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용적 디자인 관점의 신체생활기능 분류‧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신체기능 분류‧평가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김태선,조재경,Kim. Taesun,Cho. Jaekyung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2

        고령사회, 위험사회 등 사회변화를 볼 때, 종래의 산업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디자인 개발풍토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 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포용적 디자인의 적용을 위한 도구개발의 차원에서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문헌연구와 내용분석법을 통해 포용적 디자인의 의미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용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핵심적 신체 기능인 신체생활기능을 정의했다. 그리고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방향 도출을 위해 대표적 신체기능 분류 및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했다. 대표적 분류 평가체계로는 한국장애분류 평가,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평가 맥브라이드 신체장해 분류 평가, 사이먼 키츠와 존 클락슨의 분류 평가, (도구적)일상생활수행능력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분류체계에 대해서는 ‘감각기능, 정신 언어기능, 운동기능’ 중심의 구성, 다 른 신체기능 분류체계와의 연계성 확보, 디자인을 넘어 다른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범용성의 확보를 개발의 방향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도출결과를 종합하면, 국제표준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범분야적 활용 가능성이 확보된 ‘국제기능 장애 건강분류’를 바탕으로 기능을 선별하는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평가체계의 경우, 상황 동작 묘사적 표현에 의한 직관적 척도, 비장애 기능제약 손상 수준의 신체능력 정도를 포함하는 평가범위, 척도항목 간 위계와 함께 (숫자 등에 의한)능력 총합점수의 제시가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용적 디자인의 도구로써의 신체생활기능분류 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이에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향후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에 활용될 때 실제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Such as aging society, risk society and so on, societal changes asks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industrial design approach concerning industrial benefits more into new approaches as alternatives. In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boost and create a tool for inclusive design, this study aims to suggest guidelines to develop a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inly through adopting literature review and analytical method, understood meaning and ethos of inclusive design. Then, comprehensive body function, playing core roles in using products, was defined and representat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s were analyzed. Finally, having t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guidelines for th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of comprehensive body function were drawn. As representativ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s, Korea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cbride evaluation system of permanent impairment, Simeon Keats and John Clarkson system, (Instrumental)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chosen and analyzed. As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system, it would be needed that consisting of ‘sensory-mind and language communication-motor functions’, acquiring consistency with other disability/body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generality used in other areas beyond industrial design. It demonstrates that effective could be an approach selecting the core func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which was developed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it would be necessary that promoting intuitive understanding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scales, comprehensive evaluation range including minor impairments, numeric total scores(grades) of body functioning besides hierarchy between scales. As fundamental resour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Thus, this study could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creating inclusive design tools. However, this menas all of the finding in this study could be valuable when they are used for the comprehensive system. Hence, executed should be a follow up study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 KCI등재후보

        김수영 문학에서 망각에 관한 연구

        김태선(Kim, Tae-S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This study focused on problem of Oblivion in Kim Su-Young s Later Literature. In General, Oblivion means forgetting a memory; but Su-Young looked at Oblivion as an essential movement related to poetry writing in the thought that reached the last winter of his life. At that time, Su-Young was thinking about way of beyond the limit of I that blocked sees things from the inside as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order. WaSeon [lying meditation] is the article in which Su-Young s inquiry of such a thought appeared. Su-Young introduces the method of meditation called WaSeon and talks about passive attitude because he saw that it makes him approach to the essential place of Things that can not be approached by active action such as the capacity of the subject. Thus we looked at Kim Su-Young s passive attitude with referring to the passive synthesis as the first synthesis of time on Deleuze s theories about time. Passive synthesis is the movement towards contraction in which different things meet and become individualized before the action of intelligence that makes it aware when the subject recognizes something, which foundation for images and memories. But image of thought ready-made concealed the encounter with such process of generating. The reason why Su-Young argued that things should be seeing from inside is to approach the process of generating that could not be approached in the active instance of the subject I . Su-Young said the waiting , WaSeon and passive attitude in way to get a gaze to see the inside of things. Kim Su-Young discusses the way to poetry by passive attitude , which is done through reminiscence in the oblivion. And writing poetry and poetry performs the movement of oblivion that erases itself, which is what appears in Händel s music. Heidegger discussed Brave Obliv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blivion[forgetting] in general sense in Andenken [reminiscence]. Brave Oblivion is a process that approaches the essential dimension of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nd an experience of ecstase[Ekstase] that leaves I outside I , and opens oneself and performs the movement to enter into the inside of others as the things. The attitude to writing poetry that Su-Young called passive attitude is aimed to reach such a movement. In addition, Oblivion is the condition of reminiscence as recalling the disappearances, and in this case, the returning does not reappear as they once appeared. They are partial objects of what are potential in the qualifications of the pure past, and appear to constantly change their appearance and place. This movement is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in which something is a movement to oblivion, and is manifested as constantly erasing itself and appearing. This is also the movement of Oblivion performed by poetry, which Su-Young wanted to refer to Handel s music. Therefore, Kim Su-Young s Oblivion and the writing of Oblivion as the movements of differential generation that reveals themselves as the differences. With Oblivion, writing becomes a movement to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of Being and to express the experience itself. The writing of oblivion is a movement that erases itself and expresses itself, and through such movements, it produces a generation that brings small but certain changes. 이 연구는 김수영 후기 시론의 ‘망각’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였다. 망각이란 일반적으로 어떤 기억을 잊는 일을 뜻하지만, 김수영은 자신의 생애 마지막 겨울 무렵에 이른 사유에서 ‘망각’을 시 쓰기에 관련된 어떤 본질적인 움직임으로 살폈다. 당시 김수영은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가로막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서는 일을 사유하고 있었는데, 그 방법의 하나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 연구에서 김수영의 시론에 나타난 ‘망각’을 주목하는 까닭은, 김수영이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방해하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설 수 있게 하는 한 방법으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사유의 탐구가 개진된 산문 중 하나가 바로 「와선」이다. 김수영이 ‘와선’이라는 명상의 방법을 통해 ‘수동적 태세’를 운운한 까닭은, 그 방법으로써, 주체의 능력이라는 능동적 행위에 의해서는 다가갈 수 없는, 사태의 본질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움직임 강조한 까닭을 고찰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시간론 중, 첫 번째 시간의 종합에 나타난 수동적 종합을 참조하였다. 수동적 종합은, 주체가 무언가를 인식할 때 그것을 어떤 앎으로 만드는 지성의 작용에 앞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것들이 만나며 개체화되는 ‘수축’의 움직임이며, 이는 이미지나 기억 등을 형성하는 정초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성의 사유이미지는 그와 같은 발생적인 것과의 만남에 틀을 덮어씌운다. 김수영이 사물을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한 까닭은, 바로 ‘나’라는 주체의 능동적 심급이 가리고 있던 그 발생적 차원으로 다가가기 위해서이다. 김수영은 사물의 내부를 보는 시선에 이르기 위해 ‘와선’이라는 기다림을, 그 ‘수동적 태세’를 말하였던 것이다. 김수영은 ‘수동적 태세’로써 ‘시’에 이르는 길을 주장하는데, 이는 망각 가운데에서의 ‘상기’ 혹은 ‘회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시와 시 쓰기가 이행하는 것은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에서 본, 스스로를 지우는 망각의 움직임이다. 하이데거는 「「회상」」에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망각과 구분되는 ‘대담한 망각’을 논의한다. ‘대담한 망각’은 생성과 소멸의 이중운동이라는 존재의 본질적 측면에 이르는 한 과정이자, ‘나’를 ‘나’ 바깥에 놓아두는 ‘탈자태’의 경험으로, 자신을 열어 사물 혹은 사태라는 타자의 내부로 들어가는 움직임을 수행한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시 쓰기의 태도는 바로 그와 같은 움직임에 이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망각은 사라져간 것을 다시 불러오는 회상 혹은 상기의 조건으로,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자신이 한 때 현현했던 모습 그대로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그 것들은 순수 과거의 자격에서 잠재적인 것의 한 부분대상들로, 끊임없이 스스로의 모습과 자리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잠재적 대상들의 움직임은, 무언가가 망각에 이르는 움직임이자, 끊임없이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현성하는, 존재의 이중 운동에서 볼 수 있는 그 움직임이다. 이는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시가 이행하는 망각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살핀 김수영의 망각, 그리고 그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부단히 차이짓는 차이로서 드러내는 미분적인 생성의 움직임이다. 망각과 함께 글쓰기는 존재 경험에 참여하는 것이 되는 동시에 그 경험 자체를 표현하는 움직임이 되는 것이다.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또한 표현하는 움직임으로, 그와 같은 이행을 통해서 작지만 확실한 변화를 가져오는 생성을 이루어낸다.

      • KCI등재

        부정(否定)에서 부정(不定)으로 - 김수영 ‘반시론의 반어’에 관한 연구

        김태선 ( Kim Tae-seon ) 민족어문학회 2018 어문논집 Vol.- No.83

        이 연구는 김수영의 「반시론」에서 ‘반시론의 반어’의 의미와 그 운동성을 살피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에서 ‘반시’의 개념을 재검토 하였으며, ‘현대성(부정성)’을 반시의 이념과 맥락을 함께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반시론」의 서두에서 나타난 ‘여유’로 인해 김수영이 종래에 추구했던 ‘현대성(부정성)’의 실천이 어려워지게 된 상황을 언급했다는 점이다. ‘현대성(부정성)’은 기성의 관습적 질서에 대한 거부를 특질로 하고 있는데, 김수영에게 나타난 ‘여유’ 즉 ‘생활의 안정’은 그와 같은 질서에 편입되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현대성(부정성)’의 추구에도 불구하고 기성의 체제가 강화되는 이유를 그에 내재한 거부라는 ‘대립’의 구도에서 찾았다. ‘대립’은 그 논리적 바탕을 기성의 동일성 체제에서 가져오는데, 이로 인해 ‘현대성(부정성)’은 역설적으로 기성 질서에 대한 거울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김수영이 「반시론」에서 자신의 현 상황을 기술한 산문에서 ‘반어’적 움직임을 드러내는 까닭은 ‘대립’의 구도와는 다른 길로의 ‘전환’을 위한 탐색과 실천을 위해서라고 보았다. 반어는 일반적으로 언표된 것과 반대되는 숨겨진 의미를 전하는 강조의 효과로 여겨지거나, 혹은 현실의 압력 등으로 인해 직접적인 말하기의 방식으로는 어려웠던 내용을 위장의 방법으로 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반시론」에서 김수영이 산문과 시를 통해 다룬 ‘반어’는 그와 같은 수사적 전략에 그치지 않는다. 김수영의 시론에서 ‘반어’는 배중률을 위반하며 동일성의 체제를 뒤흔드는 운동성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김수영은 질서라는 이름의 동일성 체제가 은폐했던 존재의 운동이라는 본질적인 차원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어’를 실천의 방법으로 모색하였다. 동시에 ‘반어’는 동일성을 담보하는 주체적 심급으로서의 ‘나’의 고정성을 무너뜨리고 그것이 은폐했던 발생의 차원, 즉 생성의 차원으로 시선을 돌리도록 한다. 이렇게 ‘반어’를 통해 김수영의 ‘반시’는 기존의 대립 구도를 넘어서 대립 자체를 전복하는 운동으로 나타난다. 김수영이 하이데거의 ‘릴케론’을 언급한 까닭은, 「반시론」이 바로 ‘반시론의 반어’로 나타난 전환의 모색과 실천을, 주객구도라는 ‘대립’을 넘어서 ‘열린 장’이라는 사물의 시선에 이르는, 릴케식의 전환에 견주는 운산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릴케가 신적인 것의 차원을 노래함으로써 전환에 이르는 길을 모색했다면, 김수영은 세속의 세계에서 노래함으로써 그 세계가 부과했던 짐들을 짊어지는 가운데 은폐된 것으로 머물렀던 생성의 본질적인 차원으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김수영의 ‘반시’가 ‘반어’와 함께 종래의 고정성과 대립의 구도(주어진 존재자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던 ‘부정’에서 부단한 변모의 과정(생성이라는 존재의 차원)인 ‘부정’의 시선으로, 즉 ‘나’의 시선에서 사물의 시선으로 전환하는 움직임으로 살폈다. This Study focused on meaning of ‘irony for anti-poetry’ and its movement in “An Essay on Anti-Poetry” of Kim Soo-Young.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concept of anti-poetry in previous studies, and considered Modernity(Negativity) as a combination of anti-poetry idea and context. At this point, the problem is that he became hard to practice 'modernity' because the Stability. Modernity(Negativity) is a movement of reject the established order; but he realized that he is being included into such conventional order because the Stability. In this paper, despite pursuit of Modernity(Negativity), reason for strengthening the establishment was found in the opposition[Gegenuberstellung] which is inherent in it. Therefore, Modernity(negativity) appears as a mirror image of established order because opposition derives its logical basis from the identity. The reason why Kim Soo-Young reveals ironic movements in proses that describes his current situation in “An Essay for Anti-Poetry” is that he seeks for search and practice for turning which is a different way from the opposition. According to general understanding, Irony was considered to be effect of emphasis convey opposite implication of what was expressed, or it was conveyed in way of camouflage contents that were difficult to direct expression due to social pressure. However, the irony that Kim Soo-Young developed as poems and prose in “An Essay on Anti-Poetry” is not limited to such rhetorical methods. In this way, he sought Irony as a method of practice to move into the essential zone of the movement of Being that concealed by the established order as the identity. In Kim Soo-Young's poetry, the irony appeared to be a motility that disturbed the established system as identity by violating principle of excluded middle. Moreover, the irony breaks the stability of I, which is subjectivity instance of identity, and allows us to change our perspective to the aspect of becoming(or creation) that has been concealed by representation(as opposition). Through the irony Kim Soo-Young's anti-poetry appears as a movement to overturn the opposition. Kim Soo-Young refers to Heidegger's “What A Poets For?” because the anti-poetry was a process of operating comparison of his ‘irony for anti-poetry’ with Rilke's conversion. In secular world, he tried to open himself up to the movement of Becoming which remained concealed. By switching from ‘I’ to the perspectives of Things, irony for anti-poetry was an effort to view Things as becoming(as Being), not as fixed objects[Gegenstand].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Kim Soo-Young's ‘irony for anti-poetry’ as a movement to convert from negative to indefinite.

      • 차량의 후방 안전을 위한 LED 패널의 구현

        김태선(Tae-Sun Kim),김상혁(Sang-Hyeok Kim),김기훈(Ki-Hun Kim),오용택(Yong-Teak Oh),이재홍(Jae-Hong Lee),조우빈(Woo-Bin Jo),장원영(Won-Young Jang),문재웅(Jea-Woong Moon),김경호(Kyung-Ho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우리나라 차량의 수는 매년 증가한다. 한 가구당 2대 이상의 차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드물지 않다. 이는 도로의 포화를 발생시키고 교통사고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을 전제로 아두이노를 이용한 초음파 센서와 라즈베리를 통한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LED 패널에 적용하고자 한다. 현재 많은 차량에는 후방 감지 센서와 차량 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술들은 운전자를 보호하는 장치이지만 모두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다른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차량이 많다. 추가로 설치하기 위해서 보다 큰 비용을 내야 하므로 적은 비용에 비해 큰 효율을 발생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장치가 필요하다. 본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버스에 장착된 LED 패널과 도로정비 차량 후방에 장착된 LED패널에서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차량용 후방 안전 LED 패널’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에 글자를 이용해 단순히 의사소통이 가능한 LED 패널을 아두이노와 라즈베리 파이를 통해 사용자가 출력하고 싶은 문구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다른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