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문화진 ( Hwajin Mo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이 연구는 국내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도덕성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출판된 실험연구 24편을 대상으로 MS Excel과 CMA 3.0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한 결과 국내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의 총 효과크기는 1.31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수준이었다. 둘째,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크기 분석 결과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은 사회성과 도덕적 행동의 증진에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조절변인의 유형 별로 분석한 결과 출판유형, 연구대상,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했지만 중재방법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iterature that hav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Korea’s mor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is, I wanted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S Excel and CMA 3.0 in 24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July 2021.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andom-effects model was applied, the effect size of the moral education programs was 1.310,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 Second, analyzing the effect size for dependent variables, effects on sociality and moral behavior were greatest. Third, analyzing the effect size by category showed that each effect size of type of publication, subject, and number of session was significant, but arbitration method was not.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directions of future moral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청소년의 도덕성과 학교 참여의 관계:

        문화진(Moon, Hwa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도덕성이 학교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교사의 자율성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서울 소재 3개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251명의 남녀 학생을 대상으 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3.0과 Macro 프로그램을 통해 변인 간 관련성과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도덕적 이탈과 학교 참여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때 자기효능감은 도덕 적 이탈과 학교 참여의 부적 관계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자기효능감과 학교 참여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자기효능감과 학교 참여의 정적 관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도덕적 이탈과 학교 참여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교사의 자율성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고, 이때 자율성지지의 모든 수준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학교 참여에 있 어 도덕성이라는 인지적 측면, 자기효능감이라는 정의적 측면, 그리고 교사라는 환경적 측면이 가지는 교육적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ed medication effect of teacher s autonomy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school engagement of adolescents. A sample of 251(boy=120, girl=131)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in the study.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3.0 and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school engagement. Second, the moderation effect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was found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engagement. At last, the mediation effect of morality on school engagement through self-efficacy was moderated by teachers autonomy support. In sum, the results indicate that self-efficacy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represent a important constructs in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morality on school engagement. The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 목표 지향성과 학업적 착수-완수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완벽주의 성향의 매개효과

        문화진(Hwa-Jin Moo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1

        이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적 착수-완수 지연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 성취 목표 지향성과 완벽주의 성향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성취 목표 지향성과 학업적 착수-완수 지연 행동의 관계에서 완벽주의 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 접근 지향성이 낮을수록, 숙달 회피 지향성과 수행 회피 지향성이 높을수록 학업적 착수 지연 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또 자기 지향 완벽주의는 낮을수록, 사회 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적 착수 지연 행동을 더 많이 했다. 이때 숙달 접근 및 회피 지향성은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 더 밀접하게 결합하지만, 수행 회피 지향성은 사회 부과 완벽주의와 더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둘째, 숙달 접근 지향성이 낮을수록, 숙달 회피 지향성 및 수행 접근 지향성과 수행 회피 지향성이 높을수록 학업적 완수 지연 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또 자기 지향 완벽주의는 낮을수록, 사회 지향 완벽주의는 높을수록 학업적 완수 지연 행동을 더 많이 했다. 이때 숙달 접근 및 수행 접근 지향성은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 더 잘 결합하지만, 숙달 회피 및 수행 회피 지향성은 사회 부과 완벽주의와 더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학업적 착수-완수 지연 행동은 이를 유발하는 원인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를 교정하기 위한 중재나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 학업적 착수 지연 행동과 완수 지연 행동은 서로 구별하여 이해되어야 할 독립적 행동 특성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of an empirical study to confirm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rfection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72 college student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the mastery approach orientation and the higher the mastery avoidance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voidance orientation, the more academic initiation procrastination was found. The lower the self-directed perfectionism and the higher the social-oriented perfectionism, the more initiation procrastination was performed. And, the mastery approach and avoidance orientation were more closely combined with self-directed perfectionism, but the performance avoidance orientation was more closely linked to social imposition perfectionism. Second, the lower the mastery approach orientation, the higher the mastery avoidance orientation, the higher the performance approach orientation, and the higher the performance avoidance orientation, the more academic completion procrastination was found. The lower the self-directed perfectionism and the higher the social-oriented perfectionism, the more delayed the academic completion procrastination was. And,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orientation are better combined with self-directed perfectionism, but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orientation are more closely linked to social-oriented perfectionism.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requires intervention to correct i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use, and that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are independent behavior characteristics to be understood.

      • KCI등재

        한국 대학생 대상의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문화진(Moon, Hwa-J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연구 중, 한국 대학생 대상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49편의 연구에 대한 경향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다문화교육 관련연구는 2010년 이후 해마다 증감을 나타내다 2016년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대폭 감소였다. 둘째, 대학생 다문화교육에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다문화, 교육, 인문소양을 다루는 학술지에 주로 게재되지만, 비교적 다양한 영역의 학술지에서 고루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 주제 중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다. 넷째, 대학생 다문화교육의 대상은 사범 계열 전공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과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려는 시도가 더욱 활발해진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섯째, 대학생 다문화교육의 내용 중 다문화에 대한 민감성, 감수성, 인식증진 등을 다루는 지식 구성 관련 내용 또는 변인이 가장 빈번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다문화교육의 접근 관점은 동화주의 관점과 다문화주의 관점의 빈도가 유사한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for 2010-2019. For this, a total of 49 papers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hows a year-on-year increase or decrease. The volume was largest in 2016, and has declined substantially since then. Second, studies on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mostly in journals dealing with multiculturalism. Third, The main topic of interest in research is the type of testing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th, the object of education is more important in the attempt to target students majoring in general subject as well as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 Fifth, contents related to knowledge were most frequently handled in education. Finally, The approach taken was mainly identifiable with assimilative and multicultural viewpoint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활적응과 학업 성취의 관계:개방성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

        문화진(Moon Hwa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과 학업 성취의 관계에서 성격의 개방성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 한 달동안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Macro 프로그램을 통해 변인 간 관련성 및 영향력에 대해 검증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결과 대학생활적응, 성격의 개방성, 셀프리더십은 모두 학업 성취와 정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개별매개효과 검증 결과 성격의 개방성과 셀프리더십은 모두 대학생활적응과 학업 성취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중매개효과 검증 결과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성격의 개방성보다 셀프리더십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학업 성취 증진을 위해서는 이들의 비인지적 특성인 적응, 성격, 인지·행동적 특성 또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adaptation of college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ness and self-leadership. A sample of 19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3.0 and SP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s of openness and self-leadership were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dual mediating effect were found not openness but self-leadership. In su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daptation of college, openness, self-leadership are considered all together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specially adaptation and self-leadership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ly. Based on this study, I hope that further investigations to improve the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re to be continued.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통제와 학업 소진의 관계: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문화진(Moon, Hwa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기통제와 학업 소진의 관계에서 부모의 양육행동인 조건부 관심과 심리적 통제의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10월부터 11월까지 경기도 소재 2개 일반계 국·공립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28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Macro 프로그램을 통해 변인 간 관련성과 영향력에 대해 검증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자기통제가 높아질수록 학업 소진이 낮아진 반면,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심리적 통제가 높아질수록 학업 소진이 증가되었다. 둘째, 청소년들의 자기통제와 학업 소진의 관계에서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자기통제가 높을수록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심리적 통제에 대한 지각이 덜 부정적이었고 학업 소진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 때 조건부 관심보다는 심리적 통제가 상대적으로 더 큰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학업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자기통제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행동이 간섭이나 통제로 지각되지 않고 애정과 지지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중요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self-control and academic burnout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conditioning regard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 sample of 284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with SPSS Win 23.0 and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self-control of adolescents got higher, their academic burnout got lower. On the other hand, as parental conditioning regard and psychological control got higher, their children s academic burnout also got higher. Seco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parental conditioning regard and psychological control were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control and their academic burnout.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were founded not parental conditioning regard bu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 su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self-control of adolescents and parental conditioning regard, psychological control represent key mechanism on academic burnout. The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한부모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문화진(Hwajin Moon)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이 연구는 한부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요인, 경제 요인, 가족 요인, 사회 요인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 요인이 초등학생 한부모와 중·고등학생 한부모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에 참여한 1,411가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차이 검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의 우울 수준은 높지 않았으며, 초등학생 한부모와 중·고등학생 한부모 간에 우울 수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 한부모의 우울은 자녀 양육과 관련한 가족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차별을 의미하는 사회 요인, 한부모의 건강과 관련한 개인 요인, 직장과 주거 등이 포함한 경제 요인의 순이었다. 중·고등학생 한부모의 우울도 가족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나, 다음으로 개인 요인, 경제 및 사회 요인의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한부모의 우울을 감경하고 나아가 정신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지원책에 관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ingle parents' depression from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differ between single parents raising elementary school and middle/high school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1,411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in the 2021 Single Parent Family Survey, and the SPSS 26.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single parents was not high,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pression between groups. Depression among single parents rais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most influenced by family factors, followed by social factors, personal factors, economic factors. Otherwise, raising middle/high school children was most influenced by family factors followed by individu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social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support measures to reduce depression and promote mental health among single parents.

      • KCI등재

        한부모가족의 특성, 한부모의 어려움과 우울감이 학령기 자녀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문제에 미치는 영향

        문화진 ( Hwajin Moo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특성, 한부모로서의 어려움, 한부모의 우울감이 학령기 자녀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이들이 더 긍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 구축에 관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에 참여한 1,543개 가정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자녀 수가 적을수록, 한부모로서의 어려움과 우울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문제가 더욱 심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 및 제언: 홀로 경제 활동과 자녀 양육을 도맡아 해야 하는 한부모는 다양한 어려움과 함께 우울감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학령기 자녀가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잉 사용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에 한부모가족의 학령기 자녀들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single-parent families’s characteristics, single-parent’s difficulties and depression on school-age children’s internet and smartphone use problem, so to explore implications for building more positive environment. To this end, the response data of 1,543 participated in the 2021 Single-parent Family Survey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s a result, the fewer children, the higher the difficulties and depression as parents, the worse the problem of use. Single-parents have to take charge of economic activities and raising children alone, so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along with difficulties, which can make children overuse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social interest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m would be necessary.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시험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학업 착수-완수 지연에 미치는 영향

        문화진 ( Hwajin Mo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이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시험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학업적 착수-완수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대학생들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시험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학업 착수 지연, 학업 완수 지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학업 착수 지연과 완수 지연 모두에 대하여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유의한 부(-)의 영향력, 시험불안은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나타난 반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업 수행 증진을 위한 학업 착수-완수 지연의 완화 방안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self-oriented perfectionism, test anxiet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44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test anxie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In addition,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nfluence and test anxi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both procrastination. But,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 the ways to relieve academic initiation-completion procrastination for promoting academic performance and present opinions on future research.

      • KCI등재

        2차원 및 3차원 정신 회전 과제 수행에 대한 반응시간의 성차

        문화진(Hwa Jim Moon),하대현(Dae Hyun Ha)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공간 능력은 오래전부터 지능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온 것으로 그 능력의 성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밝히는 일은 지능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차원 및 3차원 정신 회전 과제 수행에 대한 요소 분석을 실시해 도형 자극을 회전시킬 때 관여하는 인지 요소 과정들을 분리해 내고, 그 요소들에서 성차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러한 성차가 2차원 과제와 3차원 과제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피험자들은 315명(남자 157명, 여자 158명)의 대학생이었다. 그들에게 12개 종류의 각도로 회전시킨 2차원과 3차원의 도형 자극이 기준자극과 동일한 것인지, 다른 거울상인지를 판단하게 하는 컴퓨터 실험 과제와 함께 6종류의 참고공간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반응시간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부호화, 회전, 비교, 반응의 4개 인지요소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요소 모형을 설정하고, 요소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정신 회전 과제 수행에 대한 반응시간은 남녀 모두 0°-180° 사이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180°-360° 사이에서는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 회전율의 성차는 2차원 과제보다 3차원 과제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요소 모형 적합도는 2차원 과제와 3차원 과제에서 모두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2차원 과제와 3차원 과제에서 모두 회전, 부호화, 비교 요소의 수행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빠르게 수행했고, 그 중 회전 요소의 수행 속도에서 차이가 가장 컸다. 넷째, 요소 점수와 6개의 공간능력검사와의 상관을 구했을 때, 회전 요소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고, 그 상관은 2차원 과제보다 3차원 과제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공간 능력의 성차가 나타나는 중요한 원인적 과정이 회전 요소임을 밝히고, 또 2차원 도형 자극보다 3차원 도형 자극을 회전시키는 과제에서 반응시간에 대한 성차가 더 크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혔다. 결론 부분에 추후 연구로 회전 전략의 훈련 효과, 가상현실 과제에서의 성차, 대뇌피질과 뇌파와 같은 생리적 연구들을 제시하였다. In the field of intelligence studies, it is an important topic to find out the possible causes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ies. So in this study, we separated elements that were assumed to be used in 2- and 3-dimensional mental rotation tasks, and verified whether sex differences were existed in these elements mutually different in those two tasks. The subjects participants in this experiments were 315 university students(male 157, female 158). We administered 2- and 3- dimensional mental rotation tasks in which they were asked to compare the standard stimulus with an alternative stimulus that were either same or different(mirror image), and 6 kinds of spatial ability tests. We set the four-stage componential model that consisted of four components such as encoding, rotation, compare, and respond components, and then us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is model. The experimen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Ts(reaction times) on performance in the mental rotation tasks were almost linearly increased at 0°-180°, and almost linearly decreased at 180°-360° in both sex in both tasks. Also, magnitude of sex difference in 3 -dimensional task was greater than in 2-dimensional task. Second, internal validities obtained by fit of model(R²) were high enough in both tasks(.85 in 2-dimensional task, .80 in 3-dimensional task). Third, male`s speeds of encoding, rotation, and compare components were faster than female`s, and rotation components was the most significant in explaining sex differences in both 2- and 3- dimensional tasks. Fourth, when we obtained external validity of componential model by computing correlations between components scores and 6 spatial ability tests scores, only rotation components had highest correlations, and these correlations in 3-dimensional task were higher than in 2- dimensional task.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providing some experimental evidences. First, one of the causal processes which make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ies is a mental rotation component. Second, Sex differences of mental rotation appear greater in 3-dimensional task than in 2 -dimensional task. Finally we suggest that the studies about strategy training effects, sex differences in virtual reality task, and physiological studies such as cerebral cortex and EEG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