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진로타협과 진로스트레스와의 관계: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라영안,김경은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dec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stress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this aim, 454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levels of career compromise,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were assessed. We used Baron and Kenny’s mediation test procedure and Sobel test to analyze the data. A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stress. In addition, when demographic variables(age, gender, grade, major field) were controlled, we found the mediational effect of career decision (decidedness, comf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stress. With findings of this study, we offer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충청, 전라, 경상 소재의 13개 4년제 대학의 재학생 45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들의 진로타협,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수준이 측정되었다. 연구 자료는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검증방법과 Sobel Test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진로타협 정도와 진로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나이, 성별, 학년, 전공계열)을 통제하였을 때, 진로타협과 진로스트레스와의 관계에 진로결정수준(결정성, 편안성)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진로 상담 연구 및 실제에서의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효과적인 예비상담자 다문화상담 교육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라영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유능한 상담자를 배출하기 위해, 예비상담자들의 다문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다문화상담교육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학원 다문화상담 수업 경험을 가진 상담전문가 6명에게 그들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다문화상담 교육방안을 위한고려사항에 대해 질문하였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에게 실시한 인터뷰 결과를 전사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으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효과적인 다문화상담 수업을 위해 고려해야 할 교육방안은 크게 수업내용과 수업전략 부분으로 나누어졌으며, 수업내용으로는 다문화의 정의, 다문화 관련 주제를 포함한 다문화에 대한 이해, 자기이해, 저항과 관련한 문제들이 다루어 져야 한다고하였고, 수업전략 측면으로 개별접근 목표설정 방법, 다양한 수업 활동들, 그리고 자기평가를 통한 효과적인 수업평가 방안들이 보고되었다. 결론 상담교육자로서 예비상담자들의 다문화 역량 증진을 돕고, 다양한 상담활동 촉진하기 위한 다문화상담 교육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an emerging body of literature on how to educate multicultural counseling courses more effectively, and how to promote multicultural competencies of counselor trainees. Methods For this aim, 6 counseling professionals were interview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and strategies regarding educating multicultural counseling courses. We us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o analyzed the data. Results As results, course contents were developed including definitions and topic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self-understanding, and issues of resistance and microagressions. In addition, course strategies were also reported including effective individual goal setting, diverse course activities, and useful course evaluation plan which is self-evaluation. Conclusions The study provides strategies to enhance multicultural competences of counselor educators and with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counselors training.

      • KCI등재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라영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유학생들이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이 타국에서 받는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해 탐색해 보고 그러한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미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한국인 학부 유학생 6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에 대해 인터뷰하였다. 연구참여자들로부터 얻어진 인터뷰 내용은 전사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의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은 문화적응스트레스 요인과 극복방안으로 나누어졌고 스트레스의 종류는 언어, 학업, 대인관계, 문화충격 네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들이 이러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데사용하는 방안으로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직적지지가 언급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내 거주하는 한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 그리고 상담자가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고용 환경에서장애개방을 이끄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라영안,김원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4

        연구목적: 장애인들에게 장애개방이란 주로 취업지원 시 혹은 직무 현장에서 자신이 지닌장애를 의도적으로 밝히는 행위를 의미한다. 장애인들이 취업지원 시 고용주에게 장애를개방하는 일은 매우 중대하면서도 복잡한 결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취업 시 혹은 직장에서 장애를 개방하게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장애 개방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려고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장애 개방 결정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합의적질적 분석(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장애 개방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피고용인 영역과 직무 환경 영역으로 나뉘어 졌으며, 장애개방의지, 장애의 특성, 회사에서의 위치, 고용주, 동료, 회사의 형태 및 조직문화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을 찾을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 고용 시 장애 개방과 관련한직업재활 및 재활상담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Disability disclosure is generally defined as the deliberate informing of someonein the workplace about one’s disability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ield. Thus, the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articipant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particularfactors that lead to disclosure of their disability status for employees with disabilities. Metho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with disclosure of disabilities status and that contributed to disclosure decisions. Results:The results indicated that willingness to disclose, disability characteristics, positions atworkplace, employers, co-workers, and organizational culture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lead disability disclosure. Conclusion: Implic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educationand counseling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라영안(Young-An Ra),김혜민(Hye-Min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소명과 하위요인(초월적 부름,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에 거주하는 대학생 19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의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소명의 수준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와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 첫째, 진로장벽은 전체 진로소명 및 그 하위요인(초월적 부름,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들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진로준비행동과도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계열)을 통제하였을 때, 전체 진로소명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사이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진로소명의 하위요인들의 매개효과를 각각 검증한 결과, 진로소명의 하위요인 중 목적과 의미만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calling and its subdimensions(transcend summons, purpose and meaning,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this aim, 191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levels of career barriers, career call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assessed. We utilized SPSS and Hayes(2013) Process Macro tool to analyze the data. As results, career barrier showed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call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when demographic variables(gender, grade, major field) were controlled, the results revealed that career calling in total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ion analysis, conducted separately for each subdimensions of career calling, showed that only purpose and meaning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founding from the research, we proposed the implication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참여에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에 대한 혼합모형 분석

        라영안,이주영,김원호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students’ characteristics (i.e., gender, age, GPA, satisfaction with major, and majority field) on those latent classes. For the current study, final sample included 502 Korean college students. Latent class analysis and mixture modeling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regarding three aspects of academic engagement which are vigor, dedication, and absorb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d five latent classes; ‘low levels of academic engagement’, ‘mid-low levels of academic engagement’, ‘mid levels of academic engagement’, ‘mid-high levels of academic engagement’, and ‘high levels of academic engagement’. Additionally, college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was higher when they were female students, older, achieving greater GPA,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students of engineering school.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학업참여 정도에 따라 어떤 하위 유형들로 구분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각 하위 유형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차이를 알아보았다. 학습자 개인변인으로는 성별, 나이, 학점, 전공만족도, 전공계열을 적용하였고,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50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혼합모형을 활용한 잠재계층모형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학업참여 양상은 학업열정, 학업헌신, 학업몰두의 세 가지 학업참여 양상요인에서, 각 요인별 참여 정도에 따라 저참여집단, 중저참여집단, 중참여집단, 중고참여집단, 고참여집단의 다섯 가지 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집단별로 대학생들의 학습자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한 결과,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나이가 많을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전공만족이 높을수록, 그리고 이공계열인 학생일수록 학업참여가 높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학업참여와 학습상담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특성 변인과 진로변인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상태에 대한 잠재계층 분석

        라영안(Young-An Ra),김원호(Won Ho Kim),김경은(Kyung-Eun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상태에 따라 어떠한 하위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 각 하위 집단 구분에 영향을 주는 개인특성 변인과 진로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으로는 나이, 성별, 학점, 전공계열을 적용하였고, 진로변인으로는 진로타협과 진로 스트레스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45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잠재계층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상태는 성숙, 유예, 유실, 미성숙의 네 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집단 분류에 대학생들의 개인특성 변인과 진로변인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 간의 비교에서 가치타협이 높을수록, 그리고 흥미타협이 낮을수록, 성숙한 진로의사결정 상태의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과 이를 위한 진로상담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number of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ir demographic and career variables on those profiles. We employed age, gender, year of college and major field for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stress for the career-related variables. For the current study, final sample included 458 Korean college student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d four latent profiles which were mature, moratorium, foreclosure, and immature status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when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levels of value compromise and lower level of interests compromise, they are more likely to be placed in mature status of career decision making. With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 offere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해외귀국 대학생의(TCK)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라영안(Ra, Young-An),김혜정(Kim, Hye Jeong),김향미(Kim, Hya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해외귀국 대학생(Third Culture Kids: TCK)이 대학에서 겪고 있는 학습경험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에서 3년 이상 거주한 후 본국으로 돌아온 해외 귀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대학에서의 학습경험 에 대해 질문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결과를 전사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으로 분석하여 정리한 결과, 해외귀국 대학생의 학습경험은 학습동기,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습방법, 선호하는 학습 환경, 국내와 해외의 학습차이, TCK 학습자가 겪고 있는 학습곤란, 이렇게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학습동기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학습방법은 도움구하기, 경험학습, 그룹학습, 시연, 적절한 환경 만들기, 구조화로, 학습환경은 교수법, 과제, 평가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국내외 학습차이는 경험주의학습과 교과중심학습, 학습자중심학습과 교 수자중심학습, 집단학습과 개인학습, 이해학습과 암기학습, 국내외의 학습, 교육, 능력 차이로 범주와 되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언어,교수와의 관계, 교우관계, 평가방식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해 외귀국 대학생이 겪고 있는 학습경험에 대해 탐색하고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arning experiences of Third Culture Kids in Korean Colleges. To address this aim, TCK, who had lived in foreign countries over three years and came back to Korea, were interview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regarding learning experience in Korean colleges. We us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o analyzed the data and as a result, their learning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to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preferred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ce in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included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contained seeking for help, experiential learning, group learning, demonstration, creating proper learning environment, structured thoughts. Preferred learning earning environment included teaching strategies, assignments, and evaluation. In addition, difference in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contained experiential vs curriculum based learning, learner vs teacher based learning, group vs individual learning, understanding vs memorization, and difference in learning, teaching and abilities. Finally, difficulties in learning included languag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lationship between peers, and evaluation methods. At the end, implications for assisting TCK students were provided.

      • KCI등재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라영안 ( Ra Young-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높은 성적을 유지하는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전략이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한 대학교에서 두 학기 이상 평균 평점 4.0/4.3 이상인 대학생 총 4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학업 성취 촉진 요인과 학습전략을 질문하였다. 인터뷰를 실시하여 전사한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으로 정리한 결과, 학업 성취 대학생의 학업성취 촉진 요인으로 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동기화전략, 조절전략의 4개의 영역이 도출되고 각 영역별로 맥락적 노트필기, 시연을 통한 예습복습, 세밀한 시간관리, 적극적인 대인관계,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수업몰입, 유연한 사고의 8개의 중심내용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이 우수한 학업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의 학업성공 요인을 지각하고 그들의 학습전략이 성공적인 학업성취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탐색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들이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관련 생활태도 및 습관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와 다양한 학습전략을 반영한 학습 프로그램을 구상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strategies influencing Korean top level college students’ academic success. To address this aim, 45 Korean students, all juniors in their Bachelors of Arts, who earned a GPA of above 4.0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What factors relate to your good GPA?” and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ntributes to good GPA?” Student response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s a result, the 4 categories and 8 concepts of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top level students among high achievers’ excellent GPA were found. Identifying these factors can be useful for college students, faculties, and higher education administrators in providing a helpful guide that will maximize the chances that college students will be success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