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가부장제

        박동석(Park, Dong-seok)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4

        현대사회에서의 가부장제(家父長制)개념은 아주 고전적이며 진부한 인상을 준다. 또한 가부장제는 페미니즘에 있어서도 남성에 의한 여성의 지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용어이자 개념이기도하다. 이와 같이 오늘날의 사회적인 관점으로 볼 때 가부장제를 논하는 자체가 시대착오적인 발상으로 비쳐질 지도 모른다. 그러나 일본가족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가부장제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필요한 것이며 사회적으로도 쉽게 잊혀 져서는 안 될 제도인 것은 분명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페미니즘에서 가부장제가 어떻게 대표적인 개념이 되었는가를 집중분석한다. 그리고 가부장제라는 개념이 어떤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당시의 사회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고찰해 보고자한다. 아울러 일본의 페미니즘에서 가부장제개념을 기존의 학문(사회학, 문화인류학)내에서 재정립해 보고자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주로 세치야마 가쿠(瀬地山角)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일본의 가부장제개념의 역사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사회에서 이루어졌던 논쟁과 문제점들을 재조명해 본다. 결론적으로 과연 이와 같은 가부장제개념이 오늘날의 일본사회에서도 통용되는 존재가치가 있는가를 고찰해 보았다. Patriarchy in modern society has very old fashioned and hackneyed images. It is also a concept and a term that represents male dominance over female from the feminism perspective. Discussion of patriarchy may be an anachronistic idea in modern society where equality between genders is generally enforced in the system. However, from Japan"s sociological perspectives, research and analysis of patriarchy system is necessary and it should not be forgotten socially. In the paper, the analysis is focused on how patriarchy has become the representative concept in Japanese feminism. Through previous study results, the paper also looks at what problems patriarchy cause and how the society accepts and embraces the concept. The paper purports to redefine the concept of patriarchy in the context of Japanese feminism within the frame of traditional sociology or cultural anthropology, and to do so,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Sechiyama. By analysing the concept of patriarchy and its history the issues and questions posed at that time will be reinterpreted. It also contemplates on whether the concept of patriarchy has acceptable or tolerable value in modern Japanese society.

      • KCI등재

        일본가족사회학의 문제

        박동석(朴東碩, Park, Dong-Seok)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4 No.-

        家族社会学の立場からは、理論的な家族危機論に比重をおくものと家族危機が社会的議論となってゆく社会的過程をとりあげる二つの研究方法がある。家族危機の概念的検討を試みる本稿では、危機の対外性と対内性および個別か一般かという問題レベルの組み合わせから家族危機の4種類が導かれ、その内“狭義の家族危機”について家族危機のパターンとそれにともなう家族変動の過程に関する理論的枠組みが提示される。新語の対処プログラムの用語も使っている小論では生活者中心的危機論の提案でもある。これを提示するための弾み車として、従来からの家族社会学における家族危機論を家族中心的家族危機論と一括し、その限界性を検討している。家族危機とは、そもそも家族のどのような状況を指すのだろうか。 本稿では、現代社会の中で、多くの家族が危機的事態に直面しているのかどうか、現代社会が家族危機の時代なのかどうかという疑問はひとまずおいて、従来の家族社会学にみられる家族危機の捉え方について、家族問題、家族病理、家族の解体など、類義の定義をふまえつつ整理し、そのうえで、家族危機への対処過程について検討したい。さらに、近年の個人化、プライベイト化、多様化といった家族の動向を鑑み、家族社会学のパラダイム転換にもとづく家族危機の捉え方について試論を提起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

      • KCI등재

        일본 『 이에(家)』 의 연구사적 고찰

        朴東碩(Park, Dong-Seok) 일본어문학회 2016 일본어문학 Vol.75 No.-

        There has been an argument since 1970s that Japanese IE ‘house’ should be analyzed as a transformational process, not as an institutional practice unique toa certain era. Since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modern families typically did not concentrate on IE, IE was regarded merely as a research topic in the past, and the analyses of IE in terms of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were not conducted. The Japanese society at the time focused on the study of families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at the forefront of the transition period from IE to a family and from an institution to friendships. However, the analyses of previous studies on IE have revealed that there certainly existed some issues even in the studies in which IE was understood as a static object. Furthermore, studies suggested that IE included a substantial transformation even when the change of the rural society and movement of its members occurred.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previous studie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tudies of sociology of the family in Japan after the World War II suggest that the concept of families in Japan was outdated or they were analysed only in terms of their distinctive features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sociology of the family in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재 활용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 - 2016년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

        박동석 ( Park Dong-se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문화재청이 2016년도에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으로 추진하는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문화재 만들기 사업의 예산지원을 받은 전국 77개 향교·서원문화재 활용 사업을 대상으로 문화재 활용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는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전문가 현장평가 및 컨설팅과 일반인 모니터링 그리고 관람객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에 사업의 계획·운영·실적·성과·연차별 특별지표 부문에 종합평가는 모두 양호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업의 종합적인 성과 중 우수한 점으로는 첫째, 지역의 문화재 향유권 신장, 둘째, 지역 내 문화재 활용 인적 네트워크 확대, 셋째, 지역 내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 넷째, 자유학기제 연계 사업을 통한 문화재 활용 교육콘텐츠의 다양화 등이 있었다. 반면 미흡한 점으로는 첫째, 프로그램 품질 저하, 둘째, 사업계획 대비 실행 부족, 셋째, 지자체의 관심 및 참여 미흡, 넷째, 홍보부족, 다섯째, 자유학기제의 경우 지역 문화재 특성이 반영된 교육콘텐츠 부족 등이 있었다. 사업의 발전 방안으로는 첫째, 향교·서원문화재의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 개발, 둘째, 외국인 대상 프로그램 개발, 셋째, 전문 인력양성, 넷째, 홍보 확대, 다섯째, 새로운 강의 기법 개발, 여섯째, 지역 내 열린 공간으로 활용, 일곱째, 공간별 활용 계획, 여덟째, 평가제도 개선, 아홉째, 관람객 의견 반영 강화, 열 번째, 사업별 집중 컨설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field evaluation by experts, monitoring by the public, and visitor satisfaction survey for 77 cases of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projects that received support from “Living and Breathing Hyanggyo and Seowon” in 2016. The result was ‘normal’ for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by section, ‘good’ for planning, operating, performance, outcome and annual special index. The field evaluation by experts was rated as ‘good’, monitoring by the public was ‘good’, and also ‘good’ for visitor satisfaction survey. The advantages of the project were as follows; increased chance for enjoyment of local cultural heritage, expansion of human network for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s community plac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by using cultural heritage. On the other hand, the disadvantages were as follows; decline of program’s quality, shortage of putting plan in practice, insufficient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 insufficient promoting, shortage of educational contents for free semester system. At last, we suggested measures to develop the project as follows; develop program by using local characteristics, develop programs for foreigner, training experts, increasing on-line promotion, develop new lecture techniqu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s a local community place, utilization planning by each space, improvement of evaluation system, tightening up reflection of visitor’s opinions, consulting for each programs.

      • KCI등재

        문화재활용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 - 2016년 생생문화재사업을 중심으로 -

        박동석 ( Park Dong-se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2016년 생생문화재 사업 지원을 받은 전국 88개 문화유산 활용사업을 대상으로, 문화재 활용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는 전문 인력을 활용하여, 전문가 현장 평가 및 컨설팅, 일반인 모니터링, 관람객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생생문화재 사업의 종합평가 결과는 100점 만점에 평균 86.78점으로 양호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계획, 실적, 연차별 특별지표 부문은 양호 수준, 현장운영과 성과 부문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현장평가는 보통, 일반인 현장평가는 양호, 관람객 만족도 조사는 양호수준을 보였다. 사업의 종합적인 성과 중 우수한 점으로는 지역의 문화재 향유권 신장,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 가능성 제고, 지역의 참여와 협력 확대 등이 있었다. 반면 미흡한 점으로는 타 지역민 대상 홍보 미흡, 예산 대비 많은 프로그램으로 인한 질 저하, 문화재 설명자료 부족, 스테이 프로그램 부족 등이 있었다. 사업의 발전 방안으로는 프로그램 유료화를 통한 지속성 확보, 다른 사업과의 연계, 대표프로그램 및 브랜드 개발, 참여 환경 개선, 사업에 경험이 있는 단체의 역할 강화, 지역 예술가와 자원봉사자 활용, 수행 단체간 프로그램 교류, 정부기간을 활용한 홍보, 기존 고객 관리, 홍보의 단계별 전략 수립, 일반인 모니터링 제도 개선, 관람객 의견반영 강화, 사업별 집중 컨설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field evaluation by experts, monitoring by the public, and visitor satisfaction survey for 88 sites by using cultural property projects that received support from “SaengSaeng Cultural Property”in 2016. The resul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was `good`, the part of planning, outcome, annual special index were `good`, field operation and performance were `normal`. The field evaluation was rated as `normal` by experts, monitoring by the public was `good`, and visitor satisfaction survey was also `good`. The advantages of the project were as follows; increased enjoyment of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s tourism, expansion of local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disadvantages were as follows; shortage of promotion to other local people, deterioration of program`s quality, insufficient materials for explanation of cultural assets, insufficient program for staying. We suggested measures to develop the project as follows; developing paid contents in order to secure sustainability, connection with other programs, developing representative program and br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 to participate, strengthening of role for experienced local organization, utilization of local artists and volunteers, exchange between local organization, promoting by government organization, managing existing visitors, establishing of strategy for promotion, improvement of monitoring by the public, strengthening of reflection of visitor`s opinions, consulting for each programs.

      • KCI등재

        일본의 가족 형태에 대한 연구사적 규명

        박동석(Park, Dong Seok)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3

        There has been a shift between two paradigms (the nuclear-family paradigm and the modern family paradigm) in the sociology of family in Japan after the Second World War. Following the shift in the family system from the stem family to the conjugal family system, it is assumed that there has been a shift in the aspect of the family relationship from patriarchy to an egalitarian model of the family, signifying an egalitarian relationship between wives and husbands and children and paren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y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the modern family paradigm in Japan,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the modern family and its methodological limitations. Research questions including what was overlooked in the process of change in these two paradigms, in what process the family system underwent a change, and how there has been a shift from the stem family seeking family succession and continuity to the conjugal family system a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