재원으로 한 정부 지출이 민간투자에 대한 구축효과를 야기하지만, 신용경색이 나타는 시기에는 이러한 지출이 오히려 구인효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Various empirical studies of government bonds issuance and private sector capital investment show contradictory results: In some papers, fiscal spending funded by government bonds issuance is found to have only a small effect on GDP due to a crowding-out effect as a result of interest rate rise. In other papers, a positive impact on GDP is found and is described as a crowding-in effect. This study examines empirically (ⅰ) the effect of government bonds issuance on the interest rate, and (ⅱ) whether any rise in the interest rate due to bonds issuance results in a crowding-out effect. Our analysis shows that increased government spending through bonds issuance during normal economic times does increase the interest rate and causes crowdingout of private investment. In contrast, the effect of government deficits on the interest rate is much reduced during a credit crisis or recession period, that is, in that case crowding-in happens.

      • KCI등재

        복지지출 국제 비교에 있어 국가별 고유효과(country-specific effect)의 중요성에 관한 실증 분석: OECD 국가에 관한 분석

        서은숙 ( Eunsook Se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2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magnitude of cross-country differences in public social expenditure caused by country-specific factor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models that only take into account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Even though such models attempt to control for cross-country differences in an array of factors including not just macroeconomic variables and aging but also pension maturity, tax and social security burden, fiscal soundness, etc., there still remain gaps that are left unexplained by such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 what happens once country-specific factors have been controled for. The problem with international comparisons that fail to control for country-specific factors is that they can underestimate, for example, Korea’s level of public social expenditure vis-a-vis European countries, whose welfare regimes have much deeper historical roots and are shaped by extra-economic factors such as the political proclivities of the continent, the extent of public consensus, etc.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Korea’s public social expenditure is on average 8.3 percent lower than that of Luxemburg before controlling for country-specific factors, and this 8.3 percent difference can be seen as the spending gap explained by country-specific factors. This is a large portion of average public social expenditure, and so controlling for the factors behind such a gap seems a worthwhile exercise when comparing countries. Second, the study computed the ratio of actual value to estimated values of public social expenditure(AER) either with or without controls for country-specific factors, and compared the two results. Without controls, Korea’s AER for total public social expenditure stood at 61.67 percent as of 2011, the corresponding figures for cash-equivalent expenditure and in-kind expenditure being 45.53 percent and 77.14 percent, respectively. After controlling for country-specific factors, however, Korea’s actual aggregate public social expenditure while still below estimated spending, stood at 97.89 percent of the OECD average level. Cash expenditure and in-kind expenditure were respectively at 85.26 percent and 102.53 percent of the OECD averages. 본 연구는 경제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모형이 설명해주지 못하는 국가고유의 요인들로 인한 복지지출의 차이가 OECD 국가들 간에 어느 정도의 크기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주요 목적을 두고 있다. 즉, 거시경제변수와 고령화 외에도 연금성숙도, 국민부담률, 재정건전성 등 최대한 각국가별 차이를 통제하고 국제간 비교를 시도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변수들이 설명하지 못하는 국가 간 요인들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까지 통제했을 경우, 국제간 비교가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렇게 국가별 고유의 요인들을 파악해 보는 것은, 예를 들면, 유럽의 복지지출제도는 역사도 깊지만, 그 대륙 고유의 정치적 성향, 국민적 합의 등 경제적 변수들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요인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요인들을 통제하지 않고 국제비교를 하게 되면, 우리나라의 복지지출 수준이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 고유요인까지 고려된 경우의 복지지출 비중을 살펴보면, 룩셈부르크를 기준으로 해서, 우리나라는 복지지출이 평균 8.3% 정도 낮은데 이 8.3%가 국가고유의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복지지출 차이라고 보면 된다. 복지지출 평균과 비교해 보면 이는 매우 큰 값이므로 이를 통제한 국제비교는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추정치 대비 실제치 비율을 나타내는 AER의 경우를 국가 고유의 요인 포함 유무에 따라 비교해보면, 우선 국가 고유의 요인을 통제하지 않는 경우, 201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공공복지 총복지지출의 AER은 61.67%, 현금성지출의 경우는 45.53%, 현물성 지출은 77.14%이다. 반면, 2011년 기준으로 국가 고유 요인을 통제하는 경우, 우리나라 총복지지출은 추정치 대비해서 여전히 실제지출보다 낮은 상태이나, OECD 평균값의 약 97.89정도의 복지지출 수준을 보이고 있다. 현금성 지출 수준과 현물성 지출수준은 OECD 평균대비 각각 85.26%, 현물성 지출은 102.53% 수준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산업의 자금조달 갭 추정과 시사점

        서은숙 ( Eunsook Seo ),유승동 ( Seung Dong You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7 유라시아연구 Vol.14 No.3

        문화콘텐츠산업을 위한 자금조달 시장은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간의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자금의 초과수요가 심화되고 있다. 금융기관은 콘텐츠 기업들의 물적 담보 위주로 대출심사를 진행하고 있어, 문화콘텐츠산업에서는 일부 우량기업 위주로 자금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금융정책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금융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산업에서 자금의 초과수요, 즉 자금조달 갭(GAP)을 추정하여 콘텐츠 산업이 필요로 하는 금융의 규모를 추정한다. 분석결과 콘텐츠 기업의 외부자금조달 비중을 고려하여 약 3조 7,320억 원 그리고 은행대출과 정부지원을 고려한 경우에는 약 2조 1,410억 원의 자금조달 갭을 추정하였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추정한 결과 외부자금조달 비중을 기준으로는 약 5조 7,720억 원, 은행대출과 정부지원 비중만을 고려한 경우에는 약 4조 6,650억 원의 자금조달 갭을 추정하였다. We can observe excess capital demands in the financial market for the creative industry that includes gaming, animation, character licensing, music, fashion, and broadcasting. The excess demands seem to arise from information asymmetries between capital demanders and capital providers. Capital market polices can be critical, as capital providers tend to take account only of collaterals that capital demanders provide. In the paper, we estimate the amount of an excess capital demand in the Korean creative industry. We adopt an estimate strategy by European Commission (2013) that studies capital financing GAP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Using various scenarios, we provide several estimates; the estimates range from KRW2.1 trillions to KRW5.7 trillions. The estimated financing gap can deliver critical information for designing industry polices.

      • KCI등재

        기업 현금성 자산 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빈기범(Ki Beom Binh),서은숙(Eunsook Seo),송민규(Min-Kyu So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07 한국경제연구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기업 현금성 자산 보유현상을 진단하고, 그 요인을 분석하며, 현금성 자산 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우리 나라 기업의 현금성 자산 보유규모는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99년 금융업을 제외한 유가증권시장 상장 12월 결산법인의 현금 및 현금등가물과 단기금융상품의 규모가 각각 약 10조 원과 12조 원에서 2005년 현재 각각 29조 원과 22조 원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순자산 대비 현금성 자산의 비율인 현금보유성향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원확률효과오차성분모형을 이용한 패널자료 분석결과, 자금조달제약 기업에 있어 과다 현금보유는 기업가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자금조달비제약 기업의 경우에는 매우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기업에 대한 기존 실증연구 결과와는 달리 자금조달비제약 기업의 경우에도 현금의 현금흐름 민감도가 양(+)의 값으로 나타난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최근 전개되고 있는 기업의 재무정책, 배당정책, 투자정책에 대한 논쟁에 대한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cash holding and the effect of it on corporate value. In recent years, we see that Korean firms have been increasing their cash and cash equivalents as well as their marketable securities. Non-financial companies, which were listed on the KRX and settled their accounts in December, reported a total of 29 trillion won of cash and cash equivalents, and 22 trillion won in short-term financial instruments at the end of the fiscal year 2005. These jumps of 11 trillion won and 12 trillion won, respectively, from the end of fiscal year 2000 are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ash holding propensity, which is computed as cash holding over the net asset, is also increasing over the recent period. Our empirical study says that if a firm is not constrained financially, excess cash holding of the firm has no effect on its corporate value, but otherwise it holds a negative effect on it. This empirical result is consistent with an empirical test showing that the cash flow sensitivity of cash of financially-constrained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non-constrained firms. The results comply with the agency cost theory while the related research for the US firms does not. Our research has implications on the debate for the corporate policies of cash management, dividend, and investment.

      • KCI등재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한 재정정책의 유효성 분석

        백웅기(Ehung Gi Beak),서은숙(Eunsook Seo)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0 재정학연구 Vol.3 No.3

        2007년 6월에 시작된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여파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는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적극적인 대응 전략을 구사하였고 우리나라도 다른 선진국 못지않게 2008년 하반기 이후부터 적극적으로 재정.통화정책을 활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해왔다. 확장적 재정정책이 이번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에 어느 정도나 유효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재정정책과 동반하여 시행했던 통화정책의 효과를 함께 고려해야 하며, 확장적 재정정책도 지출확대와 감세에 따른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한 재정정책의 유효성을 총생산에 대한 초기 기여율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전 기간에 걸쳐 지출확대보다는 감세의 총생산 기여율이 더 크다. 둘째,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통화정책을 고려할 경우, 확장적 재정정책의 총생산 기여율이 통화정책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감소한다. 지출확대보다는 감세의 기여율 감소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 셋째, 분석기간을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까지 늘일 경우, 통화정책을 감안한 감세의 기여율은 통화정책을 고려하지 않을 때 비해 감소하지만, 지출확대의 기여율은 오히려 증가한다. 넷째,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나타나는 정책효과를 보면 감세와 재출확대 등의 재정정책 기여율은 커지는 반면에 통화정책의 기여율은 오히려 줄어든다. World economy including the Unite States as well as Korea implemented active and immediate responses, expansionary fiscal policy and monetary policy, to overcom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7 triggered by sub-prime mortgage problem. Korean economy was evaluated as one of the countries which are recovered faster than expected. However, in order to analyze how this expansionary fiscal policy was effective to overcom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accommodated monetary policy should be controlled and policy effect of the government spending and tax cut should be separately treated.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fiscal policy before and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based on initial contribution ratio on output. Some interest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ax cut rather than expanded government expenditures contributes more on GDP growth. Second, befor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contribution ratio on output of expanded government expenditures accompanied by monetary policy fell compared with when the monetary policy is not accompanied. Contribution ratio of tax cut on output decreased larger than that of expanded government expenditure on output. Third, when the period of global financial crisi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contribution ratio of tax cut with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on output decreased compared with no monetary policy. However, expanded government expenditure showed the opposite effect. Finally, comparison of policy effects between not including and including the period of global financial crisis showed the contribution ratio of expansionary fiscal policy on output increased but that of monetary policy on output decreased.

      • KCI등재

        우리나라 가계저축률 격차의 발생원인 분석

        유경원(Kyeongwon yoo),서은숙(Eunsook Seo) 한국경제연구학회 2008 한국경제연구 Vol.22 No.-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가계의 저축행태에서 나타나고 있는 특징은 두 가지로 저축률의 추세적인 하락과 소득계층 간 저축률 격차의 확대이다. 가계저축률이 과도하게 낮아질 경우 성장잠재력이 저하되고 경상수지가 악화되는 한편, 저축률 격차가 확대될 경우 부(富)의 불평등과 복지관련 재정지출의 급증이 우려된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거시경제적인 측면에서 가계저축의 추이냐 저축동기 분석에 한정되어 있어 향후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계저축의 구조적인 변화현상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구조적인 변화 중 가계저축률 격차문제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어 가계 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통해 소득계층별 저축률 격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소득계층별 가계저축률 격차발생의 요인으로는 은퇴 후 소비불안, 국민연금제도의 확대 동을 제기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에 대해 우리나라 가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노후대비 저축동기가 고소득계층의 저축률 상승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민연금 등 공적저축 확대에 따른 사적저축의 감소경향이 고소득계층보다 저소득계층에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국민연금제도가 소득계층별로 상이한 저축유인을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saving behaviors in Korea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1998 can be summarized by the downward trend of aggregate saving rates and the widening gap of saving rates between rich and poor households. Since the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analysed the saving rates based on aggregate data it has been difficult to answer the causes of these recent phenomena which appear to be related to the structural change of households behavior. Based on the households panel data this paper analyses the issue of households saving behavior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saving rates by income groups. Here, we empirically test that the structural differences in saving rates by income groups in Korea after the financial crisis. Using a variety of econometric methods, we provide the consistent empirical evidences that the saving rates are not invariant with regard to lifetime incomes. These results do not seem to support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which contends that households with high permanent income consume the same fraction of permanent income as households with low permanent income in Korea. We also analyse the causes of thes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aving models that provide some explanations for this, we test the possible hypothesis regarding these explanations using the Korean household panel data. First, we find that the strong savings motive for uncertain retirement consumption leads the rich to save more. Secondly, the expansion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provides the incentive the poor to replace their private savings.

      • KCI등재

        투자자예탁금의 변화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빈기범(Ki Beom Binh),서은숙(Eunsook Seo)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4

        ‘투자자예탁금(舊 고객예탁금)’은 투자자가 유가증권의 매매 등을 위해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에 예치한 현금이다. 이를 예탁받아 관리ㆍ운용하는 기관은 투자자의 예탁금 유출입규모를 정확히 예측하여 투자자예탁금에 대한 급작스런 대량 인출요구에 대비함과 동시에 운용수익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투자자예탁금 유출입의 정확한 예측은 단지 예치기관의 건전성과 수익증대뿐만 아니라 금융시스템의 안정 및 실물경제로의 중장기 자본공급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예탁금 유출입의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고, 위험관리분야의 대표적 기법인 VaR를 이용하여 투자자예탁금 유출입규모 및 이에 따른 투자자예탁금 변화를 예측하는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사후검증(back-testing) 관점에서 실증분석 결과, 증권사 투자자예탁금의 유출입간 상관관계를 고려하되 그 시간가변성을 허용하지 않는 다변량 CCC모형이 단일변량 GARCH모형, 다변량 DCC모형에 비해 VaR 측정에 있어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VaR 산출모형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조건부적 위험 흡수성 검정(conditional coverage test)을 기준으로 CCC모형의 적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를 투자자예탁금에 대하여 강제되는 유동성 지표를 산출하는 현행 규제방식과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증권현물신탁에 있어 현행 규제방식은 CCC모형에 비해 인출요구 위험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증권선물신탁에서는 그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One important role of Financial institutions that manage the investor's deposit, which is "cash" or "money" that he put into any investment trader or investment broker to trade securities listed in Korea Exchange, is to predict the net cash flows into the deposits. This accurate prediction prepares the sudden bulks of withdrawals. Futhermore, it helps to improve asset-side returns from the management of institution for deposits and contribute the stability of financial system and the supply of mid-long term capital into real economy. This study finds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net cash flows for investors' deposits, suggests econometric methodologies for the prediction of the net cash flows and volatility for the deposit size using VaR, and evaluates the usefulness of this methodology. Empirical analyses using the back-testing technique show that CCC model as a multi-variate GARCH,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ime-invariant correlations among the investor's deposits of individual investment companies, is more useful in computing the VaR for investors' deposits than univariate GARCH or DCC under the conditional coverage test. In addition, this is compared with the methodology for calculating the required liquidity liabilities forced by regulator. This methodology for the required liquidity liabilities seems to overrate for possibility of investors' withdrawals in the spot trusts of securities. In the future trusts in securities, the result is the reverse of the previous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