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가 슬괵근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전경골 낭종 - 증례 보고 -

        서승석,김창완,하동준,정훈재,Seo, Seung-Suk,Kim, Chang-Wan,Ha, Dong-Jun,Jung, Hun-Jae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The pretibial cyst is a very rare complica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It occurs whatever kind of graft choice or kind of graft fixation method at tibial side. It have been known such as graft necrosis at tibial side, extra-articular leakage of joint fluid through tibial tunnel, foreign body reaction due to breakdown of the bioabsorbable screw and incomplete incorporation of graft to bony tunnel as the cause of pretibial cyst. We experienced one case of pretibial cyst which had undergone ACL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hamstring graft fixed with biodegradable interference screw. We report a rare case of pretibial cyst with literature review.

      •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새로운 대퇴부 현수고정법인 Cross Pin과 일정한 긴장력 유지를 위한 Graft Tensioner 사용의 단기 추시 결과 -

        서승석,김창완,김진석,최상영,Seo, Seung-Suk,Kim, Chang-Wan,Kim, Jin-Seok,Choi, Sang-Ye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1

        목적: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서 Cross pin 및 Graft Tensioner를 이용한 수술의 단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 조기 경험에서 발견된 수술 술기상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최소 18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건의 대퇴골측 고정을 위해 Cross pin을, 경골측의 고정을 위해 Intrafix와 Post-tie를 사용하였다. 이식건은 Graft Tensioner을 이용하여 80N의 힘으로 고정하였다.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와 합병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IKDC 주관적 점수 및 Lysholm 점수는 술 후 89.1점 및 91.4점로 호전되었으며 축이동 검사 및 One-leg hop 검사도 술후 양호한 소견을 보였다. KT-1000 관절계 검사 및 Telos 부하 방사선 검사상 최종 추시시 건측에 비해 평균 $2.8{\pm}1.6$ mm, $2.6{\pm}1.3$ mm로 호전을 보였으며 대퇴골 터널은 평균 $2.3{\pm}1.1$ mm로 확장되었다. 수술 술기상 문제점으로 대퇴골 터널과 횡고정 터널의 불일치, 대퇴골 터널과 Graft Harness의 길이 불일치 그리고 연부 조직 자극이 관찰되었다. 결론: Cross pin 및 Graft Tensioner를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은 단기 추시 상 좋은 안정성을 보여주는 수술 방법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그러나 술기상 문제로 대퇴 터널-cross pin 불일치를 줄이기 위해 대퇴 터널을 짧게 만들거나 cross pin 터널을 피질골에 가능한 수직으로 만들어야 하며 대퇴 터널 형성시 위치 막대를 3 mm가량 더 진행시켜야 대퇴 터널-graft harness 불일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short term clinical result of ACL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hamstring tendon using Cross pin and Graft Tensioner and to seek way to resolve the experienced technical problem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8 to March 2009, 35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were enrolled. The femoral side of ACL graft was fixed with Cross pin. The tibial side of graft was fixed with Intrafix and post-tie. The graft was tensioned with Graft Tensioner at 80N. We analyzed the clinical, radiographic results and complications. Results: IKDC subjective score and Lysholm score improved to 89.1 and 91.4 points. Also, Pivot shift test and One-leg hop test showed good results postoperatively. Side to side difference using KT-1000 arthrometer and Telos stress radiography improved compared with normal limb to $2.8{\pm}1.6$ mm and $2.6{\pm}1.3$ mm, respectively. The femoral tunnel enlarged to $2.3{\pm}1.1$ mm. Soft tissue irritation and femoral tunnel-graft harness length mismatch, femoral tunnel-cross pin tunnel mismatch were happened as peri-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Using of Cross pin and Graft Tensioner for ACL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is one of the good method for obtaining stability in short-term clinical result. But to reduce femoral tunnel-cross pin mismatch, it needs to shorten femoral bone tunnel and to create cross pin tunnel as vertical as possible. And to reduce femoral tunnel-graft harness mismatch, it needs to advance position rod further 3 mm when to create femoral tunnel.

      • 달리기 운동을 하는 사람에서 무릎 손상의 예방과 재활

        서승석,김정한,Seo, Seung-Suk,Kim, Jung-H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1

        도시화, 사회 경제적 발달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달리기 운동을 즐기고 있다. 달리기는 단순한 운동이지만 반복적인 동작을 하기 때문에 관절에 특이적인 손상이 발생될 수가 있다. 달리기 운동 손상의 원인은 급성기의 손상보다는 만성적인 과사용 증후군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달리기를 할 때 흔히 동반되는 손상은 전방 슬관절 통증, 장경 인대 증후군, 피로 골절, 족저 근막염, 아킬레스 건염, 후방 경골 인대 증후군 등이 있다. 달리기 운동 손상의 가장 흔한 부위는 무릎 관절이다. 이에 저자들은 문헌 고찰을 하여, 달리기 운동 손상 중에서 무릎에서 발생하는 손상의 종류, 원인, 예방, 재활적인 치료 등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Many people in these days participate in running as leisure due to urbanization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Running is a simple exercise but it can induce its own specific injury pattern because of its repetitive motion. Most runners' injury is caused by chronic overuse syndrome rather than acute trauma. And common accompanying injury in running are anterior knee pain syndrome, Iliotibial band syndrome, stress fracture, plantar fasciitis, Achilles tendinitis, posterior tibial tendon syndrome. Most common area of runners' injury is knee joint. Therefore the authors reviewed the recent literatures and described the classification, etiology, prevention, rehabilitation in this article.

      • 전방 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의 파열부위 안정성에 따른 치료 결과

        서승석,김창완,김진석,김전교,Seo, Seung-Suk,Kim, Chang-Wan,Kim, Jin-Seok,Kim, Jeon-Gy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2

        목적: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의 치료에 있어 파열 부위 안정성에 따른 결과를 임상적 평가 및 2차 관절경 소견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급성 전방 십자인대 파열 및 반월상 연골판 종파열로 수술을 받은 환자 32명,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봉합술을 시행한 군을 제 1군,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군을 제 2군, 파열부에 안정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임상적 관찰을 한 군을 제 3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평가 및 2차 관절경 검사 소견을 이용해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로 Lysholm'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주관적 검사는 각 군간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KT-1000 관절계는 모든 군에서 호전된 양상을 보였다. 2차 관절경 소견상 제 1군에서는 완전 치유 12례, 불완전 치유 4례, 치유 실패 1례였다. 제 2군은 절제면의 부분적 재생이 관찰되었으며, 제 3군에서는 완전 치유 4례, 치유 실패 9례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전방 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의 종파열 시 파열부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경우라도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longitudinal meniscal tear in ACL rupture patients by clinical evaluation and $2^{nd}$ look arth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due to ACL rupture and longitudinal meniscal tear between 2002~2009, 32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patients were de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had repair, group 2 had partial menisectomy due to impossible to repair, group 3 had conservative treatment due to stable meniscus. Comparative retrospective analysis was applied with KT 1000 arthrometer, Lysolm'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ubjective score, and $2^{nd}$ look arthroscopy. Results: Lysolm'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ubjective score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ll three groups. KT-1000 side to side difference improved from 6.2, 6.15, 6.38 before surgery to 2.56, 2.49, 2.58 after surgery in group 1, 2, and 3, respectively. In group 1, second-look arthroscopy revealed complete healing in 12 patients, incomplete healing without any clinical symptoms in 2, and healing failure in 1. In group 2, second-look arthroscopy showed partial regeneration on margin of meniscectomy. In group 3, second-look arthroscopy revealed complete healing in 2 patients, while 4 showed incomplete healing so that have repaired. Conclusion: In the study, the outcome was better when the stable longitudinal meniscal tear on posterior horn with ACL rupture had active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자가 골연골 플러그를 이용한 슬관절 불안정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서승석(Seung-Suk Seo),서진혁(Jin-Hyeok Seo),이정우(Jeong-Woo Yi),정동욱(Dong-Wook Jung),김도훈(Do-H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1

        목적: 박리성 골연골염의 불안정성 골연골편을 자가 골연골 플러그를 이용하여 고정을 한 치료 방법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자고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International Cartilage Repair Society 2, 3, 4단계에 해당되는 불안정성의 박리성골연골염을 가진 환자 중 자가 골연골 플러그로 골편 고정이 가능하였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 전 및 최종 추시 시의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점수를 비교하여 임상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환자는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나이는 19.1세였고, 병변은 대퇴내과 외측면이 16예, 대퇴외과 관절면이 2예, 대퇴골 활차부위가 1예였다. 병변의 평균 크기는 5.68 ㎟, 사용된 골연골 플러그의 개수는 평균 4.3개, 평균 추시 기간은 38개월이었다. 수술 전 Lysholm 점수와 IKDC 주관적 점수는 수술 후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결론: 자가 골연골 플러그를 이용한 박리성 골연골염의 불안정성 골편의 고정은 남아 있는 조직을 이용하고 보존할 수 있어 장점이 있는 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fixation of the unstable osteochondral dissecans (OCD) lesion with autologous osteochondral plug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9 patients who were relevant to the International Cartilage Repair Society 2, 3, or 4 who were treated with autologous osteochondral plugs and followed-up for more than 2 years from January 2004 to January 2012.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preoperative and last follow-up scores of Lysholm score and subjectiv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core. Results: All patients were male and the average age was 19.1 years. Of the 19 cases, there were 16 cases of medial femoral condyle lateral side lesion, 2 cases of lateral femoral condyle articular surface, and 1 case of femoral intercondylar notch lesions. The average size of the lesion was 5.68 ㎟, and average use of osteochodral plugs were 4.3.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8 months. Preoperative Lysholm score, IKDC subjective scor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nclusion: Fixation with autologous osteochondral plugs for unstable OCD uses the remnant tissues therefore conserving it, which is thought to be the positive aspect of this type of operation.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이차 관절경 검사의 평가

        서승석(Seung-Suk Seo),김창완(Chang-Wan Kim),김정한(Jung-Han Kim),성태우(Tae-Woo Sung),이형주(Hyeong-Jo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4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이식건의 종류 및 연령별로 여섯 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및 이차 관절경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건의 종류에 따라 자가슬근건을 사용한 군(제1군)과 동종 전경골건을 사용한 군(제2군) 및 나이 순별로 비교적 젊은 연령군으로는 29세 이하로, 중간 연령군으로는 30-49세, 비교적 높은 연령군으로는 50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각각 세 군(A, B, C)으로 구분하였다. 최초 관절경 수술 시 평균 나이는 32세였으며, 남자가 54예, 여자가 3예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21.8개월이었다. 결과는 임상적으로 마취하의 KT-1000 관절계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및 객관적 점수를, 방사선학적으로 TelosTM 스트레스 부하 검사를 평가하고, 이차 관절경 검사를 통해 이식건의 긴장도, 활액막의 형성 정도 및 육안적 소견등을 확인하여 각 군별로 분석하였고,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검사와의 상관관계도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제1군 및 A군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차 관절경적 소견은 제1군 및 A군에서 우수한 소견을 보였다. 특히, 활액막의 형성 정도는 연령이 낮으면서 자가건을 사용한 1A군의 75%, 연령이 높으면서 동종건을 사용한 2C군의 45%에서 우수 이상(50% 이상 활막 형성)소견을 보여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46). 이식건의 긴장 정도 역시 1A군에서 의미 있게 우수한 소견을 보였다(p=0.023). 객관적 IKDC 평가법상 활액막의 형성이 정상인 예의 93%, 활액막의 형성이 부적절한 예의 50%에서 "유사정상" 이상을 보여, 활액막의 형성 정도와 IKDC 평가법 사이에 연관관계가 있었다(p=0.001). 결론: 자가 슬근건을 사용하고 연령이 낮은 군에서 우수한 활액막 형성 소견 및 긴장도를 보였다. 비교적 높은 연령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는 자가건의 사용이 보다 적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classified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graft material and age, and clinical, radiological,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9, 57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We divided patients according to graft materials into the autogenic hamstring tendon group (group 1) and the allogenic tibialis tendon group (group 2), and according to age into three groups (A, B, and C). The mean age at follow-up for second look arthroscopy was 34 years old. Fifty four patients were male and three patients were female,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21.8 months. The result was clinically evaluated using a KT-1000 arthrometer under anesthesia, and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score of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and radiologically evaluated using the TelosTM stress test. We observed graft tension, synovialization and gross findings through a seco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Results: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in patients in group 1 and group A showed excellent finding,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Seco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in group 1 and group A showed excellent finding. In particular, the formation of synovialization showed excellent finding (50% or more synovialization) in 75% of patients in group 1A who were young and used an autogenic tendon graft, and 45% of patients in group 2C (over 50 years old and allogenic graft),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46).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tension of graft was excellent in group 1A (less than 3 mm). Through the IKDC evaluation method, 93% of cases that showed normal formation of synovialization and 50% of cases that showed inadequate formation of synovialization showed "like normal" abnormality, so that was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ynovialization and IKDC evaluation (p=0.001). Conclusion: Patients who used autogenic hamstring tendon and who were young showed excellent synovial membrane formation. In the old age group, autogenous graft will be more optimal.

      • KCI등재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에서 골이식과 외측 피질골 골절 여부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서승석 ( Seung Suk Seo ),김창완 ( Chang Wan Kim ),하동준 ( Dong Jun Ha ),이창락 ( Chang Rack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내반슬을 동반한 조기 골관절염의 치료방법 중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골이식 및 외측 피질골 골절 여부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내반슬을 동반한 골관절염 Kallgren-Lawrence 2단계 이하의 환자 14명, 1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례에서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또한 10 mm 이하의 개방이 필요했던 환자에 있어서 절골 부위 골이식 유무 및 전체 환자에서의 외측 피질골 보존 여부에 따라 각각 두군으로 나누어 각 군 간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평균 추시관찰 기간은 34개월(12∼96개월)이었다. 결과: Lysholm 점수는 술 전 59.9에서 술 후 81.5, HSS 슬관절 점수는 술 전 62.9에서 술 후 85.3로 호전되었다. 대퇴 경골간 각은 술 전 내반 7.8˚, 술 후 외반 11.6˚, 최종 추시에서 외반 10.5˚였으며, 후방 경골경사각은 술 전 8.9˚, 술 후 11.8˚, 최종 추시에서 12.3˚였다. Insall-Salvati 비는 0.92에서 술 후 0.94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82). 10 mm 이하의 개방의 경우에 골이식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 사이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며(p=0.47), 외측 피질골이 보존된 군은 보존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임상적으로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방사선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론: 경골 근위부 개방성 절골술은 조기 슬관절 내측 골관절염 환자에서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10 mm 이하의 개방 시에는 골이식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외측 피질골 골절 시에는 내측 지지금속판 고정 등의 보다 견고한 고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open high tibial osteotomy for treating patients with early osteoarthritis with varus deformity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bone graft and fracture of the lateral cortex.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14 patients (17 case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osteoarthritis with accompanying varus deformity and who were treated with open high tibial osteotomy from May 2001 to May 2007. Every patient showed less than Kallgren-Lawrence Stage II. Bone grafts were performed in 13 of the 17 cases. Clinical evaluations and radiolog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 bone graft in the cases with openings of less than 10mm and preservation of the lateral cortex, and we compared them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respectively. The average period of follow up was 34 months (range: 12∼96 months). Results: The Lysholm score improved from 59.9 preoperatively to 81.5 postoperatively and the HSS score improved from 62.9 to 85.3. The femoro-tibial angle was varus 7.8 degrees at preoperation, valgus 11.6 degrees o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examination and valgus 10.5 degrees at follow up. The posterior tibial slope was 8.9 degrees at preoperation, 11.8 degrees at postoperation and 12.3 degrees at the last follow up. The Insall-Salvati ratio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0.92 preoperatively to 0.94 postoperatively (p=0.8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47) on comparison of bone grafting or not for the patients with an opening of less than 10 mm. The group with a preserved lateral cortex showed better clinical results than the other group. However, there were no observed radiological differences (p>0.05). Conclusion: Open high tibial osteotomy that`s performed on patients with early osteoarthritis is a useful treatment option. We can conclude that a bone graft does not significant influence the result for the case with an opening less than 10 mm, and firm fixation is mandatory when the lateral cortex is fractured.

      • KCI등재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있어 대퇴과간 절흔 폭과 후방 경골 경사각의 임상적 의의

        서승석 ( Seung Suk Seo ),김창완 ( Chang Wan Kim ),김경환 ( Kyung Whan Kim ),민영경 ( Young Kyoung Min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3

        목적: 대퇴과간 절흔 폭과 후방 경골 경사각이 전방십자인대 파열 및 파열 위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09년 7월 사이에 본원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치료받은 환자 105예 (105명) 및 대조군으로 전방십자인대 비파열군 91예(91명)에 대하여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대퇴 과간 절흔 폭과 후방 경골 경사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방십자 인대의 파열 위치에 따라서 대퇴골 부착부위, 중간부위, 경골부착부위 파열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에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과간 절흔 폭의 평균은 전방십자인대 파열군 15.51±4.30 mm (95% confidence interval: 15.48∼15.53), 비파열군 24.49±3.86 mm (24.47∼24.52)이었으며, 후방 경골 경사각은 파열군 평균 7.68±3.78o (7.65∼7.70), 비파열군 6.12±3.85o (6.10∼6.13)이며, 대퇴과간 절흔 폭과 전방십자인대 파열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었다(교차비=0.661 [0.602∼0.720], p<0.01). 후방 경골 경사각과는 연관성이 없었다(교차비=1.073 [1.062∼1.134], p=0.197). 파열 위치에 따른 분산분석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관찰 할 수는 없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있어서 대퇴과간 절흔 폭의 감소는 의미있는 위험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oral intercondylar notch width (ICW), the posterior tibial slope angle (PTS), ruptur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and the ruptured sit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5 cases of ruptured ACL (105 patients), and 91 cases of intact ACL (91 patients). The ICW and PTS were measured from the plain knee radiographs. The ratio of the ICW and the femoral intercondylar notch height (ICH) was also measured. As for the site of ACL rupture, the patients with a ruptured ACL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1: femoral attach site, 2: mid-substance, 3: tibial attach site),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CW and the PT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ICW of the ACL ruptured group was 15.51±4.30 mm (95% confidence interval: 15.48∼ 15.53), that of the ACL intact group was 24.49±3.86 mm (24.47∼24.52), and the mean PTS of the ruptured ACL group was 7.68±3.78o (7.65∼7.70) and that of the intact ACL group was 6.12±3.85o (6.10∼6.13). A narrow ICW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ACL rupture (odds ratio=0.661 [0.602∼0.720], p<0.01). But we did not ge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the increase PTS (odds ratio=1.073 [1.062∼1.134], p=0.197). According to the ruptured site, the analysis of variance of the ICW and PT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 A narrow ICW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ACL rup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