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패션의 매체 미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박민아 ( Mina Park ),고현진 ( Hyun Zin Ko ) 복식문화학회 2017 服飾文化硏究 Vol.25 No.1

        When digital media and images are combined, their significant sociocultural impacts can be exerci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digital images shown in such trends of digital media compared to the digital fashion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are focused upon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Digital Fashion comprehensively refers to fashion design using computers and software, and is considered as “Fashion Design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including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perspectives, so that it may be renamed “Digital Fashion.”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Digital Fashion defined above are analyzed according to how media philosophers conceptualize the digital imag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Digital Fashion Images are technical images produced by computers. Uncanny characteristics expressed through virtual images look more realistic than the actual ones used in experimental works of fashion designers. Such virtuality dynamically expresses various colors and fabric patterns through lights using digital technologies that do not yet exist in cloth form, rather in a non-material form of dynamic virtual imagery. Digital fashion images on monitors express digital fashion designs by shaping virtual images through 3D printing. Second, Digital Fashion Image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re created through deconstruction, while fashion has only been previous viewed visually, Digital Fashion delivers immersions of visual touches as if directly experienced for accepters. Digital Fashion will continuously develop and become more influential as it converges with digital media.

      • 메타버스 구성 요소 및 차별적 경험 특성에 관한 사용자 관점에서의 연구

        박민아(Mina Park),유재경(Jaekyeong Ryou),허유정(Youjung Huh),장진규(Jinkyu Ja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다양한 정의, 대표적 특성, 구성 요소에 대해 조사하고, 나아가 사용자 관점에서 메타버스 경험-공간-생태계의 차별적 경험 특성을 도출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몰입감’, ‘다양성’, ‘실감’, ‘자율성’은 메타버스의 경험적 특성과 관련이 높았으며, ‘접근성’, ‘확장성, ‘실재감’은 메타버스의 공간적 특성과, ‘안전성’, ‘시민성’은 환경적 특성과 각각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운용성’과 ‘지속성’은 메타버스의 전반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박민아(Park, Mina),신수진(Shin, Sujin) 한국간호과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5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ssess from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the clinical field what constitute good instruction, through the review of nursing students’ opinions and clinical field demand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used Creswell’s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s and then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The participations were 79 seniors in nursing schools and 85 nurse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based on Elo and Kyngäs’s content analysis method. The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qualitative results and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an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PA extracted seven item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satisfaction: “nursing fads and trends,” “teacher-learner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materials used in clinical settings such as monitoring results and test results,” “special presentations by experienced practitioners,” “instruction assures learners’ comprehension,” “accurate and detailed evaluation standards” and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Conclusion: The factors comprising good instruction were verified, and the necessity for additional efforts to improve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factors was noted. Therefore, this study can serve as a guide for nursing education facilities and educators in developing of a thorough education system with excellent instruction designed to achieve an ideal nursing education.

      • 흐름 속 미세입자의 광산란 신호와 형상 동시 측정

        박민아(Mina Park),조명옥(Myoung-Ock Cho),김중경(Jung Kyung Kim)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11

        We developed a low-cost point-of-care diagnostic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counting cells in resource-poor environments. In this preliminary study, we investigated the signal change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minute particles scattered by laser light. The particles transported in a laminar flow can be classified by their morphologies which greatly affected the scattering signal.

      • 수면 컴패니언: 수면 습관 형성을 위한 관계형 에이전트 상호작용 효과

        박세진(Park Sejin),조아현(Jo Ahyeon),한은현(Han Eunhyeon),조도현(Cho Dohyun),박소민(Park Somin),박민아(Mina Park),장진규(Jinkyu Ja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연구에서는 수면 행동 개선에 도움을 주는 관계형 에이전트 ‘꿀잠이’를 개발해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관계형 에이전트 ‘꿀잠이’와 상호작용을 통해 수면 습관 행동에 대한 상호작용 디자인을 대상체의 형상화와 맞춤형 메시지를 바탕으로 설계하고 인사이트를 확보하였다. 사용자들은 수면 습관 문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대화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기록함으로써 수면에 대한 습관을 판단하고 스스로 제어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게 되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 -대구지역 중학교의 비교연구-

        신형진 ( Shin Hyoung-jin ),박민아 ( Park Mina ),박소윤 ( Park Soyu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9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에서 통일교육 연구학교로 지정된 한 개의 중학교와 이와 유사한 사회 인구학적 배경을 지닌 또 다른 중학교를 표본으로 선택하여 통일교육이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을 ‘사회적 거리감’이라는 측면과 ‘사회 및 경제체제의 합류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성별, 학년, 가정의 경제적 형편, 보호자의 학력, 북한이탈주민 지인 여부, 보호자 및 친구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통일교육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및 경제체제의 합류에 대한 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사회적 거리감은 오히려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통일교육의 효과가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의 두 가지 차원에서 서로 상쇄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통일교육을 통해서 통일이 가져다줄 경제적 이익이나 사회통합에 대한 규범적 가치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불러올 수 있지만, 동시에 통일교육을 통해 습득한 북한에 대한 지식이 오히려 남과 북의 이질감을 심화시켜 북한 주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보다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본 연구의 한계 또한 논의 및 결론에서 검토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unification education on accepting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by analyzing the sample drawn from one middle school, which is designated as the 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School, and another middle school with similar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in Daegu,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accepting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i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of ‘social distance’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and economic integration’. The results from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uggest that unification education positively affects ‘the perception of social and economic integration’ whereas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distance’ at the same time. This result imply that the knowledge of North Korea acquired through unification education deepens the sense of heterogeneity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 KCI등재

        생성형 AI 기술이 바꾸는 광고PR의 현재와 미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본 시사점

        김활빈(Hwalbin Kim),박민아(Mina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광고연구 Vol.- No.140

        본 연구는 광고PR 분야에서 미래를 모색하고 실현하기 위하여 생성형 AI 기술의 도입이 광고PR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관련 논의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성형 AI와 광고PR 분야의 업계 및 학계의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광고PR캠페인 및 미디어 콘텐츠에서 생성형 AI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생성형 AI는 실제로 기존 광고 및 PR 분야의 접근법을 뛰어넘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생활 침해나 기술의 오용 등에 대한 위협이 있다. 따라서 교육, 기술 개발, 윤리적 고려 사항 등에 초점을 맞춘 미래 지향적인 연구와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생성형 AI 기술은 광고PR 산업에서 새로운 창의성과 혁신성을 실현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의 광고PR 방식에 비해 다양한 콘텐츠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만들어 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탐색적 연구로서 심층인터뷰라는 방법론적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문가 인식을 통해서 다양한 함의를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generative AI technology on the advertising and PR ecosystem and analyzed discussions in depth in order to examine the future in the advertising and PR fiel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industry and academic experts in the fields of advertising and PR. We were able to gain insight into how generative AI is being used in various advertising and PR campaigns and media content and how it can be used in the future. Results show that generative AI is actuall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content that goes beyond traditional advertising and PR approaches. However, there are threats such as invasion of privacy and misuse of AI technology.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forward-looking research and collaboration focusing on educatio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thical considerations. From th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generative AI technology is realizing new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the advertising and PR industry, and in particular, can contribute to creating various contents quickly and effectively compared to existing advertising and PR methods. Despit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in-depth interviews as an exploratory study, we suggested various implications through expert recognition.

      • Borderless Metaverse: 경계 없는 메타버스의 구현을 위한 사용자 중심 상호운용 전략 연구

        유재경(Jaekyeong Ryou),박민아(Mina Park),허유정(Youjung Huh),장진규(Jinkyu Ja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메타버스는 거래·창작·협업·교육 등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상과 현실의 융합 공간으로 경제 시스템을 포함한 새로운 디지털 환경을 제공하며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으로 크게 주목받았다. 그러나 핵심 콘텐츠의 부재와 기술적 한계 그리고 연이은 기업들의 사업 철수로 인해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메타버스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개발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여 콘텐츠를 다양하고 빠르게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플랫폼 간 경계를 완화하여 하나의 거대한 메타버스 통합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현재 메타버스 상호운용 및 기술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술적·제도적 관점에서만 논의되고 있어 실제 수혜자의 수요를 반영한 사용자 관점의 상호운용 전략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 관점에서 경계 없는 메타버스를 위해 필요한 상호운용 대상과 방식을 수집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메타버스 상호운용 연구 및 여러 기구를 통해 추진되고 있는 기술 표준화 사례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둘째, 사용자 대상으로 경계 없는 메타버스를 위해 필요한 상호운용 대상을 수집하고 개념화·유형화하여 다섯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 인터뷰를 통해 유형별 상호운용 대상과 상호운용 수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실현 방법에 집중된 기존의 상호운용 및 기술 표준화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사용자 관점에서 필요한 상호운용 대상과 수준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경계 없는 메타버스를 인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상호운용 방식을 실증한다면, 하나의 거대한 메타버스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디지털 공간 경험(Spatial Experience)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