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o E3 Genotype 고지혈증 환자에서 사상체질에 따른 의학영양치료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문보경,조미란,이혜옥,송일병,조여원,Moon, Bo-Kyoung,Cho, Mi-Ran,Lee, Hei-Ok,Song, Il-Byung,Choue, Ryo-Won 사상체질의학회 2003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고지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사상체질의 분포양상을 살펴보고 apo E3 타입 고지혈증 환자에서 사상체질에 따른 의학영양 치료가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1) 본 연구에 참여한 고지혈증 환자 33명으로 남자의 평균 연령은 $47.8{\pm}6.2$세였고, 여자의 평균 연령은 $50.5{\pm}5.7$세였다. apo E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는 apo E2는 6.1%(2명), apo E3는 78.8%(26명), apo E4는 15.2%(5명)였고, 사상체질의 분포는 태양인이 0%(0명), 태음인이 60.6%(20명), 소양인이 21.2%(7명), 소음인이 18.2%(6명)였다. (2) 신체 계측 결과는 apo E3 타입 고지혈증 환자 중 남자의 경우는 신장, 체중, 체지방, 제지방, TBW,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둘레/엉덩이둘레 비율 모두에서 MNT 실시 전과 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의 경우는 소양인에서 체중, BMI가 MNT 전과 비교하여 후에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고, 태음인과 소음인에서는 MNT 실시 전과 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영양소 섭취 상태는 남자의 경우 태음인에서 총열량, 지방, 동물성 지방, 식물성 지방, 섬유소,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소양인에서는 섭취량의 변화가 없었으며, 소음인에서는 인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여자의 경우 태음인에서 칼슘, 인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소양인과 소음인에서는 섭취량의 변화가 없었다. MNT 실시 전과 후의 영양소 섭취 상태는 총열량의 섭취량이 처방열량에 적절하게 개선되었고, MNT 후에 태음인에서는 칼슘, 철분, 비타민 A의 섭취가 개선되었으며, 소음인에서는 단백질, 비타민 A의 섭취가 개선되었다. 식사 전반의 질은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모두에서 잘 유지되었으나 식품 섭취 패턴을 조사한 결과는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 소고기, 돼지고기 등 육류, 단음식, 튀긴 음식의 섭취 빈도에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4) 혈중 지질 농도의 변화는 태음인에서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호모시스테인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소양이네서 HDL-콜레스테롤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소음인에서는 혈중 지질 농도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MNT) on plasma lipid levels of hyperlipidemic patients with apo E3 genotyp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From March to July, 2001, the 33 hyperlipidemic patients admitted to K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studied.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asang constitutions by QSCC II questionnaire which have been used at K University Oriental Medical Center. The anthropometric assessments, blood analysis, and apo E genetic typing were carried out. Nutrient intake was determined by food record method of food taken during two weekdays and one weekend. The MNT including the instruction for hypolipidemic and hypocholesterolemic diet (step l diet) was performed for 12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mean age of hyperlipidemic patients was $49.91{\pm}8.48$ years. (2) The distributions of Sasang Constitution were 60.6% of Tae-eum, 21.2% of So-yang, and 18.2% of So-eum. The distributions of apo E genotype were 6.5% of apo E2/3, 78.8% of apo E 3/3, and 15.2% of apo E 3/4. (3) The nutrient consumption of the apo E3 subjects before the MNT showed lower calorie, iron, calcium, and vitamin B2 intakes than the RDAs for each nutrien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nstitutions. After 12-week of MNT, only the fat consumption was decreased in the Tae-eum group. The MNT did not change the pattern of food intake. (4) The plasma level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 were not changed after MNT in the three constitutional groups. The level of HDL-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ae-eum and So-yang group and the level of homocystein was lowered in Tae-eum group after MN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12-weeks MNT with hypolipidemic and hypocholesterolemic diet did not change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 effectively regardless of Sasang constitutions even though the subjects' dietary intake was improved by MNT.

      • KCI등재

        학교-마을 연계 기반 제주지역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환경 분석

        문보경(Moon, Bo Kyoung),강윤진(Kang, Yun Jin),이인회(Lee, In 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학교와 마을 연계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의 운영에서 나타난 환경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제주지역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의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연구참여자로 교육청 담당자, 중간지원조직 담당자, 제주지역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학교와 마을활동가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틀로서 Hoy와 Miskel(2013)의 학교사회체제모형의 투입요소를 재구성하여 환경적 제약, 인적·물적 자원, 교육거버넌스, 교육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마을교육공동체 구축 방안을 첫째, 교육청과 지자체 간의 수평적 거버넌스의 구축, 둘째,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한 마을교육공동체 계획의 수립, 셋째,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 개선과 교육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제주마을교육공동체 운영으로 제주교육혁신과 교육자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establishing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the Jeju region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from the operation of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villages.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the person in charge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the schools, and village activists as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study, the input elements of the school social system model of Hoy and Miskel(2013) were reconstructed and analyzed into environmental constraint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educational governance, and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plan for establishing the Jeju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establishment of horizontal governance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second, establishment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lan through participation of members, and third, improvement of awareness and education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Jeju education innovation and educational autonomy development by operating the Jeju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ju region.

      • The Effect of Drying Method on the Functionality of Whey Protein Concentrates

        문보경 ( Bo Kyung Moon )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 구-생활과학연구소] 2005 생활과학논집 Vol.21 No.-

        Whey is the soluble portion of milk that is removed after the setting of the curd in cheese manufacture. In industry, whey is widely used after processed to whey protein concentrates (WPC). There are many factors to decide the functionality of commercial WPC including its composition, solu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sides, drying methods can affect the functionality of WPC. In this research, whey protein concentrates were produced and dried in two different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functionality of WPC. The solu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s depending on concentrations and drying method of whey proteins. Particle size of 10% WPC suspension was significantly bigger in freeze dried samples than in spray dried sample. However, Foam overru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s depending on drying methods. Therefore, type of drying is important in some application and drying methods should be chosen by the functionality expected in WPC.

      • KCI등재
      • 유색미 첨가 두부의 품질 특성

        문보경 ( Bo Kyung Moon ),김유림 ( Yu Lim Kim ),김지나 ( Ji Na Kim ),최용수 ( Young Soo Choi )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 구-생활과학연구소] 2008 생활과학논집 Vol.27 No.-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ir changes during storage of tofu added with pigmented rice powder were studied. As the addition of pigmented rice powder increased, the whey decreased but the yield increase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pigmented rice powder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but with the addition of pigmented rice powder increased, the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mostly decreased. During the initial time of storage, the pH of the tofu with pigmented rice powder decrease, but it in­creased again after eight days of storage. The pH of soaking solution of tofu decrease, but increased after six days of storage. The L, a and b values mostly increased during storage. As the addition of pigmented rice powder increased, the L, and b values decrease but a value increased. In sensory evaluation, the control tofu was evaluated better than samples added with pigmented rice powder in overall acceptability.

      • 흑미가루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문보경 ( Bo Kyung Moon ),김은아 ( Eun Ah Kim ),박미성 ( Mi Sung Park ),이동곤 ( Dong Kon Lee ),이미선 ( Mi Sun Lee ),최보라 ( Bo Ra Choi )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 구-생활과학연구소] 2007 생활과학논집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nutritious cookies with black rice powder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lack rice powder on the quality of cookies. Black rice powder was added in the paste for the cookies discriminating the ratio of substitution; 0%, 20%, 40%, 60% of wheat flour. For analyzing quality characteristics density and pH of the paste, spread factors and texture of cookies were measured. The density and pH of the paste with black rice powd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nd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cookies with black rice powder were lower than contro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cookies with black rice pow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exture than control group and the one added 60% black rice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 In colors, aroma, flavors and overall acceptability, cookies with black rice pow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 Functionalities of Whey Protein Concentrates

        문보경 ( Bo Kyung Moon )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 구-생활과학연구소] 2006 생활과학논집 Vol.24 No.-

        Wey is the soluble portion of milk that is removed after the setting of the curd in cheese manufacture. In industry, whey is widely used after processed to whey protein concentrates (WPC). Because whey proteins have various functional properties, including gel formation, emulsification and foaming, they are widely used as nutritional and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food industry. There are many factors to decide the functionality of commercial WPC including its composition, solu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 KCI등재

        기술사회의 라이프스타일 기반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문보경 ( Bokyung Moon ),김주연 ( Joo Yun Kim ),안진근 ( Jinkeun Ahn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주거 공간은 사회, 문화, 환경, 기술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면서 끊임없이 진화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에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역시 궤를 같이하여 왔다. 현대의 주거는 디지털 및 정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간과 상호작용하고 새로운 경험을 주는 종합적 공간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지고 기술은 공간의 다양한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있다. 이는 독자적이고 능동적으로 기능하는 새로운 스마트 주거 공간의 형태로 구체화되고 있다. 인간의 거주와 그 주거공간의 형태적 변화를 예측해 보는 것은 공간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기술사회에서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서 형성되고 변해가는 스마트 주거공간을 현대인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기반으로 특징과 주거유형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산업화 이후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주거생활과 어떠한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고 이를 통해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의식을 이해한다. 둘째, 기술 발전에 따라 변해온 주거형태를 이해하고 현재에 이르러 성립된 스마트주거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한다. 셋째, 스마트주거의 특징을 바탕으로 공간디자인 취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 틀을 구축하고 이를 관점으로 스마트 주거 환경을 구현한 선행사례를 조사하고 대입하여 분석한다. (결과) 스마트 주거공간은 거주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구조를 제공한다. 자연소재와 스마트기술의 조화로운 결합이 주는 심미적 친환경 주거를 제공한다. 기존 물리적 공간에 콘텐츠의 유입으로 정보접근성이 용이해지고 자유롭게 정보공유를 통해 장소의 이동 없이 주거 공간 내의 환경을 니즈에 따라 해결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한다. 앞으로 스마트주거환경의 편의성을 기대하는 사람들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스마트주거환경이 기술의 관점에서 발전되어 온 만큼 현재는 기술기반의 접근형태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기술이 보다 보편화되고 세련되어 지면서 디자인에 대한 감성적 요구가 늘어날 것임은 분명하다. (결론)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공간과 기술의 결합이 아닌 인간, 인간과 공간, 공간과 공간간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며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대응으로 공간에 인간행태가 묻어나는 재현방식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스마트주거 공간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사례가 한정적이라는 한계를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 주거공간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evolving continuously as a result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changes, and human lifestyles have been in sync with these changes. Thanks to advancements in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idential spaces in the modern age are structures characteristic of a complex spatial system that facilitates human interaction and delivers new experiences. Thus, technology blurs the various boundaries of space. Accordingly, a new and smart residential space that functions actively and independently has emerged. Predictions regarding residential spaces and their formative changes have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and types of smart residential spaces that are forming and changing according to changes in human lifestyles in the modern technological society. The directionality in design strategies for such spaces is presented in this paper. (Method)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employed to understand lifestyl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industrialization, their interactions with residential spaces, and modern people’s residential awareness. Second,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residential forms that have accompanied technological advancement; contemporary types and features of smart residential spaces were also examined. Third, a strategic framework desig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residences; further,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evious cases regarding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performed. (Results) Smart residential spaces form environments and structures that correspond to the life patterns of residents. An aesthetic and eco-friendly residence comes from a harmonious combination of natural materials and smart technologies. Additions to preexisting physical spaces ensure various information accessibilities; further, changes to residential spaces and environments reflect the need for unlimited sharing of information that does not require moving to a different location. The number of people seeking the conveniences of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creasing. Furthermore,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requires a stronger technology-based approach. However, as technology becomes generalized and polished, emotional prerequisites associated with designs will definitely increase. (Conclusions) The primary concerns underlying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spaces are humans and communications between humans and spaces-not the combination of spaces and technologies. Thus,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human consciousness as a representational method that reflects humans’ behaviors as they pertain to spaces. This study involved the exploration of a limited number of case studies; however, its findings may promp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smart residential space design.

      • KCI등재

        복합상업공간의 이동행태에 따른 주시영역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하여-

        문보경 ( Moon Bokyung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복합상업공간은 국내의 경우 200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 급속도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심형 몰이 활발하게 개발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복합화된 대규모 상업공간이 형성되고 있다. 복합상업공간은 대규모의 광범위한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어 공간 이용자들이 쉽게 전체적 공간형태감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복잡한 공간구성 및 다양한 시각적 정보에 노출되어 공간 이용자의 혼란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시각적 요소가 그 공간의 목적이나 방향과 각도를 똑똑하게 전해 준다면 이용자는 기타 시각적 정보를 광범위하게 받아들일 수가 있다. 이용자들이 공간인지를 위해 시각적 요소를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공간디자인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복합상업공간에서의 이용자의 이동행태에 따른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한 시선의 정량적인 정보 취득을 통하여 이동 시 주시하는 공간영역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한 실험연구로 복합상업공간에서 나타나는 이동행태에 따른 이용자의 주시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자유시야로 인한 시선추적(Eye-Tracking)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용자가 이동 시 목적 과 비목적 이동행태를 구분한 자유이동과 목적이동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험 대상지를 위한 복합상업공간과 분석기법인 시선추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자는 대표적인 복합상업공간 코엑스를 실험 대상지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기본적으로 실험에 적합한 시각적으로 결격사유가 없고 눈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미용렌즈, 난시, 색맹등 장애가 없는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결과) 자유이동과 목적이동의 주시영역을 분석해 본 결과 높은 주시영역을 나타난 영역 순은 공통적으로 중앙부 중앙과 상부 중앙 영역, 중앙부 오른쪽으로 나타났다. 낮은 주시영역은 하단부 왼쪽, 중앙, 오른쪽으로 났다. (결론) 이동행태에 따른 주시하는 공간영역을 분석한 결과 목적이동과 자유이동에 따른 주시영역은 유사한 것을 나타났다. 중앙중앙과 상부중앙에 높은 집중·주목이 일어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유이동과 목적이동은 목적은 다르지만 공간이용자 이동하는 행태에서 공간을 인지하지 위해 시각적 탐색을 하는 영역은 유사한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를 통해 이용자 시선의 익숙하고 집중되는 주시영역을 밝힐 수 있었으며, 높은 영역으로 도출된 공간영역에 이용자의 집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 공간구성 및 중요 디자인 요소를 배치할 때 중요한 영역으로 작용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Korea, the complex commercial space has been developing rapidly since the mid- to late 2000s.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urban malls, large-scale commercial spaces have been created and combined into various forms. The complex commercial space is made up of a large and extensive space,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its users to easily grasp the overall spatial shape. The Complex Space Plan and a variety of visual information exposed to space users also cause confusion. Users can widely accept other visual information if the visual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communicate the purpos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pace smartly. Th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pace zones observed when moving by obtaining quantitative information of the eyes by using eye-tracking techniques based on users’ mobile behavior in complex commercial spaces.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eye-tracking techniques to derive characteristics that catch the user's attention according to their mobile behavior in complex commercial spaces. The user understood free movement and purpose movement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purpose and non-purpose movement when moving, and considered the complex commercial space for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 and the prospect-tracking method. The researchers selected COEX, a representative complex commercial space, as the site for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selected and were to perform without beauty lenses, astigmatism, or color blindness to track the eye movement without visually disqualifying reasons. (Result) Analysis of the main areas of the natural movement and navigational movement showed that the order of the areas with high visibility was common to the central and upper central areas, and to the right of the center. The low-maintenance area rose to the left, center, and bottom right. (Conclusion) An analysis of the area that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behavior showed that the area of the eye was similar to that of the navigational and natural movement. The results of high concentration and attention in the center and upper center were derived. Although natural and navigational movement have different purposes, visual search for space can be interpreted as a similar area in user mobility behavior.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al study revealed familiar and focused areas of the user's gaze, and they will act as important areas in space composition, while important design elements will be placed in areas where user concentration takes pla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