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성 연구의 사회적 형성: 정권별 비교

        박치성(朴致成),김명환(金明煥) 한국정책과학학회 202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5 No.2

        본 연구는 정책환경의 차이(정권의 차이)에 따라 행정학자들은 공공성의 의미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서 차이를 보이는가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공공성의 의미가 무엇이었는가를 반추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공공성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작성된 논문 텍스트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등 세 정권 시기에 논의된 공공성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차이가 있었는지를(또는 공공성을 정권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관적인 의미로 파악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행정학자들은 정부의 특성에 대한 대응으로서 공공성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등 세 정부에 걸쳐 행정학자들이 논의한 공공성에 대한 이해와 해석은 정권이라는 정책환경의 영향에 대응하여 살아 움직이는 공공성 개념을 확립하려는 노력이라고 평가될 수 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he academic community of public administration understands and interprets the publicness with reference to changes in political environments, which eventually leads to clarify whether the meaning of publicness constructed by the epistemic community reflects the changes or no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s abstracts published from the President Lee to Moon periods to analyze the abstract (i.e., texts) using network text analysis. Since the political environments between president Lee/Park and Moon are fairly different.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publicness by epistemic community would be different by the administration.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epistemic community has interpreted the meaning of publicness in differing way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political contexts. This implies that the concept “publicness” is a social construction of knowledge.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역대 대통령의 정책변화 분석

        박치성(朴致成),신나리(申나리) 한국정책과학학회 202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5 No.4

        본 연구는 정책 아이디어의 중요성을 강조한 담론적 제도주의 논의에 따라 제왕적 대통령제로 평가받는 대한민국에서 국가정책 방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대통령의 정책 아이디어 변화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책기조 분석에 있어 새로운 방법론인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비롯한 텍스트 분석(text analytics)을 사용하여 대통령별 토픽의 분포와 토픽의 핵심 단어를 중심으로 한 정책기조 파악, 통일정책을 중심으로 정책기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 첫째, 이승만, 노태우 대통령을 제외한 모든 대통령은 특정 정책기조를 내세우는 동시에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를 국정철학에 반영하고 있었으며, 둘째, 토픽은 특정 대통령의 정책기조와 복수의 대통령의 정책기조로 구분되었으나, 후자의 경우 세부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통일정책기조는 민주화 전후에 정책변화 패턴에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president"s policy ideas,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throughout the policy process at the national level. Especially, the president in Korea which is often called as ‘imperial presidency’ has been dominant in the agenda setting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This study explores 1) how 10 presidents’ policy ideas are construed by analyzing the congruence between main philosophical ideas of the president and the policy orientations represented in the presidential speeches, and 2) compares policy ideas of ten presidents. To this end, text analytics includ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was appli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topics by presidents, identify the policy orientation through key words of topics, and analyze changes in policy orientation centered on unification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eight presidents except for S. Rhee and T. Roh showed his(her) own specific policy orientations, and simultaneously reflected various policy ideas in the philosophy of state administration. Second, while some topics representing a specific policy ideas are exclusively attached to an individual president, others are overlapping across multiple presidents. Third, the unification policy orientation showed a difference in the policy change patterns before and after democratization in Korea.

      • KCI등재

        행정학의 학문적 위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박치성,심준섭 한국행정연구원 2012 韓國行政硏究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학의 다학문성을 바탕으로 행정학이 다른 학문들과 비교하여 얼마나 학문적 영향력이 있는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른 학문들과 비교하여 행정학 내부의 피인용(자기인용)과 다른 학문분야로부터의 피인용 양태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와 행정학의 하위 학문 분야별로 다른 학문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행정학 관련 2개의 전문학술지(행정학보와 정책학회보), 인접 사회과학 학문인 정치학과 사회복지학의 대표적인 학술지 각 1개 등 총 4개의 학술지를 선정하고, 2002~10년간 게재된 총 2115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피인용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1) 다른 학문에 대한 행정학의 인용이 정치학이나 사회복지학에 비해 월등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행정학의 내향적 다학문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그러나 행정학의 학문 내 위상에 비해 다른 학문들에 대한 외향적 위상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행정학의 하위연구분야 중, 전통적인 행정학의 주요 분야인 조직론은 인접 학문에 높은 영향을 보이는 반면, 행정개혁이나 거버넌스 등 행정학 내부에서 큰 영향력이 있는 학문분야는 상대적으로 다른 학문에 대한 영향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행정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행정학 학문공동체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박치성(Park, Chisung)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plore hidden patterns of network structures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academic community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nd 2) to explain the influences of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authors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gathers coauthor relation data from 24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s as well as author attribute data from various source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Public Administration academic community displays a high level of academic collaboration. In other words, the coauthor network in public administration is relatively well connected compared to other academic collaboration networks. Second, academicians who participate in small and fragmented components of the network are socially more reputable, but show a lower level of performance than members in the main component of the network. Finally, while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performance, closeness central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academic performance of authors.

      • KCI등재

        서울시 공공관리 패러다임 변화 분석: - 신공공관리/후기신공공관리적 가치를 중심으로 -

        박치성,신나리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3

        New Public Management, which has functioned as the dominant managerial paradigm since the 1980s, has faced various criticism and empirical failures since the 2000s. As a paradigm to replace NPM, Post-NPM that emphasizes cooperative governance has emerged. This study analyzed the congruence between policy ideas (i.e, orientation) and policy (i.e, tool) in three Mayors of Seoul Metropolitan City,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bringing about desirable policy effects, focusing on NPM and post-NPM values. While policy ideas and policies of Mayor Lee and Park are congruent, Mayor Oh showed less congruence between the two. In detail, 1) Mayor Lee showed both the policy idea and policy project as NPM, 2) Mayor Park showed both the policy idea and policy project as post-NPM, and 3) on the other hand, Mayor Oh showed the lowest consistency as he showed a NPM aspect in policy projects, unlike the post-NPM in policy ideas. 1980년대 이후 공공관리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기능해온 신공공관리는 2000년대 이후 이념적 비판과 경험적 실패에 직면하였고, 이를 대체할 패러다임으로써 협력적 거버넌스를 강조하는 후기신공공관리(post-NPM) 논의가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정책효과를 가져오는 데 중요한 요인인 정책기조와 정책사업 간 정합성을 신공공관리와 후기신공공관리적 가치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명박 시장은 정책기조와 정책사업 모두 신공공관리적 모습을 보였고, 박원순 시장은 정책기조와 정책사업 모두 후기신공공관리적 모습이 나타났다. 한편, 오세훈 시장은 후기신공공관리적 정책기조와는 달리 실제 정책사업에 있어서는 신공공관리적 모습을 보여 정책기조와 정책사업 간 정합성이 가장 낮았다. 본 연구의 의의를 요약하면, 첫째, 신공공관리와 후기신공공관리적 특성이 시장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시장의 연설문에 나타난 정책지향성을 통해 확인하였다는 점, 둘째, 정책지향성과 정책 간 정합성이 시장에 따라 사뭇 다르게 나타나는 점을 들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시장의 정책지향성과 정책 간 정합성과 정책성과 간 관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Do the boundaries between the nonprofit, public and business sectors blur?: Comparing “within the nonprofit sector collaboration networks” and “inter-sector collaboration networks” in the social service field in Pittsburgh, Pennsylvania

        박치성 한국행정학회 2008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13 No.2

        Many of the current debates in public and nonprofit management have focused on the blurring boundaries between the nonprofit, business, and public sectors. However, surprisingly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phenomenon. In order to bridge this knowledge gap, this study compares “within the nonprofit sector collaboration patterns” with “cross-sector collaboration patterns” from a network perspective. This study adopts a blockmodel that is useful for reducing complex networks into concise and easily understandable forms. Using a survey of 33 nonprofit organizations in Pittsburgh, Pennsylvania, this study uncovers the hidden patterns of collaboration. Firs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when nonprofits collaborate with other sector organizations, boundaries blur and new network structures replace the existing network structures that are composed exclusively of nonprofits. Second, when nonprofits collaborate with other sector organizations, some nonprofits become strategically significant in that they play a coordinating role between other nonprofits and business/public organizations.

      • KCI우수등재

        정책 아이디어에 기반한 대통령별 공공가치 비교연구 - 대통령 연설문에 등장한 신공공관리와 후기신공공관리의 주요 가치를 중심으로 -

        박치성 ( Chisung Park ),백두산 ( Doosan Paik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4

        신공공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기신공공관리 논의는 확대되고 있으나 실제 후기 신공공관리적 변화는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통령의 정책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한국의 신공공관리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후기신공공관리적 변화를 포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정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해 Jørgensen과 Bozeman이 제시한 공공가치 분류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에서 주요 공공가치를 도출하였고, 단어 임베딩을 통해 공공가치의 의미론적 유사어를 검토하여 공공가치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공공가치 간 관계를 추출한 후(코사인 유사도 활용) 공공가치 의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대통령별 정책 아이디어를 비교분석했다. 분석결과, 동일한 공공가치라고 하더라도 대통령 간 이해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은 신공공관리의 정책 아이디어가 명료했으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은 다소 완화된 신공공관리적 해석이 관찰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우 후기신공공관리적 이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한국의 신공공관리는 행정환경과 정책맥락이 고려된 재해석된 신공공관리로서, 최근에는 후기신공공관리적 해석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책 아이디어와 관련된 담론적 제도주의 논의를 뒷받침할 수 있는 방법론(경험적 분석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여가 크다. Despite the criticism of new public management(NPM), discussions on post-NPM are slow to root in the government management.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Korean NPM(its interpretation and change) focusing on the pesidents’ policy ideas, and capture the emergence of post-NPM initiatives. The policy idea is embodi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public values suggested by Jørgensen and Bozeman. Specifically, major public values are derived from the speeches of the five presidents(Kim Dae-jung, Roh Moo-hyun, Lee Myung-bak, Park Geun-hye and Moon Jae-in) through word embedding. The meanings of public values are clarified by examining semantic similar words.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public values are extracted (using cosine similarity) and public value semantic networks are formed to compare policy ideas for each presid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ven if the public value is the same, the interpretations of the presidents are different. Presidents Lee and Park had a clear idea of the NPM, but Presidents Kim and Roh show a weakened interpretation of the NPM. President Moon have the most clear understanding of post-NPM. In other words, the NPM in Korea is a reinterpreted NPM that takes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policy context into consideration, Lately, the policy ideas of post-NPM has a tendency to stand out. This article has a contribution in that it presents a methodology (empirical analysis framework) that can support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